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319B1 -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319B1
KR102536319B1 KR1020210052134A KR20210052134A KR102536319B1 KR 102536319 B1 KR102536319 B1 KR 102536319B1 KR 1020210052134 A KR1020210052134 A KR 1020210052134A KR 20210052134 A KR20210052134 A KR 20210052134A KR 102536319 B1 KR102536319 B1 KR 102536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leeve
pipe
pack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505A (ko
Inventor
소민철
Original Assignee
소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민철 filed Critical 소민철
Priority to KR1020210052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319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들을 연결하는 외삽관과 내삽관의 중첩 부위에 가이드, 더블 쿼드링과 패킹들로 이루어진 패킹부, 커버로 구성된 기밀수단을 구비하여, 길이방향으로의 신축 길이 및 회전에 대한 응력 발생을 없애고, 특히 더블 쿼드링을 통해 기밀성을 향상시킨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리되어 있는 2개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제1 배관에 결합되며, 일측 끝단부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슬리브를 구비한 외삽관; 제2 배관에 결합되며, 상기 슬리브의 중공부로 삽입되되 상기 슬리브와의 사이에 끼움부를 형성하는 외경을 갖는 내삽관; 상기 끼움부로 끼워져 상기 외삽관과 내삽관 사이를 기밀시키는 기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기밀수단은, 상기 끼움부에 배열되고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 걸려서 고정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배열되며 원주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를 갖는 쿼드링과, 상기 더블 쿼드링의 일측에 배열되며 일측면에 쐐기형 돌출부를 구비하면서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중첩되는 제1 패킹과, 상기 제1 패킹의 일측에 배열되어 지지되며 타측면에 상기 쐐기형 돌출부에 대응하는 향상의 끼움홈을 구비한 제2 패킹으로 이루어진 패킹부, 상기 암나사산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패킹부를 상기 가이드에 밀착시키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SLEEVE JOINT APPARATUS}
본 발명은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들을 연결하는 외삽관과 내삽관의 중첩 부위에 가이드, 더블 쿼드링과 패킹들로 이루어진 패킹부, 커버로 구성된 기밀수단을 구비하여, 길이방향으로의 신축 길이 및 회전에 대한 응력 발생을 없애고, 특히 더블 쿼드링을 통해 기밀성을 향상시킨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설치, 사용되며, 이러한 배관을 설계함에 있어 외기와 수송 유체의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과 수축의 문제, 기관 등에 의한 진동의 문제, 풍압 및 지진 등에 의한 이동 및 파손 등의 문제로부터 배관, 즉 파이프 라이에 가해지는 과중한 응력을 흡수하여 보호하고 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목적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배관 연결부에 신축 및 진동에 대응하는 신축관 이음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신축관 이음장치는 크게 벨로우즈형 신축관 이음장치와 주입형 슬리브 조인트 장치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벨로우즈형 신축과 이음장치는 배관들의 연결부에 주름관 형태의 벨로우즈 또는 플렉시블 관을 연결하고, 벨로우즈 또는 플렉시블 관의 외부에 슬리브를 결합하는 형태이고,
상기 주입형 슬리브 조인트 장치는 배관들에 각각 내, 외측관을 연결한 후, 내, 외측관이 중첩되는 부분의 양단에 밀폐링을 구비하고, 밀폐링들 사이에 일정량의 패킹 물질을 주입하여 유지시키는 형태이다.
이때 상기 주입형 슬리브 조인트 장치는 내, 외측관의 신축 이동에 의한 누수나,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주입된 패킹물질이 일정 시간이 경과 후 소멸되는 문제점이 있어, 패킹물질을 일정량 이상으로 상시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가스 주입 노즐로 패킹물질을 충전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주입형 슬리브 조인트 장치는 설치 후 계속적으로 충전을 해줘야 하는 작업의 번거로움과, 유지보수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분해, 조립이 불가능하여 충격 또는 기타 요인에 의해 내부 부품이 파손될 경우, 해당 부품만을 따로 교체하지 못하고 전품을 교체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종래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1860264호 "배관용 슬리브조인트"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유체가 통과하는 엔드 파이프와, 상기 엔드 파이프의 외주면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일단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회전력이 작용할 때 틸팅모멘트를 흡수하는 가변홈을 갖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의 타단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가이드 파이프의 내부에 이송유체 가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1개 이상의 주름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주름부에 끼워져 엔드 파이프의 외주면이 기밀이 유지되게 하는 패킹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등록특허는 주입형 슬리브 조인트 장치와 같은 패킹물질의 충전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패킹부재의 압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패킹부재의 마모가 발생하게 되면 기밀성이 상실될 위험성이 크고, 패킹부재의 교체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더블 쿼드링과 패킹들로 이루어진 패킹부를 가이드와 커버로 상시 압착시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마모로 인한 기밀성 저하를 방지하고, 특히 더블 쿼드링을 통해 신축 이동이나 회전 시 일반적인 오링에 비해 기밀성을 더욱 향상되는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는,
분리되어 있는 2개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제1 배관에 결합되며, 일측 끝단부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슬리브를 구비한 외삽관;
제2 배관에 결합되며, 상기 슬리브의 중공부로 삽입되되 상기 슬리브와의 사이에 끼움부를 형성하는 외경을 갖는 내삽관;
상기 끼움부로 끼워져 상기 외삽관과 내삽관 사이를 기밀시키는 기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기밀수단은,
상기 끼움부에 배열되고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 걸려서 고정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배열되며 원주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를 갖는 쿼드링과, 상기 쿼드링의 일측에 배열되며 일측면에 쐐기형 돌출부를 구비하면서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중첩되는 제1 패킹과, 상기 제1 패킹의 일측에 배열되어 지지되며 타측면에 상기 쐐기형 돌출부에 대응하는 향상의 끼움홈을 구비한 제2 패킹으로 이루어진 패킹부,
상기 암나사산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패킹부를 상기 가이드에 밀착시키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에서,
상기 가이드의 내, 외주면과,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장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와 커버의 각 장착홈에는 마찰저감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에서,
상기 내삽관은 타측 끝단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에 걸림 가능한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에서,
일측단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내삽관에 결합되며, 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부를 구비한 주름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는,
외삽관과 내삽관이 중첩되는 부위의 패킹부는 가이드와 커버로 고정되는 더블 쿼드링과 패킹들로 구성되어 기밀성을 확보하고, 특히 더블 쿼드링을 통해 일반적인 오링보다 더욱 향상된 기밀성을 보장하며,
외삽관과 내삽관의 신축 이동 및 회전 시 마찰저감부재에 의해 가이드와 커버가 보호되어 마모가 발생하지 않고,
외삽관과 내삽관이 신장될 때 내삽과의 이탈방지부가 가이드에 걸려서 내삽관이 분리되지 않으며,
내삽관의 노출 부위를 신축 가능한 주름관으로 덮어서, 유체의 추가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외삽관과 내삽관의 이동 및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을 통해, 생산 단계에서 기밀수단의 조립이 쉬우면서, 운반 이동 시 외삽관과 내삽관이 안전하게 고정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의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의 실시예별 장착 외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분리되어 있는 2개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배관(미도시)에 결합되며, 일측 끝단부의 내주면에 암나사산(11a)이 형성된 슬리브(11)를 구비한 외삽관(10);
제2 배관(미도시)에 결합되며, 상기 슬리브(11)의 중공부로 삽입되되 상기 슬리브(11)와의 사이에 끼움부(S)를 형성하는 외경을 갖는 내삽관(20);
상기 끼움부(S)로 끼워져 상기 외삽관(10)과 내삽관(20) 사이를 기밀시키는 기밀수단(30);을 포함하되,
상기 기밀수단(30)은,
상기 끼움부(S)에 배열되고 상기 슬리브(11)의 내주면에 걸려서 고정되는 가이드(31),
상기 가이드(31)의 일측에 배열되며 원주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32a)를 갖는 쿼드링과, 상기 더블 쿼드링(32)의 일측에 배열되며 일측면에 쐐기형 돌출부(33a)를 구비하면서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중첩되는 제1 패킹(33)과, 상기 제1 패킹(33)의 일측에 배열되어 지지되며 타측면에 상기 쐐기형 돌출부(33a)에 대응하는 형상의 끼움홈(34a)을 구비한 제2 패킹(34)으로 이루어진 패킹부(P),
상기 암나사산(11a)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패킹부(P)를 상기 가이드(31)에 밀착시키는 커버(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삽관(10)은 타측단에 제1 플랜지(10A)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제1 배관에 볼트로 결합되며, 일측단에 슬리브(11)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11)는 내경이 상기 내삽관(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내삽관(20)과의 사이에 유격 공간인 끼움부(S)를 형성하며, 이때 끼움부(S)의 외경이 확장되도록 슬리브(11)의 내주면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슬리브(11)의 내주면 중단에 높이차를 갖는 단턱부(11b)가 형성된다.
상기 내삽관(20)은 일측단에 제2 플랜지(20A)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제2 배관에 볼트로 결합되며, 외경이 상기 내삽관(2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S)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내삽관(20)은 타측 끝단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31)에 걸림 가능한 이탈방지부(21)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부(21)는 내삽관(20)의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삽관(10)과 내삽관(20)이 서로 멀어지게 신장되어 이동될 때 이탈방지부(21)가 상기 슬리브(11)에 고정된 가이드(31)에 걸려서, 외삽관(10)에서 내삽관(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기밀수단(30)은 외삽관(10)과 내삽관(20)의 신축 이동 및 회전 시 외삽관(10)의 슬리브(11)에 고정되어 외삽관(10)과 함께 이동 및 회전하면서 외삽관(10)과 내삽관(20) 사이의 기밀성을 확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31)는 상기 끼움부(S)로 끼워져 상기 슬리브(11)의 단턱부(11b)에 걸려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31)는 내,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장착홈(31a)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장착홈(31a)에 테프론 등의 마찰저감부재(36)가 부착되어, 외삽관(10)과 내삽관(20)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 쿼드링은 사각 단면의 모서리부가 호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32a)를 가지며, 특히 2개의 쿼드링이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중첩되어 연결된 더블 쿼드링(32)이 사용되어 더블 쿼드링(32)의 타측단이 상기 가이드(31)에 접하여 지지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제1 패킹(33)은 일측면의 중앙에서 양 외측으로 테이퍼진 삼각 형상의 쐐기형 돌출부(33a)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가이드(31)에 접하는 선단측 제1 패킹(33)은 타측면이 가이드(31)의 일측면에 면접하도록 플랫하게 형성되며, 선단측 제1 패킹(33)을 제외한 나머지 제1 패킹(33)들은 타측면에 인접한 다른 제1 패킹(33)의 쐐기형 돌출부(33a)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그 단면 형상이 'V'자형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패킹(34)은 일측면이 상기 커버(35)의 타측면에 면접하도록 플랫하게 형성되며, 타측면에 상기 끼움홈(34a)이 구비되어, 제1 패킹(33)들과 중첩된다.
이러한 제1 패킹(33)들과 제1 패킹(33)은 암수 끼움 구조로 서로 중첩되어 타측단이 상기 더블 쿼드링(32)에 접하여 지지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커버(35)는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산(11a)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장착홈(35a)이 구비되어, 상기 제2 장착홈(35a)에 테프론 등의 마찰저감부재(36)가 부착되어, 내삽관(20)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 발생을 방지한다.
이러한 커버(35)는 상기 슬리브(11)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됨에 따라, 슬리브(11) 내측으로 조여지면서, 내측에 배열된 패킹부(P)를 가압하여 가이드(31)에 밀착되게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커버(35)는 일측단에 슬리브(11)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부(35b)를 구비하여, 내삽관(2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주름관(22)이 결합된다.
상기 주름관(22)은 일측단이 상기 커버(35)의 헤드부(35b)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내삽관(20)에 결합되며, 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부(22a)를 구비한다.
이러한 주름관(22)은 외삽관(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내삽관(20) 부위를 덮어서 기밀시키며, 외삽관(10)과 내삽관(20)의 신축 이동시 길이가 가변되면서 패킹부(P)와는 별도로 유체의 추가 누설을 방지한다.
즉, 상기 패킹부(P)에도 불구하고 내삽관(20)의 외부로 극소량의 유체가 누설될 경우, 상기 주름관(22)이 유체의 누설을 추가로 차단한다.
한편 상기 주름관(22)은 주름부(22a)의 양 측단에 연결된 관부(22b)가 상기 헤드부(35b) 및 내삽관(20)에 외삽되어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바, 장기간 반복되는 신축 작용으로 인해 관부(22b)가 빠져서 기밀 성능이 상실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주름관(22)의 양측 관부(22b)를 헤드부(35b) 및 내삽관(20)에 각각 끼우면서 내부 걸림 방식으로 결합되게 하는 결속수단을 도입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내삽관(20)은 상기 제2 플랜지(20A)가 용접되는 부위의 일측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부(20a)를 포함하되,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주름관(22)의 양측 관부(22b)가 각각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부(20a) 및 헤드부(35b)에 형성된 삽입홈(221),
상기 삽입홈(221)의 외측 내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221)과 연통하도록 개구되어 형성된 회동홈(222),
상기 회동홈(222)의 입구 상에 축설되는 회동축을 구비하여 시소운동으로 회동홈(222)의 내외부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되, 타측 단부에서 걸림부재(223)보다 더 큰 직경으로 돌출되어 연결된 구형 밀림부(223a)와, 타측 단부에서 상기 삽입홈(221)을 향해 절곡하여 연결된 걸림돌기부(223b)와, 상기 구형 밀림부(223a)가 상기 삽입홈(221)으로 노출되게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한 걸림부재(223),
상기 관부(22b)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부(223b)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22c)을 포함하여,
상기 삽입홈(221)에 끼워지는 관부(22b)의 끝단부가 상기 구형 밀림부(223a)를 가압하여 상기 걸림부재(223)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구형 밀림부(223a)가 상기 회동홈(222)으로 인입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부(223b)가 상기 삽입홈(221)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걸림홈(22c)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20a)에 구비되는 결속수단을 대표하여 설명하면,
상기 삽입홈(221)은 상기 결합부(20a)의 타측면이 개구되는 형태로 상기 관부(22b)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21)의 외측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상기 회동홈(222)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홈(22c)은 상기 걸림돌기부(223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관부(22b)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재(223)는 회동축이 상기 구형 밀림부(223a)에 근접하도록 편중 구비되어, 상기 회동축을 축으로 좌우 회동하여 상기 구형 밀림부(223a)와 상기 걸림돌기부(223b)가 시소 운동을 하며,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으로 인해 상기 구형 밀림부(223a)가 삽입홈(221)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걸림돌기부(223b)가 상기 회동홈(222)에 내부에 위치하도록 탄성 지지된다.
이러한 결속수단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관부(22b)를 상기 삽입홈(221)에 끼우면 상기 관부(22b)의 끝단부가 상기 구형 밀림부(223a)에 접촉하면서 회동홈(222) 내부로 밀게 된다.
이에 상기 걸림부재(223)가 회동하면서 상기 회동홈(222) 내부에 위치하던 걸림돌기부(223b)가 상기 삽입홈(221)으로 인출되며, 상기 관부(22b)가 삽입홈(221)에 완전하게 끼워지면, 상기 걸림돌기부(223b)가 상기 걸림홈(22c)에 끼워져 걸리면서 주름관(22)의 결속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기 구형 밀림부(223a)가 상기 관부(22b)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걸림부재(223)가 회동하여 탄성 지지(가압)되므로,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상기 걸림돌기부(223b)는 상기 걸림홈(22c)에서 빠지지 않고 계속 끼워져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주름관(22)의 관부(22b)가 상기 결합부(20a)에서 분리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주름관(22)의 결합이 유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35)에 의해 패킹부(P)의 더블 쿼드링(32)과 제1, 제2 패킹(33)(34)이 가이드(31)에 밀착되게 압착, 유지되어 외삽관(10)과 내삽관(20) 사이의 기밀성을 보장하며, 특히 외삽관(10)의 내주면과 내삽관(20)의 외주면에 선 접촉하는 더블 쿼드링(32)의 립부(32a)가 외삽관(10)과 내삽관(20)의 신축 이동 및 회전 시에 압착되면서 면접촉 하게 되어 일반적인 오링에 비해 더욱 뛰어난 기밀성을 보장할 수 있다.
아울러 커버(35)의 조임으로 패킹부(P)의 압착 정도를 재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내부 부품의 손상이나 파손 시 커버(35)를 개방하여 해당 부품에 대한 교체를 가능하게 하면서 최초 생산 시 커버(35)를 이용해 가이드(31)와 패킹부(P)의 조립을 매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관(22)의 추가로 슬리브 조인트 장치의 길이 변화에 상관없이 극소량의 유체 누설을 추가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슬리브 조인트 장치는 외삽관(10)과 내삽관(20) 및 기밀수단(30)이 조립된 상태로 출하되어 현장에서 배관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바, 슬리브 조인트 장치의 조립 공정이나 설치 단계에서 외삽관(10)과 내삽관(20)의 신축 이동 및 회전이 발생하면 조립 또는 설치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조립 완료된 외삽관(10)과 내삽관(20)의 위치 이동 및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단이 상기 내삽관(20)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슬리브(11)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바(12)가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게 배열되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리브(11)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플랜지(20A)의 타측면에는 복수개의 너트(13)(23)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구비되며, 이때 슬리브(11)와 제2 플랜지(20A)의 너트(13)(23)들은 슬리브 조인트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12)는 일측단에 외측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받침부(12a)를 구비하며, 고정바(12)의 타측단과 받침부(12a)에 볼트 구멍이 구비되어, 각 너트(13)(23)에 볼트(14)(24)로 결합되면서, 슬리브(11)와 제2 플랜지(20A)를 연결하여, 외삽관(10)과 내삽관(20)이 이동 및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바(12)는 슬리브 조인트 장치의 조립 공정에서 장착된 후, 설치 단계에서 배관과의 결합이 완료된 후에 볼트(14)(24)를 풀어서 고정바(12)의 제거가 이루어지며, 따라서 최종 설치 전의 조립, 보관, 운반 중 외삽관(10)과 내삽관(20)의 신축 이동 및 회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패킹부 S : 끼움부
10 : 외삽관 11 : 슬리브
12 : 고정바 13, 23 : 너트
14, 24 : 볼트
20 : 내삽관 21 : 이탈방지부
30 : 기밀수단 31 : 가이드
32 : 더블 쿼드링 33 : 제1 패킹
34 : 제2 패킹 35 : 커버
35 : 마찰저감부재

Claims (1)

  1. 분리되어 있는 2개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제1 배관에 결합되며, 일측 끝단부의 내주면에 암나사산(11a)이 형성된 슬리브(11)를 구비한 외삽관(10);
    제2 배관에 결합되며, 상기 슬리브(11)의 중공부로 삽입되되 상기 슬리브(11)와의 사이에 끼움부(S)를 형성하는 외경을 갖는 내삽관(20);
    상기 끼움부(S)로 끼워져 상기 외삽관(10)과 내삽관(20) 사이를 기밀시키는 기밀수단(30);을 포함하되,
    상기 기밀수단(30)은,
    상기 끼움부(S)에 배열되고 상기 슬리브(11)의 내주면에 걸려서 고정되는 가이드(31),
    상기 가이드(31)의 일측에 배열되며 원주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32a)를 갖는 쿼드링(32)과, 상기 쿼드링(32)의 일측에 배열되며 일측면에 쐐기형 돌출부(33a)를 구비하면서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중첩되는 제1 패킹(33)과, 상기 제1 패킹(33)의 일측에 배열되어 지지되며 타측면에 상기 쐐기형 돌출부(33a)에 대응하는 형상의 끼움홈(34a)을 구비한 제2 패킹(34)으로 이루어진 패킹부(P),
    상기 암나사산(11a)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패킹부(P)를 상기 가이드(31)에 밀착시키는 커버(35)를 포함하고,
    조립 완료된 외삽관(10)과 내삽관(20)의 위치 이동 및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단이 상기 내삽관(20)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슬리브(11)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바(12)가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게 배열되어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11)의 외주면과 상기 내삽관(20)의 제2 플랜지(20A) 타측면에는 복수개의 너트(13)(23)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구비되되, 슬리브(11)와 제2 플랜지(20A)의 너트(13)(23)들은 슬리브 조인트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12)는 일측단에 외측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받침부(12a)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바(12)의 타측단과 받침부(12a)에 볼트 구멍이 구비되어, 각 너트(13)(23)에 볼트(14)(24)로 결합되면서, 슬리브(11)와 제2 플랜지(20A)를 연결하여, 외삽관(10)과 내삽관(20)이 이동 및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되며,
    상기 고정바(12)는 슬리브 조인트 장치의 조립 공정에서 장착된 후, 설치 단계에서 배관과의 결합이 완료된 후에 볼트(14)(24)를 풀어서 고정바(12)의 제거가 이루어지고,
    일측단이 상기 커버(35)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내삽관(20)에 결합되며, 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부(22a)를 구비한 주름관(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름관(22)의 양측 관부(22b)를 헤드부(35b) 및 내삽관(20)에 각각 끼우면서 내부 걸림 방식으로 결합되게 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삽관(20)은 상기 제2 플랜지(20A)가 용접되는 부위의 일측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부(20a)를 포함하되,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주름관(22)의 양측 관부(22b)가 각각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부(20a) 및 헤드부(35b)에 형성된 삽입홈(221),
    상기 삽입홈(221)의 외측 내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221)과 연통하도록 개구되어 형성된 회동홈(222),
    상기 회동홈(222)의 입구 상에 축설되는 회동축을 구비하여 시소운동으로 회동홈(222)의 내외부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되, 타측 단부에서 걸림부재(223)보다 더 큰 직경으로 돌출되어 연결된 구형 밀림부(223a)와, 타측 단부에서 상기 삽입홈(221)을 향해 절곡하여 연결된 걸림돌기부(223b)와, 상기 구형 밀림부(223a)가 상기 삽입홈(221)으로 노출되게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한 걸림부재(223),
    상기 관부(22b)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부(223b)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22c)을 포함하여,
    상기 삽입홈(221)에 끼워지는 관부(22b)의 끝단부가 상기 구형 밀림부(223a)를 가압하여 상기 걸림부재(223)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구형 밀림부(223a)가 상기 회동홈(222)으로 인입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부(223b)가 상기 삽입홈(221)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걸림홈(22c)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

KR1020210052134A 2021-04-22 2021-04-22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 KR102536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134A KR102536319B1 (ko) 2021-04-22 2021-04-22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134A KR102536319B1 (ko) 2021-04-22 2021-04-22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505A KR20220145505A (ko) 2022-10-31
KR102536319B1 true KR102536319B1 (ko) 2023-05-26

Family

ID=8380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134A KR102536319B1 (ko) 2021-04-22 2021-04-22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3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32862A1 (de) * 2019-12-03 2021-06-10 Vat Holding Ag Einrichtung zur Verbindung von fluidführenden Leitungen und/oder Kammer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489Y1 (ko) * 2005-05-02 2005-07-21 소민철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KR100849902B1 (ko) * 2007-02-09 2008-08-04 김성숙 배관라인의 신축조절관
KR101860264B1 (ko) * 2017-06-07 2018-05-21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배관용 슬립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094B1 (ko) * 2017-09-15 2019-10-21 플로우하이텍(주) 신축 이음관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489Y1 (ko) * 2005-05-02 2005-07-21 소민철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KR100849902B1 (ko) * 2007-02-09 2008-08-04 김성숙 배관라인의 신축조절관
KR101860264B1 (ko) * 2017-06-07 2018-05-21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배관용 슬립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505A (ko)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98159B (zh) 活接头
KR102536319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 조인트 장치
US20090085350A1 (en) Sealed flange joint for high pressure and high purity gas channels
CN202100885U (zh) 双密封大挠度补偿接头
CN101956751A (zh) 一种管连接弹性垫圈及使用该弹性垫圈的防松连接管
CN201715149U (zh) 大挠度松套球形补偿接头
CN106402562B (zh) 气压式套筒补偿器
CN102313095A (zh) 大挠度松套球形补偿接头
KR101173209B1 (ko) 배관용 슬립조인트
CN105650398B (zh) 一种封堵器
KR200209203Y1 (ko) 팽창방지 기능을 갖는 가스켓
CN201925656U (zh) 波纹套筒复合补偿器
CN111237574A (zh) 一种膨胀活接
CN214425325U (zh) 一种石油天然气输送管道连接结构
CN106194490A (zh) 分段式排气歧管气体密封装置
CN2539046Y (zh) 固定式附加填料密封的波纹管膨胀节
CN207005499U (zh) 一种管道连接头
CN2529068Y (zh) 永久式双重密封的波纹管膨胀节
CN219673605U (zh) 一种一体式压盖法兰
KR20200099436A (ko) 다중 신축이음장치
RU2211395C1 (ru) 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CN2384087Y (zh) 一种用于金属管道的伸缩节
KR102507078B1 (ko) 패킹부의 기밀력 조절을 통한 유지보수가 가능한 슬라이드 조인트
RU2208194C2 (ru) Компенсатор дл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US11746940B2 (en) Pipeline telescopic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