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815A - 도금용 바스켓 - Google Patents

도금용 바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815A
KR20140045815A KR1020120112043A KR20120112043A KR20140045815A KR 20140045815 A KR20140045815 A KR 20140045815A KR 1020120112043 A KR1020120112043 A KR 1020120112043A KR 20120112043 A KR20120112043 A KR 20120112043A KR 20140045815 A KR20140045815 A KR 20140045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upport
basket
substrate
support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이
Original Assignee
박경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이 filed Critical 박경이
Priority to KR102012011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5815A/ko
Publication of KR2014004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19Apparatus for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28Specific elements or parts of the apparatus
    • C23C18/163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 H05K3/18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by electroless plating
    • H05K3/1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by electroless plating means therefor, e.g. baths,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도금용 바스켓을 개시한다.
이러한 도금용 바스켓은, 수평바 및 수직바들로 연결 형성되며 기판이 세워진 상태로 담겨질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바스켓 본체와, 상기 바스켓 본체의 수납공간 양측에 배치되며 세워진 상태의 기판 가장자리 중에서 좌,우측 부분이 끼워져서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측부지지구를 구비한 제1 측부지지부 및 제2 측부지지부와, 상기 제1 측부지지부 및 제2 측부지지부 아래쪽에 배치되며 기판의 가장자리 중에서 하측 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지지구를 구비한 하부지지부 그리고, 상기 바스켓 본체를 형성하는 수평바 또는 수직바의 연결 방향을 따라 로울러의 롤링 동작으로 상기 제1 측부지지부, 제2 측부지지부 및 하부지지부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금용 바스켓{plating basket}
본 발명은 각종 박막 회로판 제조용 기판들의 도금 작업에 사용하는 도금용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박막 회로판의 제조 공정 중에는 회로판 제조용 기판(이하 "기판"이라고 함.) 측에 금속 박막층을 도금 방식으로 형성하는 도금 공정이 있다.
이러한 도금 공정은, 여러 장의 기판들을 도금용 바스켓 내측에 담은 상태로 복수 개의 도금조 측에 순차적으로 담궈서 금속 박막층 도금하는 이른바, 디핑 도금 작업 방식으로 진행된다.
상기한 도금 작업에 사용하는 바스켓 장치로는 "특허등록 제10-0674317호의 무전해 도금용 바스켓."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특허등록 제10-0674317호의 무전해 도금용 바스켓은, 기판을 도금 가능하게 지지하는 측면기판가이드 및 하부기판가이드가 프레임 측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구조로 제공되므로 특히 이러한 고정 구조는 한 가지 사이즈의 기판만 지지할 수 있는 수납 구조에 한정되므로 만족할 만한 수납 호환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즉, 측면기판가이드는 프레임 좌측 및 우측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예를 들어, 측면기판가이드들의 간격보다 기판의 좌,우측 폭 방향 간격이 더 길면 기판이 휘어진 상태로 수납될 수 있고, 측면기판가이드들의 간격보다 기판의 좌,우측 폭 방향 간격이 더 짧으면 기판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이 불안정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기판가이드가 일체형의 고정 구조로 제공되면, 기판 사이즈에 따라 프레임 측에서 기판의 지지 위치(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으므로 기판 사이즈와 적합한 높낮이 위치로 수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측면기판가이드 및 하부기판가이드들이 위치 조절이 되지 않도록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프레임 측에 제공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 사이즈에 따른 수납 호환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도금용 바스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수평바 및 수직바들로 연결 형성되며 기판이 세워진 상태로 담겨질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바스켓 본체;
상기 바스켓 본체의 수납공간 양측에 배치되며 세워진 상태의 기판 가장자리 중에서 좌,우측 부분이 끼워져서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측부지지구를 구비한 제1 측부지지부 및 제2 측부지지부;
상기 제1 측부지지부 및 제2 측부지지부 아래쪽에 배치되며 기판의 가장자리 중에서 하측 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지지구를 구비한 하부지지부;
상기 바스켓 본체를 형성하는 수평바 또는 수직바의 연결 방향을 따라 로울러의 롤링 동작으로 상기 제1 측부지지부, 제2 측부지지부 및 하부지지부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위치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도금용 바스켓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특히 위치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바스켓 본체 측에서 제1 측부지지부, 제2 측부지지부 및 하부지지부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므로, 기판 사이즈에 따른 수납 호환성 및 수납 효율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로울러의 롤링 동작으로 상기 측부지지부들 및 하부지지부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이러한 위치 조절 구조는 예를 들어, 돌기와 홈부의 단순 끼움 결합에 의한 슬라이드 방식과 비교할 때, 마찰 저항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신속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한층 향상된 조작 안전성 및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는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바스켓 본체를 지칭한다.
상기 바스켓 본체(2)는, 기판(G)들이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담겨질 수 있도록 형성된 수납공간(A)을 내측에 구비한 통상의 바스켓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바스켓 본체(2)는 예를 들어, 금속(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바(bar)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수평바(A1) 및 수직바(A2)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내측에 수납공간(A)을 형성하는 바스켓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은, 제1 측부지지부(4), 제2 측부지지부(6) 및 하부지지부(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부지지부(4), 제2 측부지지부(6) 및 하부지지부(8)는, 상기 바스켓 본체(2) 측에서 기판(G)의 가장자리 부분을 접촉 지지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측부지지부(4, 6)는, 상기 바스켓 본체(2)의 수납공간(A) 양측에 배치되어 기판(G)의 가장자리 중에서 좌,우측 부분을 지지하면서 상기 수납공간(A) 측에 기판(G)이 세워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측부지지부(4) 및 제2 측부지지부(6)는, 측부지지구(H)를 구비하고, 이 측부지지구(H)는 기판(G)의 가장자리 좌,우측 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지지홈(H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부지지구(H)의 지지홈(H1)은, 기판(G)의 가장자리 좌,우측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안내되면서 끼워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는 홈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측부지지구(H)는, 상기 바스켓 본체(2)의 수납공간(A) 양측에 배치될 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홈(H1)이 상기 수납공간(A)의 안쪽을 향하여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부지지구(H)들은 상기 바스켓 본체(2) 측에 담겨지는 기판(G)들이 상기 수납공간(A)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간격을 띄우고 배치될 수 있도록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바스켓 본체(2)의 양측에 복수 개가 간격을 띄우고 배열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하부지지부(8)는, 상기 바스켓 본체(2)의 수납공간(A)에 기판(G)이 세워진 상태로 배치될 때 기판(G)의 가장자리 중에서 하부를 받쳐주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부(8)는, 하부지지구(V)를 구비하고, 이 하부지지구(V)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바스켓 본체(2)의 수납공간(A) 하부에서 기판(G)의 가장자리 하부가 얹혀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홈(V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지지구(V)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바스켓 본체(2) 하부에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홈(V1)들은 기판(G) 간격과 대응하는 간격을 갖는 상태로 상기 하부지지구(V) 측에 복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제2 측부지지부(4, 6) 및 하부지지부(8)의 구조에 의하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바스켓 본체(2) 측에서 상기 수납공간(A) 측에 담겨지는 기판(G)의 가장자리 중에서 좌,우측 부분과 하부를 상기 측부지지구(H) 및 하부지지구(V)들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납공간(A) 내측에 기판(G)들이 세워져서 마주하는 상태로 도금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금용 바스켓은, 위치조절수단(10)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조절수단(10)은, 상기 제1, 제2 측부지지부(4, 6) 또는 상기 하부지지부(8)를 상기 바스켓 본체(2) 상에서 수평 방향이나 수직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위치조절수단(10)은, 상기 제1, 제2 측부지지부(4, 6)의 위치 조절을 위한 제1 조절부(12)와, 상기 하부지지부(8)의 위치 조절을 위한 제2 조절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조절부(12, 14)는, 로울러(R)의 롤링 동작으로 상기 제1, 제2 측부지지부(4, 6) 및 하부지지부(8)를 상기 바스켓 본체(2) 측에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조절부(12)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바스켓 본체(2)의 수평바(A1)와 대응하도록 로울러(R)들이 설치되어 상기 로울러(R)의 지지력 및 롤링 동작으로 상기 제1 측부지지부(4)와 상기 제2 측부지지부(6)를 서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조절부(12)는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바스켓 본체(2) 측에 평행한 상태로 이격 배치된 수평바(A1) 측에 걸쳐져서 지지되도록 로울러(R)가 설치되고, 이 로울러(R)의 롤링 동작으로 상기 수평바(A1)의 연결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수평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상기 제1 및 제2 측부지지부(4, 6)를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부(12)의 로울러(R)들은 상기 제1 및 제2 측부지지부(4, 6) 측에 롤링이 가능하게 부착 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평바(A1) 측에 도 2에서와 같이 걸려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측부지지부(4, 6)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는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제1 조절부(12)의 구조에 의하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바스켓 본체(2) 측에 배치된 제1 측부지지부(4) 또는 제2 측부지지부(6)를 좌,우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상기 로울러(R)들의 롤링 동작에 의해 상기 수평바(A1)의 연결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측부지지부(4) 또는 제2 측부지지부(6)를 수평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제1 측부지지부(4) 또는 제2 측부지지부(6)를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기판(G) 사이즈와 대응하는 안정적인 지지 간격을 갖도록 상기 제1 및 제2 측부지지부(4, 6)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절부(14)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바스켓 본체(2)의 수직바(A2)와 대응하도록 로울러(R)들이 설치되어 상기 로울러(R)의 지지력 및 롤링 동작으로 상기 하부지지부(8)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조절부(14)는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바스켓 본체(2) 측에 수직한 상태로 이격 배치된 수직바(A2) 측에 걸쳐져서 지지되도록 로울러(R)가 설치되고, 이 로울러(R)의 롤링 동작으로 상기 수직바(A2)의 연결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상기 하부지지부(8)를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절부(14)의 로울러(R)들은 상기 하부지지부(8) 측에 롤링이 가능하게 부착 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직바(A2) 측에 도 2에서와 같이 걸려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부지지부(8)가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는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제2 조절부(14)의 구조에 의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바스켓 본체(2) 측에 배치된 하부지지부(8)를 상,하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상기 로울러(R)들의 롤링 동작에 의해 상기 수직바(A2)의 연결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지지부(8)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하부지지부(8)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기판(G) 사이즈와 대응하는 안정적인 지지 높낮이를 갖도록 상기 하부지지부(8)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수단(10)은, 상기 제1 조절부(12) 및 상기 제2 조절부(14)와 대응하는 고정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6)는, 상기 제1 조절부(12)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 고정부(18)와, 상기 제2 조절부(14)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조절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18, 20)는, 걸림부재(L)를 구비하고, 이 걸림부재(L)의 걸림 접촉력에 의해 상기 제1 조절부(12) 또는 제2 조절부(14)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고정부(18)의 걸림부재(L)는 핀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제2 측부지지부(4, 6) 측에 형성된 하우징(Q)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이 가능하게 끼워져서 탄성부재(L1)의 탄성력에 의해 일단이 상기 수평바(A1)의 고정홈(L2) 측에 끼워져서 걸림 접촉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L2)들은 상기 수평바(A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띄우고 적어도 두 군데 지점에서 상기 걸림부재(L)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 고정부(18)는 상기 바스켓 본체(2) 측에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 수평바(A1)의 고정홈(L2) 측에 상기 걸림부재(L)의 일단이 각각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조작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조절부(12)의 이동 동작을 걸림 접촉력으로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부(20)의 걸림부재(L)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부(8) 측에 형성된 하우징(Q) 내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이 가능하게 끼워져서 탄성부재(L1)의 탄성력에 의해 일단이 상기 수직바(A2)의 고정홈(L2) 측에 끼워져서 걸림 접촉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L2)들은 상기 수직바(A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띄우고 적어도 두 군데 지점에서 상기 걸림부재(L)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2 고정부(20)는 상기 바스켓 본체(2) 측에 수직한 상태로 배치된 수직바(A2)의 고정홈(L2) 측에 상기 걸림부재(L)의 일단이 각각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조작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조절부(14)의 이동 동작을 걸림 접촉력으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은, 여러 장의 기판(G)을 세워진 상태로 담을 때 도 2에서와 같이 기판(G)들의 가장자리 중에서 좌,우측 부분은 상기 제1, 제2 측부지지부(4, 6)에 지지되고, 가장자리 하부는 하부지지부(8) 측에 지지된 상태로 바스켓 본체(2)의 수납공간(A)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측부지지부(4), 제2 측부지지부(6) 및 하부지지부(8)는, 위치조절수단(10)에 의해 상기 바스켓 본체(2) 측에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므로 특히, 기판(G) 사이즈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지지 위치가 되도록 간격이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 및 셋팅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바스켓 본체(2) 측에 기판(G)들을 수납할 때 수납 호환성 및 수납 편의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2: 바스켓 본체 4: 제1 측부지지부 6: 제2 측부지지부
8: 하부지지부 G: 기판 A: 수납공간
A1: 수평바 A2: 수직바 H: 측부지지구
V: 하부지지구

Claims (6)

  1. 수평바 및 수직바들로 연결 형성되며 기판이 세워진 상태로 담겨질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바스켓 본체;
    상기 바스켓 본체의 수납공간 양측에 배치되며 세워진 상태의 기판 가장자리 중에서 좌,우측 부분이 끼워져서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측부지지구를 구비한 제1 측부지지부 및 제2 측부지지부;
    상기 제1 측부지지부 및 제2 측부지지부 아래쪽에 배치되며 기판의 가장자리 중에서 하측 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지지구를 구비한 하부지지부;
    상기 바스켓 본체를 형성하는 수평바 또는 수직바의 연결 방향을 따라 로울러의 롤링 동작으로 상기 제1 측부지지부, 제2 측부지지부 및 하부지지부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위치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도금용 바스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지지부 및 제2 측부지지부는,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홈을 갖는 측부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측부지지구는,
    상기 바스켓 본체의 수납공간 양측에서 상기 지지홈 측에 기판의 폭 방향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져서 세워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도금용 바스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는,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홈을 갖는 하부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지지구는,

    상기 바스켓 본체의 수납공간 하부에서 상기 지지홈 측에 기판의 하부 가장자리 부분이 얹혀져서 세워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도금용 바스켓.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제1 측부지지부 및 제2 측부지지부의 위치 조절을 위한 제1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바스켓 본체의 수평바 측에 지지된 상태로 로울러가 설치되어 롤링에 의해 상기 수평바의 연결 방향을 따라 이동 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상기 제1 측부지지부 또는 제2 측부지지부를 수평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셋팅되는 도금용 바스켓.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하부지지부의 위치 조절을 위한 제2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바스켓 본체의 수직바 측에 지지된 상태로 로울러가 설치되어 롤링에 의해 상기 수직바의 연결 방향을 따라 이동 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상기 하부지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셋팅되는 도금용 바스켓.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걸림부재를 구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평바 또는 수직바의 연결 방향 한 군데 이상의 지점에 상기 걸림부재가 걸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 접촉력으로 상기 제1 조절부 또는 제2 조절부의 이동 동작을 제한할 수 있도록 셋팅되는 도금용 바스켓.
KR1020120112043A 2012-10-09 2012-10-09 도금용 바스켓 KR20140045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043A KR20140045815A (ko) 2012-10-09 2012-10-09 도금용 바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043A KR20140045815A (ko) 2012-10-09 2012-10-09 도금용 바스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815A true KR20140045815A (ko) 2014-04-17

Family

ID=5065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043A KR20140045815A (ko) 2012-10-09 2012-10-09 도금용 바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58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921B1 (ko) * 2016-01-08 2016-07-07 주식회사 디에스이엔티 인쇄회로기판 수납용 바스켓
KR102032439B1 (ko) * 2019-05-24 2019-10-15 (주)엠앤에스코리아 도금행거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921B1 (ko) * 2016-01-08 2016-07-07 주식회사 디에스이엔티 인쇄회로기판 수납용 바스켓
KR102032439B1 (ko) * 2019-05-24 2019-10-15 (주)엠앤에스코리아 도금행거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8765B1 (ko) 클램퍼 및 이것을 구비하는 유지구
KR100990598B1 (ko) 도금용 바스켓
KR101148967B1 (ko) 테이프 피더
JP5340642B2 (ja) めっき処理用ワーク保持治具
RU201514934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боты с электроинструментами
JP2017076771A (ja) ラックシステムのための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CN108366671A (zh) 用于以可拆卸方式固定前面板的装置以及用于组装和拆卸前面板的方法
KR101247298B1 (ko) 도금용 랙 어셈블리
JP2010024514A5 (ko)
KR20140045815A (ko) 도금용 바스켓
US91135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ion method
JP2005042170A (ja) プリント配線板めっき治具
KR101311629B1 (ko) 전기 설비를 위한 엔클로저 내에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시스템
KR101636921B1 (ko) 인쇄회로기판 수납용 바스켓
KR101246880B1 (ko) 도금용 바스켓
KR20140069960A (ko) 도금용 바스켓
KR101389504B1 (ko) 도금용 바스켓장치
JP5409118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JP2012094708A (ja) ユニット抜去時落下防止構造、及びユニット抜去時落下防止方法
KR101331714B1 (ko) 기판제조공정용 기판 고정장치
KR102309813B1 (ko) 릴 스토커 및 부품 공급 장치
KR100957388B1 (ko) 피처리물 클램핑장치
KR102128931B1 (ko) 반도체 장치의 스토퍼장치
KR20110090033A (ko) 도금용 바스켓
KR102010679B1 (ko) 갈바닉 금속 디포지션을 위한 수평 갈바닉 도금 프로세싱 라인의 갈바닉 도금 디바이스 및 그것의 사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