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997B1 -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현장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현장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997B1
KR100992997B1 KR1020090007719A KR20090007719A KR100992997B1 KR 100992997 B1 KR100992997 B1 KR 100992997B1 KR 1020090007719 A KR1020090007719 A KR 1020090007719A KR 20090007719 A KR20090007719 A KR 20090007719A KR 100992997 B1 KR100992997 B1 KR 100992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hosphate
citrate
calcium
stab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8470A (ko
Inventor
권현호
이진수
고주인
이상환
박성원
송호철
김철운
조동완
송두섭
Original Assignee
한국광해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해관리공단 filed Critical 한국광해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09000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9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88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06Calcium compounds, e.g. lim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3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 A62D3/32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by treatment in molten chemical reagent, e.g. salts or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현장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토양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시켜 구연산(Citrate)의 생분해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토양 내의 중금속을 공침시켜 안정화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현장 안정화 방법은, 염화칼슘, 인산나트륨, 질산암모늄, 구연산나트륨이 혼합된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토양 100g에 대하여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24~35중량%,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15~20중량%,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0.5~1중량%,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45~6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1M HCl에 의해 pH가 7~7.5로 조절되면서 Ca : Citrate : Phosphate = 3 : 3 : 2의 몰비로 이루어진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 100mL를 투입하여 상기 토양 내의 중금속을 공침하되, 상기 토양을 2.0mm 이하로 분쇄 및 선별하는 전처리한 후, 상기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토양, 중금속, 중화, 구연산칼슘인산염

Description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현장 안정화 방법{THE FIELD STABILIZING METHOD OF CONTAMINATED SOIL USING CA-CP SOIL STABILIZER}
본 발명은 오염 토양 안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 내 존재하는 미생물 활동을 촉진시켜 구연산(Citrate)의 생분해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토양 내 깊은 심도의 중금속을 공침시켜 안정화할 수 있는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현장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오염토양 중금속 정화 기술은 광범위한 오염토양 정화에 적용시키기 어려운 다단계공정이 필요하거나 2차 오염 우려 및 고비용, 장기간 소요되는 정화기간 등 단점을 많이 갖고 있다. 그리고 광산 지역 등의 오염토양 내 중금속 정화를 위해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시행되어 왔으나 현재까지 경제성, 효율성, 현장적용 성을 고려했을 때 이렇다 할 기술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동전기법(Electrokinetic Remediation) 및 식물정화법(Phytoremediation)은 그 효과성이 아직 입증되지 않았으며, 현장적용과 관련하여 기술발전이 요원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토양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시켜 구연산(Citrate)의 생분해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토양 내의 중금속을 공침시켜 안정화할 수 있는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현장 안정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현장 안정화 방법은, 염화칼슘, 인산나트륨, 질산암모늄, 구연산나트륨이 혼합된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것으로,
토양 100g에 대하여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24~35중량%,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15~20중량%,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0.5~1중량%,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45~6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1M HCl에 의해 pH가 7~7.5로 조절되면서 Ca : Citrate : Phosphate = 3 : 3 : 2의 몰비로 이루어진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 100mL를 투입하여 상기 토양 내의 중금속을 공침하되, 상기 토양을 2.0mm 이하로 분쇄 및 선별하는 전처리한 후, 상기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현장 안정화 방법에 의하면,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가 토양을 통과할 때 토양에 함유된 Zn, Cu 등의 중금속을 공침시키며,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에 의해 공침된 중금속은 영구적으로 침전 상태를 유지하여 토양에 용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토양 안에 중금속이 침전되어 있을 뿐 토양 자체에는 중금속이 없으므로 토양을 정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는,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24~35중량%,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15~20중량%,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0.5~1중량%,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45~6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Ca : Citrate : Phosphate = 3 : 3 : 2의 비율을 만족한다.
염화칼슘과 인산나트륨은 토양의 깊은 심도에 있는 중금속과 함께 공침하기 위해 필요한 아파타이트(Apatite)를 생성하는 칼슘과 인산염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며, 구연산염은 제조된 용액 내에 칼슘과 인산염이 단시간 내에 반응하는 것을 지연시켜주기 위해 Ca-Citrate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질산암모늄은 토양 미생물이 Ca-Citrate에 있는 구연산염을 원할히 분해할 수 있도록 먹이를 제공해 주는 보조 역할을 하게 된다. 염화칼슘과 인산나트륨을 약 27 : 17 중량비율로 첨가하면 칼슘과 인산염의 최적 혼합 몰비율인 3 : 2 로 정량할 수 있게 된다. 질산암모늄은 다른 시약과 달리 보조역할을 하는 미생물 먹이로 첨가되는 것이므로 칼슘과 구연산염이 반응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만큼 비중이 낮은 0.5-1 % 중량비율로 첨가된다.
본 발명에 의한 토양 안정화 메카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구연산칼슘인산염 용액을 제조하면 칼슘과 인산염이 결합하지 못하도록 구연산염이 칼슘과 붙어있는 형태인 Ca-Citrate을 형성한 상태이다. 이 용액을 토양에 부으면, 토양의 심도 깊이 침투하게 되고 Ca-Citrate에 붙어 있는 구연산염을 미생물이 먹이로 이용하고 이 때 용출된 칼슘은 인산염과 만나 지중에서 중금속을 공침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염화칼슘과 구연산나트륨 혼합.
염화칼슘과 인산나트륨을 별도의 처리 없이 혼합하였을 경우, 단시간 내에 Apatite, Calcium Oxalates, Octacalcium Phosphate 등의 형태로 침전하여 제조된 용액을 토양에 부어 넣어도 토양의 심도 부분에 있는 중금속 처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칼슘이 단시간 내에 인산염과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염화칼슘과 구연산염(Citrate)을 먼저 8 ~ 12분간 혼합 교반시켜 Ca-Citrate을 형성하였으며,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인산나트륨을 혼합한다. 염화칼슘과 구연산나트륨 혼합액을 제1액이라 칭한다.
b. 희석.
제1액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희석한다. 증류수는 염화칼슘과 구연산나트륨을 수중에 주입하여 Ca-Citrate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량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수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c. 질산암모늄과 인산나트륨 혼합.
희석된 제1액에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을 순서대로 혼합하여 구연산칼슘인산염을 제조한다.
여기서, 질산암모늄을 염화칼슘 보다 먼저 혼합하지 않는 이유는 칼슘이 구연산염과 반응하는 것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질산암모늄과 인산나트륨은 함께 혼합되어도 무방하다.
d. 구연산칼슘인산염 pH 조절.
구연산칼슘인산염을 1M HCl에 의해 중성(pH7-7.5)으로 조절한다.
e. 안정화.
완제된 구연산칼슘인산염을 34 내지 38시간 동안 보존하여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이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구연산칼슘인산염은 지중에서 인간을 포함한 동물 뼈의 광물요소 및 환경 친화적인 매체로 알려진 아파타이트(apatite)를 생성하여 토양의 깊은 심도에 있는 중금속(Pb/Cd/Cu/Zn/Cr/As)을 공침시킬 수 있다.
Na+ + HPO4 2- + Ca3(C6H5O7)2 → Na+ + HPO4 2- + Ca2+ + CO2 + H2O (생분해: 침전속도 조절; 깊은 토양까지 스며듦) → Hydroxyapatite(비결정질) [Ca10(PO4)6(OH)2] + Pb/Cd/Cu/Zn/Cr/As → 중금속 안정화(예; [Ca10(AsO4)X(PO4)6-x(OH)2]
본 발명에 의한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안정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오염 토양의 처리를 위하여 토양을 채취한다. 토양 시료는 자연 채취 그대로의 상태에서 토양 안정화제가 투약될 수 있지만, 토양 안정화제가 토양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토양 시료는 분쇄기의 분쇄와 스크린의 선별 등을 통하여 일정 입도 예를 들어 2mm 이하로 전처리된다.
이어서,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토양 시료에 투입한다. 토양 안정화제의 투입량은 토양 100g에 대하여 90~110mL가 사용된다.
토양 안정화제의 투입방법으로는 스프레이, 침지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지금까지는 토양을 채취하여 안정화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토양을 채취하지 않고 자연 상태에서 토양 안정화제를 주입기 등을 통해 주입할 수도 있다.
< 실시예 >
1.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30g,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17.5g,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0.5g,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52g을 각각 정량한 후, 염화칼슘과 구연산나트륨을 혼합기에 넣고 10분간 혼합하고, 이 혼합액을 증류수 0.8 내지 1.2리터 바람직하게 1리터에 넣고 희석하였다.
희석된 혼합액에 먼저 질산암모늄을 넣고 10분간 교반하며 이어서 인산나트륨을 넣고 10분간 교반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토양 안정화제에 1M HCl을 혼합하여 pH를 7로 조정하였다.
pH가 조정된 토양 안정화제를 용기에 담아 36시간 동안 보관(보관 온도, 습도 등이 있으면 보충바랍니다)하였으며, 침전물을 감안하여 안정된 토양 안정화제를 스크린에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2. 토양 안정화제 투입.
중금속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폐광산 지역을 두 곳을 정하여 토양을 채취하였다.
각각의 토양 시료 100 g을 500 mL Nalgene Bottle에 넣고 토양 안정화제 100 mL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23 내지 25시간 바람직하게 24시간동안 반응토록 하였다. Water Bath를 이용하여 25 ℃와 150 rpm을 유지시킨다. 교반을 시작한 후, 중금속을 분석을 위해 5일 동안 반응조로부터 매일 20 mL씩 채취하였다. 센트리퓨지 튜브(Centrifuge tube)에 담긴 용액 20mL를 고속냉각 원심분리기(High Speed Refrigerated Centrifuge)에서 20분 동안 3500 rpm에서 분리한 후, 0.45 μm 멤브레인(Membrane)여과종이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분리된 토양시료는 오븐(Oven)에서 60 ℃로 건조하여 TCLP (Toxic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용출시험에 이용하였다. 분리된 용액의 Zn과 Cu농도는 ICP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곳 중 한 곳의 토양 시료는 TCLP 분석 결과, Zn 함량이 타 중금속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기의 [표 1]에서 보이듯이 초기 Zn 농도가 43.6 mg/kg 인 토양시료에 구연산칼슘인산염 용액을 넣고 5일 동안 반응시킨 결과, 24 시간 만에 80%이상 Zn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계속 감소하는 추세를 유지하다가 5일째 토양 시료에서는 Zn 농도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표 1] Zn 변화 그래프
Figure 112009006162794-pat00001
다른 폐광산 지역에서 채취한 토양 시료는 TCLP 분석 결과, Cu 함량이 타 중금속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기의 [표 2]에서 보이는 것처럼, 초기 Cu 농 도가 9.48 mg/kg인 토양을 상기된 내용과 동일한 방법으로 5일 동안 반응시킨 결과, 지속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5일째 Cu 농도는 2.8 mg/kg을 나타내었다.
[표 2] Cu 변화 그래프
Figure 112009006162794-pat00002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중금속의 공침을 보인 메카니즘.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염화칼슘, 인산나트륨, 질산암모늄, 구연산나트륨이 혼합된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토양 100g에 대하여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24~35중량%,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15~20중량%,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0.5~1중량%,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45~60중량%가 혼합되고 1M HCl에 의해 pH가 7~7.5로 조절되면서 Ca : Citrate : Phosphate = 3 : 3 : 2의 몰비로 이루어진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 100mL를 투입하여 상기 토양 내의 중금속을 공침하되,
    상기 토양을 2.0mm 이하로 분쇄 및 선별하여 전처리한 후, 상기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현장 안정화 방법.
  7. 삭제
KR1020090007719A 2009-01-30 2009-01-30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현장 안정화 방법 KR100992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719A KR100992997B1 (ko) 2009-01-30 2009-01-30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현장 안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719A KR100992997B1 (ko) 2009-01-30 2009-01-30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현장 안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470A KR20100088470A (ko) 2010-08-09
KR100992997B1 true KR100992997B1 (ko) 2010-11-08

Family

ID=4275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719A KR100992997B1 (ko) 2009-01-30 2009-01-30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현장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9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3645B (zh) * 2014-06-13 2016-02-10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一种砷污染土修复方法
CN108998041A (zh) * 2018-06-01 2018-12-14 王玲 一种用于重金属污染土壤的处理药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160B1 (ko) 1997-12-16 2000-10-16 양인모 중금속오염토양의정화방법
KR100510084B1 (ko) 2003-01-14 2005-08-25 (주)칼테크 수용성 복합칼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160B1 (ko) 1997-12-16 2000-10-16 양인모 중금속오염토양의정화방법
KR100510084B1 (ko) 2003-01-14 2005-08-25 (주)칼테크 수용성 복합칼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470A (ko) 2010-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bela et al. Organic acid-induced release of lead from pyromorphite and its relevance to reclamation of Pb-contaminated soils
CN102965116B (zh) 一种重金属稳定剂及用其处理重金属污染土壤的方法
Li et al. Effect of calcium silicate hydrates (CSH) on phosphorus immobilization and speciation in shallow lake sediment
US7204660B2 (en) Humic mineral reag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method for rehabilitating polluted soils, method for detoxification of wastes of extracted and processed mineral products and recultivating rock dumps and tailing storages, method for sewage water treatment and method for sludge utilisation
JP6531902B2 (ja) 重金属不溶化処理組成物及び重金属汚染土壌の修復方法
US20180008853A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a Granular Humic Mineral Reagent
KR100992997B1 (ko) 구연산칼슘인산염 토양 안정화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 현장 안정화 방법
KR20120006269A (ko) 굴의 폐각 혹은 본차이나의 폐처리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 토양의 안정화 방법
CA2908841A1 (en) Coal refuse remediation process
Li et al. Application of apatite particles for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A review and perspectives
Marschner et al. Effects of meliorative additives on the adsorption and binding forms of heavy metals in a contaminated topsoil from a former sewage farm
JP2013173108A (ja) 油汚染土浄化工法
Sager Vertical mobility of selenium, arsenic and sulfur in model soil columns
US6923917B1 (en) Phosporous removal from animal waste
JP6012127B2 (ja) 人工ミネラル供給材
CN101597037B (zh) 一种含磷铁矿石中磷的生物浸出方法
JP6177528B2 (ja) ヒ素含有重金属汚染土壌の不溶化材及び不溶化方法
JP2013215184A (ja) 海域利用向け土木資材
US20030176757A1 (en) Method for recombining soil
CA2909073A1 (en) Coal refuse horticultural blend
JP3789745B2 (ja) アルカリ土壌の中和剤及び中和方法
JP2004051762A (ja) 作物への重金属吸収抑制方法
JP4736391B2 (ja) 有機性汚泥の処理方法
Awkes Comparison of calcium ameliorants and coal ash in alleviating the effects of subsoil acidity on maize root development near Middelburg, Mpumalanga
WO2004050584A1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pig manure and the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