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554B1 - 유류 저장 탱크 - Google Patents

유류 저장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554B1
KR100989554B1 KR1020090002052A KR20090002052A KR100989554B1 KR 100989554 B1 KR100989554 B1 KR 100989554B1 KR 1020090002052 A KR1020090002052 A KR 1020090002052A KR 20090002052 A KR20090002052 A KR 20090002052A KR 100989554 B1 KR100989554 B1 KR 100989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luidized bed
storage tank
oil storage
h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660A (ko
Inventor
김주범
한주영
배종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Priority to KR1020090002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554B1/ko
Publication of KR20100082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2Laminated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B65D90/50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of leakage-indic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양단부들에 각각 결합 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한 쌍의 경판들과, 상기 본체와 경판이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및 경판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채널들을 서로 연통 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들에 존재하는 상기 유체의 양의 변화는 측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류저장탱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류 저장 탱크{TANK FOR STORING OIL}
본 발명은 저장된 유류의 누유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유류 저장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류 저장 탱크는 유류 등을 저장하기 위해 지하에 매설되는 탱크이다. 유류 저장 탱크는 유류 보관 장소, 예를 들어 유류 정제 시설, 주유소 등에 설치된다.
유류 저장 탱크는 기름의 누출(누유)과 그에 따른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그의 성능에 대한 요구 조건이 법적으로 규율되고 있다.
이러한 누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유류 저장 탱크의 몸체가 외력(충격이나 진동 등)에 강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유류 저장 탱크가 외력에 의해 부분적으로 파손되어 누유가 발생한 경우라면, 사후적이나마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누유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로 누유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유류 저장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유류 저장 탱크의 본체뿐만 아니라 그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경판에서의 누유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유류 저장 탱크는 본체와, 한 쌍의 경판들과,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형의 부재이다. 상기 한 쌍의 경판들은 상기 본체와 함께 내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양단부들에 각각 결합 된다. 상기 연결부는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및 경판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채널들을 서로 연통 되게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와 경판이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채널들에 존재하는 상기 유체의 양의 변화는 측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양의 변화로부터 유류 저장 탱크의 누유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 및 경판들은 각각, 수지에 함침된 섬유를 포함하는 한 쌍의 보호층들과, 상기 보호층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을 이루도록 공극을 형성하는 유동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와 경판의 유동층들이 서로 접촉되고, 수지에 함침 된 섬유가 상기 접촉된 부분과 관련된 상기 본 체와 경판의 일 영역에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본체와 경판의 결합 되는 부분에서 상기 보호층들과 유동층의 서로 대응하는 부분들은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상기 본체와 경판의 결합 되는 부분은 각각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절단된 상태로 서로 맞물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수지에 함침된 섬유를 포함하는 한 쌍의 보호층들과, 상기 보호층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을 이루도록 공극을 가지는 유동층을 구비한다. 상기 경판들은 콘크리트 몰타르를 타설에 의해 상기 본체에 결합된 채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경판은 상기 채널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유동층과 연통 되는 유체관을 내장한다. 이와 달리, 상기 경판은 이형필름이 감긴 철근을 내장한 채로 콘트리트 몰타르가 타설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경판의 내면에는 수지에 함침된 섬유가 적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류 저장 탱크는 본체와, 경판들과, 연결부와, 표시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수지에 함침된 섬유를 포함하는 한 쌍의 보호층들과, 상기 보호층들 사이에 상기 유체가 유동 가능한 공극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유동층을 구비한다. 상기 경판들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양단부들에 각각 결합 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유동층과 상기 경판들 내부에 형성되는 유체 유동이 가능한 채널들을 서로 연통 되게 연결한다. 상기 표시 채널은 상기 유동층과 일 단부가 연통 된 채로 상기 내부 공간을 거쳐 외부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유동층 및 채널들에 존재하는 유체의 양의 변화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유류 저장 탱크는 본체와 그의 개방된 양단부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한 쌍의 경판들 각각에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게 형성된 채널들이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통 되도록 연결됨에 의하여, 본체뿐만 아니라 경판에서의 누유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체 자체에서도 검지 채널이 형성된 하측뿐만 아니라, 상측 부분도 경판의 채널에 의해 연결되므로, 상측 부분에서 누유 발생 시에도 확인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류 저장 탱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류 저장 탱크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유류 저장 탱크는 본체(10)와, 한 쌍의 경판(20)들을 포함한다. 본체(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체이다. 경판(20)은 본체(10)의 개방된 단부에 결합 된다. 본체(10)와 한 쌍의 경판(20)들은 유류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S)을 한정한다.
본체(10)과 경판(20)들은 각각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 본체(10)는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위 경우라면, 경판(20)은 원판형으로 제작되어, 본체(10)의 내 주면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 될 수 있다.
본체(10)는 보호층(11,12)과 유동층(13)을 포함한다.
보호층(11,12)은 유동층(13)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보호층(11,12)은 각각 섬유가 수지에 함침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위 섬유로는 유리 섬유(Glass-fiber), 탄소 섬유(Carbon-fib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위 섬유는 섬유들이 직조되거나 다른 섬유나 와이어에 의해 매트 형태를 이루도록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여러 가닥의 섬유들이 꼬여져서 이루어지는 로빙(roving cloth) 이거나,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뿌려진 형태일 수도 있다. 수지에 함침된 섬유가 이루는 층은 유체의 침투가 거의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체(10)가 손상되거나 그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라면, 내부 공간(S)의 유류나 외부의 지하수 등이 유동층(13)으로 침투하지는 않게 된다.
유동층(13)은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층이다. 유동층(13)은 또한 본체(10)의 구조적인 강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한다. 이를 위하여, 유동층(13)은 수지에 함침된 모래 또는 골재가 내층(11)의 외면에 부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모래의 외면을 덮는 수지는 반경화된 상태에서 주변{다른 수지 함침된 모래나, 보호층(11,12)}과 결합 되므로, 구조적인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수지가 덮인 모래 사이에 틈새로 인하여 유체가 유동 가능한 공극이 형성되게 한다. 공극의 효과적인 형성을 위하여, 모래의 입경은 서로들 간에 동일하거나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체(10)의 형성을 위하여, 맨드릴의 외주에 베이스 부재를 감은 상태에서 맨드릴을 회전시키고, 베이스 부재에 수지에 함침된 섬유를 부어 내층(11)을 형성할 수 있다. 내층(11) 위에는 수지에 함침된 모래를 부어 유동층(13)을 형성한다. 유동층(13) 위에는 다시 수지에 함침된 섬유를 부어 외층(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일정 간격을 두고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속적으로 본체(1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위 보호층(11 및 12)의 외면이나, 보호층(11 및 12)과 유동층(13) 사이에 다른 층들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경판(20)은, 본체(10)와 유사하게, 보호층(21,22)과 유동층(23)을 포함한다. 이들은 각각 본체(10)의 보호층(11,12)과 유동층(13)과 동일하게 제조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본체(10)와 경판(20)이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연결부(30)는 그들 내부에 유체가 유동 가능한 채널들, 다시 말해서 유동층들(13 및 23)이 서로 연통 되도록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에 의하여, 본체(10) 및/또는 경판(20)의 손상 등에 의해 유동층들(13 및 23) 내부로 유입된 유류 또는 지하수 등의 유체는 유동층들(13 및 23)에 의해 이루어지는 루프(loop) 내에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유동층들(13 및 23)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유동층들(13 및 23) 내에 존재하던 유체의 양이 변하게 된다. 이러한 유체의 양의 변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 단부가 본체(10)의 일 부분에서 유동층(13)과 연통 되고, 타 단부는 내부 공간(S)을 통해 외부로 연장하는 표시 채널(40)(도 2 참조)에 의해 위 변화가 측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최초에 표시 채널(40)에 일정 량의 유체를 채운다. 위 유동층들(13 및 23)에 대한 유체의 유입에 의해, 표시 채널(40)에서 유체의 높이는 변화 하게 되고, 이를 확인함으로써 위 측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측정 메카니즘에 의하면, 본체(10) 뿐만 아니라 경판(20)이 손상되어 유동층(13 및/또는 23)에 원래 존재하던 양의 유체 이외에 유체가 침투한 경우에, 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내부 공간(S)에는 작업자를 위한 사다리(51)가 배치되고, 본체(10)의 적어도 일 지점에는 내부 공간(S)을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맨홀(52)이 형성된다.
위와 같은 채널들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3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부(30)는 본체(10)의 유동층(13)과 경판(20)의 유동층(23)이 서로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체(10)의 내층(11)의 일 부분(31)은 제거된다. 이렇게 제거된 부분(31)에 대하여 경판(20)의 단부가 접촉됨으로써, 유동층들(13 및 23)이 서로 접하게 된다.
위 접촉된 부분과 관련된 영역을 실링하기 위하여, 위 부분에 대응하는 본체(10)와 경판(20)의 영역들에는 연결층(32 및/또는 33)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층(32,33)은 수지에 함침된 섬유가 위 영역에 적층 되어 형성된다. 연결층(32,33)은 섬유의 종류나 형태 등 그 구성에 있어서, 본체(10)의 내층(11) 등과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층(32,33)에 사용되는 섬유가 본체(10)나 경판(20)의 보호층들(11,12/21,22)과 동일한 종류를 가진다면, 위 섬유들은 서로 동일한 성질을 가 져서 그들 사이의 밀착에 따른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발이나 저항이 거의 없어진다. 이는 보다 견고한 실링이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도 2의 일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10')와 경판(20')은 각각 계단식의 단부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체(10')의 내층(11)은 유동층(1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제거된 부분(31b)을 가진다. 외층(12)은 유동층(1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된 부분(32b)를 가진다. 경판(20')도 본체(10')의 제거부(31b)와 연장부(32b)에 대응하는 제거부(31a)와 연장부(32a)를 가진다.
이렇게 서로 계단식의 단부를 가지는 본체(10')와 경판(20')이 서로 접촉됨에 따라, 본체(10')의 내층(11), 유동층(13), 외층(12)은 각각 경판(20')의 내층(21), 유동층(23), 외층(22)과 접촉하게 된다. 유동층들(13 및 23)의 접촉에 의해 본체(10')와 경판(20')의 유체 유동이 가능한 채널들은 서로 연통 된다. 본체(10')와 경판(20')의 연결된 영역들은 수지에 함침 된 섬유를 포함하는 연결층 (33a 및/또는 33b)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또 다른 일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10")와 경판(20")의 단부 들은 각각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절단된 상태를 가진다. 이에 의하여, 본체(10")의 경사부(36)와 경판(20")의 경사부(35)는 서로 마주하게 되고, 유동층들(13 및 23)은 서로 연통되게 된다.
본체(10")와 경판(20")을 덮는 연결층(37 및/또는 38)은 앞서와 같이 수지에 함침된 섬유들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류 저장 탱크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유류 저장 탱크의 본체(100)는 내층(110)과, 외층(120) 및 유동층(130)을 포함한다. 내층(110)과 외층(120) 및 유동층(130)은 앞선 실시예의 본체(10)의 내층(11)과 외층(12) 및 유동층(13)에 각각 대응된다. 사다리(510)와 맨홀(520)은 앞선 실시예의 사다리(51)와 맨홀(52)에 각각 대응된다.
앞선 실시예와 달리, 경판(200)들은 콘크리트 몰타르 타설하여 형성된다. 본체(100)가 섬유와 수지, 모래 등으로 별도로 제작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양단부가 콘크리트 몰타르의 타설로 폐쇄되는 것이다.
본체(100)의 유동층(130)은 본체(100) 내부의 유체가 유동 가능한 채널로서 기능 한다. 표시채널(400)은 이러한 유동층(130)에 일 단부가 연통된 채로 연장한다.
콘크리트 타설되는 경판(200)에 유체가 유동 가능한 채널을 형성하고, 유동층(130)과 연통시키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체(100)와 경판(200)의 연결 관계를 보이기 위해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단부에는 콘크리트 몰타르가 타설되어 그에 결합 되는 경판(200)이 결합 된다. 이에 의해, 본체(100)의 단부의 일 부분은 경판(200)의 일정 부분까지 삽입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경판(200)의 내부에는 콘크리트 몰타르를 타설하기 앞서 철근이 배근될 수 있다. 철근은 본체(100)의 개방된 부분에서 본체(100)를 관통하여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도 7의 310' 참조).
이러한 철근과 달리, 유체관(300)은 본체(100)의 유동층(130)과 연통 되는 길이만을 가진다. 이러한 연통을 위하여, 유체관(300)의 배치 전에, 본체(100)의 내층(110)의 일 부분을 제거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의하여, 본체(100)의 일 측에서 유동층(130)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는 경판(200)의 유체 유동 가능한 채널인 유체관(300)을 거쳐서 본체(100)의 다른 일측의 유동층(130)을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로서 기능하는 유체관(300)은 통상적인 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경판(200) 내로 침투된 유체는 유체관(300) 내로 침투가 어려울 수 있다. 다만, 외력에 의해 경판(200)과 함께 유체관(300)이 파손되는 경우라면, 파손된 틈새로 유체가 침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침투로 인하여, 표시채널(400)에서의 유체의 유량은 증가 될 것이다.
경판(200)의 내면{본체(100)와 함께 내부 공간(S)을 한정하는 면}에는 수지에 함침된 섬유층(3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섬유층(350)은 내층(110) 등과 같은 구조나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섬유층(350)의 형성에 의해, 특히 휘발성인 유류와 접촉하는 내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섬유층(350) 대신에 내휘발성이 강한 다른 재질에 의한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도 6의 일 변형예를 보인 본체(100)와 경판(200)의 일부를 절단한 부분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부(300')는, 앞선 실시예의 유체관(300)이 아닌, 철근(310') 및 이형 필름(320')을 포함한다.
철근(310')은 본체(100)를 관통하여 연장하도록 경판(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형 필름(320')은 철근(310')의 외주면을 대체로 나사선 형태로 감는다. 이형 필름(320')은 일 부분이 인접한 부분의 일부를 덮는 형태로 감겨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본체(100)의 유동층(130)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는 철근(310')을 감싸는 이형 필름(3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철근(310')과 이형 필름(320')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유동하게 된다. 철근(310')과 이형 필름(320') 사이의 공간이 경판(200) 내의 유체 유동이 가능한 채널을 형성하는 것이다.
경판(200) 내로 침투한 유체도 이형 필름(320')이 감겨진 부분의 틈새를 통해서 위 공간으로 침투할 수 있다.
철근(310')은 이형 필름(320')과 함께 유체가 유동 가능한 채널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본체(100)의 단부에 콘크리트 몰타르가 타설되어 결합되는 경판(200)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는 이점도 제공한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에, 경판(200)에서 유체관(300) 내로의 유체 침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유체관(300)에 구멍을 뚫고 본 변형예와 같은 이형 필름(320')으로 감은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유류 저장 탱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 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류 저장 탱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일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또 다른 일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류 저장 탱크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체와 경판의 연결 관계를 보이기 위해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일 변형예를 보인 본체와 경판의 일부를 절단한 부분 사시도.

Claims (12)

  1.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양단부들에 각각 결합 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한 쌍의 경판들; 및
    상기 본체와 경판이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및 경판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채널들을 서로 연통 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들에 존재하는 상기 유체의 양의 변화를 측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류저장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경판들은 각각,
    수지에 함침된 섬유를 포함하는 한 쌍의 보호층들; 및
    상기 보호층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을 이루도록 공극을 형성하는 유동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와 경판의 유동층들이 서로 접촉되고, 수지에 함침된 섬유가 상기 접촉된 부분과 관련된 상기 본체와 경판의 일 영역에 적층 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경판의 결합 되는 부분에서 상기 보호층들과 유동층의 서로 대응하는 부분들은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경판의 결합 되는 부분은 각각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절단된 상태로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수지에 함침된 섬유를 포함하는 한 쌍의 보호층들; 및
    상기 보호층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을 이루도록 공극을 가지는 유동층을 구비하고,
    상기 경판들은 콘크리트 몰타르를 타설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판은 상기 채널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유동층과 연통 되는 유체관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판은 이형필름이 감긴 철근을 내장한 채로 콘트리트 몰타르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판의 내면에는 수지에 함침된 섬유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10. 수지에 함침된 섬유를 포함하는 한 쌍의 보호층들과, 상기 보호층들 사이에 상기 유체가 유동 가능한 공극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유동층을 구비하는 중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양단부들에 각각 결합 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한 쌍의 경판들;
    상기 본체의 유동층과 상기 경판들 내부에 형성되는 유채 유동이 가능한 채널들을 서로 연통 되게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유동층과 일 단부가 연통된 채로 상기 내부 공간을 거쳐 외부로 연장하 도록 배치되어, 상기 유동층 및 채널들에 존재하는 유체의 양의 변화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채널을 포함하는 유류저장탱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판들은 상기 본체와 동일한 층 구조를 이루거나 콘크리트 몰타르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몰타르로 타설된 경판은 상기 본체의 유동층과 연통 되는 유체관을 내장하거나, 이형필름이 감긴 철근을 내장한 채로 콘크리트 몰타르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KR1020090002052A 2009-01-09 2009-01-09 유류 저장 탱크 KR100989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052A KR100989554B1 (ko) 2009-01-09 2009-01-09 유류 저장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052A KR100989554B1 (ko) 2009-01-09 2009-01-09 유류 저장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660A KR20100082660A (ko) 2010-07-19
KR100989554B1 true KR100989554B1 (ko) 2010-10-25

Family

ID=4264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052A KR100989554B1 (ko) 2009-01-09 2009-01-09 유류 저장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5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036B1 (ko) * 1987-05-07 1992-03-10 베스테밸더 아이젠베르크 게르하르트 게엠베하 온도제어 탱크 컨테이너
KR0119659Y1 (ko) * 1995-12-11 1998-07-15 변무원 플라스틱 수조
KR19990009597A (ko) * 1997-07-10 1999-02-05 변무원 합성수지제 탱크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4161318A (ja) 2002-11-12 2004-06-10 Nittsu Shoji Co Ltd コンテ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036B1 (ko) * 1987-05-07 1992-03-10 베스테밸더 아이젠베르크 게르하르트 게엠베하 온도제어 탱크 컨테이너
KR0119659Y1 (ko) * 1995-12-11 1998-07-15 변무원 플라스틱 수조
KR19990009597A (ko) * 1997-07-10 1999-02-05 변무원 합성수지제 탱크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4161318A (ja) 2002-11-12 2004-06-10 Nittsu Shoji Co Ltd コンテ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660A (ko) 2010-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0921B2 (ja) 土木工事における連続流体密封性
CN107600764A (zh) 一种独立承载的埋地油罐衬里结构及其工艺
KR102542256B1 (ko) 몰딩 인서트 및 이와 같은 인서트를 갖는 외장 블럭
KR100989554B1 (ko) 유류 저장 탱크
Peter et al. Effects of erosion void on deteriorated metal culvert before and after repair with grouted slip liner
KR101054668B1 (ko) 접착제 유출방지 캡이 구비된 케미컬 앵커
EP0607173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TORAGE TANKS AND THE LIKE MULTIPURPOSE.
KR100756932B1 (ko) 관로 비굴착 내면 보수공법
JP5058015B2 (ja) 圧縮空気を用いた鋼床版橋補強装置
JP2008208631A (ja) 杭基礎の耐震補強構造
KR100995684B1 (ko) 균열을 억제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 보수공법
CN108574245A (zh) 隧道衬砌结构内力测量数据线的走线防水装置与使用方法
CN208257332U (zh) 隧道衬砌结构内力测量数据线的走线防水装置
Lee et al. Rehabilitation of large diameter prestressed cylinder concrete pipe (PCCP) with FRP composites—experimental investigation
CN214614049U (zh) 预应力锚索结构
KR101071360B1 (ko)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및 그 설치방법
JP5805547B2 (ja) 道路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Weatherer et al. Field evaluation of staged concrete bridge deck pours adjacent to live traffic
KR101018413B1 (ko) 다웰 바를 이용한 도로포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25778B1 (ko) 조립식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6125317A (ja) 壁体構築方法、壁体
KR20070006312A (ko) 돌기를 구비한 일체형 방수시트
KR20240056237A (ko) 수위 및 경사계용 케이싱
KR100763619B1 (ko) 보강부재가 내장된 폴리에틸렌 맨홀
US7347227B2 (en) Method of reinforcing a cylindrical pipeline and prefabricated plate used in such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