KR100993450B1 - 지엽류 선별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선별 방법 - Google Patents

지엽류 선별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선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450B1
KR100993450B1 KR1020080084324A KR20080084324A KR100993450B1 KR 100993450 B1 KR100993450 B1 KR 100993450B1 KR 1020080084324 A KR1020080084324 A KR 1020080084324A KR 20080084324 A KR20080084324 A KR 20080084324A KR 100993450 B1 KR100993450 B1 KR 100993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gap
paper sheets
paper
rotary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761A (ko
Inventor
히데나리 모리
교오이찌 도바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70046A external-priority patent/JP50917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08537A external-priority patent/JP556253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90093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07B1/24Revolving drums with fixed or moving interior agi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03Separation of articles by differences in their geometrical form or by difference in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compressibility,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07B4/025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the material being slingered or fled out horizontally before falling, e.g. by disper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2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by reversal of direction of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1/00Measures preceding 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1/10Sorting according to size or flexibility
    • B07C1/16Sorting according to thickness or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드럼 내에 그 내주면을 따라 통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선별 영역을 형성하고, 폭 방향의 단부가 서로 간극을 두고 중첩되는 복수의 선별 블레이드와, 선별 블레이드를 선별 영역의 중심 주위로 회전 이동시키고, 선별 영역 내에 투입된 두께가 다른 복수의 서장 중 간극보다도 얇은 서장을 간극에 통과시키는 구동 모터와, 이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드럼의 회전 상태를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회전 드럼, 선별 영역, 선별 블레이드, 구동 모터, 제어부

Description

지엽류 선별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선별 방법 {PAPER SHEETS SORTING APPARATUS, PAPER SHEETS PROCESSING APPARATUS AND PAPER SHEETS SORTING METHOD}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8년 2월 28일에 출원된 종래 일본 특허 출원 제2008-48415호 및 2008년 3월 1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208537호를 기초로 하여 그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우편물 처리 장치에 적용되고 우편물을 그 두께에 따라서 선별하는 지엽류 선별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선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편물 처리 장치에서는,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두께가 다른 복수종의 우편물을 선별 장치에 투입하여 그 두께에 따라서 선별한 후, 소망하는 두께의 우편물을 반송하여 그 구분 정보에 기초하여 구분 상자 내에 구분 집적하도록 되어 있다.
선별 장치로서는, 회전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긴 선별 블레이드를 그 폭 방향의 단부를 서로 간극을 두고 중첩시킨 상태에서 통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선별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선별 장치에서는, 회전 드럼의 회전을 기초로 하여 선별 블레이드를 선별 영역의 중심 주위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선별 영역 내의 두께가 다른 복수의 우편물 중 간극보다도 얇은 우편물을 간극으로부터 통과시켜 선별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55761호 공보 참조).
그런데, 상기한 회전형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 한번에 대량의 우편물이 뭉친 상태에서 선별 영역 내에 투입되면, 선별 블레이드를 회전 이동시켜도 우편물의 덩어리를 흐트러뜨릴 수 없게 되어, 선별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는, 선별 장치의 선별 블레이드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선별 영역의 직경을 크게 하는 등 하여, 우편물이 선별 블레이드 사이의 간극에 도달하는 기회를 많게 하여 선별 처리 능력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선별 블레이드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선별 영역의 직경을 크게 하면, 장치가 대형화되어 비용이 증대하는 동시에 설치 공간도 크게 필요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상기 사정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대형화되지 않고 선별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고,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설치 공간도 삭감할 수 있는 지엽류 선별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선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지엽류 선별 장치는 회전 드럼과, 이 회전 드럼 내에 그 내주면을 따라 통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를 투입시키기 위한 선별 영역을 형성하고, 폭 방향의 단부가 서로 간극을 두고 중첩되는 복수의 선별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선별 블레이드를 상기 선별 영역의 중심 주변으로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선별 영역 내에 투입된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 중 상기 간극보다도 얇은 지엽류를 상기 간극에 통과시키는 구동 디바이스와, 이 구동 디바이스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회전 드럼 회전 상태를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지엽류 처리 장치는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를 공급하는 공급 디바이스와, 이 공급 디바이스의 지엽류 공급측에 설치되는 회전 드럼과, 이 회전 드럼 내에 그 내주면을 따라 통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를 투입시키기 위한 선별 영역을 형성하고, 폭 방향의 단부가 서로 간극을 두고 중첩되는 복수의 선별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선별 블레이드를 상기 선별 영역의 중심 주위로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선별 영역 내에 투입된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 중 상기 간극보다도 얇은 지엽류를 상기 간극에 통과시키는 구동 디바이스와, 이 구동 디바이스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상태를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와, 상기 선별 블레이드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 드럼으로부터 송출되는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 디바이스와, 이 반송 디바이스에 의해 반송되는 지엽류를 그 구분 정보에 기초하여 구분 집적하는 구분 집적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지엽류 처리 방법은, 회전 드럼 내에 그 내주면을 따라 통 형상으로 복수의 선별 블레이드를 그 폭 방향의 단부가 서로 간극을 두고 중첩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선별 영역을 형성하고, 이 선별 영역 내에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를 투입시키는 것과, 상기 회전 드럼을 구동 디바이스에 의해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선별 블레이드를 상기 선별 영역의 중심 주위로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선별 영역 내에 투입된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 중 상기 간극보다도 얇은 지엽류를 상기 간극에 통과시키는 것과, 상기 구동 디바이스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상태를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대형화되지 않고 선별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고,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설치 공간도 삭감할 수 있는 지엽류 선별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선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개시될 것이며, 일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학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점들을 특별히 이후에 개시되는 수단들 및 조합들에 의해 인식되고 얻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일부로 구성되는 첨부 도면들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한 일반적인 설명과 함께 하기되는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지엽류 처리 장치로서의 우편물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면 중 부호 1은 일괄하여 투입되는 복수매의 지엽류로서의 우편 서장(이하, 서장이라 함)을 받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이며, 이 반송 컨베이어(1)의 반출측에는 서장을 받아 상방으로 반송하는 공급 디바이스로서의 호퍼 컨베이어(2)가 설치되어 있다.
호퍼 컨베이어(2)의 반출측에는, 호퍼 컨베이어(2)로부터 낙하되는 서장을 받아 그 두께를 선별하는 본 발명에 관한 회전형의 서장 선별 장치(3)가 설치되어 있다. 서장 선별 장치(3)의 반출측에는 서장을 1매씩 취출하는 취출 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취출 장치(4)로부터 취출된 서장은 반송로를 따라 반송된다. 그리고, 서장의 반송 방향을 따라 차례로, 폭 선별부(6), 경도 선별부(7), 두께 검출부(8), 배제부(9), 수신 인명 판독부(10), 스위치백부(11), 상하 반전부(12), 압인부(13), 표리 반전부(14), 바코드 판독부(15) 및 구분 집적 디바이스로서의 구분 집적부(16)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컨베이어(1) 상에 일괄하여 투입된 서장은 반송 컨베이어(1)의 주행에 의해 호퍼 컨베이어(2) 상에 송출된다. 이 서장은 호퍼 컨베이어(2)의 주행에 의해 상방을 향해 반송되고, 서장 선별 장치(3)에 투입된다. 서장 선별 장치(3)에 투입된 서장은, 후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바와 같이 두께 선별되어 송출된다. 이 송출된 서장은 취출 장치(4)에 의해 1매씩 취출되고, 폭 선별부(6)에 반송되어 폭 선별되고, 계속해서 경도 선별부(7)에 반송되어 경도 선별된다. 이 선별된 서장은 두께 검출부(8)에 보내져 두께가 검출되고, 소정 두께 이상의 서장은 배제부(9)에서 배제된다. 배제되지 않은 서장은 수신 인명 판독부(10)에 보내져 그 수신 인명이 판독된 후, 스위치백부(11), 상하 반전부(12)를 통해 압인부(13)에 반송되어 압인된다. 이 압인된 서장은 표리 반전부(14)를 통해 바코드 판독부(15)에 보내져 그 바코드가 판독된 후, 판독 정보에 기초하여 구분 집적부(16)에 구분 집적된다.
도2는 상기한 회전형의 서장 선별 장치(3)를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서장 선별 장치(3)는 그 내부에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드럼(21)을 구비하고, 이 회전 드럼(21)의 내부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복수매의 긴 선별 블레이드(22)가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매의 선별 블레이드(22)는 그 폭 방향의 단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통 형상으로 배치되어 선별 영역(24)을 형성하고, 각 선별 블레이드(22)의 중첩 부분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극(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25)보다도 얇은 서장(P1, P2)은 간극(25)을 통과할 수 있으나, 간극(25)보다도 두꺼운 서장(P3)은 간극(25)을 통과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선별 영역(24) 내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장의 잔량을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잔량 검출 디바이스로서의 잔량 검지 센서(42)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드럼(21)에는 동력 전달 기구(27)를 통해 구동 디바이스로서의 구동 모터(28)가 접속되고, 회전 드럼(21)은 구동 모터(28)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복수매의 선별 블레이드(22)는 회전 드럼(21)의 회전을 기초로 하여 선별 영역(24)의 중심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된다. 회전 드럼(21) 및 선별 영역(24)은 서장의 수납측이 높고, 수납 반대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져 배치되고, 회전함으로써 서장을 각 내부 저면을 따라 수납 반대측으로 이동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 드럼(21)의 수납 반대측에는 회전 드럼(21)으로부터 배출되는 서장(P1, P2)을 안내하는 슈트부(30)가 설치되고, 이 슈트부(30)의 하방부에는 서장(P1, P2)을 취출 장치(4)를 향해 반송하는 반송 디바이스로서의 반송 컨베이어(31)가 설치되어 있다.
선별 영역(24)의 수납 반대측에는 선별 영역(24)으로부터 배출되는 서장(P3)을 안내하는 슈트부(33)가 설치되고, 이 슈트부(33)의 하방부에는 배출되는 서장(P3)을 집적하는 집적부(34)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호퍼 컨베이어(2)의 상부측에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 컨베이어(2)에 의해 반송되는 서장의 양(量)을 검출하는 투입량 계측 디바이스로서의 초음파 센서 등의 제1 양 검지 센서(36)가 설치되고, 반송 컨베이어(31)의 상부측에는, 반송 컨베이어(31)에 의해 반송되는 서장의 양을 검출하는 송출량 계측 디바이스로서의 초음파 센서 등의 제2 양 검지 센서(3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호퍼 컨베이어(2)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롤러(43)와 종동 롤러(44, 45) 사이에 걸쳐져 있다. 구동 롤러(43)는 구동 모터(46)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이에 의해 호퍼 컨베이어(2)가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되도록 되어 있다.
제1 및 제2 양 검지 센서(36, 37), 또한 상기한 잔량 검지 센서(42)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회로를 통해 제어 디바이스로서의 제어부(40)에 접속되고, 제어부(40)에는 제어 회로를 통해 상기한 회전 드럼(21)의 구동 모터(28) 및 상기한 호퍼 컨베이어(2)의 구동 모터(46)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는 제1 양 검지 센서(36)로부터 송신되는 서장의 검지량이 소정값 이상, 즉 제1 양 검지 센서(36)가 한번에 다량의 서장을 검출한 경우에는, 구동 모터(28)의 회전 속도를 증감시켜, 선별 블레이드(22)의 회전 이동 속도를 증감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회전 속도의 제어에 의해, 선별 영역(24) 내에 한번에 다량으로 투입되는 서장의 덩어리에 충격을 부여하여 흐트러뜨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제2 양 검지 센서(37)로부터 송신되는 서장의 검지량이 소정값 이상이 된 경우에는, 선별 영역(24) 내에 선별 능력 이상의 서장이 투입된 것이라 판단하고, 구동 모터(28)에 의한 선별 블레이드(22)의 회전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잔량 검지 센서(42)가 소정량 이하의 잔량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회전 드럼(21)의 회전 속도를 증감시키는 제어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잔량 검지 센서(42)가 소정량 이상의 잔량을 검출한 경우에는, 호퍼 컨베이어(2)로부터의 서장의 투입량이 지나치게 많다고 판단하여 호퍼 컨베이어용의 구동 모터(46)의 동작을 정지시켜 서장의 투입을 정지시키도록 되 어 있다.
다음에, 서장 선별 장치(3)의 선별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구동 모터(28)에 의해 회전 드럼(21)을 회전시켜 복수매의 선별 블레이드(22)를 선별 영역(24)의 중심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각 선별 블레이드(22) 사이의 간극(25)이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 상태로부터 반송 컨베이어(1) 및 호퍼 컨베이어(2)의 주행에 의해 두께가 다른 복수 종류의 서장(P1 내지 P3)을 반송하고,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별 영역(24) 내에 투입시킨다.
이 선별 영역(24) 내에 투입된 서장(P1 내지 P3)은, 선별 영역(24)의 하부측을 구성하는 선별 블레이드(22) 상에 낙하된 후, 선별 블레이드(22)의 이동에 수반하여 경사 상방으로 긁어 올려지도록 반송된다. 이에 의해, 서장(P1 내지 P3)은 선별 블레이드(22) 사이의 간극(25)을 향해 자중에 의해 이동되고, 선별 블레이드(22) 사이의 간극(25)보다도 얇은 서장(P1, P2)은 간극(25)을 통과하여 선별 영역(24)으로부터 회전 드럼(21) 내에 송출된다. 또한, 간극(25)보다도 두꺼운 서장(P3)은 간극(25)을 통과하지 않고, 선별 영역(24)의 수납 반대측으로 유도되어 배출되고, 슈트부(33)를 통해 집적부(34)에 집적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얇은 서장(P1, P2)과 두꺼운 서장(P3)이 선별되게 된다.
그런데, 이 선별시에 선별 영역(24) 내에 한번에 다량의 서장이 뭉친 상태에서 투입된 경우에는, 선별 블레이드(22)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 이동시켜도 서장의 덩어리를 흐트러뜨릴 수는 없다. 이 경우에는 얇은 서장(P1, P2)이 두꺼운 서 장(P3)에 의해 방해되고, 선별 블레이드(22)에 도달하는 기회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얇은 서장(P1, P2)이 선별 블레이드(22) 사이의 간극(25)을 통과할 수 없게 되어, 두꺼운 서장(P3)과 함께 선별 영역(24)의 수납 반대측으로 유도되어 배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별 영역(24) 내에 투입되는 서장의 양을 제1 양 검지 센서(36)에서 검출하고, 그 검출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면, 제어부(40)에 의해 구동 모터(28)의 회전 속도를 증감시켜 선별 블레이드(22)의 회전 이동 속도를 증감시킨다. 이에 의해, 선별 영역(24) 내에 투입되는 서장의 더미에 충격을 부여하여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흐트러뜨릴 수 있다. 따라서, 서장(P1, P2)이 선별 블레이드(22)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짧고, 또한 기회를 늘리는 것이 가능해져, 얇은 서장(P1, P2)을 확실하게 간극(25)에 통과시켜 선별 영역(24)으로부터 회전 드럼(21) 내에 송출할 수 있다.
회전 드럼(21) 내에 송출된 얇은 서장(P1, P2)은, 슈트부(30)를 통해 반송 컨베이어(31)에 배출되어 취출 장치(4)로 반송된다. 또한, 두꺼운 서장(P3)은 선별 영역(24)으로부터 배출되어 슈트부(33)를 통해 집적부(34)에 집적된다.
또한, 상기한 서장의 선별 동작시에 있어서, 잔량 검지 센서(42)에 의해 소정량 이상의 잔량이 검출된 경우에는, 제어부(40)는 호퍼 컨베이어(2)에 의해 선별 영역(24) 내에 투입되는 서장의 양이 지나치게 많다고 판단하여 호퍼 컨베이어용의 구동 모터(46)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호퍼 컨베이어(2)의 주행이 정지되고, 선별 영역(24) 내로의 서장의 투입이 정지된다.
한편, 반송 컨베이어(31)를 통해 취출 장치(4)로 반송되는 서장의 양은 제2 양 검지 센서(37)에 의해 검출된다. 제2 양 검지 센서(37)에 의해 검출되는 서장의 양이 소정량 이상이 되면, 제어부(40)는 선별 영역(24) 내에 선별 능력 이상의 서장이 투입된 것이라 판단하여, 구동 모터(28)의 구동을 정지시켜 선별 블레이드(22)의 회전 이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선별 영역(24) 내의 서장의 잔량은 잔량 검지 센서(42)에 의해 검출되고, 잔량이 소정량 이하가 되면, 제어부(40)는 선별 블레이드(22)의 회전 이동 속도를 증감시키는 제어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구동 모터(28)의 구동을 정지시켜 선별 블레이드(22)의 회전 이동을 정지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회전 드럼(21)의 선별 영역(24) 내에 투입되는 서장의 양이 제1 양 검지 센서(36)에 의해 소정량 이상이라 검출되면, 선별 블레이드(22)의 회전 이동 속도를 증감시키기 때문에, 선별 영역(24) 내에 투입된 서장의 덩어리에 충격을 부여하여 흐트러뜨릴 수 있다. 따라서, 서장(P1, P2)이 선별 블레이드(22)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짧고, 또한 기회를 늘리는 것이 가능해져, 대형화되지 않고, 얇은 서장(P1, P2)을 확실하게 간극(25)에 통과시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서장의 선별 동작시에 있어서, 잔량 검지 센서(42)에 의해 소정량 이상의 잔량이 검출된 경우에는, 제어부(40)는 호퍼 컨베이어(2)에 의한 선별 영역(24) 내로의 서장의 투입량이 지나치게 많다고 판단하여 서장의 투입을 정지시키기 때문에, 선별 영역(24) 내에서 서장이 몰려 움직이지 못하게 해 버리는 일도 없 다.
또한, 선별되어 취출 장치(4)를 향해 송출되는 서장의 양이 제2 양 검지 센서(37)에 의해 소정량 이상이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선별 영역(24) 내에 선별 능력이상의 서장이 투입된 것이라 판단하여 구동 모터(28)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때문에, 취출 장치(4)에 대해 적정량의 서장을 송입할 수 있어, 후처리 공정에서 서장이 몰려 움직이지 못하게 하거나 할 우려도 없다.
또한, 선별 처리가 진행되어 선별 영역(24) 내에 있어서의 서장의 잔량이 적어진 경우에는, 구동 모터(28)의 구동 속도 제어를 정지시키기 때문에, 불필요한 구동 제어를 방지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드럼(21)의 회전 속도를 증감시켜 서장의 덩어리를 흐트러뜨리도록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드럼(21)의 기동과 정지를 간헐적으로 반복함으로써, 혹은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서장의 덩어리를 흐트러뜨리도록 해도 좋다.
또한, 회전 드럼(21)의 회전 속도 제어를 제1 양 검지 센서(36)를 이용하여 서장의 양을 계측하여 행하는 것이 아닌, 회전 드럼(21)의 회전 속도를 자동적으로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회전형의 서장 선별 장치(50)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10은 그 정면도이다.
서장 선별 장치(50)는 그 내부에 회전 드럼(51)을 구비하고, 이 회전 드럼(51)의 내부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복수매의 긴 내측 선별 블레이드(52a)가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매의 선별 블레이드(52a)는 그 폭 방향의 단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통 형상으로 배치되어 내측 선별 영역(54a)을 형성하고, 각 선별 블레이드(52a)의 중첩 부분에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간극(5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 간극(55a)보다도 얇은 서장(P1, P2)은 내측 간극(55a)을 통과할 수 있으나, 내측 간극(55a)보다도 두꺼운 서장(P3)은 내측 간극(55a)을 통과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 드럼(21)의 내부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복수매의 긴 외측 선별 블레이드(52b)가 상기한 긴 내측 선별 블레이드(52a)의 외측에 위치하여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매의 외측 선별 블레이드(52b)는 그 폭 방향의 단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통 형상으로 배치되어 외측 선별 영역(54b)을 형성하고, 각 선별 블레이드(52b)의 중첩 부분에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간극(55a)보다도 좁은 외측 간극(55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 간극(55b)보다도 얇은 서장(P1)은 외측 간극(55b)을 통과할 수 있으나, 외측 간극(55b)보다도 두꺼운 서장(P2)은 외측 간극(55b)을 통과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두꺼운 서장(P3)은 예를 들어 골판지이고, 약간 두꺼운 서장(P2)은 예를 들어 두꺼운 봉투이고, 얇은 서장(P1)은 예를 들어 엽서류 등이다.
한편, 회전 드럼(51)에는 구동 디바이스로서의 구동 기구(58)가 접속되고, 이 구동 기구(58)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복수매의 내측 및 외측 선별 블레이드(52a, 52b)는 회전 드럼(51)의 회전을 기초로 하여 내측 및 외측의 선별 영역(54a, 54b)의 중심 주위로 회전 이동된다.
회전 드럼(51), 또한 내측 및 외측의 선별 영역(54a, 54b)은 서장의 수납측이 높고, 수납 반대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져 배치되고, 회전함으로써 서장을 각 내저면을 따라 수납 반대측으로 이동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 드럼(51)의 수납 반대측에는 회전 드럼(51)으로부터 배출되는 서장(P1)을 안내하는 슈트부(60)가 설치되고, 이 슈트부(60)의 하방부에는 서장(P1)을 취출 장치(4)를 향해 반송하는 반송 디바이스로서의 반송 컨베이어(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 선별 영역(54a)의 수납 반대측에는 내측 선별 영역(54a)으로부터 배출되는 서장(P3)을 안내하는 슈트부(63a)가 설치되고, 이 슈트부(63a)의 하방부에는 서장(P3)을 집적하는 1차 배제 지엽류 집적 디바이스로서의 제1 집적부(64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측 선별 영역(54b)의 수납 반대측에는 외측 선별 영역(54b)으로부터 배출되는 서장(P2)을 안내하는 슈트부(63b)가 설치되고, 이 슈트부(63b)의 하방부에는 서장(P2)을 집적하는 2차 배제 지엽류 집적 디바이스로서의 제2 집적부(64b)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서장 선별 장치(50)의 선별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구동 기구(58)에 의해 회전 드럼(51)을 회전시켜 그 내측 및 외측의 각 선별 영역(54a, 54b)을 구성하는 내측 및 외측 선별 블레이드(52a, 52b)를 회전 이동시키고, 내측 및 외측 간극(55a, 55b)을 각각 이동시킨다. 이 상태로부터 반송 컨베이어(1) 및 호퍼 컨베이어(2)의 주행에 의해 두께가 다른 복수 종류의 서장(P1 내지 P3)을 반송하여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선별 영역(54a) 내에 투입시킨다. 이 내측 선별 영역(54a) 내에 투입된 서장(P1 내지 P3)은, 선별 영역(54a)의 하부측을 구성하는 선별 블레이드(52a) 상에 낙하된 후, 선별 블레이드(52a)의 이동에 수반하여 경사 상방으로 긁어 올려지도록 반송된다. 이에 의해, 서장(P1 내지 P3)은 선별 블레이드(52a) 사이의 내측 간극(55a)을 향해 자중에 의해 이동된다. 그리고, 이 선별 블레이드(52a) 사이의 내측 간극(55a)에 서장(P1 내지 P3) 중, 내측 간극(55a)보다도 얇은 서장(P1, P2)이 내측 간극(55a)을 통과하여 내측 선별 영역(54a)으로부터 외측 선별 영역(54b)으로 송출된다. 또한, 내측 간극(55a)보다도 두꺼운 서장(P3)은 내측 선별 영역(54a)의 선별 블레이드(52a)를 따라 배출측으로 유도되어 배제되고, 슈트부(63a)를 통해 제1 집적부(64a) 내에 집적된다. 이와 같이 하여, 우선 얇은 서장(P1, P2)과 두꺼운 서장(P3)이 선별되게 된다.
외측 선별 영역(54b)으로 송출된 서장(P1, P2)은 외측 선별 영역(54b)의 하부측을 구성하는 선별 블레이드(52b) 상에 낙하된 후, 선별 블레이드(52b)의 회전 이동에 수반하여 경사 상방으로 긁어 올려지도록 반송된다. 이에 의해, 서장(P1, P2)은 선별 블레이드(52b) 사이의 외측 간극(55b)을 향해 자중에 의해 이동된다. 그리고, 이 선별 블레이드(52b) 사이의 외측 간극(55b)에 서장(P1, P2) 중, 외측 간극(55b)보다도 얇은 서장(P1)만이 외측 간극(55b)을 통과하여 외측 선별 영역(54b)으로부터 회전 드럼(51) 내에 송출된다. 또한, 외측 간극(55b)보다도 두꺼운 서장(P2)은, 외측 선별 영역(54b)의 선별 블레이드(52b)를 따라 배출 방향으로 유도되어 배제되고, 슈트부(63b)를 통해 제2 집적부(64b) 내에 집적된다.
외측 선별 영역(54b)으로부터 회전 드럼(51) 내에 송출된 서장(P1)은 슈트부(60)를 통해 반송 컨베이어(61)에 송출되어 취출 장치(4)로 반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드럼(51) 내에 내측 선별 영역(54a)과 외측 선별 영역(54b)을 설치하고, 내측 선별 영역(54a)에서 두꺼운 서장(P3)과 이 서장(P3)보다도 얇은 서장(P1, P2)을 선별한 후, 외측 선별 영역(54b)에서 약간 두꺼운 서장(P2)과 이 서장(P2)보다도 얇은 서장(P1)을 선별한다. 즉, 서장을 내측 선별 영역(54a)에서 대략 선별한 후, 외측 선별 영역(54b)에서 다시 선별하기 때문에, 한번에 대량의 서장이 뭉친 상태에서 투입된 경우라도, 선별 장치를 대형화되지 않고 선별할 수 있고, 또한 선별 장치를 복수대 구비하지 않고, 서장을 3종류의 두께로 선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배치 공간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그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다양한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 도시되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개의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걸친 구성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해도 좋다.
추가적인 이점 및 변경들은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용이하게 착안될 것이다. 그러므로, 보다 넓은 관점에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설명한 특징 설명 및 대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의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의 사상 또는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괄호 안에 있는 도면 부호들도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우편물 처리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의 서장 선별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도2의 서장 선별 장치의 회전 드럼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4는 도3의 회전 드럼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5는 도4의 회전 드럼의 선별 블레이드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도2의 서장 선별 장치의 구동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7은 도5의 선별 블레이드에 의해 구성되는 선별 영역 내에 서장이 일괄하여 투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도7의 선별 영역 내에 투입된 서장의 덩어리가 흩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서장 선별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10은 도9의 서장 선별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11은 도9의 서장 선별 장치에 의한 서장 선별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송 컨베이어
2 : 호퍼 컨베이어
3 : 서장 선별 장치
21, 51 : 회전 드럼
22 : 선별 블레이드
24 : 선별 영역
28 : 구동 디바이스
40 : 제어 디바이스

Claims (11)

  1. 회전 드럼(21)과,
    이 회전 드럼(21) 내에 그 내주면을 따라 통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P1, P2, P3)를 투입시키기 위한 선별 영역(24)을 형성하고, 폭 방향의 단부가 서로 간극(25)을 두고 중첩되는 복수의 선별 블레이드(22)와,
    상기 회전 드럼(21)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선별 블레이드(22)를 상기 선별 영역(24)의 중심 주위로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선별 영역(24) 내에 투입된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P1, P2, P3) 중 상기 간극(25)보다도 얇은 지엽류(P1, P2)를 상기 간극(25)에 통과시키는 구동 디바이스(28)와,
    이 구동 디바이스(28)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회전 드럼(21)의 회전 상태를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40)를 구비하는 지엽류 선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21)의 선별 영역(24) 내에 투입되는 지엽류의 투입량을 계측하는 투입량 계측 디바이스(36) 및 상기 선별 블레이드(22)의 간극(25)을 통과하여 송출되는 지엽류(P1, P2)의 양을 측정하는 송출량 계측 디바이스(37)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40)는, 상기 투입량 계측 디바이스(36)가 소정량 이상의 지엽류(P1, P2, P3)를 계측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 드럼(21)의 회전 상태를 변화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송출량 계측 디바이스(37)가 소정량 이상의 지엽류(P1, P2)를 계측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 드럼(21)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지엽류 선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40)는 상기 회전 드럼(21)을 그 회전 속도가 증감하도록, 혹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도록, 또는 정역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지엽류 선별 장치.
  4. 회전 드럼(51)과,
    이 회전 드럼(51) 내에 그 내주면을 따라 통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P1, P2, P3)를 투입시키기 위한 내측 선별 영역(54a)을 형성하고, 폭 방향의 단부가 서로 내측 간극(55a)을 두고 중첩되는 복수의 내측 선별 블레이드(52a)와,
    이들 내측 선별 블레이드(52a)의 외측을 따라 통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외측 선별 영역(54b)을 형성하고, 폭 방향의 단부가 서로 상기 내측 간극(55a)보다도 좁은 외측 간극(55b)을 두고 중첩되는 복수의 외측 선별 블레이드(52b)와,
    상기 회전 드럼(51)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내측 및 외측 선별 블레이드(52a, 52b)를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내측 선별 영역(54a) 내의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P1, P2, P3) 중 상기 내측 간극(55a)보다도 얇은 지엽류(P1, P2)를 상기 내측 간극(55a)에 통과시켜 외측 선별 영역(54b) 내에 송출한 후, 이 외측 선별 영역(54b) 내에서 상기 외측 간극(55b)보다도 얇은 지엽류(P1)를 상기 외측 간극(55b)에 통과시키는 구동 디바이스(58)를 구비하는 지엽류 선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 선별 블레이드(52a, 52b)의 회전 이동시에, 상기 내측 간극(55a)을 통과할 수 없는 지엽류(P3)는 상기 내측 선별 영역(54a)으로부터 배제되어 1차 배제 지엽류 집적 디바이스(64a)에 집적되고, 상기 외측 간극(55b)을 통과할 수 없는 지엽류(P2)는 상기 외측 선별 영역(54b)으로부터 배제되어 2차 배제 지엽류 집적 디바이스(64b)에 집적되는 지엽류 선별 장치.
  6.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P1, P2, P3)를 공급하는 공급 디바이스(2)와,
    이 공급 디바이스(2)의 지엽류 공급측에 설치되는 회전 드럼(21)과,
    이 회전 드럼(21) 내에 그 내주면을 따라 통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P1, P2, P3)를 투입시키기 위한 선별 영역(24)을 형성하고, 폭 방향의 단부가 서로 간극(25)을 두고 중첩되는 복수의 선별 블레이드(22)와,
    상기 회전 드럼(21)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선별 블레이드(22)를 상기 선별 영역(24)의 중심 주위로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선별 영역(24) 내에 투입된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P1, P2, P3) 중 상기 간극(25)보다도 얇은 지엽류(P1, P2)를 상기 간극(25)에 통과시키는 구동 디바이스(28)와,
    이 구동 디바이스(28)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회전 드럼(21)의 회전 상태를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40)와,
    상기 선별 블레이드(22) 사이의 간극(25)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 드럼(21)으로부터 송출되는 지엽류(P1, P2)를 반송하는 반송 디바이스(31)와,
    이 반송 디바이스(31)에 의해 반송되는 지엽류(P1, P2)를 지엽류 구분 정보에 기초하여 구분 집적하는 구분 집적 디바이스(16)를 구비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21)의 선별 영역(24) 내의 지엽류(P1, P2, P3)의 잔량을 검출하는 잔량 검출 디바이스(42)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40)는, 상기 잔량 검출 디바이스(42)가 소정량 이상의 잔량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 디바이스(2)에 의한 상기 지엽류(P1, P2, P3)의 공급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8. 두께가 다른 복수종의 지엽류(P1, P2, P3)를 공급하는 공급 디바이스(2)와,
    이 공급 디바이스(2)의 지엽류 공급측에 설치되는 회전 드럼(51)과,
    이 회전 드럼(51) 내에 그 내주면을 따라 통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P1, P2, P3)를 투입시키기 위한 내측 선별 영역(54a)을 형성하고, 폭 방향의 단부가 서로 내측 간극(55a)을 두고 중첩되는 복수의 내측 선별 블레이드(52a)와,
    이들 내측 선별 블레이드(52a)의 외측을 따라 통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외측 선별 영역(54b)을 형성하고, 폭 방향의 단부가 서로 상기 내측 간극(55a)보다도 좁은 외측 간극(55b)을 두고 중첩되는 복수의 외측 선별 블레이드(52b)와,
    상기 회전 드럼(51)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내측 및 외측 선별 블레이드(52a, 52b)를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내측 선별 영역(54a) 내의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P1, P2, P3) 중 상기 내측 간극(55a)보다도 얇은 지엽류(P1, P2)를 상기 내측 간극(55a)에 통과시켜 외측 선별 영역(54b) 내에 송출한 후, 이 외측 선별 영역(54b) 내에서 상기 외측 간극(55b)보다도 얇은 지엽류(P1)를 상기 외측 간극(55b)에 통과시키는 구동 디바이스(58)와,
    상기 외측 선별 영역(54b)의 상기 외측 간극(55b)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 드럼(51)으로부터 송출되는 지엽류(P1)를 반송하는 반송 디바이스(61)와,
    이 반송 디바이스(61)에 의해 반송되는 지엽류(P1)를 지엽류 구분 정보에 기초하여 구분 집적하는 구분 집적 디바이스(16)를 구비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 선별 블레이드(52a, 52b)의 회전 이동시에, 상기 내측 간극(55a)을 통과할 수 없는 지엽류(P3)는 상기 내측 선별 영역(54a)으로부터 배제되어 1차 배제 지엽류 집적 디바이스(64a)에 집적되고, 상기 외측 간극(55b)을 통과할 수 없는 지엽류(P2)는 상기 외측 선별 영역(54b)으로부터 배제되어 2차 배제 지엽류 집적 디바이스(64b)에 집적되는 지엽류 처리 장치.
  10. 회전 드럼(21) 내에 그 내주면을 따라 통 형상으로 복수의 선별 블레이드(22)를 그 폭 방향의 단부를 서로 간극(25)을 두고 중첩시켜 배치함으로써 선별 영역(24)을 형성하고, 이 선별 영역(24) 내에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P1, P2, P3)를 투입시키는 것과,
    상기 회전 드럼(21)을 구동 디바이스(28)에 의해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선별 블레이드(22)를 상기 선별 영역(24)의 중심 주위로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선별 영역(24) 내에 투입된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P1, P2, P3) 중 상기 간극(25)보다도 얇은 지엽류(P1, P2)를 상기 간극(25)에 통과시키는 것과,
    상기 구동 디바이스(28)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회전 드럼(21)의 회전 상태를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구비하는 지엽류 선별 방법.
  11. 회전 드럼(51) 내에 그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내측 선별 블레이드(52a)를 그 폭 방향의 단부를 서로 내측 간극(55a)을 두고 중첩시켜 통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내측 선별 영역(54a)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내측 선별 블레이드(52a)의 외측을 따라 복수의 외측 선별 블레이드(52b)를 그 폭 방향의 단부를 서로 상기 내측 간극(55a)보다도 좁은 외측 간극(55b)을 두고 중첩시켜 통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외측 선별 영역(54b)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선별 영역(54a) 내에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P1, P2, P3)를 투입시키는 것과,
    상기 회전 드럼(51)을 회전함으로써 상기 내측 및 외측 선별 블레이드(52a, 52b)를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내측 선별 영역(54a) 내의 두께가 다른 복수의 지엽류(P1, P2, P3) 중 상기 내측 간극(55a)보다도 얇은 지엽류(P1, P2)를 상기 내측 간극(55a)에 통과시켜 외측 선별 영역(54b) 내에 송출한 후, 이 외측 선별 영역(54b) 내에서 상기 외측 간극(55b)보다도 얇은 지엽류(P1)를 상기 외측 간극(55b)에 통과시키는 것을 구비하는 지엽류 선별 방법.
KR1020080084324A 2008-02-28 2008-08-28 지엽류 선별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선별 방법 KR100993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48415 2008-02-28
JPJP-P-2008-00048415 2008-02-28
JPJP-P-2008-00070046 2008-03-18
JP2008070046A JP5091735B2 (ja) 2008-03-18 2008-03-18 紙葉類選別装置、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選別方法
JP2008208537A JP5562537B2 (ja) 2008-02-28 2008-08-13 紙葉類選別装置、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選別方法
JPJP-P-2008-00208537 2008-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761A KR20090093761A (ko) 2009-09-02
KR100993450B1 true KR100993450B1 (ko) 2010-11-09

Family

ID=40673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324A KR100993450B1 (ko) 2008-02-28 2008-08-28 지엽류 선별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선별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218259A1 (ko)
EP (1) EP2095886B1 (ko)
KR (1) KR1009934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38041A (zh) * 2014-11-29 2015-03-25 肖金坚 一种可调节式物料筛分装置
FI20175776A1 (fi) * 2017-08-31 2019-03-01 Andritz Oy Erotuslaite
US10814522B2 (en) * 2017-11-13 2020-10-27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Stucco paper screen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4263A (en) 1974-08-23 1976-02-27 Nippon Electric Co Jubinbutsutono doramugataatsusasenbetsuki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7494A (en) * 1947-04-24 1951-09-11 Scott Viner Company Conveyer belt aligning mechanism
US2895610A (en) * 1956-06-04 1959-07-21 Post Office Segregating apparatus
GB824565A (en) * 1956-06-04 1959-12-02 Post Offic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gregating apparatus
US4141451A (en) * 1978-01-04 1979-02-27 Domtar Inc. Chip thickness classifier
GB2100691B (en) * 1981-06-23 1985-01-09 Post Office A mail discriminator
US4535895A (en) * 1982-04-13 1985-08-20 Computer Services Corporation Sorting device
US6305552B1 (en) * 1999-03-12 2001-10-23 Universal Leaf Tobacco Company, Inc. Apparatus for removing matter from tobacco stems
DE10038690C1 (de) * 2000-08-08 2001-07-26 Siemens Ag Vorrichtung zum Trennen von Sendungen in Dickenklassen
DE10158426B4 (de) * 2001-11-29 2004-02-26 Axmann-Fördertechnik GmbH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flächigen Stückgütern und Sortieranlage mit wenigstens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SE523673C2 (sv) * 2002-09-11 2004-05-11 Posten Ab Förfarande och arrangemang vid sorteringsanordn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4263A (en) 1974-08-23 1976-02-27 Nippon Electric Co Jubinbutsutono doramugataatsusasenbetsuk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95886A3 (en) 2014-12-24
EP2095886B1 (en) 2016-04-20
KR20090093761A (ko) 2009-09-02
EP2095886A2 (en) 2009-09-02
US20090218259A1 (en) 200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441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конвертов и относящиеся к нему способы
JP2011154530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EP2000430B1 (en) Paper transport system
KR100993450B1 (ko) 지엽류 선별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선별 방법
JPH03162361A (ja) 丁合装置
JPH0217460B2 (ko)
US9573709B2 (en) Inter-machine buffer for mailpiece fabrication system
JP5091735B2 (ja) 紙葉類選別装置、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選別方法
JP6019606B2 (ja) 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62537B2 (ja) 紙葉類選別装置、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選別方法
JP2007246261A (ja) スイッチバック機構、スイッチバック装置、およびスイッチバック方法
US8453823B2 (en) Transporting apparatus for web products and related methods
JP2000271543A (ja) 紙葉類処理装置
JPH11165933A (ja) 紙葉類取り扱い装置
JPH09169462A (ja) 紙葉類搬送装置
JP3735612B2 (ja) 紙葉類集積装置
JPH0724421A (ja) 紙葉類処理装置
JPH06247612A (ja) 用紙後処理装置
JPH0215286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40767A (ja) 紙葉類搬送装置
JPS62290658A (ja) 用紙送り方向変換装置
EP2279975A2 (en) Paper handling apparatus
JPH06219590A (ja) 紙葉類搬送機構
JP2001137787A (ja) 紙葉類搬送装置の異物除去装置
JPH0270663A (ja) シート分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