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939B1 -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및 쇼핑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및 쇼핑지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939B1
KR100992939B1 KR1020080081610A KR20080081610A KR100992939B1 KR 100992939 B1 KR100992939 B1 KR 100992939B1 KR 1020080081610 A KR1020080081610 A KR 1020080081610A KR 20080081610 A KR20080081610 A KR 20080081610A KR 100992939 B1 KR100992939 B1 KR 100992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terminal device
information
uni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2888A (ko
Inventor
신요안
양모찬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81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93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2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41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및 쇼핑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및 쇼핑지원시스템은 선반에 장착되어 선반에 진열된 물품에 부착된 물품태그와 무선통신하고, 매장 내 물품이 진열된 선반의 선반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중앙관리서버와 무선통신하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선반입출력부; 상기 중앙관리서버와의 무선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선반무선통신부; 상기 물품태그와 무선 통신하여 태그정보를 수집하는 선반리더부 및 상기 선반리더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태그정보를 전달받은 후에 이에 의거하여 생성한 물품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가 상기 중앙관리서버에게 송신되도록 상기 선반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선반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정보를 상기 선반입출력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선반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RFID, 쇼핑, 구매, 상품정보제공

Description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및 쇼핑지원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supporting purchase}
본 발명은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및 쇼핑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백화점이나 대형 할인마트 등과 같이 넓은 공간에 다양한 상품이 진열된 대형 판매장에서 고객은 원하는 상품을 쉽게 찾기 힘들다. 더욱이 계절에 따라 또는 판매장의 행사에 따라 상품의 위치가 종종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은 원하는 상품을 찾는데 필요 이상의 시간을 소요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판매장의 내부를 안내하는 지도 및 상품을 소개하는 광고 등과 같은 안내문이 판매장의 곳곳에 배치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한 장소에 고정되어 불특정 다수 고객에게 정보를 제공해줄 뿐, 정보를 원하는 고객에게 직접적으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정보를 원하는 고객은 앞서 설명한 지도나 광고 등을 직접 찾아서 정보를 얻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태그가 부착되어있는 물품의 식별자를 RFID 리더를 통하여 수집하고, 서버에 물품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위치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제공하는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및 쇼핑지원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는 선반에 장착되어 선반에 진열된 물품에 부착된 물품태그와 무선통신하고, 매장 내 물품이 진열된 선반의 선반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중앙관리서버와 무선통신하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선반입출력부; 상기 중앙관리서버와의 무선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선반무선통신부; 상기 물품태그와 무선 통신하여 태그정보를 수집하는 선반리더부 및 상기 선반리더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태그정보를 전달받은 후에 이에 의거하여 생성한 물품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가 상기 중앙관리서버에게 송신되도록 상기 선반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선반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정보를 상기 선반입출력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선반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물품정보는 상기 선반리더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태그정보에 포함된 식별자이거나 상기 태그정보에 포함된 식별자로부터 변환된 물품코드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선반제어부는 상기 선반입출력부를 통해 위치정보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이를 상기 중앙관리서버에 송신하여 위치정보요청된 물품이 진열된 선반의 선반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선반단말장치를 상기 선반입출력부의 맵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선반입출력부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선반입출력부의 위치정보요청을 입력받는 버튼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터치버튼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쇼핑지원시스템은 물품에 부착된 물품태그; 선반에 장착되며, 선반에 진열된 물품에 부착된 상기 물품태그와 무선 통신하여 태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태그정보에 의한 물품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중앙관리서버로 무선 송신하는 선반단말장치; 사용자로부터 물품의 위치정보요청을 입력받아 중앙관리서버로 무선 송신하고, 중앙관리서버로부터 물품이 진열된 선반의 선반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선반단말장치를 맵상에 표시하는 카트단말장치 및 상기 선반단말장치로부터 물품정보 및 상기 선반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카트단말장치로부터 위치정보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물품이 진열된 선반의 선반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카트단말장치에게 무선 송신하는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선반단말장치는 상기 물품정보로서 상기 태그정보에 포함된 식별자를 자신의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중앙관리서버에게 송신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수신된 상기 식별자를 물품코드로 변환한 후에 상기 선반단말장치의 식별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선반단말장치는 상기 물품정보로서 상기 태그정보에 포함된 식별자로부터 변환된 물품코드를 자신의 식별정보와 함께 중앙관리서버에게 송신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수신된 상기 물품코드와 상기 선반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쇼핑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쇼핑 중인 고객은 요구하는 물품의 위치, 가격 등의 정보를 단말장치를 통해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및 쇼핑지원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핑지원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핑지원시스템은 물품이 진열되는 선반에 장착되는 선반단말장치(100), 쇼핑 카트에 장착되는 카트단말장치(200), 선반단말장치(100) 및 카트단말장치(200)와 무선 통신하는 중앙관리서버(300) 및 선반에 진열된 다수의 물품에 각각 부착되어 해당 물품의 식별자를 저장한 채로 선반단말장치(100)와 무선 통신하는 물품태그(40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선반단말장치(100)는 물품태그(400)로부터 물품정보를 수집하여 중앙관리서버(300)에게 무선 송신한다. 카트단말장치(200)는 중앙관리서버(300)에 무선 접속하여 고객으로부터 위치정보요청할 물품을 선택받아 중앙관리서버(300)에 송신한 후에 이에 대한 응답으로 중앙관리서버(300)로부터 해당 물품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맵상에 표시한다. 한편, 중앙관리서버(300)는 선반단말장치(100)로부터 물품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카트단말장치(200)로부터 물품에 대한 위치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당해 물품에 대한 위치 정보 즉, 당해 물품이 진열된 선반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맵과 함께 제공한다. 물론, 맵은 카트단말장치(200)에 미리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선반단말장치(100)는 또한 중앙관리서버(300)에 무선 접속되어 사용자로부터 위치정보요청할 물품을 선택받고, 중앙관리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핑지원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선반단말장치(100)는 선반무선통신부(107), 선반리더부(109) 및 선반제어부(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선반무선통신부(107)는 중앙관리서버(300)와의 사이에서 무선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바, 이의 통신환경은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무선LAN(Wireless LAN)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일 수 있다.
선반리더부(109)는 물품태그(400)에게 태그정보수집요청을 무선 송신하여 이에 대한 응답으로 물품태그(400)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물품태그(400)는 수동형태그이고, 태그정보수집요청은 물품태그(4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하는 전력공급신호에 포함되어 송신될 수 있다. 태그정보에는 태그의 식별자(ID: IDentifier)가 포함되어 있다.
선반리더부(109)는 이후 태그정보를 선반제어부(111)에게 전달하는데 이 과정에서 선반리더부(109)는 물품태그(400)로부터 아날로그 신호형태로 수신되는 태그정보를 디지털 신호형태로 변환한 후에 적절한 통신방식 예를 들어, RS232 등에 의해 선반제어부(111)에게 전달한다.
선반제어부(111)는 선반리더부(109)로부터 물품태그(400)의 태그정보 즉, 식별자를 전달받은 후에 물품정보로서 이를 그대로 중앙관리서버(300)에 전달하거나 식별자를 물품코드로 변환한 후에 이러한 물품코드를 물품정보로서 전달한다. 여기서 식별자를 물품코드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식별자 및 이와 대응되는 물품코드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선반단말장치(100)에 더 포함된다.
한편, 선반단말장치(100)는 사용자에의 물품에 대한 위치정보제공과 관련하여 선반표시부(101) 및 선반입력부(10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선반제어부(111)에는 이에 따른 기능이 부가된다.
선반표시부(101)는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선반표시부(101)의 표시기는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선반입력부(103)는 사용자로부터 물품에 대한 위치정보요청을 입력받는 버튼을 구비한다. 여기서, 선반입력부(103)의 버튼은 화면상에 버튼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는바, 이러한 터치스크린에 관해서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선반제어부(111)는 사용자로부터 물품에 대한 위치정보요청을 입력받는 화면(이하, 이를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이라 한다.)에 대한 요청을 받는 경우 선반무선통신부(107)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관리서버(300)에 무선 접속하고, 중앙관리서버(300)로부터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을 제공받아 선반표시부(101)를 통해 이를 표시한다. 여기서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에 대한 요청을 입력받는 방법은 선반표시부(101)에 광고를 표시하거나 아무런 표시를 하지않는 등 대기화면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의 임의의 지점이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로 사용하는 방법일 수 있다.
선반제어부(111)는 이후 사용자로부터 선반입력부(103)를 통해 물품정보요청할 물품을 선택받는 경우 이에 대한 위치정보를 중앙관리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선반표시부(101)를 통해 표시한다. 여기서 중앙관리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 및 이를 통하여 위치정보요청할 물품을 선택받는 방법은 도 4에서 설명하고, 중앙관리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은 도 5에서 설명한다.
다음으로, 카트단말장치(200)는 카트표시부(201), 카트입력부(203), 카트무 선통신부(207) 및 카트제어부(20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카트표시부(201)는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카트표시부(201)의 표시기는 액정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카트입력부(203)는 사용자로부터 물품에 대한 위치정보요청을 입력받는 버튼을 구비한다. 여기서, 카트입력부(203)의 버튼은 선반입력부(103)의 버튼과 동일하게 화면상에 버튼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카트무선통신부(207)는 중앙관리서버(300)와의 사이에서 무선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바, 이의 통신환경은 와이브로, 무선LAN 또는 LTE일 수 있다.
카트제어부(209)는 사용자로부터 카트입력부(203)를 통해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에 대한 요청을 입력받는 경우 카트무선통신부(207)를 통해 전술한 선반제어부(111)와 같은 방식으로 중앙관리서버(300)에 무선 접속하고, 중앙관리서버(300)로부터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을 제공받아 카트표시부(201)를 통해 이를 표시한다. 여기서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에 대한 요청을 입력받는 방식은 전술한 선반제어부(111)의 설명에서 행한 바와 같다.
카트제어부(209)는 이후 사용자로부터 위치정보요청할 물품을 선택받는 경우 이에 대한 위치정보를 중앙관리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카트표시부(201)를 통해 표시한다. 여기서 중앙관리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 및 이를 통하여 위치정보요청을 입력받는 방법은 도 4에서 설명하고, 중앙관리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은 도 5에서 설명한다.
다음으로, 중앙관리서버(300)는 서버무선통신부(301), 서버데이터베이 스(303) 및 서버제어부(3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무선통신부(301)는 선반단말장치(100) 및 카트단말장치(200)와의 사이에서 무선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바, 이의 통신환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브로, 무선LAN 또는 LTE일 수 있다.
서버데이터베이스(303)는 물품정보와 수량정보, 선반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 및 매장 내 선반이 배치된 맵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서버데이터베이스(303)에는 또한 물품의 사진, 제조사 및 가격 등의 부가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서버제어부(305)는 선반단말장치(100)로부터 물품정보를 제공받는 경우에 그 식별정보를 따로 제공받거나 아니면 접속시 사용된 주소, 예를 들어 고정 IP주소에 의해 해당 선반단말장치(100)를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서버제어부(305)는 중앙관리서버(300)에게 선반단말장치(100) 또는 카트단말장치(200)가 무선 접속하여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을 요청하는 경우 이를 제공한다. 서버제어부(305)는 이후 선반단말장치(100) 또는 카트단말장치(200)를 통해 위치정보요청할 물품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선택된 물품에 해당되는 위치정보를 서버데이터베이스(303)에게 검색요청하여 확인한 후에 이를 요청한 선반단말장치(100) 또는 카트단말장치(200)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가 선반에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단말장치(100)는 선반의 일측면에 장착되는데, 이러한 선반단말장치(100)의 전면에는 선반표시부(101)의 표시기(A)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물품태그(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반에 진열된 다수의 물품(B)에 각각 부착된다.
여기서, 선반단말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선반에 하나만 장착되거나, 이와는 달리 하나의 선반에 다수가 장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선반단말장치(100)는 다른 선반단말장치(100)와 관할 영역이 겹치지 않도록 그 선반리더부(109) 안테나의 출력 또는 빔폭을 조절해야한다.
한편, 물품태그(400)와 무선통신하는 선반리더부(109)의 안테나는 선반단말장치(100)의 본체에 내장되거나, 선반단말장치(100)의 외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선반의 특정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카트단말장치가 카트에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트단말장치(200)는 쇼핑카트의 특정 부위에,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쉽고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기 쉽도록 쇼핑카트의 손잡이 부위에 장착되는데, 이러한 카트단말장치(200)의 전면에는 카트표시부(201)의 표시기(C)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단말장치 또는 카트단말장치의 표시기에 표시된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입력부(101) 또는 카트입력부(201)의 버튼(E)은 물품 또는 물품의 분류에 대하여 터치스크린 표시 기(D)상에 버튼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물품을 선택받는 방법은 물품들에 카테고리(Category)를 형성한 후 먼저, 물품들의 대분류를 버튼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으며, 다시 선택받은 대분류의 하위 분류인 중분류를 버튼으로 표시하여 선택받고, 다시 선택받은 중분류의 하위 분류인 소분류를 버튼으로 표시하여 선택받는 작업을 반복하여 물품을 선택받는 방법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단말장치 또는 카트단말장치의 표시기에 표시된 위치정보 제공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단말장치(100) 또는 카트단말장치(200)의 표시기(D)에는 위치정보요청된 물품이 진열된 선반의 위치를 나타내는 맵과 그 외에 물품의 사진, 제조사 및 가격 등의 물품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맵상에 물품의 위치를 나타내는 방법은 다수의 선반이 표시된 맵상에서 물품이 위치한 선반만 구별되는 색으로 표시하는 방법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핑지원시스템의 물품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물품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따르면, 단계 S102에서 선반리더부(109)는 물품태그(400)에게 태그정보수집요청을 무선 송신하는데, 이러한 단계는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4에서 물품태그(400)는 단계 S102에서 수신된 태그정보수집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태그정보 즉, 식별자를 선반리더부(109)에게 무선 송신한 다.
다시, 단계 S106에서 선반리더부(109)는 아날로그 신호로 수신된 식별자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단계 S108에서 선반리더부(109)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식별자를 선반제어부(111)에게 전달한다.
다음으로, 단계 S110에서 선반제어부(111)는 전달받은 식별자를 물품코드로 변환하고, 단계 S112에서 선반제어부(111)는 선반무선통신부(107) 및 서버무선통신부(301)를 통해 중앙관리서버(300)에 무선 접속하여 물품코드를 서버제어부(305)에게 송신한다.
다시, 단계 S114에서 서버제어부(305)는 수신된 물품코드 및 선반단말장치(100)에 할당된 고정 IP주소를 이용하여 물품이 어느 선반에 진열되어 있는지를 서버데이터베이스(303)에 저장하고, 단계 S116에서 서버제어부(305)는 판단된 물품의 위치정보를 서버데이터베이스(303)에 전달하며, 단계 S118에서 서버데이터베이스(303)는 전달받은 물품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핑지원시스템의 물품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물품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단계 S200에서 카트단말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에 대한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여,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 S200을 반복수행하는 반면에,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202로 진행한다. 여기서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에 대한 요청을 입력받는 방법은 카트표시부(201)에 광고를 표시하거나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 은 등의 대기화면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의 임의의 지점이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로 사용하는 방법일 수 있다.
다시, 단계 S200에서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 진행되는 단계 S202에서 카트단말장치(200)는 할당된 고정 IP주소를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300)에 무선 접속하고, 단계 S204에서 중앙관리서버(300)는 카트단말장치(200)에게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단계 S206에서 카트단말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위치정보요청 입력을 취소하는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위치정보요청 입력을 취소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200으로 복귀하고, 위치정보요청 입력을 취소하는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 S208으로 진행한다.
다시, 단계 S208에서 카트단말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물품 선택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물품 선택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 S206으로 복귀하고, 물품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2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210에서 카트단말장치는 물품을 선택한 신호를 카트무선통신부(207) 및 서버무선통신부(301)를 통해 서버제어부(305)에게 송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S212에서 서버제어부(305)는 카트단말장치(200)를 통해 선택된 물품의 물품코드를 확인하고, 단계 S214에서 서버제어부(305)는 물품코드에 해당되는 물품의 위치정보를 서버데이터베이스(303)에게 요청한다.
다시, 단계 S216에서 서버데이터베이스(303)는 요청된 위치정보를 검색하고, 단계 S218에서 서버데이터베이스(303)는 검색된 위치정보를 서버제어부(305)에게 제공하며, 단계 S220에서 서버제어부(305)는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다시 카트단말장치(200)에게 송신한다.
단계 S222에서 카트단말장치(200)는 수신된 위치정보를 카트표시부(201)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쇼핑지원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쇼핑지원시스템은 매장 뿐만 아니라 물품이 적재되는 창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선반단말장치가 식별자를 물품코드로 변환하지 않고 식별자 그대로를 중앙관리서버에게 무선 송신하는 경우에 중앙관리서버는 식별자를 해당하는 물품코드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한편, 도 7의 카트단말장치는 선반단말장치일 수도 있다.
한편, 선반입력부 및 카트입력부의 버튼은 선반표시부 및 카트표시부와는 별도로 구성된 키버튼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선반단말장치 및 카트단말장치에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없는 경우 안내문 혹은 특정 물품에 대한 광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핑지원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가 선반에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카트단말장치가 카트에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단말장치 또는 카트단말장치의 표시기에 표시된 위치정보요청 입력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단말장치 또는 카트단말장치의 표시기에 표시된 위치정보 제공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핑지원시스템의 물품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핑지원시스템의 물품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선반단말장치, 101: 선반표시부,
103: 선반입력부,
107: 선반무선통신부, 109: 선반리더부,
111: 선반제어부,
200: 카트단말장치, 201: 카트표시부,
203: 카트입력부,
207: 카트무선통신부, 209: 카트제어부,
300: 중앙관리서버, 301: 서버무선통신부,
303: 서버데이터베이스, 305: 서버제어부,
400: 물품태그

Claims (8)

  1. 선반에 장착되어 선반에 진열된 물품에 부착된 물품태그와 무선통신하고, 매장 내 물품이 진열된 선반의 선반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중앙관리서버와 무선통신하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선반입출력부;
    상기 중앙관리서버와의 무선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선반무선통신부;
    상기 물품태그와 무선 통신하여 태그정보를 수집하는 선반리더부 및
    상기 선반리더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태그정보를 전달받은 후에 이에 의거하여 생성한 물품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가 상기 중앙관리서버에게 송신되도록 상기 선반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선반입출력부를 통해 위치정보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이를 상기 중앙관리서버에 송신하여 위치정보요청된 물품이 진열된 선반의 선반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선반단말장치를 상기 선반입출력부의 맵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선반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정보는 상기 선반리더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태그정보에 포함된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정보는 상기 태그정보에 포함된 식별자로부터 변환된 물품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입출력부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선반입출력부의 위치정보요청을 입력받는 버튼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터치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80081610A 2008-08-20 2008-08-20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및 쇼핑지원시스템 KR100992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610A KR100992939B1 (ko) 2008-08-20 2008-08-20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및 쇼핑지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610A KR100992939B1 (ko) 2008-08-20 2008-08-20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및 쇼핑지원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888A KR20100022888A (ko) 2010-03-03
KR100992939B1 true KR100992939B1 (ko) 2010-11-08

Family

ID=4217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610A KR100992939B1 (ko) 2008-08-20 2008-08-20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및 쇼핑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9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259B1 (ko) * 2020-10-20 2022-05-17 주식회사 지오플랜 전자선반라벨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및 그 전자선반라벨 시스템
US11745948B2 (en) 2021-09-29 2023-09-05 Gachisoft Inc. Method for sorting cargo using the automated guide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888A (ko)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940B1 (ko) Rfid를 이용한 재고관리시스템 및 방법
US7178722B2 (en) Virtual shopping environment
CN105324648B (zh) 计重秤系统
US20190078930A1 (e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aisle inventory management
US20010039517A1 (en) Method for selling product and product sales system
JP2006011617A (ja) 商品販売促進情報の配信方法
WO2008039157A1 (en) Shelf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15114891A (ja) 配送管理サーバ、配送管理方法及び配送管理プログラム
CN109416766A (zh) 用于远程购物的方法和系统
JP2007128397A (ja) 買い物支援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6151995A (ja) 料理レシピ利用システム、ユーザ端末装置及びサーバ装置
US7503477B2 (en) Method for offering location-based targeted discounts without requirement for location sensing
KR100992939B1 (ko) 쇼핑지원 기능을 갖는 선반단말장치 및 쇼핑지원시스템
JP6480200B2 (ja) 無線表示システム
JP2005332329A (ja) 商品情報閲覧/予約注文システム、商品情報閲覧/予約注文方法および商品情報閲覧プログラム
JP2007156952A5 (ko)
JP4590837B2 (ja) 商品陳列棚システムおよび欠品商品情報表示プログラム
KR20130062854A (ko) 가상 스토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가상 스토어 및 상품 거래 방법
US20170148079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ustomers with In-Store Product Information
KR101904750B1 (ko) 제품유통기한 관리를 위한 지능정보서비스 플랫폼
KR101013366B1 (ko) Rfid를 이용한 매장안내시스템
TW202009736A (zh) 商品資訊顯示系統及其方法
JP2016177744A (ja) 電子棚札および電子棚札を用いた在庫確認システム
CN106233319A (zh) 用于远程购物的系统和方法
JP2002117119A (ja) 商品・サービス注文システム及び注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