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215B1 -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215B1
KR102175215B1 KR1020200035183A KR20200035183A KR102175215B1 KR 102175215 B1 KR102175215 B1 KR 102175215B1 KR 1020200035183 A KR1020200035183 A KR 1020200035183A KR 20200035183 A KR20200035183 A KR 20200035183A KR 102175215 B1 KR102175215 B1 KR 102175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cking
boss
slide
pack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병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200035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3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placed around the spigot end befor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길이로 보스관이 형성된 제1 연결배관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슬라이드관이 상기 보스관의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연결배관으로 이루어진 신축관 이음장치로서, 상기 보스관과 상기 슬라이드관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보스관과 상기 슬라이드관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부재;를 마련하여 패킹재 및 고정패킹재의 내경을 보스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여 보스관과 슬라이드관이 직접 접촉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보스관과 슬라이드관의 마찰에 의한 불순물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패킹재 및 고정패킹재가 불순물에 의한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Flexible pipe joints with replaceable packing}
본 발명은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연결배관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게 하여 불순물에 의한 패킹재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패킹재를 간편하게 교체 또는 추가할 수 있는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이라 함은 현대 산업설비의 혈관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이러한 배관을 설계함에 있어 설계자가 직면하는 문제로는 외기와 수송유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과 수축의 문제, 기관 등에 의한 진동의 문제, 풍압 및 지진 등에 의한 이동 및 파손 등의 문제로부터 배관 즉, 파이프 라인에 가해지는 과중한 응력을 흡수하여 기기를 보호하고 사고발생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배관 부분에 신축 및 진동에 대응하는 신축관 이음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신축관 이음장치는 크게 두가지 형태로 벨로우즈형 신축관 이음장치(또는 '플랙시블 조인트장치'라고도 함)와 주입형 슬립 조인트장치로 나눌 수 있으며, 전자의 벨로우즈형 신축관 이음장치는 배관 사이에 주름관 형태의 벨로우즈 또는 플랙시블 관을 연결하고, 이들 벨로우즈 또는 플랙시블 관을 외부로 부터 보호하기 의한 슬리브를 결합한 형상이다.
아울러 후자의 주입형 슬립 조인트장치는 배관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내, 외측관이 마련되고, 상기 내, 외측 관체가 중첩되는 부분 양단에 밀폐링을 구비하고, 상기 밀폐링 사이에 일정량의 팩킹물질이 주입된 상태를 유지시켜 밀폐하게 되는 형상이다.
특히 상기 주입된 팩킹물질은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소멸되는 문제점 즉, 내, 외측관의 상호 슬라이딩에 의한 누수나,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 상기 패킹물질이 소멸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외부에서 팩킹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가스 주입노즐이 마련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팩킹물질을 충전하는 일련의 작업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축관 이음장치는 사용목적에 따라 각각 다르게 사용되는 것으로, 가령 벨로우즈형 신축관 이음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저가라는 이점으로, 일반적인 배관에 주로 사용되나, 상기 벨로우즈는 주름관 형태로 길이에 비해 신축 길이가 짧다는 신축성 한계로 적용 범위에 한계성을 가지고 특히, 벨로우즈 관에 회전모멘트가 작용할 경우 응력 집중으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장기간 사용 시 외기 또는 유체의 온도변화에 의한 부식과 잦은 가변력을 받을 경우 용이한 파손으로 자주 교체해 줘야 하는 유지보수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주입형 슬립 조인트장치는 외부의 충격이나 회전모멘트의 작용 시 이를 용이하게 해소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팩킹물질에 의한 밀폐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으로 기밀을 요하는 배관에 주로 사용되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라는 문제점으로 이 또한 적용 범위에 한계성을 가진다.
특히 패킹물질을 주입노즐에 일정 기간이 경과 후 계속적으로 충전해야 되는 작업의 번잡성과, 유지보수 비용이 상승되고, 더불어 분해, 조립이 불가능하여 충격 또는 기타 외부 환경에 의해 주입형 슬립조인트 내부 부품이 파손될 경우 전품을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는 슬라이드관의 일부가 보스관의 내경에 삽입되는 중첩된 부분에 밀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관과 보스관의 양측 끝단으로 배관이 결합되어, 상기 배관을 통해 수송되는 유체 및 외부 환경에 의한 충격 및 변형으로부터 배관을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신축관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보스관의 끝단 외경에 후방 일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내경을 가지고 선단 내경에 홈부와 상기 홈부의 후방으로 암나사부를 형성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내경에 삽입하여 보스관의 끝단에 지지되고 중앙 내경으로 슬라이드관이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제1 가이드커버, 상기 슬리브의 내경에 삽입하여 상기 제1 가이드커버의 끝단에 밀착되고 중앙 내경으로 슬라이드관이 삽입되며 적어도 2 이상의 패킹으로 형성하는 조합패킹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경에 삽입되어 상기 조합패킹부의 끝단에 밀착되고 상기 슬리브의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선 결합되도록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슬라이드관(10)이 삽입되도록 내경을 가지는 제 2 가이드커버로 이루어진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는 내부로 유체가 통과하는 내부관, 상기 내부관의 내측으로 신축 이동하는 신축관, 상기 내부관의 적어도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신축관을 실링하며, 신축관의 이동을 지지하는 패킹하우징, 상기 내부관 및 상기 패킹하우징의 외부에 이격되어 제공되는 외부관 및 상기 패킹하우징의 일단에 단열 연결되어 상기 신축관 외부를 덮도록 제공되는 신축관 보호용 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신축관 보호용 챔버는 일단이 상기 패킹하우징의 단부에 용접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패킹하우징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타단이 상기 외부관에 단열연결부에 의해 단열 연결되고, 상기 신축관과의 사이에 상기 내부관으로부터 누설 유체를 잔류시키는 누설유체잔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누설유체잔류공간으로부터 누설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누설유체배출관이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슬리브형 신축관 이음장치는 장기간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수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오링의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슬리브형 신축관 이음장치는 배관의 온도에 따라 제1 연결배관과 제2 연결배관이 슬라이딩 신축되면서 금속끼리의 마찰에 의해 발생된 이물질로 고무 재질의 오링이 씹히거나 마모 및 변형에 의해 기밀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금속 재질의 제1 연결배관과 제2 연결배관이 서로 슬라이딩 되면서 마찰에 의해 편심되어 신축관 이음장치가 배관과 일직선 상으로 유지할 수 없으며, 금속끼리의 마찰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되면서 신축관 이음장치의 기밀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신축관 이음장치는 설치 후 제1 연결배관과 제2 연결배관 사이에 설치된 오링을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신축관 이음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신축관 이음장치의 교체 작업 시 배관을 통하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교체 작업을 해야 되므로, 아파트 등과 같은 거주시설에서 신축관 이음장치의 교체 작업에 따른 차수에 의해 주민들이 물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90489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20-002382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축관 이음장치의 설치 후 제1 연결배관과 제2 연결배관 사이에 패킹재를 자유로이 교체 또는 추가할 수 있는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축관 이음장치의 교체 작업 시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또는 물)의 흐름을 차단시키지 않고서도 신축관 이음장치의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한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축관 이음장치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연결배관과 제2 연결배관이 서로 밀착되지 않고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는 소정의 길이로 보스관(12)이 형성된 제1 연결배관(10)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슬라이드관(22)이 상기 보스관(12)의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연결배관(20)으로 이루어진 신축관 이음장치로서,
상기 보스관(12)과 상기 슬라이드관(22)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보스관(12)과 상기 슬라이드관(22)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보스관(12)과 상기 슬라이드관(22)의 마찰에 의한 불순물이 발생되지 않게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패킹부재(30)가 상기 보스관(12)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부재(30)는 상기 보스관(12)의 일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본체(31); 상기 보스관(12)과 상기 슬라이드관(22)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패킹재(37); 상기 보스관(12)의 내면에 설치되는 고정패킹재(41);를 포함하며,
상기 보스관(12)에는 상기 덮개본체(31)가 체결되도록 볼트구멍(13)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본체(31)는 상기 패킹재(37)를 교체 또는 추가할 수 있도록 상기 보스관(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재(37)에는 상기 슬라이드관(22)의 외면에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커팅된 절개부(38)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재(37)는 상기 보스관(12)과 상기 슬라이드관(22)의 기밀이 유지되게 상기 절개부(38)가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본체(31)는 상기 보스관(12)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본체(31)에는 상기 보스관(12)의 볼트구멍(13)에 대응되게 볼트구멍(32)이 형성되며, 상기 보스관(12)의 내면에 설치되는 패킹재(37)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덮개본체(31)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패킹받침부(34)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받침부(34)에는 상기 보스관(12)과 상기 슬라이드관(22)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제1 오링(3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패킹재(41)는 상기 보스관(12)의 내면에 형성된 패킹삽입홈부(14)에 압입되게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패킹재(41)의 일면에는 상기 보스관(12)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단턱(15)에 압입 결합되는 단턱고정부(43)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패킹재(41)의 내면에는 상기 슬라이드관(22)과의 기밀이 유지되게 제2 오링(4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에 의하면, 패킹재 및 고정패킹재의 내경을 보스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여 보스관과 슬라이드관이 직접 접촉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보스관과 슬라이드관의 마찰에 의한 불순물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패킹재 및 고정패킹재가 불순물에 의한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에 의하면, 신축관 이음장치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에서 패킹재를 추가 또는 교체할 수 있고, 배관을 차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패킹재를 교체 또는 추가할 수 있으며, 신축관 이음장치에서 누수 등의 발생 시 신축관 이음장치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서 간편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고, 신축관 이음장치의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는 소정의 길이로 보스관(12)이 형성된 제1 연결배관(10)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슬라이드관(22)이 상기 보스관(12)의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연결배관(20)으로 이루어진 신축관 이음장치로서, 상기 보스관(12)과 상기 슬라이드관(22)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보스관(12)과 상기 슬라이드관(22)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부재(3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연결배관(10)과, 상기 제1 연결배관(2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배관(20) 및 상기 제1 연결배관(10)과 제2 연결배관(20)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패킹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연결배관(10)은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플랜지(11)와, 상기 플랜지(11)의 일면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슬라이드관(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랜지(11)에는 다른 배관(미도시)에 연결되게 볼트구멍(13)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관(12)의 내면에는 패킹부재(30)를 결합시킬 수 있게 패킹삽입홈부(14)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패킹삽입홈부(14)의 선단에는 패킹부재(30)의 고정패킹재(4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단턱(15)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단턱(15)은 패킹삽입홈부(14)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킹부재(30)의 고정패킹재(41)가 강제 압입으로 고정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단턱(1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관(12)의 내면에 형성되어 패킹부재(30)의 고정패킹재(41)가 강제 압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배관(20)은 제1 연결배관(1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연결배관(20)의 일측에는 다른 배관(미도시)에 연결되게 플랜지(21)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플랜지(21)의 일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슬라이드관(22)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관(22)은 제1 연결배관(10)의 보스관(12)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상기 슬라이드관(22)에는 슬라이딩 길이를 제한시키는 고정단턱(24)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1)에는 다수의 볼트구멍(23)이 형성된다.
상기 패킹부재(30)는 보스관(12)과 슬라이드관(2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패킹부재(30)는 보스관(12)과 슬라이드관(22)의 기밀을 유지시켜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패킹부재(30)는 보스관(12)의 일면에 설치되는 덮개본체(31)와, 상기 보스관(12)과 슬라이드관(22) 사이에 끼워지는 다수의 패킹재(37) 및 상기 고정단턱(15)에 강제 압입되는 고정패킹재(41)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본체(31)는 보스관(12)과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고, 보스관(12)의 볼트구멍(13)에 대응되는 다수의 볼트구멍(3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볼트구멍(32) 및 볼트구멍(13)에 체결되는 고정볼트(33)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본체(31)의 일면에는 보스관(12)의 패킹삽입홈부(14)에 끼워지는 패킹받침부(34)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패킹받침부(34)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보스관(12) 내부에 끼워짐에 따라 다수의 패킹재(37)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패킹받침부(34)에는 오링홈부(35)가 형성되고, 상기 오링홈부(35)에 설치되는 제1 오링(36)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1 오링(36)은 보스관(12)과 슬라이드관(22)의 기밀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패킹재(37)는 보스관(12)과 슬라이드관(22)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패킹재(37)는 단면상 4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보스관(12)과 슬라이드관(22) 사이에 패킹재(37)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통상의 오링은 단면상 원형으로 형성되지만, 패킹재(37)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기밀을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패킹재(37)는 그 형태적인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절개부(38)가 형성된다. 이러한 절개부(3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패킹재(37)의 교체 또는 추가 시 제2 연결배관(20)을 보스관(12)으로부터 완전 분리시키지 않고서 패킹재(37)를 교체 또는 추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패킹재(37)는 여러 개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며,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이때 패킹재(37)의 절개부(38)가 서로 엇갈리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절개부(38)에 의한 누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개부(38)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패킹재(41)는 단면상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보스관(12)의 패킹삽입홈부(14)에 압입되는 패킹삽입부(42)와, 보스관(12)의 고정단턱(15)에 압입되는 단턱고정부(4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패킹삽입부(42)는 패킹삽입홈부(14)에 강제 압입되게 결합되고, 상기 단턱고정부(43)는 고정단턱(15)에 강제 압입되게 결합되어 패킹부재(30)가 보스관(12)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한편 상기 고정패킹재(41)의 내경은 보스관(12)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는 고정패킹재(41)에 의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보스관(12)과 슬라이드관(22)이 서로 밀착되지 않게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고정패킹재(41) 및 상기 패킹재(37)의 내경은 보스관(12)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관(22)의 슬라이딩 시 금속끼리 서로 맞닿지 않게 한다.
이는 슬라이드관(22)의 슬라이딩 시 금속 재질의 마찰에 의해 불순물이 발생되지 않게 함으로써, 패킹부재(30)가 불순물에 의해 파손 또는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이로 인해 패킹부재(30)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여 신축관 이음장치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단턱고정부(43)의 내면에는 제2 오링(45)을 설치할 수 있도록 오링홈부(44)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오링(45)은 오링홈부(44)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2 오링(45)은 슬라이드관(22)에 밀착되어 기밀을 보다 양호하게 유지되게 한다.
한편 상기 패킹재(37) 및 고정패킹재(41)는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져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온도에 따른 내구성을 가짐은 물론 신축관 이음장치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는 보스관(12)의 내면에 형성된 패킹삽입홈부(14) 및 고정단턱(15)에 고정패킹재(41)를 압입시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패킹재(41)의 패킹삽입부(42)는 패킹삽입홈부(14)에 압입 고정되고, 단턱고정부(43)는 보스관(12)의 고정단턱(15)에 압입 고정되어 고정패킹재(41)가 보스관(12)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게 설치된다.
상기 제2 연결배관(20)의 슬라이드관(22) 외면에는 다수의 패킹재(37)를 설치하게 되며, 이때 상기 패킹재(37)에는 절개부(38)에 의해 절단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관(22)의 외측에서 패킹재(37)를 끼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신축관 이음장치의 장기간 사용에 따라 패킹재(37)의 마모 또는 손상 발생 시 패킹재(37)를 교체 또는 추가하여 줌으로써 보스관(12)과 슬라이드관(22)의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작업자는 패킹재(37)의 교체 또는 추가 작업 시 제2 연결배관(20)을 제1 연결배관(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패킹재(37)의 교체 또는 추가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신축관 이음장치의 유지·보수 작업 시 배관을 차수하지 않고서도 신축관 이음장치를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갈이 신축관 이음장치를 배관(미도시)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서 유지·보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관을 차수시키지 않고 통수시킨 상태에서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갈이 배관을 차수시키지 않고서도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아파트 등과 같이 거주자 등에게 물 등의 유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패킹재(37)의 교체 또는 추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관(22)에는 덮개본체(31)를 끼워 결합하며, 상기 덮개본체(31)는 보스관(12)의 볼트구멍(13)과 볼트구멍(32)을 일치시켜 고정볼트(33)를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신축관 이음장치는 배관(미도시)에 연결 설치되며, 장기간 사용에 따라 패킹재(37)의 마모 또는 손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신축관 이음장치의 제1 연결배관(10)과 제2 연결배관(20)에서 누수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배관을 차수시키지 않고서 제1 연결배관(10)에 체결된 고정볼트(33)를 풀어준 다음 덮개본체(31)를 제1 연결배관(1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덮개본체(31)가 분리된 상태에서 기존의 패킹재(37)에 더하여 패킹재(37)를 추가하여 줌으로써 보스관(12)과 슬라이드관(22)의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다수의 패킹재(37)는 절개부(38)를 서로 엇갈리게 배치시킴으써 절개부(38)에 의한 누수 없이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킹재(37)의 교체 또는 추가 작업 시 절개부(38)에 의해 패킹재(37)를 펼친 상태에서 슬라이드관(22)의 외면에 간편하게 끼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패킹재(37) 및 고정패킹재(41)의 내경은 보스관(12)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보스관(12) 및 슬라이드관(22)이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슬라이드관(22)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관(22)의 이동 시 금속 재질의 마찰에 의한 불순물이 패킹재(37) 및 고정패킹재(41)에 유입되지 않게 되어 신축관 이음장치를 보다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패킹재(37) 및 고정패킹재(41)는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져 보스관(12)과 슬라이드관(22)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패킹재(37)를 교체 또는 추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제1 연결배관 11: 플랜지
12: 보스관 13: 볼트구멍
14: 패킹삽입홈부 15: 고정단턱
20: 제2 연결배관 21: 플랜지
22: 슬라이드관 23: 고정단턱
30: 패킹부재 31: 덮개본체
32: 볼트구멍 33: 고정볼트
34: 패킹받침부 35: 오링홈부
36: 제1 오링 37: 패킹재
38: 절개부
41: 고정패킹재 42: 패킹삽입부
43: 단턱고정부 44: 오링홈부
45: 제2 오링

Claims (5)

  1. 소정의 길이로 보스관(12)이 형성된 제1 연결배관(10)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슬라이드관(22)이 상기 보스관(12)의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연결배관(20)으로 이루어진 신축관 이음장치로서,
    상기 보스관(12)과 상기 슬라이드관(22)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보스관(12)과 상기 슬라이드관(22)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보스관(12)과 상기 슬라이드관(22)의 마찰에 의한 불순물이 발생되지 않게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패킹부재(30)가 상기 보스관(12)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패킹부재(30)는 상기 보스관(12)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본체(31)와, 상기 보스관(12)과 상기 슬라이드관(22)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패킹재(37)와, 상기 보스관(12)의 내면에 설치되는 고정패킹재(41)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스관(12)에는 상기 덮개본체(31)가 체결되도록 볼트구멍(13)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본체(31)는 상기 패킹재(37)를 교체 또는 추가할 수 있도록 상기 보스관(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배관(10)에는 상기 제2 연결배관(20) 및 상기 패킹부재(30)가 삽입되게 상기 볼트구멍(13)의 선단에서부터 상기 플랜지(11)를 향해 내경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패킹삽입홈부(14)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삽입홈부(14)의 선단에는 상기 패킹부재(30)의 상기 고정패킹재(41)가 강제 압입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2 연결배관(20)의 슬라이딩에 의해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고정단턱(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재(37)에는 상기 슬라이드관(22)의 외면에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커팅된 절개부(38)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재(37)는 상기 보스관(12)과 상기 슬라이드관(22)의 기밀이 유지되게 상기 절개부(38)가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본체(31)는 상기 보스관(12)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본체(31)에는 상기 보스관(12)의 볼트구멍(13)에 대응되게 볼트구멍(32)이 형성되며,
    상기 보스관(12)의 내면에 설치되는 패킹재(37)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덮개본체(31)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패킹받침부(34)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받침부(34)에는 상기 보스관(12)과 상기 슬라이드관(22)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제1 오링(3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킹재(41)는 상기 보스관(12)의 내면에 형성된 패킹삽입홈부(14)에 압입되게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패킹재(41)의 일면에는 상기 보스관(12)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단턱(15)에 압입 결합되는 단턱고정부(43)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패킹재(41)의 내면에는 상기 슬라이드관(22)과의 기밀이 유지되게 제2 오링(4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
KR1020200035183A 2020-03-23 2020-03-23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 KR102175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183A KR102175215B1 (ko) 2020-03-23 2020-03-23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183A KR102175215B1 (ko) 2020-03-23 2020-03-23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215B1 true KR102175215B1 (ko) 2020-11-05

Family

ID=7324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183A KR102175215B1 (ko) 2020-03-23 2020-03-23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2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3987A (ja) * 1989-11-10 1991-07-01 Nkk Corp 伸縮継手
KR200390489Y1 (ko) 2005-05-02 2005-07-21 소민철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KR200409053Y1 (ko) * 2005-08-30 2006-02-20 유현상 파이프 이음구조
KR101173209B1 (ko) * 2012-04-13 2012-08-10 방대석 배관용 슬립조인트
KR20200023820A (ko) 2018-08-27 2020-03-06 황연한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3987A (ja) * 1989-11-10 1991-07-01 Nkk Corp 伸縮継手
KR200390489Y1 (ko) 2005-05-02 2005-07-21 소민철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KR200409053Y1 (ko) * 2005-08-30 2006-02-20 유현상 파이프 이음구조
KR101173209B1 (ko) * 2012-04-13 2012-08-10 방대석 배관용 슬립조인트
KR20200023820A (ko) 2018-08-27 2020-03-06 황연한 신축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9220B2 (en) Fuel distribution manifold system for gas turbine engines
US7677609B2 (en) Reusable fitting for corrugated tubing
US20080036209A1 (en) Assembly including a spring-energized polymeric seal
US20190086006A1 (en) Seismic grooveless coupling
IL196511A (en) Gasket profile for balanced - counterbalanced elastomeric tubing for bell connectors for tubing
KR101318774B1 (ko) 신축가동관
US3574354A (en) Flexible coupling
US3917324A (en) Pipe joint
KR20190136677A (ko) 신축성 이음부를 포함하는 배관
KR102175215B1 (ko)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
KR200390489Y1 (ko)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EP0081812B1 (en) Fire-safe seal for swivel joint
CN110043749A (zh) 模块化的分离式套筒
US9394996B2 (en) Sealing device
KR101081549B1 (ko) Frp 파이프 연결관 조립체
KR100988284B1 (ko) 조인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호스 조립체
RU196823U1 (ru) Трубопровод топливного отсека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KR0126408Y1 (ko) 관 연결장치
KR200155007Y1 (ko) 주유배관 연결구조체
CN220792337U (zh) 一种基于低频振动环境下使用的连接套
RU176792U1 (ru) Термоуплотняемый компенсатор
JP2022062958A (ja) 結合構造
KR0140544Y1 (ko) 공기장치의유연금속도관
KR200197254Y1 (ko) 밀봉조인트를 구비하는 금속파이프
RU2305220C1 (ru) Компен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