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785B1 - 프로그레시브 금형 - Google Patents

프로그레시브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785B1
KR100988785B1 KR1020080016647A KR20080016647A KR100988785B1 KR 100988785 B1 KR100988785 B1 KR 100988785B1 KR 1020080016647 A KR1020080016647 A KR 1020080016647A KR 20080016647 A KR20080016647 A KR 20080016647A KR 100988785 B1 KR100988785 B1 KR 100988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ase material
mold
molding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1406A (ko
Inventor
임승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6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7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91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4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for dim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1Shaping combined with punching, e.g. stamping and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2Die constructions enabling assembly of the die parts in different 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그레시브 금형(100)에는 하형홀더(101)와 상기 하형홀더(101)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는 상형홀더(120)가 구비된다. 상기 하형홀더(101)에는 다이(111)가 구비되고, 상기 상형홀더(120)에는 고정로드(135) 및 성형로드(133)가 설치되는 케이스(131)로 구성되는 펀치조립체(13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로드(135)는 모재(m)가 성형되기 전에 먼저 모재(m)를 눌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성형로드(133)는 모재(m)를 성형하는 성형부(133b)가 구비되어 상기 상형홀더(120)와 함께 승강하여 상기 다이(111)와 함께 모재(m)를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정로드(135)가 모재(m)를 눌러 고정시킨 후에 상기 성형로드(133)가 상기 다이(111)와 함께 모재(m)를 성형하므로 모재(m)를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어 제품의 정밀도가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성형로드(133)의 성형부(133b)가 마모되어 보수가 필요한 경우 상기 펀치조립체(130)에서 상기 성형로드(133) 만을 가공하거나 교체하여 금형을 보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금형(100)의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프로그레시브 금형, 고정로드, 성형로드, 유지보수

Description

프로그레시브 금형{Progressive mold}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재를 점진적으로 타발 및 절곡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레시브 금형은 다수개의 펀치와 다이 쌍의 사이를 모재가 지나면서 순차적으로 가공되도록 하여 제품을 연속적으로 만들어내는 장치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의하면 하형홀더(2)의 상면에는 백킹플레이트(3)와 하형리테이너(5)가 결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3) 및 하형리테이너(5)는 상기 하형홀더(2)에 함께 고정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5)에는 다이(5')가 구비된다. 상기 다이(5')는 후술할 펀치(13)와 함께 모재(M)를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이(5')에는 모재(M)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리프터(5")가 구비된다.
상기 하형홀더(2)의 상방에는 상형홀더(7)가 구비된다. 상기 상형홀더(7)는 상기 하형홀더(2)와 상대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상형홀더(7)의 일면에는 백킹플레이트(9)와 상형리테이너(11)가 구비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9) 및 상형리테이너(11)는 상기 상형홀더(7)에 함께 고정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11)에는 펀치(13)가 구비된다. 상기 펀치(13)는 상기 다이(5')와 함께 모재(M)를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펀치(13)에서 상기 다이(5')를 향하는 면에는 성형부(13')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성형부(13')는 모재(M)를 성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성형부(13')가 모재(M)를 찍어내어 모재(M)에 상기 성형부(13')와 대응되는 형상이 성형된다.
상기 상형홀더(7)가 상기 하형홀더(2) 방향으로 하강하면 상기 펀치(13)의 성형부(13')가 상기 모재(M)를 압착하여 모재(M)가 성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펀치(13)의 성형부(13')는 상기 모재(M)에 도트(dot) 형상을 성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도트형상은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성형부(13') 역시 매우 작은 크기로 제작된다. 이러한 성형부(13')가 모재(M)와 직접 접하여 모재(M)를 성형하는 경우 성형부(13')의 마모가 상대적으로 쉽게 일어나고 마모에 의해 모재(M)가 정확하게 성형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펀치(13)를 다시 가공하여 상기 성형부(13')의 형상을 다시 만들어 주거나, 이것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펀치(13) 전체를 교체해 주어야 하므로, 프로그레시브 금형(1)의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펀치(13)가 모재(M)를 성형할 때, 모재(M)가 다이(5')에 정확히 고정되 어야 하는데 펀치(13)의 성형부(13')가 모재(M)와 접하기 전까지는 모재(M)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별다른 고정구조가 없어 모재(M)를 정확하게 성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펀치에서 제품을 성형하는 성형부가 별개물로 형성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재를 성형하기 전에 모재가 눌려 고정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모재를 성형하는 다이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펀치포켓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펀치포켓에 설치되어 모재를 성형하는 펀치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있어서, 상기 펀치조립체는, 상기 펀치포켓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상형홀더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다이와 함께 모재를 성형하는 성형로드와; 상기 케이스에 소정 거리만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탄성력이 작용하며, 상기 성형로드가 상기 모재를 성형하기에 앞서 상기 모재가 정확히 성형되도록 상기 모재를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로드는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모재를 눌러 고정시키고 상기 성형로드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에 걸어져 상기 고정로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상기 성형로드는,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제품을 성형하는 성형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걸어져 상기 성형로드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로드의 일단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전달하는 푸쉬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로드에 상기 하형홀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상기 관통공의 내면 일단에는 상기 성형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상기 관통공의 내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다이에는 모재를 지지하여 주는 리프터가 구비되고, 상기 리프터의 일단에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리프터가 상기 상형홀더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탄성력이 작용한다.
상기 고정로드를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리프터를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의 탄성력보다 더 크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부가 구비된 성형로드가 별개로 구비되므로, 제품의 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마모에 의해 성형부를 교체 및 보수하는 경우 성형로드 만을 분리하여 가공하거나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금형을 수리할 수 있으므로, 금형의 유지보수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성형로드가 모재를 성형하기 전에 고정로드가 먼저 모재를 눌러 고정 시키므로, 모재가 정확하게 성형 될 수 있어 제품의 정밀도가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구성이 각각 정면도(a) 및 평면도(b)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성형로드의 구성이 각각 측면도(a) 및 평면도(b)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로드의 구성이 각각 측면도(a), 평면도(b) 및 정면도(c)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형홀더(101) 상에는 백킹플레이트(103)와 하형리테이너(105)가 장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103)와 하형리테이너(105)는 상기 하형홀더(101) 상에 함께 체결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103)는 실질적으로 하형리테이너(105)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하형홀더(101)에는 스프링포켓(101')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포켓(101')에는 탄성스프링(109)과 구동로드(107)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로드(107)의 일단부는 상기 스프링포켓(101')에 상기 탄성스프링(109)에 지지되어 구비된다. 상기 구동로드(107)에는 상기 탄성스프링(109)에 의해 상기 구동로드(107)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상기 구동로 드(107)는 후술할 리프터(113)와 접하여 상기 탄성스프링(109)의 탄성력을 리프터(113)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로드(107)는 리프터(113)와 접할 수 있도록 그 선단이 상기 백킹플레이트(103)를 관통하여 상기 하형리테이너(105) 부분까지 연장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105)에는 다이(111)가 설치되는 다이포켓(105')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다이(111)는 후술할 성형로드(133)와 함께 모재(m)를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이(111)에는 성형로드(133)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이공(111')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다이공(111')은 성형로드(133)의 성형부(133b)의 일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성형로드(133)의 성형부(133b)가 상기 모재(m)와 함께 상기 다이공(111')에 삽입되면서 모재(m)가 성형부(133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다이(111)에는 리프터(113)가 구비된다. 상기 리프터(113)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이(111)로 이송된 모재(m)를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모재(m)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다이(11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리프터(113)는 그 일단이 상기 구동로드(107)와 접하여 상기 구동로드(107)를 통해 상기 탄성스프링(109)의 탄성력이 상기 리프터(113)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프터(113)와 상기 탄성스프링(109) 사이에 구동로드(107)가 설치되었지만, 상기 구동로드(107) 없이 상기 리프터(113)에 상기 탄성스프링(109)이 직접 접하도록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하형홀더(101) 측의 상부에 하형홀더(101)와 마주보게 상형홀더(120)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120)의 하면에는 백킹플레이트(121)와 상형리테이너(123)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120)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상기 하형홀더(10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121)와 상형리테이너(123)는 상기 상형홀더(120)에 함께 장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121)는 상기 상형리테이너(123)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상형홀더(120)에는 탄성부재포켓(120')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포켓(120')은 탄성부재(125)와 푸쉬로드(127)가 구비되는 부분이다. 상기 푸쉬로드(127)는 상기 탄성부재(125)에 그 일단이 지지되어 상기 탄성부재포켓(120')에 설치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125)는 그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포켓(120')의 내면에 지지되고 그 타단이 상기 푸쉬로드(127)의 일단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125)는 상기 푸쉬로드(127)에 상기 하형홀더(101)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푸쉬로드(127)는 후술할 고정로드(135)와 접할 수 있도록 그 선단이 상기 상형리테이너(123)까지 연장된다.
상기 고정로드(135)를 지지하는 탄성부재(125)의 탄성력은 상기 리프터(113)를 지지하는 탄성스프링(109)의 탄성력보다 더 커야 한다. 이는 고정로드(135)가 상기 모재(m)와 접한 상태에서 더 하강할 때, 고정로드(135)가 밀리지 않으면서, 상기 모재(m)를 지지한 리프터(113)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정로드(135)가 상기 리프터(113)를 누를 때, 상기 탄성부재(125)가 탄성변형되면 고정로드(135)가 밀리면서 후술할 고정로드(135)의 관통공(135c)을 통해 성형로드(133)가 상기 모재(m)와 접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 성형로드(133)가 상기 모재(m)를 정확하게 성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상형리테이너(123)에는 펀치포켓(123')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펀치포켓(123')에는 펀치조립체(130)가 설치된다.
상기 펀치조립체(130)는 크게 케이스(131)와 상기 케이스(131)에 설치되는 성형로드(133)와 고정로드(135)로 구성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케이스(13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31)의 가운데에는 펀치공(131a)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펀치공(131a)은 고정로드(135)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고정로드(135)의 승강을 정확히 안내하도록 상기 펀치공(131a)의 횡단면은 상기 고정로드(135)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펀치공(131a)의 일측에는 개구되게 걸이단(131b)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131b)은 후술할 고정로드(135)의 규제부(135e)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고정로드(135)의 규제부(135e)가 걸이단(131b)에 걸어져 고정로드(135)가 상기 펀치공(131a)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규제된다.
상기 케이스(131)의 일면에는 로드홈(131c)이 길이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로드홈(131c)은 성형로드(133)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성형로드(133)가 상기 로드홈(131c)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로드홈(131c)의 횡단면은 상기 성형로드(133)의 횡단면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31)의 로드홈(131c)에는 성형로드(133)가 결합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성형로드(133)의 골격은 몸체부(133a)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33a)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대략 바아 형상이다. 상기 몸체부(133a)의 일단 에는 성형부(133b)가 구비된다. 상기 성형부(133b)는 상기 다이(111)와 함께 모재(m)를 성형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성형부(133b)는 모든 면이 삼각형인 사면체 형상이다. 상기 성형부(133b)가 상기 모재(m)의 일부와 함께 상기 다이(111)의 다이공(111')에 삽입되어 상기 모재(m)가 상기 성형부(133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되게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133a)의 타단에는 고정부(133c)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33c)는 상기 케이스(131)에 걸어져 상기 성형로드(133)를 상기 로드홈(131c)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131)의 펀치공(131a)에는 고정로드(135)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로드(135)는 상기 케이스(131)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다이(111)로 이송된 모재(m)를 눌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성형로드(133)가 상기 모재(m)를 성형하기 전에 먼저 상기 고정로드(135)가 상기 모재(m)를 눌러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고정로드(135)가 상기 모재(m)를 성형전에 고정시키므로 상기 모재(m)를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로드(135)의 골격은 몸체부(135a)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35a)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아형상이다. 상기 몸체부(135a)의 일단에는 지지부(135b)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35b)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모재(m)와 직접 접하여 상기 모재(m)를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부(135b)에는 관통공(135c)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35c)은 상기 성형로드(133)의 성형부(133b)가 통과하는 부분으로 상기 성형 부(133b)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135c)은 상기 성형로드(133)의 성형부(133b)의 횡단면적 보다 더 큰 횡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35c)에서 상기 다이(111)를 향하는 일단에는 가이드부(135d)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35d)는 상기 성형로드(133)의 성형부(133b)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성형로드(133)의 성형부(133b)가 상기 모재(m)를 정확히 성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만일 상기 성형로드(133)가 상기 고정로드(135)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관통공(135c)은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몸체부(135a)의 타단에는 규제부(135e)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규제부(135e)는 상기 케이스(131)의 걸이단(131b)에 선택적으로 걸어져 상기 케이스(131)에서의 상기 고정로드(135)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고정로드(135)가 상기 모재(m)와 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규제부(135e)가 상기 걸이단(131b)에 걸어져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고정로드(135)가 상기 모재(m)와 접하게 되면 상기 규제부(135e)가 상기 걸이단(131b)에서 분리되어 이동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에서 모재가 성형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제품이 성형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모재(m)는 다이(111)의 상면을 따라 이송되고, 상기 모재(m)가 다 이(111)에 정확히 위치되면 멈추게 된다. 이때 상기 모재(m)는 하형홀더(101)의 리프터(113)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지지되어 이송된다.
상기 모재(m)가 상기 다이(111)에 정확히 위치되면, 상형홀더(120)가 하형홀더(101) 방향으로 하강하고 동시에 고정로드(135)와 성형로드(133)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상기 상형홀더(120)가 소정 거리 하강하면 상기 고정로드(135)가 상기 모재(m)와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a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는 성형로드(133)의 성형부(133b)가 상기 고정로드(135)의 관통공(135c)을 아직 통과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고정로드(135)를 지지하고있는 탄성부재(125)의 탄성력은 상기 모재(m)를 지지하고 있는 탄성스프링(109)의 탄성력보다 더 크기 때문에, 상기 상형홀더(120)가 더 하강하게 되면 상기 고정로드(135)가 상기 모재(m)를 눌러 상기 모재(m)를 지지하는 상기 리프터(113)를 하강시킨다.
상기 리프터(113)가 완전히 하강하여 모재(m)가 다이(111)의 상면에 접하게 되면 상기 고정로드(135)가 상기 상형홀더(120)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상형홀더(120)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고정로드(135)에 의해 상기 모재(m)는 상기 다이(111)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상형홀더(120)가 계속해서 하강하면 상기 고정로드(135)는 상기 상형홀더(120)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상기 성형로드(133)가 상기 고정로드(135)의 관통공(135c)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성형로드(133)는 상기 고정로드(135)의 관통공(135c)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공(135c)의 가이드부(135d)에 삽입되고 상기 성형로 드(133)의 성형부(133b)가 상기 가이드부(135d)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모재(m)를 성형한다. 즉 상기 성형로드(133)의 성형부(133b)가 상기 다이(111)의 다이공(111')에 상기 모재(m)의 일부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모재(m)가 상기 성형부(133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모재(m)의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상형홀더(120)는 상기 하형홀더(10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성형로드(133) 및 고정로드(135)도 함께 상승한다. 상기 고정로드(135) 및 상기 리프터(113)에는 각각 탄성부재(125)와 탄성스프링(109)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되므로, 상기 고정로드(135) 및 리프터(113)는 상기 상형홀더(120)가 상승함에 따라 원위치로 복원된다. 상기 상형홀더(120)가 완전히 상승되면 상기 모재(m)는 한 피치 이동하여 다음 공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재(m)가 상기 성형로드(133)에 의해 성형되기 전에 상기 고정로드(135)에 의해 먼저 고정되므로 상기 성형로드(133)가 상기 모재(m)를 정확히 성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로드(133)가 상기 모재(m)의 성형과정에서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131)에서 상기 성형로드(133) 만을 보수하거나 교체하여 수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 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a) 및 평면도(b).
도 4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성형로드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a) 및 평면도(b).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로드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a), 평면도(b) 및 정면도(c).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제품이 성형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로그레시브 금형 101 : 하형홀더
101': 스프링포켓 103 : 백킹플레이트
105 : 하형리테이너 105': 다이포켓
107 : 구동로드 109 : 탄성스프링
111 : 다이 111': 다이공
120 : 상형홀더 120': 탄성부재포켓
121 : 백킹플레이트 123 : 상형리테이너
123': 펀치포켓 125 : 탄성부재
127 : 푸쉬로드 130 : 펀치조립체
131 : 케이스 131a: 펀치공
131b: 걸이단 131c: 로드홈
133 : 성형로드 133a: 몸체부
133b: 성형부 133c: 고정부
135 : 고정로드 135a: 몸체부
135b: 지지부 135c: 관통공
135d: 가이드부 135e: 규제부

Claims (7)

  1. 모재를 성형하는 다이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펀치포켓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펀치포켓에 설치되어 모재를 성형하는 펀치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있어서,
    상기 펀치조립체는,
    상기 펀치포켓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상형홀더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다이와 함께 모재를 성형하는 성형로드와;
    상기 케이스에 소정 거리만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탄성력이 작용하며, 상기 성형로드가 상기 모재를 성형하기에 앞서 상기 모재가 정확히 성형되도록 상기 모재를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로드는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모재를 눌러 고정시키고 상기 성형로드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에 걸어져 상기 고정로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로드는,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제품을 성형하는 성형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걸어져 상기 성형로드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드의 일단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전달하는 푸쉬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로드에 상기 하형홀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내면 일단에는 상기 성형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상기 관통공의 내면 둘레를 따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6. 제 1, 3, 4,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에는 모재를 지지하여 주는 리프터가 구비되고, 상기 리프터의 일단에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리프터가 상기 상형홀더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탄성력이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드를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리프터를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의 탄성력보다 더 큼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20080016647A 2008-02-25 2008-02-25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0988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647A KR100988785B1 (ko) 2008-02-25 2008-02-25 프로그레시브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647A KR100988785B1 (ko) 2008-02-25 2008-02-25 프로그레시브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406A KR20090091406A (ko) 2009-08-28
KR100988785B1 true KR100988785B1 (ko) 2010-10-20

Family

ID=4120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647A KR100988785B1 (ko) 2008-02-25 2008-02-25 프로그레시브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7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3348A (zh) * 2012-08-09 2012-11-14 昆山铂翔精密五金制品有限公司 精密拉伸模
CN103128178B (zh) * 2013-03-19 2014-10-15 常州轻工职业技术学院 压紧销头部成型级进模
CN104117574B (zh) * 2014-07-28 2017-04-12 无锡美润汽车部件有限公司 离合器毂模具
KR102078599B1 (ko) * 2018-10-04 2020-02-19 백홍기 와셔 제조장치
KR102125863B1 (ko) 2018-11-01 2020-06-23 (주) 대동에스엠 복합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용한 성형기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294A (ja) * 1991-10-18 1993-04-27 Hoden Seimitsu Kako Kenkyusho Ltd 順送り加工装置
JPH05111796A (ja) * 1991-10-21 1993-05-07 Hoden Seimitsu Kako Kenkyusho Ltd 順送り加工装置
KR20020043532A (ko) * 2002-05-18 2002-06-10 유태승 자동차용 후렉시블 컨넥터의 접속 림 제조방법과 프레스금형장치
KR100766072B1 (ko) 2006-12-15 2007-10-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소재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294A (ja) * 1991-10-18 1993-04-27 Hoden Seimitsu Kako Kenkyusho Ltd 順送り加工装置
JPH05111796A (ja) * 1991-10-21 1993-05-07 Hoden Seimitsu Kako Kenkyusho Ltd 順送り加工装置
KR20020043532A (ko) * 2002-05-18 2002-06-10 유태승 자동차용 후렉시블 컨넥터의 접속 림 제조방법과 프레스금형장치
KR100766072B1 (ko) 2006-12-15 2007-10-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소재안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406A (ko) 200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785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0766072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소재안내장치
KR20030089393A (ko) 슬라이드 캠 금형
KR20090073833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CN103962453A (zh) 用于板件冲沉孔和凸包的复合模
CN109967604A (zh) 一种汽车钣金件成型的冲压复合模及成型方法
CN211386578U (zh) 一种一步完成内扣折弯模具
JP7182269B2 (ja) プレス成形装置
CN104785640A (zh) 翻边模具的托料顶料机构及翻边模具
CN205833942U (zh) 内高压侧面冲孔模具装置
CN204545169U (zh) 翻边模具的托料顶料机构及翻边模具
KR10085872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스크랩 절단장치
KR100823342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가이드장치
KR10149398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CN106391844A (zh) 钩式侧冲孔斜楔机构及模具总成
KR100957490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CN205650697U (zh) 一种新型组合冲压模具
KR200445638Y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가이드장치
KR101483765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CN204470424U (zh) 一种翻孔模具
CN220005611U (zh) 一种防止螺丝因冲击力断裂结构
KR10089415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KR100917896B1 (ko) 다이의 모재가이드 위치조절구조
CN219985997U (zh) 一种高精度的数控冲床导柱导套式结构
CN208033392U (zh) 测冲拉断式冲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