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947B1 -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 Google Patents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947B1
KR100988947B1 KR1020080122490A KR20080122490A KR100988947B1 KR 100988947 B1 KR100988947 B1 KR 100988947B1 KR 1020080122490 A KR1020080122490 A KR 1020080122490A KR 20080122490 A KR20080122490 A KR 20080122490A KR 100988947 B1 KR100988947 B1 KR 100988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bottle cap
mold
elevat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4064A (ko
Inventor
문삼주
Original Assignee
김사문
문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사문, 문삼주 filed Critical 김사문
Priority to KR1020080122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94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4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병목의 입구 내주면에 밀착 삽입되어 병목의 입구를 밀봉하는 언더컷 형태의 씰링과 병목 입구의 하단 외주면에 체결되어 병뚜껑을 병의 병목으로부터 분리시 병뚜껑 하단의 목고정부재가 병목에 지지되도록 스토퍼의 기능을 하는 립(Lip)이 일체로 성형되는 병뚜껑의 성형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병뚜껑의 외형에 대응하는 암형의 성형홈과 용융수지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게이트공이 형성된 암형 성형틀, 병목의 입구 내경에 대응하는 씰링 성형용 언더컷이 형성된 웅형 고정코어와 웅형 고정코어의 하부면 중심에 일정길이 형성된 고정로드로 이루어진 웅형 고정성형틀, 웅형 고정성형틀의 고정로드 외주면 상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로드와 웅형 고정코어의 두께에 비해 깊은 수용홈이 형성되어지되 수용홈의 내경면 상단부에는 웅형 고정코어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에 대응하는 홈형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과 외주면 상에 나선홈이 형성된 웅형 승강코어로 이루어진 웅형 승강성형틀, 웅형 승강성형틀의 웅형 승강코어 하부면을 지지하여 웅형 고정코어와 웅형 승강코어 상부면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한편 외주면 일측 높이에는 지지턱이 형성된 고정 지지원판 및 지지턱 상부측의 고정 지지원판 외주면 상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향으로의 상승을 통해 성형된 병뚜껑을 웅형 성형틀로부터 탈형시키는 승강 탈형판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성형기, 병뚜껑, 성형틀, 암형 성형틀, 웅형 성형틀

Description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 for bottle cap}
본 발명은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목의 입구 내주면에 밀착 삽입되어 병목의 입구를 밀봉하는 언더컷 형태의 씰링과 병목 입구의 하단 외주면에 체결되어 병뚜껑을 병의 병목으로부터 분리시 병뚜껑 하단의 목고정부재가 병목에 지지되도록 스토퍼의 기능을 하는 립(Lip)을 병뚜껑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할 수 있는 구조의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술이나 음료를 충진하기 위한 병으로는 가죽주머니, 금속재 병, 도자기 병, 유리병 및 플라스틱병 등 여러 가지 재질이 병들이 있으나, 현재는 대체적으로 유리병과 플라스틱병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때, 병에는 병의 입구에 해당하는 병목을 밀폐하여 충진된 술이나 음료 등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병뚜껑이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병뚜껑은 대체적으로 병목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하여 내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병목에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병뚜껑은 유리병에는 대체적으로 금속재의 병뚜껑을 사용하고, 플라스틱병에는 플라스틱재의 병뚜껑을 흔히 사용한다.
한편, 나사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진 병뚜껑의 구조를 살펴보면 병목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병목에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바디, 바디의 하단면 상에 형성되어 병목으로부터 바디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목고정부재, 바디를 회전시켜 병목으로부터 병뚜껑을 분리시 바디와 목고정부재 사이에서 수평으로 절개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수평절개라인 및 바디를 회전시켜 병목으로부터 병뚜껑을 분리시 수평절개라인의 절개에 앞서 목고정부재가 수평절개라인에 수직으로 파단되도록 형성되는 파단라인으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병뚜껑은 병목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병목으로부터 병뚜껑의 분리시 바디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목고정부재는 병목에 고정되려는 상태로 있고, 바디의 회전에 따라 수평절개라인과 파단라인 상에 응력이 집중되어감에 따라 절개와 파단이 이루어져 결국에는 병목에 목고정부재만이 남고 바디는 병목으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병뚜껑의 경우 나사 결합에 의한 결합을 통해 병목을 밀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병뚜껑을 병목으로부터 분리한 후 다시 나사 결합을 통해 체결하는 경우 그 밀폐력이 저하되어 병목과 병뚜껑 사이에는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종래의 병뚜껑과는 전혀 새로운 구조의 병뚜껑 즉, 병목의 입구 내주면에 밀착 삽입되어 병목의 입구를 1차로 밀봉하는 언더컷 형태의 씰링과 병목 입구의 하단 외주면에 체결되어 병뚜껑을 병의 병목으로부터 분리시 병뚜껑 하단의 목고정부재가 병목에 지지되도록 스토퍼의 기능을 하는 립(Lip)이 병뚜껑에 일체로 성형된 구조의 병뚜껑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언더컷 형태의 씰링과 립(Lip)이 일체로 성형된 새로운 구조의 병뚜껑을 적용함에 있어 기존의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로는 제조가 불가능함을 알고, 본 출원인이 개발한 새로운 구조의 병뚜껑을 대량으로 성형할 수 있는 구조의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역시 새롭게 개발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혀 새로운 구조의 병뚜껑을 대량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병목의 입구 내주면에 밀착 삽입되어 병목의 입구를 밀봉하는 언더컷 형태의 씰링과 병목 입구의 하단 외주면에 체결되어 병뚜껑을 병의 병목으로부터 분리시 병뚜껑 하단의 목고정부재가 병목에 지지되도록 스토퍼의 기능을 하는 립(Lip)이 일체로 성형되는 병뚜껑의 성형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병목의 입구 내주면에 밀착 삽입되어 병목의 입구를 밀봉하는 언더컷 형태의 씰링과 병목 입구의 하단 외주면에 체결되어 병뚜껑을 병의 병목으로부터 분리시 병뚜껑 하단의 목고정부재가 병목에 지지되도록 스토퍼의 기능을 하는 립(Lip)이 일체로 성형되는 병뚜껑의 성형시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는 병뚜껑의 외형에 대응하는 암형의 성형홈이 하부 내측면 상에 형성되어지되 상부면 중심에 용융수지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게이트공이 형성되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형 성형틀; 암형 성형틀의 성형홈 내부에 위치되어지되 병목의 입구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부측 모서리면에 씰링 성형용 언더컷이 형성된 웅형 고정코어와 웅형 고정코어의 하부면 중심에 웅형 고정코어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일정길이 형성된 고정로드로 이루어진 웅형 고정성형틀; 웅형 고정성형틀의 고정로드 외주면 상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승강로드와 웅형 고정코어의 두께에 비해 깊은 수용홈이 형성되어지되 수용홈의 내경면 상단부에는 웅형 고정코어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에 대응하는 홈형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과 외주면 상에 나선홈이 형성된 웅형 승강코어로 이루어져 웅형 고정성형틀과 함께 병뚜껑의 내형을 형성하는 웅형 승강성형틀; 웅형 승강성형틀의 승강로드 외주면 상에 위치고정되어지되 상단면을 통해 웅형 승강성형틀의 웅형 승강코어 하부면을 지지하여 웅형 고정코어와 웅형 승강코어 상부면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한편 외주면 일측 높이에는 지지턱이 형성된 고정 지지원판; 및 지지턱 상부측의 고정 지지원판 외주면 상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단면을 통해 암형 성형틀의 하단면을 지지하여 웅형 성형틀(웅형 고정성형틀과 웅형 승강성형틀)과의 상하 간격을 유지하는 하는 한편 상향으로의 상승을 통해 성형된 병뚜껑을 웅형 성형틀로부터 탈형시키는 승강 탈형판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병뚜껑의 성형시에는 승강 탈형판을 하강시켜 고정 지지원판의 지지턱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웅형 승강성형틀을 하강시켜 그 하단면이 승강 탈형판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웅형 고정코어와 웅형 승강코어의 상부면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암형 성형틀을 하강시켜 그 하단면이 승강 탈형판의 상부면 상에 지지되도록 한 구조에서 암형 성형틀의 게이트공을 통해 용융수지를 주입하여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시에는 암형 성형틀을 상승시킨 상태 또는 암형 성형틀의 상승과 동시에 웅형 승강성형틀을 상승시켜 성형된 병뚜껑으로부터 암형 성형틀과 웅형 고정성형틀로부터 탈형시킨 상태에서 승강 탈형판을 상승시켜 웅형 승강성형틀로부터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웅형 승강성형틀의 승강길이는 웅형 승강성형틀의 수용홈 바닥면으로부터 웅형 고정성형틀의 웅형 고정코어 하부면 사이의 길이만큼 승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암형 성형틀의 승강길이는 웅형 승강성형틀과 승강 탈형판의 합친 승강길이 이상으로 승강됨이 적당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 웅형 고정성형틀과 웅형 승강성형틀 사이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은 성형된 병뚜껑을 병의 병목에 결합시 병목의 입구에 일정길이 삽입되어 내경면에 밀착을 통해 병목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씰링을 성형하는 구성이라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웅형 고정성형틀과 웅형 승강성형틀 사이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은 이에 의해 성형되는 씰링의 구조가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다 끝단부에 이르러 내측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병목의 입구에 씰링의 삽입시에는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성형된 병뚜껑을 병목의 입구에 결합시 씰링의 벌어지려는 탄성력에 의해 병목의 내경면에 밀착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웅형 승강성형틀과 고정 지지원판 사이에는 병목에 체결된 병뚜껑을 병목으로부터 분리시 병뚜껑 하단을 형성하는 목고정부재가 병목에 지지되도록 스토퍼의 기능을 하는 립(Lip)을 성형하기 위한 립 성형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립 성형수단은 웅형 승강코어의 외곽 하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지되 내경에 립 성형용 언더컷이 형성된 암형 립 성형부; 고정 지지원판의 상단에 웅형 승강성형틀의 승강로드 외주면과 웅형 승강코어 하부면 및 암형 립 성형부가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암형 립 성형부의 립 성형용 언더컷에 대응하는 면에는 립 성형용 언더컷이 대향 이격 형성된 웅형 립 성형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립 성형수단에 의해 병뚜껑 하단에 성형되는 립(Lip)은 병뚜껑의 성형시에는 성형되는 병뚜껑의 하단으로부터 내측 중심의 상향으로 성형되는 반면,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시에는 승강 탈형판의 탈형에 따른 가압과 암형 립 성형부 하단에 의한 걸림을 통해 병뚜껑의 하단으로부터 내측 중심의 하향으로 펼쳐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암형 립 성형부와 웅형 립 성형부 각각에 대향 형성되는 립 성형용 언더컷의 면에는 상호 암수로 대응되는 삼각형 형태의 요 철이 더 형성되어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웅형 승강성형틀의 웅형 승강코어 상부면에는 병의 병목 입구측 외경면에 밀착되어 밀폐시키는 외경 씰링이 형성되도록 외경 씰링 성형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병목의 입구 내주면에 밀착 삽입되어 병목의 입구를 밀봉하는 언더컷 형태의 씰링과 병목 입구의 하단 외주면에 체결되어 병뚜껑을 병의 병목으로부터 분리시 병뚜껑 하단의 목고정부재가 병목에 지지되도록 스토퍼의 기능을 하는 립(Lip)이 일체로 성형되는 병뚜껑의 성형을 통해 전혀 새로운 구조의 병뚜껑을 제조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병목의 입구 내주면에 밀착 삽입되어 병목의 입구를 밀봉하는 언더컷 형태의 씰링과 병목 입구의 하단 외주면에 체결되어 병뚜껑을 병의 병목으로부터 분리시 병뚜껑 하단의 목고정부재가 병목에 지지되도록 스토퍼의 기능을 하는 립(Lip)이 일체로 성형되는 병뚜껑의 성형시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에 의한 병뚜껑의 성형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를 통해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을 위한 작용을 보인 제 1 작용도,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를 통해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을 위한 작용을 보인 제 2 작용도,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를 통해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을 위한 작용을 보인 제 3 작용도, 도 3d 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를 통해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을 위한 작용을 보인 제 4 작용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를 통해 성형된 병뚜껑을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를 통해 성형된 병뚜껑을 병목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100)는 병목(22)에 성형된 병뚜껑(10)의 결합시 병목(22)의 입구 내주면에 밀착 삽입되어 병목(22)의 입구를 밀봉하는 언더컷 형태의 씰링(14)과 병목(22) 입구의 하단 외주면에 체결되어 병뚜껑(10)을 병(20)의 병목(22)으로부터 분리시 병뚜껑 하단의 목고정부재(12)가 병목(22)에 지지되도록 스토퍼의 기능을 하는 립(Lip : 16)이 일체로 성형되는 병뚜껑(10)을 성형하기 위한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100)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병목(22)의 입구를 밀봉하는 언더컷 형태의 씰링(14)과 목고정부재(12)가 병목(22)에 지지되도록 스토퍼의 기능을 하는 립(Lip)이 일체로 성형된 병뚜껑(10)을 성형하기 위한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 성형기(100)는 병뚜껑(10)의 외형에 대 응하는 암형의 성형홈(112)과 용융수지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게이트공(114)이 형성된 암형 성형틀(110), 병목(22)의 입구 내경에 대응하는 씰링 성형용 언더컷(122a)이 형성된 웅형 고정코어(122)와 웅형 고정코어(122)의 하부면 중심에 일정길이 형성된 고정로드(124)로 이루어진 웅형 고정성형틀(120), 웅형 고정성형틀(120)의 고정로드(124) 외주면 상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로드(132)와 웅형 고정코어(122)의 두께에 비해 깊은 수용홈(134a)이 형성되어지되 수용홈(134a)의 내경면 상단부에는 웅형 고정코어(122)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122a)에 대응하는 홈형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134b)과 외주면 상에 나선홈(134c)이 형성된 웅형 승강코어(134)로 이루어진 웅형 승강성형틀(130),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웅형 승강코어(134) 하부면을 지지하여 웅형 고정코어(122)와 웅형 승강코어(134) 상부면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한편 외주면 일측 높이에는 지지턱(142)이 형성된 고정 지지원판(140) 및 지지턱(142) 상부측의 고정 지지원판(140) 외주면 상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향으로의 상승을 통해 성형된 병뚜껑(10)을 웅형 성형틀(120, 130)로부터 탈형시키는 승강 탈형판(15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100)를 통해 병목(22)의 입구를 밀봉하는 언더컷 형태의 씰링(14)과 목고정부재(12)가 병목(22)에 지지되도록 스토퍼의 기능을 하는 립(Lip)이 일체로 성형되는 병뚜껑(10)의 성형과 탈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병뚜껑(10)의 성형시에는 승강 탈형판(140)을 하강시켜 고정 지지원판(140)의 지지턱(142)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웅형 승강성형틀(130)을 하강시켜 그 하단면이 승강 탈형판(150) 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웅형 고정코어(122)와 웅형 승강코어(134)의 상부면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이러한 상태에서 암형 성형틀(110)을 하강시켜 그 하단면이 승강 탈형판(150)의 상부면 상에 지지되도록 한 구조에서 암형 성형틀(110)의 게이트공(114)을 통해 용융수지를 주입하여 병뚜껑(10)의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서 성형하고자 하는 병뚜껑(10)의 성형이 이루어진 후에는 탈형을 통해 성형된 병뚜껑(10)을 탈형하게 되는데 이러한 성형된 병뚜껑(10)의 탈형은 다음과 같이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성형된 병뚜껑(10)의 탈형시에는 암형 성형틀(110)을 상승시킨 상태 또는 암형 성형틀(110)의 상승과 동시에 웅형 승강성형틀(130)을 상승시켜 성형된 병뚜껑(10)으로부터 암형 성형틀(110)과 웅형 고정성형틀(120)로부터 탈형시킨 상태에서 승강 탈형판(150)을 상승시켜 웅형 승강성형틀(130)로부터 성형된 병뚜껑(10)을 탈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병뚜껑(10)의 성형과 탈형과정의 구성에서 성형된 병뚜껑(10)의 탈형시 상향으로 상승하는 암형 성형틀(110)과 웅형 승강성형틀(130)은 암형 성형틀(110)이 먼저 상승한 후 웅형 승강성형틀(130)이 이러서 상승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암형 성형틀(110)의 상승과 동시에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성형된 병뚜껑(10)의 탈형시 암형 성형틀(110)과 웅형 승강성형틀(130) 사이에서 탈형된 병뚜껑(10)을 분리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암형 성형틀(110)의 상승길이는 웅 형 승강성형틀(130)의 승강길이에 비해 긴 승강길이를 갖는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병뚜껑(10)의 성형과정과 성형된 병뚜껑(10)의 탈형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100)의 구성에서는 암형 성형틀(110)과 웅형 승강성형틀(130) 및 승강 탈형판(150)이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성됨을 알 수 있고, 웅형 고정성형틀(120)과 고정 지지원판(140)의 경우에는 고정되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암형 성형틀(110)은 성형하고자 하는 병뚜껑(10)의 외형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암형 성형틀(11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하고자 하는 병뚜껑(10)의 외형에 대응하는 암형의 성형홈(112)이 하부 내측면 상에 형성되어지되 상부면 중심에 용융수지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게이트공(11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암형 성형틀(11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되는 병뚜껑(10)의 하단에 띠의 형태로 형성되어 병목(22)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목고정부재(12)까지 성형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성형된 병뚜껑(10)으로부터 목고정부재(12)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성형된 병뚜껑(10)을 후가공을 통해 수평절개라인(18)을 형성하여야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암형 성형틀(110)은 성형된 병뚜껑(10)의 탈형을 위해서는 필히 승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암형 성형틀(110)의 승강길이는 후술하는 웅형 승강성형틀(130)과 승강 탈형판(150)의 합친 승강길이 이 상으로 승강됨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암형 성형틀(110)은 실질적으로 웅형 승강성형틀(130)과 승강 탈형판(150)의 합친 승강길이 그 이상으로 승강되어 성형된 병뚜껑(10)의 탈형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100)를 구성하는 웅형 성형틀로써의 웅형 고정성형틀(120)은 성형하고자 하는 병뚜껑(10)의 내경 일부와 립(Lip : 16)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웅형 고정성형틀(12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성형틀(110)의 성형홈(112) 내부에 위치되어지되 병목(22)의 입구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부측 모서리면에 씰링 성형용 언더컷(122a)이 형성된 웅형 고정코어(122)와 웅형 고정코어(122)의 하부면 중심에 웅형 고정코어(122)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일정길이 형성된 고정로드(124)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웅형 고정성형틀(120)은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웅형 고정성형틀(120)의 구성에서 상부를 이루는 웅형 고정코어(122)는 일정두께의 원반상으로 이루어지고, 원반상으로 이루어진 웅형 고정코어(122)의 상부측 모서리 부분에는 병목(22)의 입구 내주면에 밀착 삽입되어 병목(22) 입구의 내경을 밀봉하는 언더컷 형태의 씰링(14)을 성형하기 위한 씰링 성형용 언더컷(12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씰링 성형용 언더컷(122a)은 원반상의 웅형 고정코어(122)의 상부측 모서리 부분이 일정 경사각으로 모따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웅형 고정성형틀(120)은 일정길이의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로드(124) 상단에 씰링 성형용 언더컷(122a)이 형성된 원반 형태의 웅형 고정코어(122)가 일체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원반 형태의 웅형 고저코어(122)는 고정로드(124)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되 후술하는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수용홈(134a)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웅형 고정성형틀(120)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122a)은 후술하는 웅형 승강성형틀(130)에 구성된 씰링 성형용 언더컷(134b)과 이루는 씰링 성형홈을 통해 병목(22) 입구의 내경을 밀봉하기 위한 씰링(14)을 성형하게 된다. 이러한 씰링(14)은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된 병뚜껑(10)의 내측 상부면 상에 형성되어 병목(22)의 입구에 삽입을 통해 내경에 밀착됨으로써 병(20)의 입구를 밀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100)를 구성하는 웅형 성형틀로써의 웅형 승강성형틀(130)은 앞서 기술한 웅형 고정성형틀(120)과 함께 성형하고자 하는 병뚜껑(10)의 내경 일부와 립(Lip : 16)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웅형 승강성형틀(13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웅형 고정성형틀(120)의 고정로드(124) 외주면 상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승강로드(132)와 웅형 고정코어(122)의 두께에 비해 깊은 수용홈(134a)이 형성되어지되 수용홈(134a)의 내경면 상단부에는 웅형 고정코어(122)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122a)에 대응하는 홈형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134b)과 외주면 상에 나선홈(134c)이 형성된 웅형 승강코어(134)로 이루어져 웅형 고정성형틀(120)과 함께 병뚜껑(10)의 내형을 성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이러한 웅형 승강성형틀(130)은 상승을 통해 성형된 병뚜껑(10)을 웅형 고정성형틀(120)로부터 탈형시키는 기능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웅형 승강성형틀(130)은 상부를 구성하는 웅형 승강코어(134)와 하부를 구성하는 승강로드(132)가 일체로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웅형 승강코어(134)의 상부에는 앞서 기술한 웅형 고정성형틀(120의 웅형 고정코어(122)를 수용하기 위한 상향이 개방된 구조의 수용홈(134a)이 형성되고, 웅형 승강코어(134)의 하부 중심에는 일정길이의 승강로드(132)가 구성되며, 수용홈(134a) 바닥면 중심으로부터 승강로드(132) 중심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승강 관통홈(132a)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승강 관통홈(132a)의 내경은 웅형 승강성형틀(130)이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웅형 고정성형틀(120)의 하부를 이루는 고정로드(124)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형성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구성에서 웅형 승강코어(134)의 수용홈(134a)은 웅형 고정코어(122)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형성되는 한편 웅형 고정코어(122)의 두께에 비해 깊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웅형 승강코어(134)의 수용홈(134a) 내경의 상단부에는 웅형 고정코어(122)의 외경면에 형성된 씰링 성형용 언더컷(122a)과 함께 병뚜껑(10)의 씰링(14)을 형성하기 위한 씰링 성형용 언더컷(134b)이 형성된다. 즉, 웅형 고정성형틀(120)과 웅형 승강성형틀(130) 사이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122a, 134b)은 성형된 병뚜껑(10)을 병(20)의 병목(22)에 결합시 병목(22)의 입구에 일정길이 삽입되어 내경면에 밀착을 통해 병목(22)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씰링(14)을 성형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웅형 승강코어(134)의 상부에 형성된 수용 홈(134a)의 깊이가 웅형 고정코어(122)의 두께에 비해 깊은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승강길이는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수용홈(134a) 바닥면으로부터 웅형 고정성형틀(120)의 웅형 고정코어(122) 하부면 사이의 길이만큼 승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웅형 성형틀로써의 웅형 승강성형틀(130)은 그 내측 중심의 승강 관통홈(132a)을 통해 앞서 기술한 웅형 고정성형틀(120)의 고정로드(124)를 삽입 결합하여 웅형 고정성형틀(120)의 웅형 고정코어(122)가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웅형 승강코어(134)의 수용홈(134a) 내측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처럼 결합되는 웅형 고정성형틀(120)과 결합되는 웅형 승강성형틀(130)은 고정된 웅형 고정성형틀(120)의 고정로드(124) 상에서 상하로 승강되어진다. 이때,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승강길이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승강성형틀(130)의 수용홈(134a) 바닥면으로부터 웅형 고정성형틀(120)의 웅형 고정코어(122) 하부면 사이의 길이만큼 승강되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웅형 고정성형틀(120)과 웅형 승강성형틀(130) 사이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122a, 134b)은 이에 의해 성형되는 씰링(14)의 구조가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다 끝단부에 이르러 내측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씰링 성형용 언더컷(122a, 134b)에 의해 성형되는 씰링(14)은 성형된 병뚜껑(10)을 병목(22)에 결합시 병목(22) 입구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씰링(14)의 벌어지려는 탄성력에 의해 병목(22)의 내경면에 밀착되어 병목(22) 입구를 보다 완전하게 밀폐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웅형 승강코어(134) 상부면에는 병(20)의 병목(22) 입구측 외경면에 밀착되어 밀폐시키는 외경 씰링(14a)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외경 씰링 성형홈(134d)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외경 씰링 성형홈(134d)에 의해 성형되는 외경 씰링(14a)은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성형된 병뚜껑(10)을 병(20)의 병목(22)에 결합시 병목(22) 입구측 외경면에 밀착되어 병목(22) 입구를 2차적으로 밀폐시키게 된다. 물론, 병목(22) 입구의 1차적인 밀폐는 병목(22) 입구의 내경면을 밀폐시키는 씰링(14)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웅형 승강성형틀(130)은 웅형 승강코어(134)의 상부면과 수용홈(134a) 내부에 수용되는 웅형 고정코어(122) 상부면이 동일 수평면상으로 유지되어 암형 성형틀(110)과 이루는 공간을 통해 병뚜껑(10)을 성형한 상태에서 암형 성형틀(110)이 상승된 후 또는 암형 성형틀(110)의 상승과 동시에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수용홈(134a) 바닥면으로부터 웅형 고정성형틀(120)의 웅형 고정코어(122) 하부면 사이의 길이만큼 승강되어 웅형 고정코어(122)로부터 성형된 병뚜껑(10)을 탈형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100)를 구성하는 고정 지지원판(140)은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하부를 지지하여 성형하고자 하는 병뚜껑(10)의 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고정 지지원판(14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승강로드(132) 외주면 상에 위치고정되는 한편 상단면을 통해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웅형 승강코어(134) 하부면을 지지하여 웅형 고정코어(122)와 웅형 승강코어(134) 상부면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성형하고자하는 병뚜껑(10)의 내부 형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 지지원판(140)이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승강로드(132) 외주면 상에 위치고정된다는 것은 단지, 고정 지지원판(140)이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승강로드(132) 외주면 상에 위치되어 그 상태로 상하로 승강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고정 지지원판(140)이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승강로드(132) 외주면 상에 위치고정되는 것과 웅형 승강성형틀(130)이 상하로 승강하는 것은 무관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 지지원판(140)이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승강로드(132) 외주면 상에 위치 고정된다하여도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승강로드(132)와는 아무런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 지지원판(140)은 그 상단을 통해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웅형 승강코어(134) 하부를 지지하여 웅형 승강코어(134)의 상단면이 웅형 고정코어(122)의 상단면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고정 지지원판(14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지지턱(142)을 통해 후술하는 승강 탈형판(150)을 지지하여 승강 탈형판(150) 상단면을 통해 암형 성형틀(110)의 하단면이 지지되어 암형 성형틀(110), 웅형 고정성형틀(120), 웅형 승강성형틀(130), 고정 지지원판(140) 및 승강 탈형판(150)의 조합을 통해 성형공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고정 지지원판(140)의 외주면은 상부측의 외주면 지름이 하부측 외주면 지름에 비해 작게 형성하여 그 경계면 상에 지지턱(142)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때, 지지턱(142) 상부측의 고정 지지원판(140) 외주면은 상부로부터 하부측으로 점점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지지턱(142)과 지지턱(142) 상부측의 고정 지지원판(140) 외주면을 상부로부터 하부측으로 점점 확장되는 구조로 한 것을 후술하는 승강 탈형판(150)을 지지턱(142) 상부측으로 지지하여 승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100)를 구성하는 승강 탈형판(150)은 암형 성형틀(110)을 지지하는 한편 상승을 통해 성형된 병뚜껑(10)을 웅형 승강성형틀(130)로부터 탈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 탈형판(150)은 고정 지지원판(140) 외주면 상에 형성된 지지턱(142) 상부측의 고정 지지원판(140) 외주면 상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단면을 통해 암형 성형틀(110)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지지원판(140) 외주면 상에 형성된 지지턱(142) 상부측의 고정 지지원판(140) 외주면 상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단면을 통해 암형 성형틀(110)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구조의 승강 탈형판(150)은 상단면을 통해 암형 성형틀(110)의 하단면을 지지하여 암형 성형틀(110)과 웅형 고정성형틀(120) 및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상하 간격을 유지하는 하는 한편 상향으로의 상승을 통해 성형된 병뚜껑(10)을 웅형 승강성형틀(130)로부터 탈형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승강 탈형판(150)의 중심부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고정 지지원판(140)의 지지턱(142) 상부측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하부로 확장되는 확장공(152)이 형성되어 고정 지지원판(140)의 지지턱(142) 상부측의 외 주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처럼 상부로부터 하부로 확장되는 구조의 확장공(152)이 형성됨으로써 고정 지지원판(140)의 지지턱(142) 상부측의 외주면 상에 승강 탈형판(1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승강 탈형판(150)의 승강시 고정 지지원판(140)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승강 탈형판(150)은 성형된 병뚜껑(10)을 탈형시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상승에 의해 웅형 고정성형틀(120)로부터 탈형된 병뚜껑(10)을 상승을 통해 웅형 승강성형틀(130)로부터 성형된 병뚜껑(10)을 완전하게 탈형시킨다. 이때, 승강 탈형판(150)의 상승을 통해 웅형 승강성형틀(130)로부터 성형된 병뚜껑(10)을 탈형시키기 위해서는 승강 탈형판(150)의 상단면 상에 성형된 병뚜껑(10)의 지지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탈형판(150)의 상단면에 성형된 병뚜껑(10)의 하단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승강 탈형판(150)의 안쪽 상단면이 암형 성형틀(110)의 하단면 안쪽면에 비해 안쪽으로 더 돌출되어 성형되는 병뚜껑(10)의 하단면이 승강 탈형판(150)의 안쪽 상단면 상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10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암형 성형틀(110), 웅형 고정성형틀(120), 웅형 승강성형틀(130), 고정 지지원판(140) 및 승강 탈형판(150)의 구성 이외에도 웅형 승강성형틀(130)과 고정 지지원판(140) 사이에는 병목(22)에 체결되는 병뚜껑(10)을 병목(22)으로부터 분리시 병뚜껑(10) 하단을 형성하는 목고정부재(12)가 병목(22)에 지지되도록 스토퍼의 기능을 하는 립(Lip : 16)을 성형하기 위한 립 성형수단이 더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립(16)을 성형하기 위한 립 성형수단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웅형 승강코어(134)의 외곽 하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지되 내경에 립 성형용 언더컷(160a)이 형성된 암형 립 성형부(160), 고정 지지원판(140)의 상단에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승강로드(132) 외주면과 웅형 승강코어(134) 하부면 및 암형 립 성형부(160)가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암형 립 성형부(160)의 립 성형용 언더컷(160a)에 대응하는 면에는 립 성형용 언더컷(162a)이 대향 이격 형성된 웅형 립 성형부(162)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암형 립 성형부(160)의 립 성형용 언더컷(160a)과 웅형 립 성형부(162)의 립 성형용 언더컷(162a)에 의해 성형되는 립(16)이 암형 성형틀(110), 웅형 고정성형틀(120), 웅형 승강성형틀(130), 고정 지지원판(140) 및 승강 탈형판(150)에 의해 성형되는 병뚜껑(10)의 하단에 일체로 성형되기 위해서는 암형 립 성형부(160)의 립 성형용 언더컷(160a)과 웅형 립 성형부(162)의 립 성형용 언더컷(162a)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웅형 립 성형부(162)의 립 성형용 언더컷(162a) 하단에는 성형되는 립(16)과 병뚜껑(10)의 하단이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웅형 립 성형부(162)의 립 성형용 언더컷(162a) 하단에 간극턱(162b)을 형성하여 암형 립 성형부(160)의 하단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립 성형수단을 통해 성형되는 립(16)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립 성형부(160)의 립 성형용 언더컷(160a)과 웅형 립 성형부(162)의 립 성형용 언더컷(162a) 사이의 립 성형홈과 같이 안쪽으로 꺾인 상태로 성형이 이루어지고, 탈형시에는 도 3a 내지 도 3d 의 탈형과정을 통해 도 3d 및 도 4 에서와 같이 성형된 병뚜껑(10)의 하부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로 탈형이 이루어진다. 물론, 성형된 병뚜껑(10)을 병(20)의 병목(22)에 체결하는 경우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16)이 병뚜껑(10)의 내부 안쪽으로 꺾인 상태로 체결되어진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립 성형수단에 의해 병뚜껑(10) 하단에 성형되는 립(Lip : 16)은 병뚜껑(10)의 성형시에는 성형되는 병뚜껑(10)의 하단으로부터 내측 중심의 상향으로 성형되는 반면, 성형된 병뚜껑(10)의 탈형시에는 승강 탈형판(150)의 탈형에 따른 가압과 암형 립 성형부(160) 하단에 의한 걸림을 통해 병뚜껑(10)의 하단으로부터 내측 중심의 하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립 성형수단의 구성에서 암형 립 성형부(160)와 웅형 립 성형부(162) 각각에 대향 형성되는 립 성형용 언더컷(160a, 162a)의 면에는 상호 암수로 대응되는 삼각형 형태의 요철(164)이 더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된 삼각형 형태의 요철(164)에 의해 성형된 립(16)에는 삼각형 형태의 요철면(16a)이 형성되어 주름진 상태를 이룬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의 요철(164)에 의해 병뚜껑(10) 하단에 성형된 립(16) 상에 주름진 상태의 삼각형 요철면(16a)이 형성됨으로써 성형된 병뚜껑(10)의 탈형시 또는 성형된 병뚜껑(10)을 병(20)의 병목(22)에 체결시 주름진 상태의 삼각형 요철면(16a)의 펴짐에 의해 하향의 바깥쪽으로 또는 상향의 안쪽으로 립(16)이 용이하게 출몰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100)를 통한 병뚜껑(10)의 성형과 성형된 병뚜껑(10)의 탈형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네 도시된 바와 같이 병뚜껑(10)을 성형하기 위한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100)의 준비과정으로 고정 지지원판(140)의 지지턱(142) 상부면으로 승강 탈형판(140)을 하강시켜 지지되도록 한 후, 웅형 승강성형틀(130)을 하강시켜 그 하단면이 승강 탈형판(150)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웅형 고정코어(122)와 웅형 승강코어(134)의 상부면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암형 성형틀(110)을 하강시켜 그 하단면이 승강 탈형판(150)의 상부면 상에 지지되도록 하여 성형하고자 하는 병뚜껑의 형을 형성하는 성형공간이 암형 성형틀(110), 웅형 고정성형틀(120), 웅형 승강성형틀(130), 고정 지지원판(140), 승강 탈형판(150) 및 립 성형수단에 의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암형 성형틀(110), 웅형 고정성형틀(120), 웅형 승강성형틀(130), 고정 지지원판(140), 승강 탈형판(150) 및 립 성형수단을 통해 성형하고자 하는 병뚜껑의 형을 형성하는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후에는 도 2 에서와 같이 암형 성형틀(110)의 게이트공(114)을 통해 용융수지를 주입하여 일정시간의 굳히기를 통해 암형 성형틀(110), 웅형 고정성형틀(120), 웅형 승강성형틀(130), 고정 지지원판(140), 승강 탈형판(150) 및 립 성형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성형공간과 같은 형태의 병뚜껑(10)을 성형한다.
전술한 도 2 에서와 같이 주입된 용융수지를 일정시간의 굳히기를 통해 병뚜 껑(10)을 성형한 후에는 탈형과정이 이루어지는데 도 3a 에서와 같이 암형 성형틀(110)을 상승 또는 암형 성형틀(110)의 상승과 동시에 도 3b 에서와 같이 웅형 승강성형틀(130)을 상승시켜 성형된 병뚜껑(10)이 암형 성형틀(110) 또는 암형 성형틀(110)과 웅형 고정코어(122)로부터 탈형되도록 한다. 이때, 도 3a 와 도 3b 에서는 편의상 암형 성형틀(110)이 먼저 상승한 후, 웅형 승강성형틀(130)이 상승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암형 성형틀(110)의 상승 후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암형 성형틀(110)의 상승과 동시에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암형 성형틀(110)의 상승과 동시에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전술한 도 3a 와 도 3b 에서와 같이 암형 성형틀(110)의 상승과 동시에 웅형 승강성형틀(130)을 상승시켜 암형 성형틀(110)과 웅형 고정코어(122)로부터 병뚜껑(10)이 탈형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병뚜껑(10) 하단에 성형된 립(16) 역시 고정 지지원판(140) 상단의 웅형 립 성형부(162)로부터 탈형이 이루어진다. 물론, 성형된 립(16)은 암형 립 성형부(160)로부터는 탈형되지 않은 상태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암형 성형틀(110)의 상승과 동시에 웅형 승강성형틀(130)의 상승이 이루어져 성형된 병뚜껑(10)이 암형 성형틀(110)과 웅형 고정코어(122)로부터 탈형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웅형 승강성형틀(130)은 웅형 고정코어(122)의 하부면과 웅형 승강코어(134)의 수용홈(134a) 바닥면 사이의 길이만큼 상승이 이루어지는 반면, 암형 성형틀(110)은 웅형 승강성형틀(130)과 승강 탈형 판(150)의 합친 상승길이 이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암형 성형틀(110)의 상승길이는 승강 탈형판(150)의 상승에 의해 웅형 승강코어(134)로부터 탈형되어 승강 탈형판(150)의 상단면에 지지된 병뚜껑(10)의 상단면 이상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a 와 도 3b 에서와 같이 암형 성형틀(110)의 상승과 동시에 도 3b 에서와 같이 웅형 승강성형틀(130)을 상승시켜 성형된 병뚜껑(10)이 암형 성형틀(110)과 웅형 고정코어(122)로부터 탈형되도록 한 후에는 도 3c 에서와 같이 승강 탈형판(150)을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웅형 승강성형틀(130)에 지지된 상태의 성형된 병뚜껑(10)이 웅형 승강성형틀(130)로부터 탈형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 3c 에서와 같이 승강 탈형판(150)을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웅형 승강성형틀(130)에 지지된 상태의 성형된 병뚜껑(10)이 웅형 승강성형틀(130)로부터 점진적으로 탈형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성형된 립(16) 역시 암형 립 성형부(160)로부터 탈형이 이루어지면서 도 3c 및 도 3d 에서와 같이 병뚜껑(10) 하부의 바깥쪽으로 뒤집어지면서 승강 탈형판(150)의 최대높이 상승시 결국 성형된 병뚜껑(10)은 도 3d 에서와 같이 승강 탈형판(150)의 상단면에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성형된 병뚜껑(10)을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110)로부터 제거하면 하나의 병뚜껑(10)이 제조되어진다.
한편, 다시 병뚜껑(10)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승강 탈형판(150), 웅형 승강성형틀(130) 및 암형 성형틀(110)이 차례로 하강하여 병뚜껑(10)의 성형 준비과정으로 복귀한 후, 병뚜껑(10)의 성형과 탈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 에서와 같은 성형 준비과정과 성형과정 및 탈형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제조된 병뚜껑(10)은 도 4 에서와 같다. 이처럼 도 4 에서와 같이 최종적으로 제조된 병뚜껑(10)을 병(20)의 내부에 내용물을 충진하여 병목(22)을 밀봉하는 경우에는 도 5 에서와 같이 병뚜껑(10) 내측의 씰링(14)은 병목(22)의 입구 내주면에 밀착 삽입되어 병목(22)의 입구를 밀봉하게 되고, 병뚜껑(10) 하단의 립(16)은 병뚜껑(10)의 내측 상향으로 꺾임 되어 병목(22)에 형성된 걸림턱(24) 상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병뚜껑(10)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립(16)이 걸림턱(24)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수평절개라인(18)의 절개가 이루어져 결국, 병뚜껑(10)의 하부를 이루는 목고정부재(12)만이 병목(220의 걸림턱(24)에 걸려 있는 립(16)의 스토퍼 기능에 의해 남게 되고, 목고정부재(12) 상부의 병뚜껑만이 분리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100)는 병목(22)의 입구 내주면에 밀착 삽입되어 병목(22)의 입구를 밀봉하는 언더컷 형태의 씰링(14)과 병목(22) 입구의 하단 외주면에 체결되어 병뚜껑(10)을 병(20)의 병목(22)으로부터 분리시 병뚜껑(10) 하단의 목고정부재(12)가 병목(22)에 지지되도록 스토퍼의 기능을 하는 립(Lip : 16)이 일체로 성형된 구조의 병뚜껑(10)을 제조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에 의한 병뚜껑의 성형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를 통해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을 위한 작용을 보인 제 1 작용도.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를 통해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을 위한 작용을 보인 제 2 작용도.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를 통해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을 위한 작용을 보인 제 3 작용도.
도 3d 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를 통해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을 위한 작용을 보인 제 4 작용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를 통해 성형된 병뚜껑을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를 통해 성형된 병뚜껑을 병목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분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병뚜껑 12. 목고정부재
14. 씰링 14a. 외경 씰링
16. 립(Lip) 16a. 요철면
18. 수평절개라인 20. 병
22. 병목 24. 걸림턱
100.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110. 암형 성형틀
112. 성형홈 120. 웅형 고정성형틀
122. 웅형 고정코어 122a, 134b. 씰링 성형용 언더컷
124. 고정로드 130. 웅형 승강성형틀
132. 승강로드 134. 웅형 승강코어
140. 고정 지지원판 142. 지지턱
150. 승강 탈형판 160. 암형 립 성형부
162. 웅형 립 성형부 160a, 162a. 립 성형용 언더컷
162b. 간극턱 164. 요철

Claims (11)

  1. 병뚜껑의 외형에 대응하는 암형의 성형홈이 하부 내측면 상에 형성되어지되 상부면 중심에 용융수지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게이트공이 형성되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형 성형틀;
    상기 암형 성형틀의 성형홈 내부에 위치되어지되 병목의 입구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부측 모서리면에 씰링 성형용 언더컷이 형성된 웅형 고정코어와 상기 웅형 고정코어의 하부면 중심에 상기 웅형 고정코어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일정길이 형성된 고정로드로 이루어진 웅형 고정성형틀;
    상기 웅형 고정성형틀의 고정로드 외주면 상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승강로드와 상기 웅형 고정코어의 두께에 비해 깊은 수용홈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수용홈의 내경면 상단부에는 상기 웅형 고정코어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에 대응하는 홈형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과 외주면 상에 나선홈이 형성된 웅형 승강코어로 이루어져 상기 웅형 고정성형틀과 함께 상기 병뚜껑의 내형을 형성하는 웅형 승강성형틀;
    상기 웅형 승강성형틀의 승강로드 외주면 상에 위치고정되어지되 상단면을 통해 상기 웅형 승강성형틀의 웅형 승강코어 하부면을 지지하여 상기 웅형 고정코어와 웅형 승강코어 상부면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한편 외주면 일측 높이에는 지지턱이 형성된 고정 지지원판; 및
    상기 지지턱 상부측의 상기 고정 지지원판 외주면 상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 되어지되 상단면을 통해 상기 암형 성형틀의 하단면을 지지하여 상기 웅형 성형틀(웅형 고정성형틀과 웅형 승강성형틀)과의 상하 간격을 유지하는 하는 한편 상향으로의 상승을 통해 성형된 병뚜껑을 상기 웅형 승강성형틀로부터 탈형시키는 승강 탈형판으로 이루어진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뚜껑의 성형시에는 상기 승강 탈형판을 하강시켜 상기 고정 지지원판의 지지턱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웅형 승강성형틀을 하강시켜 그 하단면이 상기 승강 탈형판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웅형 고정코어와 웅형 승강코어의 상부면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암형 성형틀을 하강시켜 그 하단면이 상기 승강 탈형판의 상부면 상에 지지되도록 한 구조에서 상기 암형 성형틀의 게이트공을 통해 용융수지를 주입하여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상기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시에는 상기 암형 성형틀을 상승시킨 상태 또는 상기 암형 성형틀의 상승과 동시에 상기 웅형 승강성형틀을 상승시켜 상기 성형된 병뚜껑으로부터 상기 암형 성형틀과 웅형 고정성형틀로부터 탈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승강 탈형판을 상승시켜 상기 웅형 승강성형틀로부터 상기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웅형 승강성형틀의 승강길이는 상기 웅형 승강성형틀의 수용홈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웅형 고정성형틀의 웅형 고정코어 하부면 사이의 길이만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성형틀의 승강길이는 상기 웅형 승강성형틀과 승강 탈형판의 합친 승강길이 이상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웅형 고정성형틀과 웅형 승강성형틀 사이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은 상기 성형된 병뚜껑을 병의 병목에 결합시 병목의 입구에 일정길이 삽입되어 내경면에 밀착을 통해 상기 병목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씰링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웅형 고정성형틀과 웅형 승강성형틀 사이의 씰링 성형용 언더컷은 이에 의해 성형되는 씰링의 구조가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다 끝단부에 이르러 내측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병목의 입구에 상기 씰링의 삽입시에는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성형된 병뚜껑을 상기 병목의 입구에 결합시 상기 씰링의 벌어지려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병목의 내경면에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웅형 승강성형틀과 고정 지지원판 사이에는 상기 병목에 체결된 상기 병뚜껑을 병목으로부터 분리시 병 뚜껑 하단을 형성하는 목고정부재가 병목에 지지되도록 스토퍼의 기능을 하는 립(Lip)을 성형하기 위한 립 성형수단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립 성형수단은 상기 웅형 승강코어의 외곽 하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지되 내경에 립 성형용 언더컷이 형성된 암형 립 성형부;
    상기 고정 지지원판의 상단에 상기 웅형 승강성형틀의 승강로드 외주면과 웅형 승강코어 하부면 및 암형 립 성형부가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암형 립 성형부의 립 성형용 언더컷에 대응하는 면에는 립 성형용 언더컷이 대향 이격 형성된 웅형 립 성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립 성형수단에 의해 상기 병뚜껑 하단에 성형되는 립(Lip)은 상기 병뚜껑의 성형시에는 성형되는 병뚜껑의 하단으로부터 내측 중심의 상향으로 성형되는 반면, 상기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시에는 상기 승강 탈형판의 탈형에 따른 가압과 상기 암형 립 성형부 하단에 의한 걸림을 통해 상기 병뚜껑의 하단으로부터 내측 중심의 하향으로 펼쳐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립 성형부와 웅형 립 성형부 각각에 대향 형성되는 립 성형용 언더컷의 면에는 상호 암수로 대응되는 삼각형 형태의 요철이 더 형성되어 상기 성형된 병뚜껑의 탈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웅형 승강성형틀의 웅형 승강코어 상부면에는 상기 병의 병목 입구측 외경면에 밀착되어 밀폐시키는 외경 씰링이 형성되도록 외경 씰링 성형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KR1020080122490A 2008-12-04 2008-12-04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KR100988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490A KR100988947B1 (ko) 2008-12-04 2008-12-04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490A KR100988947B1 (ko) 2008-12-04 2008-12-04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064A KR20100064064A (ko) 2010-06-14
KR100988947B1 true KR100988947B1 (ko) 2010-10-29

Family

ID=4236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490A KR100988947B1 (ko) 2008-12-04 2008-12-04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9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864B1 (ko) 2015-12-11 2016-05-02 제이씨텍(주) 콤프레션몰드를 대체한 브이스커트 사출금형
KR20200117532A (ko) * 2019-04-04 2020-10-14 최병수 사출물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59758B (zh) * 2010-12-01 2013-06-12 陈泰宇 模具吹气装置
KR101423166B1 (ko) * 2012-11-07 2014-07-28 이중재 언더컷을 갖는 파이프 형상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SE538508C2 (en) * 2014-11-21 2016-08-23 Petro-Pack Ab A method and a device for producing a package closure
KR102131146B1 (ko) * 2019-06-14 2020-07-07 제이씨텍(주) 중심 코어 이동형 사출금형 장치
KR102256651B1 (ko) * 2019-06-14 2021-05-26 제이씨텍(주) 중심 코어 고정형 사출금형 장치
CN116834199B (zh) * 2023-08-03 2024-01-30 连云港恒嘉模具科技有限公司 一种酒瓶盖的注塑成型模具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3109A (ja) 1982-08-19 1984-02-22 Mikasa Sangyo Kk 瓶蓋及び瓶蓋形成用金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3109A (ja) 1982-08-19 1984-02-22 Mikasa Sangyo Kk 瓶蓋及び瓶蓋形成用金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864B1 (ko) 2015-12-11 2016-05-02 제이씨텍(주) 콤프레션몰드를 대체한 브이스커트 사출금형
KR20200117532A (ko) * 2019-04-04 2020-10-14 최병수 사출물의 제조 방법
KR102276615B1 (ko) * 2019-04-04 2021-07-12 최병수 사출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064A (ko) 2010-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947B1 (ko)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US8066133B2 (en) Synthetic resin cap, closing device, and container-packed beverage
US10974884B2 (en) Closure assembly and container provided with said closure assembly
JP3655167B2 (ja) 不正操作指示クロージュア及び製造方法
PL196557B1 (pl) Zamknięcie pojemnika, opakowanie składające się z pojemnika i zamknięcia, sposób wytwarzania zamknięcia oraz sposób napełniania i kapslowania pojemnika za pomocą zamknięcia
KR20150034214A (ko) 장식형 엠보싱면 및/또는 디보싱면을 갖는 화장품 제조방법
TW202120395A (zh) 用於容器之蓋件
KR20070061852A (ko) 마개용 밀봉 수단, 마개 및 공정
KR101761362B1 (ko) 립스틱 성형용 탄성몰드
KR100396326B1 (ko) 플라스틱 마개용 도자기 병 및 그 제조방법
KR101224974B1 (ko) 캡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RU2673607C2 (ru) Синтетическая эластомерная пробка с индикацией вскрытия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RU212635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упорки емкости, емкость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KR200424083Y1 (ko) 수액팩용 밀봉 캡 및 그것을 제조하는 금형
KR200457796Y1 (ko) 립스틱 성형장치
JP5889011B2 (ja) 封緘付きネジキャップの成形金型
WO2017209756A1 (en) Closure with liner
US8646635B2 (en) Scallop cap closures
JPH11115953A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4511846B2 (ja) 牛乳壜用樹脂キャップ
KR200465238Y1 (ko) 립스틱 제조용 금형
KR101073078B1 (ko)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JP2013177183A (ja) 合成樹脂製ヒンジキャップ
JP2013173560A (ja) 樹脂製キャップ
JP5188743B2 (ja) 抜栓式中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