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532A - 사출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사출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532A
KR20200117532A KR1020190039762A KR20190039762A KR20200117532A KR 20200117532 A KR20200117532 A KR 20200117532A KR 1020190039762 A KR1020190039762 A KR 1020190039762A KR 20190039762 A KR20190039762 A KR 20190039762A KR 20200117532 A KR20200117532 A KR 20200117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injection product
manufacturing
hook portio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615B1 (ko
Inventor
최병수
Original Assignee
최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수 filed Critical 최병수
Priority to KR102019003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61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8Moulds having screw-threaded moul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12Construction of heating or cooling fluid flow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33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5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물이 금형에 결합된 상태에서, 후크부의 하면과 제3 코어의 상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제1 코어가 제2 코어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후크부가 변형되면서 사출물이 제2 코어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제2 단계, 제4 코어가 제1 코어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면을 제1 코어와 이격시키는 제3 단계 및 사출물을 금형에서 분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출물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injection molding product}
본 발명은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물의 변형을 최소화시키면서 사출물을 성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코어를 동작시키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용기에 성분이 다른 두 개의 내용물을 각각 별개의 공간에 보관할 경우, 서로 다른 성분을 혼합할 때보다 보관 기간이 훨씬 증가하게 된다.
또한, 액상 형태 등의 주 내용들과 보조 내용물이 별개로 보관되어 먹기 직전에 혼합되는 경우, 맛의 성분 등의 변하지 않게 되므로 주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이 서로 혼합되어 보관되는 경우보다 식음료의 맛과 영양이 훨씬 좋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나의 용기에 성분이 다른 두 개의 내용물(유체인 음료, 고체인 알약)을 나누어서 보관하는 구조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2000-0065434 A
(특허문헌 2) KR10-1225364 B1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후크부의 하면과 제3 코어의 상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형성한 후 제1 코어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사출물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금형으로부터 사출물을 분리할 수 있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출물의 제조 방법은, 사출물은 금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사출물은, 상면, 상기 상면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면, 상기 측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용부 및 상기 측면의 내측에서 연장되고,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형은, 상부가 상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코어, 상기 제1 코어를 둘러싸고, 상부가 상기 수용부와 상기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코어, 상기 제2 코어를 둘러싸고, 상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후크부의 하면과 접하는 제3 코어 및 상기 제3 코어를 둘러싸고, 상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면의 하단부와 접하는 제4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의 하면과 상기 제3 코어의 상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코어가 상기 제2 코어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크부가 변형되면서 상기 사출물이 상기 제2 코어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제2 단계, 상기 제4 코어가 상기 제1 코어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면을 상기 제1 코어와 이격시키는 제3 단계 및 상기 사출물을 상기 금형에서 분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2 코어와 상기 제3 코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태에서, 상기 제3 코어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2 코어와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측면의 내측에서 내측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후크부 및 상기 제1 후크부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2 후크부는 하방을 향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후크부는 하방을 향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4 코어는 상기 제2 코어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4 코어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단부와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이후에, 상기 후크부는 하방을 향하고 있고, 상기 후크부가 내측을 향하도록 변형시키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측면의 내측의 서로 다른 부분에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상기 측면과 상기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어는 상기 날개부가 수용되는 날개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에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날개홈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수용부보다 하방으로 짧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날개홈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수용부의 일부는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 사이의 공간에서 분리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상기 측면의 내측에서 연장되는 나사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어는 측부에 형성된 나사산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에서, 상기 나사산부는 상기 나사산홈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부는 상기 후크부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나사산부는 상기 나사산홈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4 코어는 상기 하단부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상기 사출물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상부 측면 및 하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측면과 상기 하부 측면은 서로 이격되되, 적어도 일부가 절취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상기 상부 측면과 상기 하부 측면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코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사이 공간에서 분리되는 슬라이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단계는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 Low Density Polyethylene) 및 선형저밀도 폴리프로필렌(LLDPE : Liner Low Density Polyethyl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는 냉각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은 후크부의 하면과 제3 코어의 상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형성한 후 제1 코어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사출물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금형으로부터 사출물을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출물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사출단계에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슬라이드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제1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제2 단계의 후크부가 변형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후크부가 완전히 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제3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제4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A영역을 나타낸 부분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출물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2를 참조하여 사출물(100)을 설명한다. 사출물(100)은 본 발명의 사출물의 제조 방법을 통해서 완성된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 Low Density Polyethylene) 및 선형저밀도 폴리프로필렌(LLDPE : Liner Low Density Polyethyl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사출물(100)은 상면(110), 측면(120), 나사산부(130), 수용부(140), 날개부(150) 및 후크부(160)를 포함한다.
상면(110)은 사출물(100)의 상부면에 해당한다. 상면(110)의 테두리 부분은 상면(110)의 중앙 부분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면(110)의 테두리 부분과 상면의 중앙 부분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상면(110)은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중앙부 상면(111) 및 중앙부 상면(111)의 테두리 부분에 위치하는 테두리 상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110)의 끝단은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면(1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면(110)과 측면(120)은 절곡된 형태를 지닌다.
측면(120)은 상면(110)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측면(120)은 상부 측면(121) 및 하부 측면(122)을 포함한다.
상부 측면(121)은 상면(110)의 끝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된다. 하부 측면(122)은 링형상일 수 있고, 상부 측면(121)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부 측면(121)과 하부 측면(122)은 서로 이격되되, 적어도 일부가 절취부(12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하부 측면(122)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절취부(123)는 상부 측면(121)의 하단과 하부 측면(122)의 상단에 결합된다. 절취부(123)는 복수개가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부 측면(121), 하부 측면(122) 및 복수개의 절취부(123)가 이루는 절취공간(125)이 형성된다.
이때, 절취부(123)의 두께는 상부 측면(121)의 두께 및 하부 측면(12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는 사용자가 상부 측면(121)을 파지한 후 하부 측면(122)을 가압하면, 가압하는 힘에 의해 절취부(123)가 끊어짐에 따라 상부 측면(121)과 하부 측면(122)가 쉽게 분리되도록 지원한다.
나사산부(130)는 측면(120)의 내측에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나사산(130)은 측면(120)의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사산(130)은 내측을 향하도록 돌출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40)는 측면(1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면(1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40)는 중앙부 상면(111)과 테두리 상면(112)가 접하는 부분(=단차진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수용부(140)는 상부 측면(12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40)는 중앙부 상면(111)과 이루는 공간(S1)을 형성한다. 완제품인 사출물(100)을 병뚜껑으로서 적용할 경우, 수용부(140)와 측면(120) 사이에 병의 주입구와 일체로 형성되는 알약수용부(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알약은 공간(S1) 내부인 알약수용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수용부(14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짐에 따라 금형에서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용부(140)에 대한 설명은 후술되는 금형과 함께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날개부(150)는 측면(120)과 수용부(140) 사이에 위치하고, 상면(1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날개부(150)는 테두리 상면(112)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150)는 수용부(140)와 유사하게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짐에 따라 금형에서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날개부(150)는 수용부보다 하방으로 짧게 연장되며, 이러한 날개부(150)의 구조는 테두리 상면(112)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날개부(150)는 수용부(140)보다 짧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금형(200)으로부터 사출물(100)을 쉽게 분리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사출물(100)의 내부에는 테두리 상면(112), 측면(120), 수용부(140) 및 날개부(150)가 이루는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160)는 측면(120)의 내측에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후크부(160)는 내측 상방 또는 측방을 향해 연장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160)는 내측 상방을 향해 연장될 경우,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후크부(160)는 측면(120)의 내측의 서로 다른 부분에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따라 복수개의 후크부(160) 사이에는 공간(165)가 형성된다. 이때, 공간(165)은 등간격 또는 비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후크부(160)는 내측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뿐만 아니라 측방을 향해 연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후크부(160)는 내측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크부(160)보다 금형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사출단계에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은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이 결합된 상태의 금형 내부에 사출물(100)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금형은 상부에 위치한 상부 금형 및 상부 금형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금형을 포함하고, 이하에서는 하부 금형을 금형으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금형(200)은 제1 코어(210), 제2 코어(220), 제3 코어(230), 제4 코어(240) 및 슬라이드 코어(250)를 포함한다.
제1 코어(210)는 제1 코어(210)의 상부가 수용부(140) 내부에 위치한다. 제1 코어(210)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코어(2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파이프 또는 다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코어(210)의 상단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출물(100)의 중앙부 상면(111)과 접하게 된다.
또한, 제1 코어(210)는 냉각관(211)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관(211)의 적어도 일부는 금형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부(140)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냉각관(211)은 관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서 제1 코어(210)의 내측면과 인접하도록 위치한'U'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냉각관(211)의 내부로는 열전도에 의해 열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수 또는 낮은 온도의 공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냉각관(211)은 내부에 냉각수 또는 낮은 온도의 공기가 주입되어 순환함에 따라 제1 코어(210) 및 사출물(100)을 순차적으로 냉각시킨다. 이러한 냉각관(211)은 최종적으로 유동적인 수지 상태에 있던 사출물(100)을 냉각시켜서 경화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코어(220)는 제1 코어(210)를 둘러싸고, 제2 코어(220)의 상부가 수용부(140)와 측면(120) 사이에 위치한다. 제2 코어(220)의 내측면은 제1 코어(21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코어(220)의 상단은 사출물(100)의 테두리 상면(112)과 접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제2 코어(220)의 측면에는 사출물(100)의 측면(120)에 형성되는 나사산부(130)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나사산홈(221)이 형성된다. 나사산홈(221)은 제1 코어(210)의 중심축 방향으로 수직하게 내측으로 함몰형성된다.
제2 코어(220)는 날개부(150)가 수용되는 날개홈(222)을 포함할 수 있다. 날개홈(222)은 제2 코어(22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이때, 날개홈(222)의 형상 및 크기는 테두리 상면(11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날개부(1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에 따라 금형에 결합된 상태에서, 날개부(150)는 날개홈(222)에 수용되어 있게 된다.
또한, 제2 코어(220)는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2 코어(220)의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부분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후크결합부(223)는 제2 코어(220)의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후크결합부(223)는 제2 코어(220)의 상부 측면 중 하단 모서리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외측 하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후크결합부(223)는 후크부(160)가 둘러싸면서 접하게 되므로 서로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코어(230)는 제2 코어(220)를 둘러싸고, 제3 코어(230)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가 후크부(160)의 하면과 접한다. 구체적으로 제3 코어(230)의 상부는 중앙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금형에 결합된 상태에서, 후크부(160)는 제2 코어(220)와 제3 코어(2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금형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3 코어(230)의 다른 일부는 제2 코어(220)와 접하게 된다. 상기한 제3 코어(230)가 제3 코어(230) 및 후크부(160)와 접하는 부위, 결합 및 분리에 대한 설명은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제4 코어(240)는 제3 코어(230)를 둘러싸고, 제4 코어(240)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가 측면(120)의 하단부인 돌출부(126)와 접하게 된다.
슬라이드 코어(250)는 상부 측면(121)과 하부 측면(122)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또한, 슬라이드 코어(250)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절취공간(125)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따라 슬라이드 코어(250)는 금형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출물(1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사출물(100)을 분리시킬 경우에는 슬라이드 코어(250)가 사출물(100)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상술한 내용은 사출단계에 관한 것으로서, 상술한 금형(200)을 이용하여 사출물을 사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출단계는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지재를 주입한 후 냉각시켜서 경화하는 것까지를 의미한다.
다음, 사출단계가 수행된 이후의 사출물과 금형의 형태 및 결합 관계가 분리하는 단계가 수행되기 전의 기준 상태가 된다.
이하, "상태"라고 함은 기준 상태를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은 사출단계(S10), 슬라이드 코어(250)가 분리되는 단계(S20), 후크부(160)와 제3 코어(230) 사이의 이격 공간(S3)을 형성하는 제1 단계(S100), 후크부(160)가 변형되면서 사출물(100)이 이동하는 제2 단계(S200), 상면(110)을 제1 코어(210)와 이격시키는 제3 단계(S300), 사출물(100)을 금형(200)에서 분리하는 단계(S400) 및 후크부(160)를 복원시키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술한 각 단계는 특별한 언급 또는 인과관계가 없다면 상기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상기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사출단계(S10)는 금형(200)의 내부로 수지재가 주입되는 단계, 냉각관(211)으로 수지재를 냉각시키는 단계 및 수지재를 경화시켜 사출물(100)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금형(200)의 내부로 수지재가 주입되는 단계에서는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의 금형틀을 금형(200)의 내부에 형성한 후 금형(200)의 내부로 수지재를 주입한다. 이때, 수지재의 종류, 주입속도 등에 따라 사출물(100)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관(211)으로 수지재를 냉각시키는 단계에서는 수지재의 냉각속도에 따라 사출물(100)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원하는 제원에 맞춰서 냉각관(211)에 주입되는 냉각수 또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재를 경화시켜 사출물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수지재를 냉각시키는 단계에서 수지재를 냉각시키는 것과 유관하므로 냉각관(211)의 주입되는 냉각수 또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슬라이드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금형(200)은, 슬라이드 코어(250)가 사이 공간에서 분리되는 슬라이드 단계(S20)가 진행된다. 즉, 쉽게 설명하면 슬라이드 단계(S20)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분리되는 형개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 단계(S20)는 제1 단계(S100) 이전에 수행되고, 슬라이드 코어(250)는 벌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사출물이 금형(200)에 결합된 상태 이후의 단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제1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제1 단계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후크부(160)와 제3 코어(230) 사이의 이격 공간(S3)을 형성하는 제1 단계(S100)는 후크부(160)의 하면과 제3 코어(160)의 상면 사이의 이격 공간(S3)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제1 단계(S100)에서는 제1 코어(210), 제2 코어(220) 및 제4 코어(240)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제3 코어(230)만 본래 위치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제1 단계(S100)에서는 후크부(160)의 하면과 제3 코어(230)의 상면 사이의 이격 공간(S3)을 형성되는 것이다.
정리하면, 이격공간(S3)은 후크부(160)가 변형되어 금형(200)에서 분리되기 위한 공간이고, 후크부(160)가 변형되면서 사출물(100)이 이동할 때, 제3 코어(230)에 걸리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제2 단계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제2 단계의 후크부가 변형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후크부가 완전히 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후크부(160)가 변형되면서 사출물(100)이 이동하는 제2 단계(S200)는 제1 코어(210)가 제2 코어(220)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후크부(160)가 변형되면서 사출물(100)이 제2 코어(220)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4 코어(240)는 제2 코어(220)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엄밀하게 설명하면, 제1 코어(210)가 상방으로 이동할 시 제4 코어(240)는 제1 코어(210)를 따라서 같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다르게 설명하면, 제4 코어(240)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가 하단부인 돌출부(126)와 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단계(S200)에서는 제1 코어(210) 및 제4 코어(240)만 상방으로 이동하고, 제2 코어(220) 및 제3 코어(230)는 본래 위치를 유지한다.
상기한 바에 따라 분리 또는 변형되는 사출물(100)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우선, 후크부(160)는 하방을 향하도록 변형된다. 구체적으로 도 7의 부분상세도를 참조하면, 후크부(160)의 제2 후크부(162)는 하방을 향하도록 변형된다.
이와 동시에, 날개부(150)는 날개홈(222)에서 분리된다.
이와 동시에, 나사산부(130)는 나사산홈(221)에서 분리된다.
이와 동시에, 수용부(140)의 일부는 제1 코어(210)와 제2 코어(220) 사이의 공간에서 분리되고, 다른 일부는 제1 코어(210)와 제2 코어(22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수용부(14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기 때문에, 수용부(140)의 상부 부분의 일부를 제1 코어(210)와 제2 코어(220) 사이의 공간에서 분리시키는 것이 하부 부분의 일부를 제1 코어(210)와 제2 코어(220) 사이의 공간에서 분리시키는 것보다 큰 힘이 필요하다. 제2 단계(S200)에서는, 제1 코어(210)가 사출물(100)의 상면(110)을 밀어올려 수용부(140)의 상부 부분의 일부를 제1 코어(210)와 제2 코어(220) 사이의 공간에서 분리시킨다.
도 8을 참조하면, 후크부는 도 7과 같이 일부만 펴진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완전히 펴진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제2 단계(S200)에서는 제1 코어(210) 및 제4 코어(240)만 상방으로 이동하고, 제2 코어(220) 및 제3 코어(230)는 본래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제1 코어(210)의 상단은 사출물(100)의 중앙부 상면(111)과 접하고 있고, 제2 코어(220)의 상단은 사출물(100)의 테두리 상면(112)과 접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코어(21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상면(110)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중앙부 상면(111)을 상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금형(200)으로부터 측면(120), 수용부(140) 및 날개부(150)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 코어(210)가 사출물(100)을 밀어올리는 것이 아닌 제4 코어(240)가 사출물(100)을 밀어올릴 경우를 살펴본다.
제4 코어(24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측면(120), 수용부(140) 및 날개부(150)가 금형(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4 코어(240)를 따라 측면(120)이 직접적이고 우선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테두리 상면(112) 및 중앙부 상면(111)의 순서대로 금형(200)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측면(120)에 변형이 일어남에 따른 손상이 생길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제2 단계에서는 제1 코어(210)가 사출물(100)을 밀어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제3 단계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제3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면(110)을 제1 코어(210)와 이격시키는 제3 단계(S300)는 제4 코어(240)가 제1 코어(210)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면(110)을 제1 코어(210)와 이격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이격공간(S3)과 도 9에 도시된 이격공간(S3)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구성요소 간의 결합관계가 변화함에 따라 이격공간(S3)의 크기도 변화하게 된다.
또한, 날개공간(S4)은 사출물(100)의 모든 구성요소가 제1 코어(210), 제2 코어(220) 및 슬라이드 코어(250)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형성되지 않고, 제4 코어가 사출물(100)을 상방으로 이동시킬 경우, 수용부(140)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형성된다.
이때, 제4 코어(240)는 하단부인 돌출부(126)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사출물(100)을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제4 단계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제4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출물(100)을 금형(200)에서 분리하는 단계(S400)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물(100)이 금형(20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이때, 사출물(100)은 후크부(160)가 하방으로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 분리되고, 분리된 후크부(160)는 하기와 같이 본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제5 단계를 설명한다.
도 11은 도 2의 A영역을 나타낸 부분상세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후크부를 복원시키는 제5 단계(S500)는 후크부(160)가 내측을 향하도록 변형시키는 제5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4 단계(S400) 이후에, 후크부(160)는 하방을 향하고 있다가 제5 단계(S500)에 이르러서야 내측을 향하는 본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크부의 하면과 제3 코어의 상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형성한 후 제1 코어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사출물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용이하게 금형으로부터 사출물을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사출물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사출물
110: 상면
111: 중앙부 상면
112: 테두리 상면
120: 측면
121: 상부 측면
122: 하부 측면
123: 절취부
125: 절취공간
126: 돌출부
130: 나사산부
140: 수용부
150: 날개부
160: 후크부
161: 제1 후크부
162: 제2 후크부
200: 하부 금형
210: 제1 코어
211: 냉각관
220: 제2 코어
221: 나사산홈
222: 날개홈
223: 후크결합부
230: 제3 코어
240: 제4 코어
250: 슬라이드 코어

Claims (26)

  1. 사출물은 금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사출물은,
    상면;
    상기 상면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면;
    상기 측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용부; 및
    상기 측면의 내측에서 연장되고,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형은,
    상부가 상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코어;
    상기 제1 코어를 둘러싸고, 상부가 상기 수용부와 상기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코어;
    상기 제2 코어를 둘러싸고, 상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후크부의 하면과 접하는 제3 코어; 및
    상기 제3 코어를 둘러싸고, 상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면의 하단부와 접하는 제4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의 하면과 상기 제3 코어의 상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코어가 상기 제2 코어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크부가 변형되면서 상기 사출물이 상기 제2 코어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제2 단계;
    상기 제4 코어가 상기 제1 코어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면을 상기 제1 코어와 이격시키는 제3 단계; 및
    상기 사출물을 상기 금형에서 분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2 코어와 상기 제3 코어 사이에 위치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에서,
    상기 제3 코어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2 코어와 접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측면의 내측에서 내측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후크부; 및
    상기 제1 후크부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후크부를 포함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2 후크부는 하방을 향하도록 변형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후크부는 하방을 향하도록 변형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4 코어는 상기 제2 코어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4 코어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단부와 접한 상태를 유지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이후에, 상기 후크부는 하방을 향하고 있고,
    상기 후크부가 내측을 향하도록 변형시키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측면의 내측의 서로 다른 부분에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상기 측면과 상기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어는 상기 날개부가 수용되는 날개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에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날개홈에 수용되어 있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수용부보다 하방으로 짧게 연장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날개홈에서 분리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수용부의 일부는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 사이의 공간에서 분리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상기 측면의 내측에서 연장되는 나사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어는 측부에 형성된 나사산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에서,
    상기 나사산부는 상기 나사산홈에 수용되어 있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부는 상기 후크부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나사산부는 상기 나사산홈에서 분리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4 코어는 상기 하단부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상기 사출물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상부 측면 및 하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측면과 상기 하부 측면은 서로 이격되되, 적어도 일부가 절취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상기 상부 측면과 상기 하부 측면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코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사이 공간에서 분리되는 슬라이드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단계는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2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 Low Density Polyethylene) 및 선형저밀도 폴리프로필렌(LLDPE : Liner Low Density Polyethylene) 재질로 형성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2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는 냉각관을 포함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사출물의 제조 방법.
KR1020190039762A 2019-04-04 2019-04-04 사출물의 제조 방법 KR102276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762A KR102276615B1 (ko) 2019-04-04 2019-04-04 사출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762A KR102276615B1 (ko) 2019-04-04 2019-04-04 사출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532A true KR20200117532A (ko) 2020-10-14
KR102276615B1 KR102276615B1 (ko) 2021-07-12

Family

ID=7284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762A KR102276615B1 (ko) 2019-04-04 2019-04-04 사출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6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4512A (ja) * 1983-05-05 1984-11-19 サン・コ−スト・プラスチツクス・インコ−ポレ−テツド タンパ−プル−フ閉鎖キヤツプ、その製造方法、製造工具
JP2006168751A (ja) * 2004-12-14 2006-06-29 Toppan Printing Co Ltd 液垂れ防止付計量キャップおよびその射出成形金型
JP2008221590A (ja) * 2007-03-13 200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射出成形金型および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988947B1 (ko) * 2008-12-04 2010-10-29 김사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KR101617864B1 (ko) * 2015-12-11 2016-05-02 제이씨텍(주) 콤프레션몰드를 대체한 브이스커트 사출금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4512A (ja) * 1983-05-05 1984-11-19 サン・コ−スト・プラスチツクス・インコ−ポレ−テツド タンパ−プル−フ閉鎖キヤツプ、その製造方法、製造工具
JP2006168751A (ja) * 2004-12-14 2006-06-29 Toppan Printing Co Ltd 液垂れ防止付計量キャップおよびその射出成形金型
JP2008221590A (ja) * 2007-03-13 200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射出成形金型および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988947B1 (ko) * 2008-12-04 2010-10-29 김사문 병뚜껑용 사출 성형기
KR101617864B1 (ko) * 2015-12-11 2016-05-02 제이씨텍(주) 콤프레션몰드를 대체한 브이스커트 사출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615B1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1101B2 (en) Container and process for making a container
CN100575197C (zh) 带肋的模内标签容器及其制造方法
US20070023384A1 (en) Container and blow mold assembly
US20040011785A1 (en) Plastic container with rounded shoulders
JP5980813B2 (ja) パリソン及びそれを用いた容器のブロー成形方法
JPH0735085B2 (ja) 2軸延伸結晶性樹脂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882240B2 (en) Blow-molded lamination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850006332A (ko) 합성수지로 된 박육용기의 성형방법
KR20200117534A (ko) 사출물의 제조 방법
US10773439B2 (en) Cap manufacture methods and apparatus
BR112017007810B1 (pt) Recipiente com base multifunção
CN101952105B (zh) 制造热塑性容器的模具,和装备有该模具的吹塑或拉伸吹塑装置
US200500371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in-walled products, and a product manufactured therewith
KR102276615B1 (ko) 사출물의 제조 방법
US1123550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container part, mold unit, and blow molding machine including the mold unit
US4496513A (en) Tubular container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131146B1 (ko) 중심 코어 이동형 사출금형 장치
KR102256651B1 (ko) 중심 코어 고정형 사출금형 장치
US20160167268A1 (en) Method and injection mold for producing an insert part having a plastic collar
JP2009502546A (ja) ヒンジ開閉式蓋付きカプセルの圧縮成形用成形型
JP2021195131A (ja) 多重容器
KR101788817B1 (ko) 나선형 돌기를 가진 다이캐스팅 성형물용 금형
JP7234213B2 (ja) ブロー成形金型及びブロー成形装置
JP2000246789A (ja) 延伸ブロー成形による広口容器の底部成形方法
JP4266492B2 (ja) アルミ・ラミネートチューブ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