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284B1 -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284B1
KR100988284B1 KR1020100059024A KR20100059024A KR100988284B1 KR 100988284 B1 KR100988284 B1 KR 100988284B1 KR 1020100059024 A KR1020100059024 A KR 1020100059024A KR 20100059024 A KR20100059024 A KR 20100059024A KR 100988284 B1 KR100988284 B1 KR 100988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lexible hose
hose assembly
joint
bell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진
Original Assignee
승진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진산업 (주) filed Critical 승진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00059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284B1/ko
Priority to JP2010163979A priority patent/JP5277507B2/ja
Priority to US12/841,517 priority patent/US852323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comprising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06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colla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20Double-walled hoses, i.e. two concentric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24Hoses, i.e. flexible pipes wound from strip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로우즈 관의 전단부를 일정 길이로 연장시키고, 이 연장된 부위를 연결구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벨로우즈 관의 전단 개구를 통해 누설된 가스가 상기 연장된 부위를 지나 누설되도록 하여 실질적으로 가스의 이동 경로가 길어지게 되고, 이로인해 가스의 압력 및 온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가스누설량이 급격히 증가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어 폭발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도록 한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단 개구공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외측에 환턱(22)이 형성된 벨로우즈 관(2); 상기 벨로우즈 관(2)에 결합되며 상기 환턱(2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커플링너트(5); 상기 벨로우즈 관(2)에 결합되어 상기 환턱(22)에 지지되며, 상기 커플링너트(5)와 나사 결합되는 연결구(6)를 포함하며, 상기 벨로우즈 관(2)의 전단 개구공으로부터 상기 환턱(22)까지 일정 길이를 갖는 끼움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20)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구(6)의 내주면 사이에 틈새(S1)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벨로우즈 관(2)의 전단 개구공으로부터 누설된 가스가 상기 끼움부(20)를 경유한 후 상기 연결구(6)와 커플링너트(5)의 나사 결합부위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내부 가스 압력을 낮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FLEXIBLE HOSE ASSEMBLY WITH JOINT}
본 발명은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로우즈 관의 전단부를 일정 길이로 연장시키고, 이 연장된 부위를 연결구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벨로우즈 관의 전단 개구를 통해 누설된 가스가 상기 연장된 부위를 지나 누설되도록 하여 실질적으로 가스의 이동 경로가 길어지게 되고, 이로인해 가스의 압력 및 온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가스누설량이 급격히 증가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어 폭발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도록 한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케이블의 가설시 폭발성 환경에서는 스파크 발생에 따른 폭발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방폭용 파이프에 전선케이블을 매립하여야 한다.
또한 방폭용 파이프는 설치과정에서 각도 변경이나 길이 연장을 위해 여러개를 연결시키게 되며, 연결되는 부위에는 연결 부속인 방폭용 조인트를 적용하게 된다.
그리고 방폭용 파이프의 내부에서 생성된 가스는 미량씩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즉, 내부의 인화성 가스가 급격하게 대량 누설될 경우 스파크 발생에 의해 폭발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으므로 사전에 내부의 가스를 미량씩 누설되도록 하여 폭발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폭용 파이프에 적용되는 조인트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방폭용 파이프에 적용되는 조인트 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종래 조인트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로우즈 관(100)의 외면에 브레이드(Braid)(110)를 피복하여 플렉시블 튜브를 형성하고,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끝단에 커플링부재를 결합시켜 구성된다.
상기 커플링부재는 벨로우즈 관(100)의 끝단의 외부에 끼워지는 어댑터(130), 상기 어댑터(130)의 외부에 삽입되는 커플링너트(120) 및 상기 어댑터(130)의 전면에 맞대어진 후 상기 커플링너트(120)로 결합되는 연결구(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140)에는 파이프(160)가 너트(170) 체결로 연결된다.
종래 기술은 연결구(140)와 어댑터(130)의 접촉면에 형성된 요철을 통해 가스가 누설된 후 커플링너트(120)와 어댑터(130)의 나사결합부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도록 함으로써 벨로우즈 관(100) 내부의 과도한 가스 압력을 해소토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연결구(140)와 어댑터(130)의 접촉면을 통해 벨로우즈 관(100) 내부의 가스가 곧바로 누설되므로 고온,고압의 상태로 누설됨으로서 누설량이 많아지게 되어 법으로 정한 누설량 기준을 초과하여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벨로우즈 관의 전단을 일정 길이로 연장시키고, 이 연장된 부위를 연결구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벨로우즈 관의 전단 개구를 통해 누설된 가스가 연장된 부위를 지나 누설되도록 하여 실질적으로 가스의 이동 경로가 길어지게 되고, 이로인해 가스의 압력 및 온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누설량이 급격히 증가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어 폭발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도록 한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단 개구공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외측에 돌출된 환턱이 형성된 벨로우즈 관; 상기 벨로우즈 관에 결합되며 상기 환턱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커플링너트; 상기 벨로우즈 관에 결합되고 상기 커플링너트와 나사 결합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벨로우즈 관의 전단 개구공으로부터 상기 환턱까지 일정 길이를 갖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구의 내주면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벨로우즈 관의 전단 개구공으로부터 누설된 가스가 상기 끼움부를 경유한 후 상기 연결구와 커플링너트의 나사 결합부위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내부 가스 압력을 낮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에는 진원(眞圓)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슬리브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벨로우즈 관의 외면에 브레이드가 피복되고, 상기 브레이드의 외부에 어댑터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댑터는 벨로우즈 관의 내주면을 외측으로 확관시켜 브레이드가 어댑터의 내면에 압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구는 양측 단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통공이 형성되며, 양측 외주면에는 각기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주변에는 상기 벨로우즈 관의 환턱이 안착되도록 제1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구의 전면에는 홈과 돌기로 이루어진 제1결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너트의 내면에는 상기 제1결착부과 결합되도록 홈과 돌기로 이루어진 제2결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된 제1 및 제2결착부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소량의 가스 누설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벨로우즈 관의 연장된 전단부를 경유하여 가스가 누설되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가스의 이동 경로가 길어지게 되어 압력 및 온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가스누설량이 급격히 증가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어 폭발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의 설치 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의 설치 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A)는, 전단 개구공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외측에 환턱(22)이 형성된 벨로우즈 관(2); 상기 벨로우즈 관(2)에 결합되며 상기 환턱(2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커플링너트(5); 상기 벨로우즈 관(2)에 결합되어 상기 환턱(22)에 지지되며, 상기 커플링너트(5)와 나사 결합되는 연결구(6)를 포함한다.
벨로우즈 관(2)은 신축 및 굴곡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주름진 형상이며, 전단부와 상기 환턱(22)까지의 일정 간격(t)을 끼움부(20)라 한다.
상기 끼움부(20)는 16∼20mm가 적당하며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된다.
벨로우즈 관(2)의 외면에는 브레이드(3)가 피복된다. 상기 브레이드(3)는 그 끝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외부에 어댑터(4)가 결합된 후 벨로우즈 관(2)의 내주면 중에서 상기 어댑터(4)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부위를 외측으로 확관시켜 확관부(26)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확관부(26)에 의해 브레이드(3)가 어댑터(4)의 내면에 압착되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도 4 참조).
어댑터(4)는 일정 폭을 가지며 벨로우즈 관(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의 관체로써 벨로우즈 관(2)의 확관에 의해 브레이드(3)를 압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커플링너트(5)는 어댑터(4)가 통과되도록 관통공(50)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연결구(6)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5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구(6)는 벨로우즈 관(2)과 다른 관(200)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기 양측 단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통공(60)이 형성되며, 양측 외주면에는 각기 나사부(67a,67b)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벨로우즈 관(2)의 끼움부(20)에 끼워져 결합된다.
연결구(6)의 통공(60)은 벨로우즈 관(2)의 끼움부(2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틈새(S1)가 형성되도록 공차를 둠으로써 상기 틈새(S1)를 통해 가스가 누설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구(6)의 전면에는 상기 통공(60)의 주변으로 상기 벨로우즈 관(2)의 환턱(22)이 안착되도록 통공(60) 보다 직경이 큰 제1환홈(63)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6)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부(67a)는 상기 커플링너트(5)와 결합되고, 타측의 나사부(67a)에 또다른 관체(200)가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또다른 관체(200)에 구비된 너트(220)가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벨로우즈 관(2)의 외면에 브레이드(3)를 피복한 후 어댑터(4)를 끼움부(20)에 끼워 브레이드(3)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후 벨로우즈 관(2)의 내측에 공구를 삽입한 후 어댑터(4)에 대응되는 부위를 외측으로 확관시킴으로써 브레이드(3)가 어댑터(4)에 압착되도록 한다.
이후 커플링너트(5)를 벨로우즈 관(2)에 끼워 결합한다.
이후 벨로우즈 관(2)의 끼움부(20)를 연결구(6)의 통공(60)에 끼워넣은 후 커플링너트(5)를 연결구(6)의 나사부(67a)에 결합시켜 연결구(6)와 벨로우즈 관(2)이 일체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결합된 벨로우즈 관(2)의 끼움부(20)의 외주면과 연결구(6)의 통공(60)의 내주면 사이에는 미세한 틈새(S1)가 형성되고, 이 틈새(S1)를 통해 벨로우즈 관(2)의 내부 가스가 미량씩 누설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A3)는, 전단부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외측에 돌출된 환턱(22)이 형성된 벨로우즈 관(2); 상기 벨로우즈 관(2)에 결합되며 상기 환턱(2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커플링너트(5); 상기 벨로우즈 관(2)에 결합되고 상기 커플링너트(5)와 체결되는 연결구(6) 및 상기 끼움부(20)에 결합되는 슬리브(9)를 포함한다.
상기의 벨로우즈 관(2), 커플링너트(5), 연결구(6)는 상술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슬리브(9)는 원통형상의 파이프로써 진원(眞圓)으로 형성되며, 가급적 끼움부(20)와 같거나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의 벨로우즈 관(2)은 원형으로 구부린 후 양끝단을 용접하여 제조되는데 끼움부(20)는 특히 두께가 얇아 정확한 원으로 형성되지 못한다.
따라서 진원이 아닌 끼움부(20)를 연결구(6)에 곧바로 결합시키면 끼움부(20)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틈새(S1)의 간격이 일부는 넓고 일부는 좁아 균일하지 못하므로 넓은 틈새(S1)로 누설되는 가스량이 편중되는 폐단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방폭 규정에서 정하는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게 된다.
삭제
따라서 끼움부(20)가 정확한 원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 외면에 슬리브(9)를 끼워 일체가 되도록 결합시킨다.
즉 진원으로 제작된 슬리브(9)를 벨로우즈 관(2)의 끼움부(20)에 결합시키면, 누설되는 가스가 진원에 가까운 슬리브(9)의 외면을 통과하면서 편중 현상없이 균등하게 분산된 후 누설됨으로써 가스 누설량이 균등해질 수 있고 방폭 규정을 충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결구(6)의 통공(70)에는 슬리브(9)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604)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벨로우즈 관(2)의 외면에 브레이드(3)를 피복한 후 어댑터(4)를 끼움부(20)에 끼워 브레이드(3)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후 벨로우즈 관(2)의 내측에 공구를 삽입한 후 어댑터(4)에 대응되는 부위를 외측으로 확관시킴으로써 브레이드(3)가 어댑터(4)에 압착되도록 한다.
이후 커플링너트(5)를 벨로우즈 관(2)에 끼워 결합한다.
이후 끼움부(20)에 슬리브(9)를 결합시킨 후 연결구(6)의 통공(60)에 끼워넣은 다음 커플링너트(5)를 연결구(6)의 나사부(67a)에 결합시켜 연결구(6)와 벨로우즈 관(2)이 일체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결합된 슬리브(9)의 외주면과 연결구(6)의 통공(60)의 내주면 사이에는 미세한 틈새(S1')가 형성되고, 이 틈새(S1')를 통해 벨로우즈 관(2)의 내부 가스가 미량씩 누설될 수 있다.
상기 틈새(S1')는 진원의 슬리브(9)에 의해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누설되는 가스량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누설될 수 있다.
틈새(S1')를 통해 균일하게 누설된 가스는 커플링너트(5)와 연결구(6)의 결합부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벨로우즈 관 3 : 브레이드
4 : 어댑터 5 : 커플링너트
6 : 연결구 7 : 슬리브링
20 : 끼움부 22 : 환턱
61 : 제1결착부 63 : 제1환홈
65 : 홈 72 : 제2결착부
74 : 제2환홈

Claims (5)

  1. 전단 개구공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외측에 환턱(22)이 형성된 벨로우즈 관(2);
    상기 벨로우즈 관(2)에 결합되며 상기 환턱(2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커플링너트(5);
    상기 벨로우즈 관(2)에 결합되어 상기 환턱(22)에 지지되며, 상기 커플링너트(5)와 나사 결합되는 연결구(6)를 포함하며,
    상기 벨로우즈 관(2)의 전단 개구공으로부터 상기 환턱(22)까지 일정 길이를 갖는 끼움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20)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구(6)의 내주면 사이에 틈새(S1)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벨로우즈 관(2)의 전단 개구공으로부터 누설된 가스가 상기 끼움부(20)를 경유한 후 상기 연결구(6)와 커플링너트(5)의 나사 결합부위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온도와 압력이 낮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20)에는 진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슬리브(9)가 결합되고,
    상기 슬리브(9)의 외주면과 연결구(6)의 내주면 사이에는 틈새(S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 관(2)의 외면에 브레이드(3)가 피복되고, 상기 브레이드(3)의 외부에 어댑터(4)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4)는 벨로우즈 관(2)의 내주면을 외측으로 확관시켜 브레이드(3)가 어댑터(4)의 내면에 압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6)는
    양측 단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통공(60)이 형성되며, 양측 외주면에는 각기 나사부(67a,67b)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60)의 주변에는 상기 벨로우즈 관(2)의 환턱(22)이 안착되도록 제1환홈(6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

KR1020100059024A 2010-06-04 2010-06-22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 KR100988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024A KR100988284B1 (ko) 2010-06-22 2010-06-22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
JP2010163979A JP5277507B2 (ja) 2010-06-04 2010-07-21 ジョイントを備えたフレキシブルホース組立体
US12/841,517 US8523239B2 (en) 2010-06-04 2010-07-22 Flexible hose assembly with j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024A KR100988284B1 (ko) 2010-06-22 2010-06-22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8284B1 true KR100988284B1 (ko) 2010-10-18

Family

ID=4313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024A KR100988284B1 (ko) 2010-06-04 2010-06-22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2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6718B2 (en) 2013-09-12 2016-01-12 Seung Jin Ind. Co., Ltd Unwelded explosion-proof drain cable gland assembly
KR20160113856A (ko) * 2015-03-23 2016-10-04 정운택 방폭용 플렉시블 조인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9571A (ja) * 1992-09-03 1994-06-07 Hitachi Metals Ltd ガラス繊維ブレードを外装した金属フレキホース
KR0118091Y1 (ko) * 1994-11-09 1998-08-01 김형수 스프링쿨러용 플렉시블 조인트
JP2002250488A (ja) 2001-02-22 2002-09-06 Osaka Gas Co Ltd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用継手および同継手用のリテーナ
KR20080004827U (ko) * 2007-04-18 2008-10-22 (주)하이시스템 파이프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9571A (ja) * 1992-09-03 1994-06-07 Hitachi Metals Ltd ガラス繊維ブレードを外装した金属フレキホース
KR0118091Y1 (ko) * 1994-11-09 1998-08-01 김형수 스프링쿨러용 플렉시블 조인트
JP2002250488A (ja) 2001-02-22 2002-09-06 Osaka Gas Co Ltd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用継手および同継手用のリテーナ
KR20080004827U (ko) * 2007-04-18 2008-10-22 (주)하이시스템 파이프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6718B2 (en) 2013-09-12 2016-01-12 Seung Jin Ind. Co., Ltd Unwelded explosion-proof drain cable gland assembly
KR20160113856A (ko) * 2015-03-23 2016-10-04 정운택 방폭용 플렉시블 조인트 장치
KR101707943B1 (ko) * 2015-03-23 2017-02-17 정운택 방폭용 플렉시블 조인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7507B2 (ja) ジョイントを備えたフレキシブルホース組立体
KR100988279B1 (ko) 방폭용 플렉시블 조인트 장치
ES2636984T3 (es) Racor para tuberías
KR102039135B1 (ko) 배관용 연결장치
BRPI0609396A2 (pt) montagem de abraçadeira para tubo
JP2011256997A5 (ko)
RU2697585C2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107324B1 (ko) 스프링클러 어댑터 및 파이프 플러그
KR100988284B1 (ko)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
KR101865460B1 (ko) 패킹의 기밀성을 높인 신축배관
US5851033A (en) Corrosion limiting device
KR102117915B1 (ko)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LT3292B (en) Device for essembling of pipework and using the same
US6488316B1 (en) Flexible metal hose termination fitting with adapter for termination plate
KR200493485Y1 (ko) 배관용 고무링
KR20190048170A (ko) 금속 주름관의 연결 구조
KR101707943B1 (ko) 방폭용 플렉시블 조인트 장치
KR101573346B1 (ko) 이탈방지용 배관
KR102175215B1 (ko)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
KR102226048B1 (ko) 배관용 관이음구 어셈블리
JP2019090540A (ja) 配管用継手
JP7093968B2 (ja) 接続部のシール構造
KR20190030147A (ko) 소방용 스프링쿨러 신축 배관 연결장치
KR20160109648A (ko) 신축성 연결구
KR101703720B1 (ko) 이탈방지용 삽입형 링조인트 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