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598B1 - 도금용 바스켓 - Google Patents

도금용 바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598B1
KR100990598B1 KR1020080062700A KR20080062700A KR100990598B1 KR 100990598 B1 KR100990598 B1 KR 100990598B1 KR 1020080062700 A KR1020080062700 A KR 1020080062700A KR 20080062700 A KR20080062700 A KR 20080062700A KR 100990598 B1 KR100990598 B1 KR 100990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rame
bar
ji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707A (ko
Inventor
한용희
박경이
Original Assignee
박경이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이,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경이
Priority to KR1020080062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5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19Apparatus for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28Specific elements or parts of the apparatus
    • C23C18/163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 H05K3/18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by electroless plating
    • H05K3/1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by electroless plating means therefor, e.g. baths,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용 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가로부재, 세로부재, 및 측면부재로 형성된 다층 구조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각층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수직으로 삽입되는 기판의 양측면을 클램핑하는 다수의 측면 기판 가이드부, 프레임 이송용 캐리어바에 상기 프레임을 걸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된 걸이부, 및 상기 프레임의 하층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기판 지지홈이 형성된 하부 기판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기판의 두께에 관계없이 기판을 지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바스켓, 프레임, 측면 기판 가이드부, 하부 기판 가이드부, 덮개,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 가압 돌기

Description

도금용 바스켓{Plating basket}
본 발명은 도금용 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의 두께에 관계없이 기판을 지지할 수 있는 도금용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은 각종 열경화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보드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동선으로 배선한 후 보드 상에 IC 또는 전자부품들을 배치 고정하고 이들 간의 전기적 배선을 구현하여 절연체로 코팅한 것으로 이의 제조를 위해서는 도금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도금공정은 도금공정은 피도금물을 도금처리조에 담금으로서 수행되는데, 다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한번에 도금시키기 위해서 다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할 수 있는 바스켓(basket)을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요즘에는 자동으로 이송하는 캐리어바에 다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된 바스켓을 장착하고 캐리어바가 바스켓을 도금처리조에 자동으로 담금으로써 도금공정이 수행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종래기술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10)은 기판의 측면 및 하면을 지지하는 홈부를 포함하는 프레임(11) 및 이 프레임(11)을 프레임 이송용 캐리어바에 걸기 위한 걸이 부(15)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10)은 기판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기판 삽입홈(12) 및 기판(A)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 기판 삽입홈(13)이 형성된 하부 가이드부(14)에 의해 기판(A)을 지지하고, 프레임(11)의 상부에 형성된 걸이부(15)를 통해 프레임(11)을 캐리어바에 걸어 이송함으로써 도금공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10)은 측면 기판 삽입홈(12)에 기판을 삽입하여 기판(A)을 지지하였으나, 박판인 기판의 경우 자기 하중을 견딜 수 없기 때문에 측면 기판 삽입홈(12)에 삽입하더라도 지지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두께의 기판을 모두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걸이부(15)를 캐리어바에 걸이 프레임(11)을 이송하였으나, 그 결합력이 약하여 이송중 또는 도금 공정 중에 프레임(11)의 흔들림으로 인해 프레임(11)이 캐리어바로부터 이탈되거나 기판(A)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판의 두께에 관계없이 기판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도금용 바스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은, 가로부재, 세로부재, 및 측면부재로 형성된 다층 구조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각층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수직으로 삽입되는 기판의 양측면을 클램핑하는 다수의 측면 기판 가이드부, 프레임 이송용 캐리어바에 상기 프레임을 걸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된 걸이부, 및 상기 프레임의 하층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기판 지지홈이 형성된 하부 기판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 기판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삽입되는 기판과 수직하도록 상기 가로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그 내부에 기판 삽입 영역을 정의하는 제1 측면 가이드바에 상기 기판의 일면을 측면 지지하는 다수의 측면 지지바가 구비된 제1 측면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측면 가이드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가로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된 제2 측면 가이드바에 상기 기판의 타면을 가압하는 다수의 측면 가압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측면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측면 가이드바의 상부에는 각각의 상기 측면 가압바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는 제1 구획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 지지바는 상기 기판 삽입 영역을 향하여 상기 제1 측면 가이드바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측면 가이드바는 일측이 조절레버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조절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측면 가이드바는 각각의 상기 측면 가압바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제2 구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 가압바는 일측이 상기 제2 측면 가이드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측면 가이드바의 상부에 얹힌 채로 상기 기판 삽입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 가이드바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상기 기판의 타면을 가압하도록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 가압바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기판의 타면을 향하여 설치된 가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부는, 상기 프레임을 상기 캐리어바에 걸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캐리어바의 단면 형성과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걸림부, 및 상기 캐리어바에 걸린 상기 프레임의 측면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보조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부 가로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기판의 상 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을 상기 프레임에 장착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기판 삽입 영역 내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는, 상기 기판이 삽입되는 기판 삽입용 홈이 다수개 형성된 지그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지그 상부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수직하게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기판 삽입용 홈에 삽입되는 기판을 측면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그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스켓.
또한, 상기 하부 기판 가이드부는 지그 삽입용 홈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의 지그 측면 프레임의 타측은 상기 하부 기판 가이드부에 형성된 상기 지그 삽입용 홈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측면 지지바에 기판의 일면을 고정한 상태에서 기판의 타면을 측면 가압바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기판을 지지함으로써 기판의 두께에 관계없이, 특히 박판인 기판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걸이부의 걸림부에 보조 걸림부를 형성하여 캐리어바에 대한 걸이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캐리어바에 대한 프레임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캐리어바로부터 프레임 또는 기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박판인 기판을 지지하는 경우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를 사용하여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 기판을 바스켓에 지지할 수 있어 작업시간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킨다.
또한, 프레임의 상측에 덮개를 구비하여 기판의 상부 이탈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 기판 가이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레버의 작동에 따른 측면 기판 가이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 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의 걸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100)은 프레임(110), 측면 기판 가이드부(120), 걸이부(140), 하부 기판 가이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10)은 다수의 가로부재(111a, 111b, 111c, 111d), 다수의 세로부재(113a, 113b, 113c, 113d), 및 다수의 측면부재(115a, 115b, 115c, 115d)로 형성된 다층 구조로서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기판의 세로보다 가로길이가 길기 때문에 직육면체 형상인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측면부재(115a, 115b, 115c, 115d)에 상층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가로부재(111a) 및 제1 세로부재(113a), 중간층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가로부재(111b) 및 제2 세로부재(113b), 하층을 이루는 한 쌍의 제3 가로부재(111c) 및 제3 세로부재(113c), 최하층을 이루는 한 쌍의 제4 가로부재(111d) 및 제4 세로부재(113d)로 형성된 4층 구조의 직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110)은 기판(A)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가로부재(111a, 111b, 111c, 111d) 및 세로부재(113a, 113b, 113c, 113d)가 각각 기판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록 도면에는 가로부재(111a, 111b, 111c, 111d), 세로부재(113a, 113b, 113c, 113d), 및 측면부재(115a, 115b, 115c, 115d)가 사각기둥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통형 그 외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측면 기판 가이드부(120)는 수직으로 삽입되는 기판을 클램핑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A)의 일면을 측면 지지한 상태에서 기판(A)의 타면을 가압함으로써 수직으로 삽입된 기판을 측면 지지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측면 기판 가이드부(12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양측에 설치된 제1 측면 가이드바(122)에 기판(A)의 일면을 측면 지지하는 측면 지지바(126)가 구비된 제1 측면 가이드부(121)와 제1 측면 가이드부(121)의 후면이 배치된 제2 측면 가이드바(132)에 기판(A)의 타면을 가압하는 측면 가압바(136)가 구비된 제2 측면 가이드부(1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측면 가이드부(121)는 기판(A)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측면 가이드바(122), 측면 지지바(126), 및 제1 구획부(1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측면 가이드바(122)는 기판(A)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 지지바(127) 및 기판(A)의 타면을 가압하여 지지하기 위한 측면 가압바(136)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110)의 양측에 기판(A)의 가로 길이보다 약간 길게 기판(A)의 삽입 방향과 수직하도록 한 쌍의 제1 가로부재(111a), 제2 가로부 재(111b), 및 제3 가로부재(111c)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때, 제1 측면 가이드바(122)는, 예를 들어, 양 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가로부재(111a, 111b, 111c)가 이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가로부재(111a, 111b, 111c)에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설치되거나 용접 등 다른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가로부재(111a, 111b, 111c)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측면 가이드바(122)는 다양한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상면에 측면 지지바(126) 및 제1 구획부(128)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면이 평평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지지바(126)는 기판(A)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 삽입 영역(B)을 향하여 제1 측면 가이드바(122)에 수직하게 고정 형성된다. 여기서, 측면 지지바(126)는 제1 측면 가이드바(122)가 기판(A)의 가로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기판(A)의 더미 영역을 지지하기 위해 소정길이를 가진 상태로 기판 삽입 영역(B)을 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는 10개의 측면 지지바(126)가 제1 측면 가이드바(122)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적정 개수로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측면 지지바(126)는 제1 측면 가이드바(122)의 상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면 가압바(136)가 제1 측면 가이드바(122)의 상부면에 얹힌 채로 기판(A)의 타면을 가압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측면 가압바(136)와 동일한 높이에서 기판(A)의 일면을 고정 지지하기 위함이 다.
제1 구획부(128)는 제1 측면 가이드바(122)에 배치된 채로 슬라이딩 되는 각각의 측면 가압바(136)의 슬라이딩 범위를 후술하는 제2 구획부(137)와 함께 제어하여 가압력이 기판(A)의 타면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측면 가이드바(122)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다수개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측면 가압바(136)는 연속하는 2개의 제1 구획부(128)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연속하는 2개의 제1 구획부(128) 범위 내에서 그 슬라이딩 범위가 제한된다.
한편, 비록 도 3에는 제1 구획부(128)가 원형 단면 구조를 채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제1 측면 가이드바(122)의 상부면에 돌출된 구조로서 측면 가압바(136)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구조는 모두 채용가능하다 할 것이다.
제2 측면 가이드부(131)는 제1 측면 가이드부(121)에 의해 일면이 지지된 기판(A)의 타면을 가압함으로써 기판(A)을 측면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측면 가이드바(132), 측면 가압바(136), 및 제2 구획부(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측면 가이드바(132)는 기판(A)의 타면을 가압 지지하기 위한 측면 가압바(136)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측면 가이드바(122)의 후면에 제1 측면 가 이드바(122)와 같이 삽입되는 기판(A)과 수직하도록 제1 내지 제3 가로부재(111a, 111b, 111c)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여기서, 제2 측면 가이드바(132)는 제1 측면 가이드바(122)와 달리 가로부재(111a, 111b, 111c)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길이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측면 가이드바(132)에 장착된 측면 가압바(136)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록 도 3에는 길이방향으로 양 측면이 가로부재(111a, 111b, 111c)에 형성된 홈(도면부호 미도시)에 삽입되어 전진 또는 후진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할 것이다.
한편, 제2 측면 가이드바(132)의 일측에는 제2 측면 가이드바(132)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조절레버(133)가 장착된다. 여기서, 조절레버(133)의 상/하 회동에 따라 제2 측면 가이드바(132)가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레버(133)를 하부(도 5에서 실선으로 표시)에서 상부(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로 회동시키면 제2 측면 가이드바(132)는 후진(도 5에서 오른쪽 방향)하게 되며, 조절레버(133)를 반대로 회동시키면 제2 측면 가이드바(132)는 전진(도 5에서 왼쪽 방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레버(133)가 하부로 회동된 상태(가압상태)에서 조절레버(133)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레버 고정부재(13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절레버(133)가 하부로 회동된 상태는 측면 가압바(136)가 기판(A)을 가압하여 고정한 상태로서, 이 고정상태에서 이송 또는 도금 공정 중에 조절레버(133)가 갑자기 움직이는 경우 기판(A)의 측면 지지 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레버 고정부재(134)가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절레버(133)의 일측에는 조절레버(133)에 의한 제2 측면 가이드바(132)의 전진 또는 후진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조절부(13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판(A)의 다양한 두께에 따라 제2 측면 가이드바(132)의 전진 또는 후진 범위를 제어하여 측면 가압바(136)의 가압상태를 제어하기 위함이다. 비록, 도 5에는 조절부(135)가 볼트 구조를 채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2 측면 가이드바(132)의 전진 또는 후진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다른 구조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측면 가압바(136)는 측면 지지바(126)에 의해 일측이 지지된 기판(A)의 타면을 가압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 측면 가이드바(132)에 일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제1 측면 가이드바(122)의 상부에 얹힌 채로 기판 삽입 영역(B)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측면 가압바(136)는 제2 측면 가이드바(132)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그 타측이 측면 지지바(126)에 가압된 가압상태 또는 가압되지 않은 오픈상태를 가지며, 오픈상태에서 측면 지지바(126)에 기판(A)의 일면을 고정한 상태에서 측면 가압바(136)를 회동시킴으로써 기판의 타면을 가압하여 가압상태로 전환하여 기판(A)의 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레버(133)를 상부로 회동시키면 제2 측면 가이드바(132)는 전진하게 되고, 제2 측면 가이드바(132)의 전진에 의해 측면 가압바(136)의 타측은 측면 지지바(126)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오픈상태가 되고, 반대로 조절레버(133)를 하부로 회동시키면 제2 측면 가이드바(132)는 후진하게 되고, 제2 측면 가이드바(132)의 후진에 의해 측면 가압바(136)의 타측은 측면 지지바(126) 쪽으로 가압상태가 된다.
또한, 측면 가압바(136)는 기판(A)의 타면과 접촉하는 타측에 기판과 점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가압돌기(13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구획부(138)는 제2 측면 가이드바(132)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제2 측면 가이드바(1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측면 가압바(136)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각각의 측면 가압바(136)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 측면 가이드바(132)보다 돌출되게 다수개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측면 가압바(136)는 연속하는 2개의 제2 구획부(138)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연속하는 2개의 제2 구획부(138) 범위 내에서 그 슬라이딩 범위가 제한된다.
한편, 도 3에는 제2 구획부(138)가 제2 측면 가이드바(132)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을 채용하고, 이에 따라 제2 측면 가이드바(1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측면 가압바(136)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측면 가압바(136)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채용가능하다 할 것이다.
하부 기판 가이드부(140)는,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삽입되는 기판(A)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길이방향으로 기판(A)의 하단을 삽입 지지하기 위한 기판 지지홈(141)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 기판 가이드부(140)는, 예를 들어, 양 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제4 가로부재(또는 하부 가이딩용 가로부재)(111d)가 이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제4 가로부재(111d)에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설치되거나 용접 등 다른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4 가로부재(111d)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기판 가이드부(1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기판 가이드부(140)는 그 길이방향으로 지그 삽입용 홈(142)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170)의 프레임(110)에 대한 위치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걸이부(150)는,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 이송용 캐리어바(도면부호 미도시)에 프레임(110)을 걸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며, 걸림부(151)와 보조 걸림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부(151)는 일측이 프레임(110)에 고정된 상태로 상측으로 연장되고, 타측이 "ㄷ"자형으로 꺽이어 캐리어바(도면부호 미도시)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캐리어바(도면부호 미도시)와 접촉하는 걸림부(151)의 타측 단부는 캐리어바(도면부호 미도시)와 걸림부(151)의 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캐리어바(도면부호 미도시) 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걸림부(152)는 프레임(110)의 캐리어 바(도면부호 미도시)에 대한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측면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걸림부(151)의 양측에 캐리어바(도면부호 미도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캐리어바(도면부호 미도시)와 걸이부(150)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100)은 프레임(110)에 삽입 고정된 기판(A)이 이송중 또는 도금공정 중에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1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덮개(16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제1 가로부재(111a)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덮개(160)의 개방상태에서 기판(A)을 삽입한 후, 제1 가로부재(111a)에 힌지 결합된 일측을 회동시킴으로써 덮개(16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기판(A)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로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160)는 도금용 바스켓(100)의 이송중 또는 도금공정 중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1 가로부재(111a)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부재(도면부호 미도시)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100)은 박판인 기판(A)을 프레임(110)에 장착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기판 삽입 영역(B) 내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판인 기판(A)을 도금용 바스켓(100)의 측면 기판 가이드부(12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기판(A)을 한 손으로 지탱한 상태에서 조절레버(133)를 작동시켜야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다수의 기판(A)을 한번에 측면 기판 가이드부(120)에 고정하는 경우 한 명의 작업자가 다수의 기판(A)을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도금용 바스켓(100)에 기판(A)을 고정하는데 여러명의 작업자가 요구되므로 작업능률 및 작업소요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판(A)을 측면 지지한 상태에서 조절레버(133)를 회동시켜 측면 기판 가이드부(120)로 기판(A)을 도금용 바스켓(1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기판 삽입 영역(B) 내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기판(A)을 측면 지지할 수 있는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17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170)는 지그 상부 프레임(171)과 지그 측면 프레임(17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기판 삽입 영역(B) 내에 장착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그 상부 프레임(171)은 기판(A)이 삽입되는 기판 삽입용 홈(172)이 다수개 설치되며, 양측 단부에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170)를 들 수 있도록 손잡이(173)가 형성된다.
지그 측면 프레임(174)은 일측이 지그 상부 프레임(171)의 하면에 고정된 채로 수직하게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지그 측면 프레임(174)은 기판 삽입용 홈(172)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어 기판 삽입용 홈(172)을 통해 삽입되는 기판(A)을 측면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지그 측면 프레임(174)의 타측 단부(175)는 기판 삽입 영역(B)에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170)를 삽입하는 경우 측면 기판 가이드부(120)에 기판(A)이 정확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 기판 가이드부(140)에 형성된 지그 삽입용 홈(14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170)를 기판 삽입 영역(B)에 삽입하는 경우 지그 측면 프레임(174)의 타측 단부(175)를 지그 삽입용 홈(142)에 삽입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되게 된다. 한편, 지그 삽입용 홈(142)에 고정된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170)의 기판 삽입용 홈(172)을 통해 기판(A)을 삽입하면 하부 기판 가이드부(140)의 기판 지지홈(141)에 기판(A)의 하단이 정확하게 지지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 측면 프레임(174)에는 다수의 홈(17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지그 측면 프레임(174)에 다수의 홈(176)이 형성되더라도 기판(A)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그 측면 프레임(174)의 형성에 사용되는 재료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그 무게를 감소시켜 작업자의 탈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 기판 가이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레버의 작동에 따른 측면 기판 가이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의 걸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10 : 프레임 120 : 기판 측면 가이드부
121 : 제1 측면 가이드부 122 : 제1 측면 가이드바
126 : 측면 지지바 128 : 제1 구획부
131 : 제2 측면 가이드부 132 : 제2 측면 가이드바
133 : 조절레버 136 : 측면 가압바
137 : 가압돌기 138 : 제2 구획부
140 : 하부 기판 가이드부 150 : 걸이부
160 : 덮개 170 :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

Claims (13)

  1. 가로부재, 세로부재, 및 측면부재로 형성된 다층 구조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각층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수직으로 삽입되는 기판의 양측면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 측면 가이드부 및 상기 기판의 타면을 가압하는 제2 측면 가이드부가 구비된 다수의 측면 기판 가이드부;
    프레임 이송용 캐리어바에 상기 프레임을 걸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된 걸이부; 및
    상기 프레임의 하층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기판 지지홈이 형성된 하부 기판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스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삽입되는 기판과 수직하도록 상기 가로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그 내부에 기판 삽입 영역을 정의하는 제1 측면 가이드바에 상기 기판의 일면을 측면 지지하는 다수의 측면 지지바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측면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측면 가이드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가로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된 제2 측면 가이드바에 상기 기판의 타면을 가압하는 다수의 측면 가압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스켓.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가이드바의 상부에는 각각의 상기 측면 가압바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는 제1 구획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스켓.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바는 상기 기판 삽입 영역을 향하여 상기 제1 측면 가이드바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스켓.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 가이드바는 일측이 조절레버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조절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스켓.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 가이드바는 각각의 상기 측면 가압바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제2 구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스켓.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압바는 일측이 상기 제2 측면 가이드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측면 가이드바의 상부에 얹힌 채로 상기 기판 삽입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 가이드바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상기 기판의 타면을 가압하도록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스켓.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압바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기판의 타면을 향하여 설치된 가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스켓.
  9. 가로부재, 세로부재, 및 측면부재로 형성된 다층 구조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각층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수직으로 삽입되는 기판의 양측면을 클램핑하는 다수의 측면 기판 가이드부;
    프레임 이송용 캐리어바에 상기 프레임을 걸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된 걸이부; 및
    상기 프레임의 하층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기판 지지홈이 형성된 하부 기판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이부는 상기 프레임을 상기 캐리어바에 걸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캐리어바의 단면 형성과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걸림부; 및
    상기 캐리어바에 걸린 상기 프레임의 측면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보조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스켓.
  10. 가로부재, 세로부재, 및 측면부재로 형성된 다층 구조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각층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수직으로 삽입되는 기판의 양측면을 클램핑하는 다수의 측면 기판 가이드부;
    프레임 이송용 캐리어바에 상기 프레임을 걸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된 걸이부;
    상기 프레임의 하층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기판 지지홈이 형성된 하부 기판 가이드부;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 가로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기판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스켓.
  11. 가로부재, 세로부재, 및 측면부재로 형성된 다층 구조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각층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수직으로 삽입되는 기판의 양측면을 클램핑하는 다수의 측면 기판 가이드부;
    프레임 이송용 캐리어바에 상기 프레임을 걸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된 걸이부;
    상기 프레임의 하층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기판 지지홈이 형성된 하부 기판 가이드부; 및
    상기 기판을 상기 프레임에 장착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기판 삽입 영역 내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스켓.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는,
    상기 기판이 삽입되는 기판 삽입용 홈이 다수개 형성된 지그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지그 상부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수직하게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기판 삽입용 홈에 삽입되는 기판을 측면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그 측면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스켓.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판 가이드부는 지그 삽입용 홈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 삽입용 보조 지그의 지그 측면 프레임의 타측은 상기 하부 기판 가이드부에 형성된 상기 지그 삽입용 홈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스켓.
KR1020080062700A 2008-06-30 2008-06-30 도금용 바스켓 KR100990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700A KR100990598B1 (ko) 2008-06-30 2008-06-30 도금용 바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700A KR100990598B1 (ko) 2008-06-30 2008-06-30 도금용 바스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707A KR20100002707A (ko) 2010-01-07
KR100990598B1 true KR100990598B1 (ko) 2010-10-29

Family

ID=4181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700A KR100990598B1 (ko) 2008-06-30 2008-06-30 도금용 바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5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248B1 (ko) * 2010-08-06 2012-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도금용 바스켓
KR101381193B1 (ko) 2013-02-19 2014-04-10 주식회사 티케이씨 인쇄회로기판 장착용 바스켓 및 인쇄회로기판 공급장치
KR101407013B1 (ko) * 2012-08-23 2014-06-12 삼성전기주식회사 도금용 바스켓 장치
KR101407029B1 (ko) 2012-08-23 2014-06-12 삼성전기주식회사 도금용 바스켓 장치 및 기판 도금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880B1 (ko) * 2011-03-10 2013-03-25 박경이 도금용 바스켓
KR101389505B1 (ko) * 2012-02-23 2014-04-25 박경이 도금용 바스켓어셈블리
KR101383909B1 (ko) * 2012-10-23 2014-04-10 박경이 바스켓 장치
KR200475761Y1 (ko) * 2013-03-07 2014-12-31 주식회사 써피스텍 원터치 가압 고정식 박형 도금대상체 지그
CN106149037B (zh) * 2016-07-27 2017-12-19 无锡深南电路有限公司 一种电镀挂篮
CN106211584B (zh) * 2016-07-27 2018-09-11 无锡深南电路有限公司 一种pcb工装
KR102153504B1 (ko) * 2019-02-14 2020-09-08 임홍태 크롬 도금에 사용되는 지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5178A (ja) 2001-02-07 2002-08-23 Ebara Udylite Kk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めっき装置
KR100674317B1 (ko) 2005-03-23 2007-01-24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전해 도금용 바스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5178A (ja) 2001-02-07 2002-08-23 Ebara Udylite Kk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めっき装置
KR100674317B1 (ko) 2005-03-23 2007-01-24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전해 도금용 바스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248B1 (ko) * 2010-08-06 2012-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도금용 바스켓
KR101407013B1 (ko) * 2012-08-23 2014-06-12 삼성전기주식회사 도금용 바스켓 장치
KR101407029B1 (ko) 2012-08-23 2014-06-12 삼성전기주식회사 도금용 바스켓 장치 및 기판 도금 방법
KR101381193B1 (ko) 2013-02-19 2014-04-10 주식회사 티케이씨 인쇄회로기판 장착용 바스켓 및 인쇄회로기판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707A (ko)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598B1 (ko) 도금용 바스켓
US10669643B2 (en) Clamper and holding jig including same
JP5340642B2 (ja) めっき処理用ワーク保持治具
JP2010024514A5 (ko)
JP2010024514A (ja) 縦型搬送式めっき装置
KR20100138349A (ko) 초박판 인쇄회로기판의 도금장치
JP2006117979A (ja) 電気メッキ装置におけるワークハンガー
JP4190413B2 (ja) 非常に薄く平らな被処理物の搬送並びに湿式化学的又は電解的処理のための装置
JP2005042170A (ja) プリント配線板めっき治具
EP0666343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amps and the use thereof
KR101636921B1 (ko) 인쇄회로기판 수납용 바스켓
KR102024835B1 (ko) 기판 지지용 클램프 행거
KR101246880B1 (ko) 도금용 바스켓
KR200457378Y1 (ko)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
KR101789443B1 (ko) 로드 스프링 타입 피도금물 도금용 래크
KR20100026794A (ko) 인쇄회로기판 무전해도금용 랙
KR101001871B1 (ko) 도금용 지그
KR20140045815A (ko) 도금용 바스켓
KR20120009334A (ko) 도금용 랙 어셈블리
JP4885107B2 (ja) 蒸着装置
CN211036350U (zh) 用于电脑花样机的面料定位装置及电脑花样机
JP2010278050A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KR101607915B1 (ko) 피도금물 이송용 캐리어
JP3239534B2 (ja) メッキ用ラック
KR200380246Y1 (ko) 도금장치의 초박판 인쇄회로기판 하단 지지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