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360B1 -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360B1
KR101071360B1 KR1020100037950A KR20100037950A KR101071360B1 KR 101071360 B1 KR101071360 B1 KR 101071360B1 KR 1020100037950 A KR1020100037950 A KR 1020100037950A KR 20100037950 A KR20100037950 A KR 20100037950A KR 101071360 B1 KR101071360 B1 KR 101071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lab
storage tank
underground storag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계찬
조용준
Original Assignee
조계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계찬 filed Critical 조계찬
Priority to KR1020100037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6Large containers for use under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2Laminated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B65D90/105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for undergroun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약품이나 유류를 저장하는 탱크 및 지하저장탱크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지하저장탱크는, 수지함침된 유리섬유가 파이프 형태의 외형을 갖도록 적층성형되며, 지중에 세워 설치될 수 있게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면에 형성되며,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 바닥에 수지함침된 유리섬유 적층 표면층이 부착된 하부 슬래브; 수지함침된 유리섬유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단면을 덮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상부경판; 상기 상부경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슬래브; 및 상기 상부 경판 및 상부 슬래브를 경유하여 저장유체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경판 및 상부 슬래브에 고정되는 복수의 배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전통적인 수평 설치식에 비하여 본체의 관경 만큼의 면적만 소요하므로, 설치면적의 제약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구조적 안정성 및 부력면에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및 그 설치방법{UPRIGHT TYPE UNDERGROUND STORAGE TANK AND METHOD FOR BUILDING IT}
본 발명은 화학약품이나 유류 기타 유체를 저장하는 지하저장탱크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저장탱크(Underground Storage Tank; UST)는 물, 화학약품, 유류 등의 유체를 저장하기 위해 지중에 매설된다.
전통적으로 사용된 기존의 지하저장탱크는 용량에 따른 차이가 있으나, 원통체를 수평으로 설치하는 것이므로, 낮은 토피에 비해 넓은 면적이 필요하게 되어 도시의 주유소 또는 저장시설과 같은 곳에서는 설치공간의 제약을 받게 된다.
또한, 제품의 고정 및 부력방지를 위하여 와이어 고리를 설치하는 등의 부수적 요소와 설치 절차가 소요되므로 비용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나아가, 종래의 수평 설치식은 매립후 토사에 의한 관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므로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며, 배관 부속품의 접합부 보호가 되지 않아 장기적인 안전성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시 등의 좁은 공간에서도 이용이 가능하고 작업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지하저장탱크 및 그 설치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지하저장탱크는, 수지함침된 유리섬유가 파이프 형태의 외형을 갖도록 적층성형되며, 지중에 세워 설치될 수 있게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면에 형성되며,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 바닥에 수지함침된 유리섬유 적층 표면층이 부착된 하부 슬래브; 수지함침된 유리섬유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단면을 덮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상부경판; 상기 상부경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슬래브; 및 상기 상부 경판 및 상부 슬래브를 경유하여 저장유체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경판 및 상부 슬래브에 고정되는 복수의 배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를 이루는 관벽은, 상기 본체의 내벽면을 형성하며, 수지함침된 유리섬유가 적층된 불투수성의 내부 보강층; 상기 내부 보강층의 외부에 적층되며, 수지함침된 규사로 이루어지는 투수성의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의 외부에 적층되며, 수지함침된 유리섬유가 적층된 불투수성의 외부 보강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저장유체의 누유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누유검지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누유검지관의 내측 단부는 상기 내부 보강층을 통과하여 상기 중간층에 이를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누유검지관의 상기 내부 보강층과의 연결 부위에 수지함침된 유리섬유 적층 표면층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저장유체의 누유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누유검지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누유검지관의 내측 단부는 상기 하부 슬래브의 내부바닥에 형성되는 캐비티의 내부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래브 및 상부 슬래브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래브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의 점검을 위한 맨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점검맨홀의 내부에 상기 누유검지관 및 상기 저장유체의 유위를 감지하는 잣대검침구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점검맨홀을 통하여 작업자가 유입될 수 있게 사다리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수지함침된 유리섬유를 적층성형시켜 파이프 형태의 본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본체의 상단면을 덮을 수 있도록 수지함침된 유리섬유에 의하여 상부경판을 마련하되, 상기 상부경판에 저장유체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배관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상부경판의 상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의하여 상부 슬래브를 성형하는 단계; 하부 슬래브를 마련하기 위한 형틀을 제작한 후 상기 본체를 세워 배치시키코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의하여 하부 슬래브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하부 슬래브의 내부 바닥면에 수지함침된 유리섬유 적층 표면층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상부 슬래브에 상기 배관의 부속품을 결합시키는 단계: 및 조립된 상기 본체, 상부 슬래브 및 하부 슬래브를 설치될 장소에 이동시키고 수직방향으로 세워 지중에 매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의 설치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의 설치방법의 다른 예로서, 상기 방법은, 수지함침된 유리섬유를 적층성형시켜 파이프 형태의 본체를 마련하는 단계; 설치될 주유소 등의 터파기된 바닥에 형틀을 제작한 후 상기 본체를 세워 배치시키고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의하여 하부 슬래브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본체의 상단면을 덮을 수 있도록 수지함침된 유리섬유에 의하여 상부경판을 마련하되, 상기 상부경판에 저장유체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배관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터파기된 바닥을 되메움하는 단계; 상기 상부경판의 상부에 토사에 의하여 일정두께만큼 되메움하고, 상기 상부경판을 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를 점검할 수 있는 점검맨홀을 부착한 후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의하여 상부 슬래브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에 의하면,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전통적인 수평 설치식에 비하여 본체의 관경 만큼의 면적만 필요하게 되므로, 설치면적의 제약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동일한 저장용량의 수평설치식에 비하여 30~50% 면적 축소), 설치 작업이 용이하다.
나아가, 이러한 수직 설치구조 및 방법은 수직방향의 하중에 대한 관변형 발생이 극히 미약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치가 불필요하며 탱크의 구조적 안정성(수평 설치식의 종래 방법보다 5~10배의 하중에 견딤)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전후 토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력으로부터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하면, 현장 타설시, 상부경판의 현지반 토사를 콘크리트모르타르 타설 전 매립하므로, 저비용으로 부력으로부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슬라브를 통하여 상부에 설치되는 부속품 배관의 취약 부위의 누유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수직식 지하저장탱크가 주유소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직식 지하저장탱크를 다른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의 상면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의 상면부분을 다른 면에서 절단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수직식 지하저장탱크를 다른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수직식 지하저장탱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수직식 지하저장탱크가 주유소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다만, 본 발명과 관련된 수직식 지하저장탱크는 유류 외에도 화학약품, 물 또는 기타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플랜트 또는 시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지하저장탱크(100)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전통적인 지하저장탱크와 달리, 세워 설치되는 본체(110)와, 하부 슬래브(140) 및 상부 슬래브(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110)는 큰 하중 또는 토압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성과 내식성 및 시공 우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유리섬유 복합관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본체(110)는 유리섬유(glass fiber)를 복합 적층하여 파이프(pipe) 형태로 성형한 관체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이 경우, 본체를 수평설치하는 종래의 예와 달리 설치면적이 수평 단면적이 관경으로 한정되므로 설치면적도 현격하게 줄일 수 있으며, 도시의 주유소(1)와 같이 부지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특히 활용도가 높다.
본 발명과 관련된 수직식 지하저장탱크는 설치방법에 따라 상부 슬라브와 하부 슬라브를 조립시킨 지하저장탱크를 공장에서 직접 생산하여 설치될 현장으로 이동시키고 현장에서 시공하는 방법(방법1)과, 현장에서 상부 슬라브와 하부 슬라브를 타설하는 방법(방법2)이 있다. 이들 중 전자는 도 2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며, 후자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수직식 지하저장탱크를 다른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의 상면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의 상면부분을 다른 면에서 절단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예에 따른 지하저장탱크(100)는 본체(110), 하부 슬래브(140), 유리섬유 적층 표면층(120), 상부경판(130), 상부 슬래브(150), 점검맨홀(160), 배관(30) 등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지함침된 유리섬유가 파이프 형태의 외형을 갖도록 적층성형된 구성(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GRP))이며, 지중에서는 세워 설치(입식)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7과 같이, 본체를 이루는 관벽은, 본체(110)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 보강층(111), 내부 보강층(111)의 외부에 적층되는 중간층(112), 중간층(112)의 외부에 적층되는 외부 보강층(113)을 포함한다.
내부 보강층(111) 및 외부 보강층(113)은 화학약품이나 유류로부터 내식성이 우수한 수지류가 함침된 유리섬유를 적층시켜 성형할 수 있다. 그러한 일 방법으로서 본체(110)를 형성하기 위한 직관은 맨드릴의 회전에 따라 함침된 유리섬유를 연속적으로 회전이송시켜 내부 보강층(111), 중간층(112), 외부 보강층(113)을 순차적으로 성형시키는 방법(연속식 필라멘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보강층(111) 및 외부 보강층(113)은 감기는 방향이 서로 다른(예,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섬유가 놓여지도록 하는 것, 맨드릴의 회전 방향으로 섬유가 감기도록 하는 것, 등) 유리섬유의 방향을 각각 다르게 함으로써 보다 강성이 높은 본체(11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지함침된 유리섬유를 치밀하게 적층시켜 성형하는 것이므로 유체의 투수성이 없는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체(110)의 성형 방법은 그와 다른 방법이 될 수도 있다.
중간층(112)은 예를 들어, 수지 함침된 규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입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에 의하여 투수성이 있도록 한다. 이러한 중간층(112)의 투수성은 뒤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누유 검침관을 통하여 누유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저장용량에 맞게 절단된 본체(110)의 상단이 될 부분에는 상부경판(130)이 부착된다. 상부경판(130) 역시 수지함침된 유리섬유를 적층시켜 얻는 것으로서, 충분한 강성과 함께 본체(110)의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밀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점에서 기능상 상단의 밀폐가 필수 사항이 아니므로 상부 경판이 없이 본체의 상단에 콘크리트 슬래브가 직접 설치되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의 맨홀과 차이가 있다.
상부경판(130)은 밀폐력을 보유할 수 있는 적절한 두께, 예를 들어 20mm 정도의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GRP)을 사용할 수 있다.
상부경판(130)은 매설된 상태에서 저장유체의 유출입 또는 점검을 위한 각종 부속을 포함한다. 그러한 부속의 일 예로서, 복수의 배관(30) 또는 점검맨홀(160)일 수 있다. 배관(30)은 예를 들어, 저장된 내용물이 유류인 경우, 유류의 탱크(100) 내 주입 또는 복수의 개별 공급배관(30), 통기관(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장에서 제조되는 지하저장탱크(100)는 적어도 하부 슬래브(140)가 본체(110)에 조립된 상태로서, 설치현장에서는 하부 슬래브의 타설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설치를 매우 간이하게 할 수 있다. 하부 슬래브(140)의 형상을 얻기 위하여 우선, 하부 슬래브(140)의 형상을 결정하는 형틀을 만든다. 형틀의 내부에는 슬래브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적절한 양의 철근을 배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본체(110)의 외경을 3050mm, 내경을 3000mm, 높이(깊이)를 7500mm 로 하는 경우, 적절한 철근의 두께는 19mm로 채택될 수 있다.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타설 전 형틀에는 누유 검지관(170)을 연결을 위한 관의 삽입하고, 캐비티의 생성을 위한 치구가 설치될 수 있다.
형틀의 준비가 완료되면, 형틀에 본체(110)를 세워서 설치하되, 고임목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준비된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형틀에 주입한 후 노출 부분을 미장을 통하여 매끈하게 마무리하고 검사한 후 양생실에서 양생한다.
하부 슬래브(140)의 양생이 완료되면, 하부 슬래브(140)의 내부 바닥면 및 인접되는 본체(110)의 내벽면 사이의 틈을 완전히 수밀시킬 수 있도록 수지함침된 유리섬유 적층 표면층(120)을 핸드레이업 방법으로 성형시킬 수 있다. 보다 강한 밀폐력과 고정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핸드레이업은 복수 회로 나누어(예: 첫 회에 1mm 이상의 두께로 핸드레이업을 실시한 후 다음 회에 1mm 이상의 두께로 핸드레이업을 시행하는 것 등) 각각 시행할 수 있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부속품으로서 사다리(180) 또는 누유 검지관(170), 잣대검침구(171)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부속품들의 장치를 위하여 상부경판(130)에 점검맨홀(160)이 설치된다. 점검맨홀(160)은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점검맨홀(160)의 덮개(164)를 열고 누유 검지관(170), 잣대검침구(171)를 통하여 점검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사다리(180)는 점검자가 내부 덮개(162)를 열고 직접 탱크(100)의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타고 내려갈 수 있도록 하되, 사다리(180)를 본체(110)에 결합시킬 때, 유리섬유 복합관인 본체(110)의 내벽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침된 유리섬유를 핸드레이업 방법 등에 의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누유 검지관(170)은 탱크(100)의 내벽의 균열 또는 외벽의 균열에 의하여 내부의 저장유체가 누유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7에 의하면, 누유 검지관(170)의 내측 단부는 본체(110) 하단의 내부 보강층(111)을 통과하여 중간층(112)에 이를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중간층(112)은 함침된 모래에 의하여 조성되는 것으로서 유체의 투수성이 있으므로, 누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유체를 중간층(112)에 채운 후 그 유체의 높이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누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누유를 확인하기 위한 유체가 중간층(112)의 내부에 있도록 본체(110)의 상하단부는 밀봉처리된다. 나아가, 도 7과 같이, 누유 검지관(170)의 본체(110)에 대한 연결부위는 표면섬유층(190)을 핸드레이업 방법 등에 의하여 밀폐시킨다.
잣대검침구(171)는 탱크(100) 내부에 검침구를 넣고 저장유체의 수준을 육안으로 검침할 수 있게 구성된다. 검침구가 탱크의 바닥에 닿았을 때 충격에 의하여 바닥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탱크의 바닥면에는 금속 재질의 충격판이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경판(130)에 배관(30), 점검맨홀(160)을 위한 맨홀가이드(161) 등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 슬래브(150)를 타설하게 된다. 상부 슬래브(150)의 형상을 결정하는 형틀은 송유관(31), 주입관(33), 통기관(32) 등이 현장에서 배관을 연결할 수 있게 플랜지(31a,33a,32a)가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공장 제작형의 상부 슬래브(150) 및 하부 슬래브(140)는 콘크리트 재질, 경화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품질관리가 가능하며, 대량 생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수직식 지하저장탱크를 다른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의 평면도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지하저장탱크를 현장에서 제작 및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들 도시와 같이, 외형적으로 설치된 모습은 앞의 실시예와 유사하나, 상부 경판(230)과 상부 슬래브(250)의 사이의 공간은 현장 토사(201)에 의하여 되메움되어 있으며, 배관류(30) 및 점검맨홀(260)도 그러한 구조에 맞게 조정되어 있다. 나아가, 누유검지의 다른 구조로서, 누유 검지관(270)의 내측 단부는 하부 슬래브(240)의 내부바닥에 형성되는 캐비티(215)의 내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현장 제작 설치를 위하여, 지하저장탱크(200)의 하부 설치구조를 제작하기 위해, 장비를 이용하여 필요한 깊이만큼 터파기를 실시한다. 터파기 바닥부의 공간을 수평으로 고른 후 타설될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공간을 확보한 후 거푸집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현장으로 이송된 유리섬유 복합관 본체(210)를 똑바로 세운 상태로 거푸집을 미리 설치한 철근배근 위에 설치한다. 본체(210)의 가고정이 완료되면 레디 믹스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본체(210)에 표시된 높이만큼 타설한다. 타설 완료후 마감면을 미장하고 콘크리트를 양생한다. 양생이 완료되면, 하부 슬래브(240)의 내부 바닥면에 방수를 위하여 수지함침된 유리섬유 적층 표면층(220)을 핸드 레이업 방법에 의하여 성형한다.
하부 구조의 제작이 완료되면, 본체 주변의 터파기된 공간을 되메움하고 상부 구조를 제작한다. 본체(210)의 상단면은 앞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필요한 부속품들이 고정된 상부경판(230)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서, 주유소의 송유관 등 배관의 연결작업을 시행한다.
배관작업이 완료되면, 현지반의 토사에 의하여 일정 두께(예: 약 400mm)로 되메움한 후 주유소 바닥을 위한 철근 배근을 실시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슬래브(250)를 제작한다. 점검맨홀(260) 및 연결배관의 접근의 용이성을 위하여 점검맨홀(260)의 주변영역에 대하여 토사(201) 되메움 및 상부 슬래브(250)를 위한 콘크리트 타설을 배제하고 덮개(251)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현장 제조방식 수직식 지하저장탱크는 현장 여건에 따라 맞춤 제작이 가능하고, 주유소와 같은 설치장소의 바닥 타설과 일체화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상하부 슬래브를 모두 장착한 상태로 제작되는 공장 제조 방식에 비하여 운송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및 그 제작방법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시된 실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0)

  1. 수지함침된 유리섬유가 파이프 형태의 외형을 갖도록 적층성형되며, 지중에 세워 설치될 수 있게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면에 형성되며,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 바닥에 수지함침된 유리섬유 적층 표면층이 부착된 하부 슬래브;
    수지함침된 유리섬유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단면을 덮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상부경판;
    상기 상부경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슬래브; 및
    상기 상부 경판 및 상부 슬래브를 경유하여 저장유체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경판 및 상부 슬래브에 고정되는 복수의 배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이루는 관벽은,
    상기 본체의 내벽면을 형성하며, 수지함침된 유리섬유가 적층된 불투수성의 내부 보강층;
    상기 내부 보강층의 외부에 적층되며, 수지함침된 규사로 이루어지는 투수성의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의 외부에 적층되며, 수지함침된 유리섬유가 적층된 불투수성의 외부 보강층을 포함하는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저장유체의 누유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누유검지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누유검지관의 내측 단부는 상기 내부 보강층을 통과하여 상기 중간층에 이를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유검지관의 상기 내부 보강층과의 연결 부위에 수지함침된 유리섬유 적층 표면층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5. 제2항에 있어서,
    저장유체의 누유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누유검지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누유검지관의 내측 단부는 상기 하부 슬래브의 내부바닥에 형성되는 캐비티의 내부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래브 및 상부 슬래브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래브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의 점검을 위한 맨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맨홀의 내부에 상기 누유검지관 및 상기 저장유체의 유위를 감지하는 잣대검침구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점검맨홀을 통하여 작업자가 유입될 수 있게 사다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9. 수지함침된 유리섬유를 적층성형시켜 파이프 형태의 본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본체의 상단면을 덮을 수 있도록 수지함침된 유리섬유에 의하여 상부경판을 마련하되, 상기 상부경판에 저장유체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배관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상부경판의 상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의하여 상부 슬래브를 성형하는 단계;
    하부 슬래브를 마련하기 위한 형틀을 제작한 후 상기 본체를 세워 배치시키코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의하여 하부 슬래브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하부 슬래브의 내부 바닥면에 수지함침된 유리섬유 적층 표면층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상부 슬래브에 상기 배관의 부속품을 결합시키는 단계: 및
    조립된 상기 본체, 상부 슬래브 및 하부 슬래브를 설치될 장소에 이동시키고 수직방향으로 세워 지중에 매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의 설치방법.
  10. 수지함침된 유리섬유를 적층성형시켜 파이프 형태의 본체를 마련하는 단계;
    설치될 주유소 등의 터파기된 바닥에 형틀을 제작한 후 상기 본체를 세워 배치시키코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의하여 하부 슬래브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본체의 상단면을 덮을 수 있도록 수지함침된 유리섬유에 의하여 상부경판을 마련하되, 상기 상부경판에 저장유체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배관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터파기된 바닥을 되메움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경판의 상부에 토사에 의하여 일정두께만큼 되메움하고, 상기 상부경판을 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를 점검할 수 있는 점검맨홀을 부착한 후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의하여 상부 슬래브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식 지하저장탱크의 설치방법.
KR1020100037950A 2010-04-23 2010-04-23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및 그 설치방법 KR101071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950A KR101071360B1 (ko) 2010-04-23 2010-04-23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950A KR101071360B1 (ko) 2010-04-23 2010-04-23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1360B1 true KR101071360B1 (ko) 2011-10-10

Family

ID=4503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950A KR101071360B1 (ko) 2010-04-23 2010-04-23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3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94Y1 (ko) * 2011-11-22 2013-02-27 김명열 지하 저장탱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9891A (ja) 1997-05-27 1998-12-15 Nitto-Boo F R P Kenkyusho:Kk 地下埋設式燃料タンク一体型融雪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9891A (ja) 1997-05-27 1998-12-15 Nitto-Boo F R P Kenkyusho:Kk 地下埋設式燃料タンク一体型融雪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94Y1 (ko) * 2011-11-22 2013-02-27 김명열 지하 저장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42185B (zh) 一种带塔吊基础的地下室筏板基础施工方法
CN110629744B (zh) 一种地铁车站钢管混凝土桩施工工艺
KR100924701B1 (ko) 공동구 시공방법
CN101545270B (zh) 桩基试验用双套管及其施工工艺方法
CN114215090A (zh) 一种封闭空间内筏板与压桩的施工方法
KR101071360B1 (ko) 수직식 지하저장탱크 및 그 설치방법
CN113417215A (zh) 桥梁建造施工方法
US10941537B2 (en) Prefabricated former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chamber
KR100840086B1 (ko)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시공공법
CN111119227A (zh) 地下室基础改造施工方法及其结构
KR20190002743U (ko) 콘크리트 복합맨홀
KR101341187B1 (ko) 집수용 구조체
CN107023061B (zh) 装配式塑料市政排水检查井及施工方法
EP2941517B1 (en) Method and device for drainage and detection of leakage
CN113338278A (zh) 复杂交互粉细砂层超长大直径桩基护筒及施工方法
CN207160063U (zh) 一种骑跨管道的预制箱涵结构和管道水工支撑体
KR101180451B1 (ko) 관 보호용 콘크리트블럭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CN112392077A (zh) 三轴深层搅拌桩内插管桩中安装测斜管的方法
KR102415056B1 (ko) 품질검사 및 차수용부재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품질확인/보강 및 차수방법
Kronberg KBS-3H Preparations, assembly and installation of the Multi Purpose Test
CN110206307B (zh) 一种钢筋混凝土化粪池施工方法
CN211621668U (zh) 地下室基础改造结构
CN114658085A (zh) 模块式预制组合薄壁钢筋砼检查井施工方法
KR20070080891A (ko) 에프알피 하수도 맨홀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맨홀시공공법
KR20120000808U (ko)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