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489Y1 -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489Y1
KR200390489Y1 KR20-2005-0012241U KR20050012241U KR200390489Y1 KR 200390489 Y1 KR200390489 Y1 KR 200390489Y1 KR 20050012241 U KR20050012241 U KR 20050012241U KR 200390489 Y1 KR200390489 Y1 KR 200390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diameter
packing
tube
slid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조
소민철
Original Assignee
소민철
정찬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민철, 정찬조 filed Critical 소민철
Priority to KR20-2005-0012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4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4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드형 신축관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관의 일부가 외측관의 내경에 삽입되는 중첩된 부분에 밀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 외측관의 양측 끝단으로 배관을 결합하여, 상기 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 및 외부 영향에 의한 충격 및 변형으로부터 배관을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신축관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30)는 상기 외측관(20)의 끝단 외경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내경(112)을 가지고 타단 내경(112)에 홈부(114)와 상기 홈부(114)의 후방으로 암나사부(116)를 형성하는 슬리브(110)와;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112)에 삽입시켜 외측관(20)의 끝단에 지지되고 중앙 내경(122)으로 내측관(10)이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제 1 가이드커버(120);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112)에 삽입시켜 상기 제 1 가이드커버(120)의 끝단에 밀착되고 중앙 내경으로 내측관(10)이 삽입되는 적어도 2이상의 패킹을 구성하는 조합패킹부(130); 및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112)에 삽입되어 상기 조합패킹부(130)의 끝단에 밀착되고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112)에 형성된 암나사부(116)와 나선 결합되도록 외주연에 수나사부(142)가 형성되며 내측관(10)이 삽입되도록 내경(144)을 형성하는 제 2 가이드커버(140)로 형성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slide type expansion pipe}
본 고안은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관과 보스관의 중첩된 부분에 제 1 및 제 2 가이드커버와 다수의 패킹이 구비된 조합패킹으로 구성된 밀폐부를 형성하여, 상기 밀폐부를 구성하는 제반 설비단가에 비해 밀폐효율이 높고, 동일한 조건하의 타 신축관 이음장치에 비해, 길이방향의 신축길이 및 회전모멘트에 대한 응력발생이 없으며, 특히 밀폐부의 용이한 조립 및 분해로 유지보수비가 저렴함에 따른 제품경쟁력이 강화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이라 함은 현대 산업설비의 혈관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이러한 배관을 설계함에 있어 설계자가 직면하는 문제로는 외기와 수송유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과 수축의 문제, 기관등에 의한 진동의 문제, 풍압 및 지진 등에 의한 이동 및 파손 등의 문제로부터 배관 즉, 파이프 라인에 가해지는 과중한 응력을 흡수하여 기기를 보호하고 사고발생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배관 부분에 신축 및 진동에 대응하는 신축관 이음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신축관 이음장치는 크게 두가지 형태로 벨로우즈형 신축관 이음장치(또는 '플랙시블 조인트장치'라고도 함)와 주입형 슬립 조인트장치로 나눌 수 있으며, 전자의 벨로우즈형 신축관 이음장치는 배관 사이에 주름관 형태의 벨로우즈 또는 플랙시블 관을 연결하고, 이들 벨로우즈 또는 플랙시블 관을 외부로 부터 보호하기 의한 슬리브를 결합한 형상이다.
아울러, 후자의 주입형 슬립 조인트장치는 배관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내, 외측관이 마련되고, 상기 내, 외측 관체가 중첩되는 부분 양단에 밀폐링을 구비하고, 상기 밀폐링 사이에 일정량의 팩킹물질이 주입된 상태를 유지시켜 밀폐하게 되는 형상이다.
특히, 상기 주입된 팩킹물질은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소멸되는 문제점 즉, 내, 외측관의 상호 슬라이딩에 의한 누수나,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 상기 패킹물질이 소멸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외부에서 팩킹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가스 주입노즐이 마련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팩킹물질을 충전하는 일련의 작업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축관 이음장치는 사용목적에 따라 각각 다르게 사용되는 것으로, 가령 벨로우즈형 신축관 이음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저가라는 이점으로, 일반적인 배관에 주로 사용되나, 상기 벨로우즈는 주름관 형태로 길이에 비해 신축길이가 짧다는 신축성 한계로 적용 범위에 한계성을 가지고 특히, 벨로우즈 관에 회전모멘트가 작용할 경우 응력 집중으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장시간 사용시 외기 또는 유체의 온도변화에 의한 부식과 잦은 가변력을 받을 경우 용이한 파손으로 자주 교체해 줘야하는 유지보수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주입형 슬립 조인트장치는 외부의 충격이나 회전모멘트의 작용시 이를 용이하게 해소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팩킹물질에 의한 밀폐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으로 기밀을 요하는 배관에 주로 사용되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라는 문제점으로 이 또한 적용 범위에 한계성을 가진다.
특히, 팩킹물질을 주입노즐에 일정시간이 경과 후 계속적으로 충전해야 되는 작업의 번잡성과, 유지보수 비용이 상승되고, 더불어 분해, 조립이 불가능하여 충격 또는 기타 외부 환경에 의해 주입형 슬립조인트 내부 부품이 파손될 경우 전품을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관 사이에 연결되는 슬라이드관과 보스관의 중첩된 부분에 제 1 및 제 2 가이드커버와 다수의 패킹을 구비한 밀폐부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의 제반 설비 단가는 종래의 벨로우즈형 신축관 이음장치와 비슷하면서, 밀폐효율은 종래의 익스펜션 슬립 조인트장치와 비슷한 효율을 가지도록 하는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동일 조건하의 타 신축관 이음장치에 비해 신축길이가 길고, 회전모멘트에 대한 응력발생이 없어 적용 범위가 확대되도록 하는 슬랑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밀폐부에 형성된 조합패킹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유지보수비가 저렴하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여 제품 경쟁력이 강화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는, 슬라이드관의 일부가 보스관의 내경에 삽입되는 중첩된 부분에 밀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관과 보스관의 양측 끝단으로 배관이 결합되어, 상기 배관을 통해 수송되는 유체 및 외부 환경에 의한 충격 및 변형으로부터 배관을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신축관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보스관의 끝단 외경에 후방 일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내경을 가지고 선단 내경에 홈부와 상기 홈부의 후방으로 암나사부를 형성하는 슬리브와, 이 슬리브의 내경에 삽입하여 보스관의 끝단에 지지되고 중앙 내경으로 슬라이드관이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제 1 가이드커버와, 상기 슬리브의 내경에 삽입하여 상기 제 1 가이드커버의 끝단에 밀착되고 중앙 내경으로 슬라이드관이 삽입되며 적어도 2이상의 패킹으로 형성하는 조합패킹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경에 삽입되어 상기 조합패킹부의 끝단에 밀착되고 상기 슬리브의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선 결합되도록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슬라이드관이 삽입되도록 내경을 가지는 제 2 가이드커버로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조합패킹부는 선단에 돌출부를 가지며 후단으로 내, 외경에 다수의 굴곡이 형성되는 측단면을 가지는 제 1 패킹과, 이 제 1 패킹의 선단 돌출부에 면접촉되는 홈부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는 제 2 패킹, 및 이 제 2 패킹에 면접촉되는 후단을 가지고 선단은 제 2 가이드커버에 밀착되는 패킹어댑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조합패킹부는 '' 형상의 측단면을 가지는 제 1 패킹과, ''형상의 측단면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이상이 적층되는 제 2 패킹, 및 ''형상의 측단면을 가지는 패킹어댑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조합패킹부는 신축성이 다른 이종의 재질로 형성하되, 제 1 패킹은 고무재로 형성하고 제 2 패킹 및 패킹어댑터은 테프론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가이드의 내경에는 슬라이드관과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가이드링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 2 가이드커버는 내경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부직포재질의 와이퍼가 내경에 형성되고, 선단면에는 외부에서 제 2 가이드커버를 회전시켜 상기 제 2 가이드커버가 슬리브의 암나사부를 따라 나선 이송되도록 하는 탭홈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가 최대로 신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V'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밀폐부의 제 2 가이드커버가 조합패킹부를 압축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1)는 슬라이드관(10)의 일부가 보스관(20)의 내경에 삽입되는 중첩된 부분에 밀폐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관(10)과 보스관(20)의 양측 끝단으로 배관을 결합하여, 상기 배관을 통해 수송되는 유체 및 외부 환경에 의한 충격 및 변형으로부터 배관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밀폐부(30)는 슬라이드관(10)과 보스관(20)이 중첩되는 부분의 외측관(20)의 끝단에 일단이 고정되는 슬리브(110)와,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112)에 순차적으로 제 1 가이드커버(120)와, 조합패킹부(130), 및 제 2 가이드커버(140)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관(10)과 보스관(20)의 사이를 밀폐시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110)는 상기 보스관(20)의 끝단 외경에 후방이 삽입 고정되도록 내경(112)을 가지고 전방 내경(112)에 홈부(114)와 상기 홈부(114)의 후방으로 암나사부(116)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112)이 삽입되는 외측관(20)의 외경은 상기 슬리브(110)가 삽입되는 부분만큼 단턱을 형성하여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하고, 상기 삽입된 부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등으로 융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스관(20)에 슬리브(110)를 고정하는 방법은 용접등에 의한 방법외에 가령, 다수의 리벳 결합 또는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방식 및 상기 보스관(20)의 외주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수나사와 나사 체결되도록 슬리브(110)의 내경에 암나사를 형성한 나사 체결방법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 1 가이드커버(120)는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112)에 삽입시켜 보스관(20)의 끝단에 지지되고 중앙 내경(122)으로 슬라이드관(10)이 삽입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가이드커버(120)의 내경(122)에는 슬라이드관(10)과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 1 가이드링(124)을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제 1 가이드커버(120)의 후방에는 보스관(20)의 끝단에 단턱(126)을 형성하여, 상기 단턱(126)을 통해 견고한 삽입력을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합패킹부(130)는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112)에 삽입시켜 상기 제 1 가이드커버(120)의 끝단에 밀착되고 중앙 내경으로 슬라이드관(10)이 삽입되는 적어도 2이상의 패킹으로 구성하여, 상기 슬리브(110)와 슬라이드관(10) 사이의 밀페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조합패킹부(130)는 선단에 돌출부(212)를 가지며 후단으로 내, 외경에 다수의 굴곡(214)이 형성되는 측단면을 가지는 제 1 패킹(210)과, 상기 제 1 패킹(210)의 선단 돌출부(212)에 면접촉되는 홈부(222)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는 제 2 패킹(220), 및 상기 제 2 패킹(220)에 면접촉되는 후단을 가지고 선단은 제 2 가이드커버(140)에 밀착되는 패킹어댑터(230)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 1 패킹(210)의 선단 돌출부(212)는 중앙에서 상, 하로 테이퍼진 삼각형상을 가지고, 내, 외경 굴곡(214)도 삼각형상을 가지는 즉, '' 형상의 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패킹(220)은 상기 제 1 패킹(210)의 선단 돌출부(212)와 동일한 모양의 홈부(222)와 상기 홈부(222)에서 일정간격을 가지는 것으로, 이 경우 삼각형상이 옆으로 누운 형상인 ''형상의 측단면을 가지고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패킹어댑터(230)은 상기 제 2 패킹(222)의 선단과 밀착되는 후단을 가지고, 선단면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한 ''형상의 측단면을 가지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 1과 제 2 패킹(210)(220)과 패킹어댑터(230)가 테이퍼진 형상을 유지하는 것은 넓은 면적이 상호 접촉되어 상기 접촉면적에 따른 유체의 누수를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접촉면적의 확대 및 가공의 용이성을 위해 반원 또는 반구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조합패킹부(130)는 신축성이 다른 이종(異種)의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상이한 신축성에 의한 수송유체 및 외부환경에 의해 상기 조합패킹부(130)가 변화되는 변화량을 최소화하여 밀폐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제 1 패킹(210)은 고무재로 형성하고, 제 2 패킹(220) 및 패킹어댑터(230)는 테프론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가이드커버(140)는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112)에 형성된 암나사부(116)에 나선 결합되게 외주에 수나사부(142)가 형성되고, 슬라이드관(10)이 삽입되는 내경(144)이 중앙에 마련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슬리브(110)에 삽입되어 상기 조합패킹부(130)을 밀착시키고, 경우에 따라서 상기 조합패킹부(130)를 압박하는 압축력을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가이드커버(140)의 내경(144)에는 슬라이드관(10)과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 2 가이드링(146)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링(146)이 형성된 전방 즉, 제 2 가이드커버(140)의 전방 내경(144)에는 상기 내경(144)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관(10)의 외주연에 묻혀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퍼(148)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와이퍼(148)는 슬라이드관(10)의 외주에 외부 환경 요인 또는 기타 요인으로부터 묻혀질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이물질에 의한 밀폐부(130)의 밀폐효율이 상실됨을 예방하는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와이퍼(148)는 부직포 또는 양모와 같은 섬유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령 상기 슬라이드관(10)이 슬라이드될 때 끌힘과 같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 2 가이드커버(140)의 선단면에는 외부에서 제 2 가이드커버(14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탭홈부(149)가 형성되고, 상기 탭홈부(149)를 통해 상기 제 2 가이드커버(140)를 회전시켜 상기 슬리브(110)의 암나사부(116)를 따라 나선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탭홈부(149)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로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령 게눈게이지와 같은 공구를 통해 상기 제 2 가이드커버(1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을 일정 깊이로 형성하거나, 또는 돌출면을 형성하여, 별도의 공구없이 상기 제 2 가이드커버(140)를 외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형태든 사용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관(10)과 보스관(20)의 내, 외경에는 산화 방지 처리를 하여, 상기 배관에 수송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관(10)과 보스관(20)이 산화됨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슬라이드관(10)의 외경에는 경질 크롬도금막을 형성시켜 표면거칠기를 최소화하여, 상기 슬라이드관(10)과 밀폐부(30)의 각종 패킹들 사이의 밀폐효율이 향상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관(10)과 슬리브(110)의 전방 홈부(114)에는 단속링(12)(118)을 각각 구성하여, 상기 밀폐부(30)에 밀폐되면서 슬라이드관(10)과 보스관(20)이 상호 슬라이드될 때 슬라이드 구간을 단속시켜 임의로 상기 슬라이드관(10)과 보스관(20)이 이탈됨을 방지한다.
이 경우 상기 단속링(12)(118)은 강철의 피아노선을 원형상으로 절곡하고 일부가 개방된 오링형상으로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멈춤링 또는 멈춤나사와 같은 범용의 제품을 사용 가능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슬라이드형 신축관의 조립상태를 보면, 먼저 슬라이드관(10)에 제 2 가이드커버(140)와 조합패킹부(130) 및 제 1 가이드커버(120)를 순차적으로 삽입한 후 상기 슬라이드관(10)의 끝단에 단속링(12)을 삽입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보스관(20)의 끝단부에는 슬리브(110)의 후방이 용접등에 의해 융착시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관(10)을 슬리브(110)의 내경(112)으로 삽입하여 상기 슬라이드관(10)과 보스관(20)이 상호 중첩되게 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관(10)에 삽입된 각각의 패킹들을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112)으로 삽입시키면 즉, 슬라이드관(10)의 후방에 위치된 제 1 가이드커버(120)부터 조합패킹부(130) 및 제 2 가이드커버(140)를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 2 가이드커버(140)의 수나사부(142)를 상기 슬리브(110)의 암나사부(116)와 나사결합시켜 결국, 상기 보스관(20)의 선단으로부터 제 2 가이드커버(140)의 후방에 삽입된 패킹들을 압착하여 견고한 밀폐력을 가지는 밀폐부(3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면, 배관사이에 슬라이드관(10)과 보스관(20)의 끝단에 마련된 플랜지를 통해 각각 연결하고, 이 경우 플랜지와 배관 사이에는 수밀을 의한 가스켓등이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슬라이드관(10)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가지도록 상기 보스관(20)의 끝단에는 메듀샤등을 이음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배관 사이에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1)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배관에 수송되는 유체의 온도 변화로 인해 배관에서 신축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별도로 분리된 슬라이드관(10)과 보스관(20)을 통해 신축력이 흡수되어 배관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배관에 외부 환경요인등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작용할 경우, 이 역시 별도로 분리된 슬라이드관(10)과 보스관(20)으로 각각 회전모멘트가 작용하게 되고, 이로인해 응력 발생을 방지하여 배관을 보호하게 된다.
특히,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1)는 장시간 사용으로 슬라이드관(10)과 밀폐부(30)의 조합패킹부(130)사이에서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되어, 밀폐력을 상실할 경우, 상기 슬리브(110)의 선방에 나사 결합된 제 2 가이드커버(140)를 탭홈부(149)를 통해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되는 제 2 가이드커버(140)는 슬리브(110)의 암나사부(116)를 따라 후방의 조합패킹부(130)를 압축하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조합패킹부(130)는 동일한 재질의 패킹어댑터(230)와 제 2 패킹(220)이 압착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수축되고, 상, 하로 퍼지면서 슬라이드관(10)과 슬리브(110)사이를 밀폐시킨다.
아울러, 상기 패킹어댑터(230)와 제 2 패킹(220)의 압착력이 후방에 마련된 제 1 패킹(210)에 전달되어 상기 제 1 패킹(210)도 길이방향으로 수축되고, 상, 하로 퍼지게되어 결국 슬라이드관(10)과 슬리브(110) 사이를 밀폐시켜, 밀폐부(30)의 밀폐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의 밀폐부에 형성된 각종의 패킹들에 의해 슬라이드관과 보스관을 밀폐시켜, 밀폐효율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관과의 마찰로 상기 밀폐부에 구비된 각종의 패킹들이 마모에 따른 밀폐력이 상실되더라도 제 2 가이드커버의 회전으로 나사 조임됨에 따라 신축성을 가진 조합패킹부를 압착시켜 밀폐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내에 삽입된 각종의 패킹들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슬리브 끝단에 나사 결합된 제 2 가이드커버를 조임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해체하면, 상기 슬리브의 내경에 삽입된 조합패킹부 및 제 1 가이드커버를 용이하게 분리함으로 부품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한편, 상술한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는 배관사이에 연결할 때 플랜지에 의한 결합방식외에 동관으로 이루어진 배관일 경우와 같이 배관 직접 결합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일반적인 기술적 사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는 배관 사이에 연결되는 슬라이드관과 보스관의 중첩된 부분에 제 1 및 제 2 가이드커버와 다수의 패킹을 구비한 밀폐부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의 제반 설비 단가는 종래의 벨로우즈형 신축관 이음장치와 비슷하면서, 밀폐효율은 종래의 익스펜션 슬립 조인트장치와 비슷한 밀폐효율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동일 조건하의 타 신축관 이음장치에 비해 신축길이가 길고, 회전모멘트에 대한 응력발생이 없어 적용 범위가 확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밀폐부에 형성된 조합패킹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유지보수비가 저렴하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여 제품 경쟁력이 강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신축관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예컨대, 밀페부에서 슬리브는 내, 외측관이 중첩된 부분에 형성되는 각종의 패킹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슬리브를 대신하여 상기 내측관과 중첩된 부분의 외측관을 확관시켜 상기 각종의 패킹들을 형성하거나 또는 외측관 내경에 단턱부를 형성시켜 상기 단턱에 제 1 가이드커버가 걸림되도록 하여 이후 패킹들을 구비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가 최대로 신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2의 'IV'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밀폐부의 제 2 가이드커버가 조합패킹부를 압축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10 : 슬라이드관
20 : 보스관 30 : 밀폐부
110 : 슬리브 120 : 제 1 가이드커버
130 : 조합패킹부 140 : 제 2 가이드커버
210 : 제 1 패킹 220 : 제 2 패킹
230 : 패킹어댑터

Claims (6)

  1. 슬라이드관의 일부가 보스관의 내경에 삽입되는 중첩된 부분에 밀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관과 보스관의 양측 끝단으로 배관이 결합되어, 상기 배관을 통해 수송되는 유체 및 외부 환경에 의한 충격 및 변형으로부터 배관을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신축관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30)는
    상기 보스관(20)의 끝단 외경에 후방 일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내경(112)을 가지고 선단 내경(112)에 홈부(114)와 상기 홈부(114)의 후방으로 암나사부(116)를 형성하는 슬리브(110)와;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112)에 삽입하여 보스관(20)의 끝단에 지지되고 중앙 내경(122)으로 슬라이드관(10)이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제 1 가이드커버(120);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112)에 삽입하여 상기 제 1 가이드커버(120)의 끝단에 밀착되고 중앙 내경으로 슬라이드관(10)이 삽입되며 적어도 2이상의 패킹으로 형성하는 조합패킹부(130); 및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112)에 삽입되어 상기 조합패킹부(130)의 끝단에 밀착되고 상기 슬리브(110)의 내경(112)에 형성된 암나사부(116)와 나선 결합되도록 외주연에 수나사부(142)가 형성되며 슬라이드관(10)이 삽입되도록 내경(144)을 가지는 제 2 가이드커버(140)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패킹부(130)는
    선단에 돌출부(212)를 가지며 후단으로 내, 외경에 다수의 굴곡(214)이 형성되는 측단면을 가지는 제 1 패킹(210)과;
    상기 제 1 패킹(210)의 선단 돌출부(212)에 면접촉되는 홈부(222)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는 제 2 패킹(220); 및
    상기 제 2 패킹(220)에 면접촉되는 후단을 가지고 선단은 제 2 가이드커버(140)에 밀착되는 패킹어댑터(230)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신축관 이음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패킹부(130)는
    '' 형상의 측단면을 가지는 제 1 패킹(210)과;
    ''형상의 측단면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이상이 적층되는 제 2 패킹(220); 및
    ''형상의 측단면을 가지는 패킹어댑터(230)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패킹부(130)는
    신축성이 다른 이종의 재질로 형성하되, 제 1 패킹(210)은 고무재로 형성하고 제 2 패킹(220) 및 패킹어댑터(230)은 테프론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커버(120)(140)의 내경(122)(144)에는
    슬라이드관(10)과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가이드링(124)(146)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커버(140)는
    내경(144)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관(10)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부직포재질의 와이퍼(148)가 내경(144)에 형성되고,
    선단면에는 외부에서 제 2 가이드커버(140)를 회전시켜 상기 제 2 가이드커버(140)가 슬리브(110)의 암나사부(116)를 따라 나선 이송되도록 하는 탭홈부(14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KR20-2005-0012241U 2005-05-02 2005-05-02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KR2003904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241U KR200390489Y1 (ko) 2005-05-02 2005-05-02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241U KR200390489Y1 (ko) 2005-05-02 2005-05-02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489Y1 true KR200390489Y1 (ko) 2005-07-21

Family

ID=4369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241U KR200390489Y1 (ko) 2005-05-02 2005-05-02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48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209B1 (ko) 2012-04-13 2012-08-10 방대석 배관용 슬립조인트
KR101295175B1 (ko) 2013-05-20 2013-08-09 (자)한진개발공사 상수관의 연결 구조
KR102175215B1 (ko) 2020-03-23 2020-11-05 주식회사 삼영인더스트리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
KR102300164B1 (ko) 2020-09-14 2021-09-08 정현식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
KR20220145505A (ko) * 2021-04-22 2022-10-31 소민철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
KR102507078B1 (ko) * 2022-07-05 2023-03-06 조순봉 패킹부의 기밀력 조절을 통한 유지보수가 가능한 슬라이드 조인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209B1 (ko) 2012-04-13 2012-08-10 방대석 배관용 슬립조인트
KR101295175B1 (ko) 2013-05-20 2013-08-09 (자)한진개발공사 상수관의 연결 구조
KR102175215B1 (ko) 2020-03-23 2020-11-05 주식회사 삼영인더스트리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
KR102300164B1 (ko) 2020-09-14 2021-09-08 정현식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
KR20220145505A (ko) * 2021-04-22 2022-10-31 소민철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
KR102536319B1 (ko) * 2021-04-22 2023-05-26 소민철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
KR102507078B1 (ko) * 2022-07-05 2023-03-06 조순봉 패킹부의 기밀력 조절을 통한 유지보수가 가능한 슬라이드 조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489Y1 (ko)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US7621567B2 (en) Corrugated tube fitting with a ridge sealing device and method
JP6526144B2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US20070096400A1 (en) Seal for use with pipe and flange assemblies
JP6523963B2 (ja) 管継手構造体
MXPA96005969A (en) Tube coupling assembly
US2872217A (en) Dirt shield for swivel joints
JP4906896B2 (ja) スプリンクラー巻き出し配管
US2303114A (en) Sealing device
TW201439454A (zh) 用於管路圍阻系統的接頭
FI59857C (fi) Foerfarande foer lagning eller eliminering av skador pao roerledningar samt ersaettningsstycke foer utfoerande av foerfarandet
KR101318774B1 (ko) 신축가동관
KR20000075397A (ko) 내진성과 밀봉성을 향상시킨 관이음매
KR19990030401A (ko) 원통체 패킹이 내장된 엘보우형 및 티형 커플링
CN201599526U (zh) 套筒式塑料管道补偿器
AU2007301689B2 (en) Coupling assembly and protective ring therefor
JP2006508309A (ja) 改良されたケーシング継手
KR101081549B1 (ko) Frp 파이프 연결관 조립체
US20060131883A1 (en) Externally pressurized connection
JP4691904B2 (ja) 油井鋼管用継手
CN103453248A (zh) 一种管道的防脱密封连接结构
JP5719529B2 (ja) ユニオン継手およびユニオン継手のシール構造
KR102175215B1 (ko)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
KR200368634Y1 (ko) 신축이음
CN212509496U (zh) 用于管道连接处的橡胶垫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