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164B1 -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 - Google Patents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164B1
KR102300164B1 KR1020200117501A KR20200117501A KR102300164B1 KR 102300164 B1 KR102300164 B1 KR 102300164B1 KR 1020200117501 A KR1020200117501 A KR 1020200117501A KR 20200117501 A KR20200117501 A KR 20200117501A KR 102300164 B1 KR102300164 B1 KR 102300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tube
contraction
flange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식
Original Assignee
정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식 filed Critical 정현식
Priority to KR1020200117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에 관한 것으로, 관 사이를 연결하는 신축 외관 및 신축 내관으로 구성되며, 신축 외관의 내부로 신축 내관이 끼워져 연결된 관체 사이의 신장 변화에 따라 신축 내관이 슬라이드 되는 것으로, 신축 외관의 외측면 중앙부에는 신축거리를 위험도에 따라 각 구간을 세분화하여 표기한 라벨이 부착되고, 신축 내관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외측 플랜지에 신축 내관과 동일한 길이의 지시계가 부착되어, 관체 사이의 신축된 거리를 외부에서 지시계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신축 내관의 이탈로 인한 유체 소실 및 누수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The flexible pipe including indicator that can check flexible length}
본 발명은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에 관한 것으로, 바 형태의 지시계가 부착되어 관체 사이의 신축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관에 관한 것이다.
신축관은 긴 관로의 사용 시, 온도나 습도변화에 의한 관의 신축을 자동적으로 흡수하는 이음을 갖는 관을 말한다. 신축관은 관의 형태에 따라 벨로스형, 루프형, 슬리브 형으로 나누어진다. 벨로스 형은 배관의 축 방향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사진기 주름 모양으로 가공한 동관이다. 루프형 신축관은 고리 모양으로 구부린 관으로, 배관의 도중에 설치되며 구부러진 부분의 팽창이나 수축에 의하여 직관의 신축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슬리브 형은 신축 외관에 내관이 끼워져 관의 신축에 따라 내관이 슬라이드 되는 방식으로, 축 방향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중 슬리브 형 신축관은 신축량이 넓고 설치공간이 많이 요구되지 않아 급탕이나 난방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특허문헌 1은 신축관에 관한 것으로, 고무패킹을 사용하여 신축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은 신축거리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누수 및 유체 소실 등의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는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러 개의 패킹을 사용하여, 신축 길이가 길면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2는 다수개의 패킹을 사용하여, 패킹들이 파손되는 경우 유지 보수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드관의 인입 거리 확인이 불가능하여, 관이 이탈하는 등의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03710호 (1997.02.21) (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0489호 (2005.07.12)
본 발명은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에 관한 것으로, 바 형태의 지시계를 부착하여 외부에서 관체 사이의 신축된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신축관은 신축 외관, 신축 내관 및 지시계로 구성되며, 상기 신축관의 신축 외관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양측은 뚫리고, 상기 신축 외관의 일측 끝단에는 외측 플랜지가 설치되어 관체와 연결되며, 상기 신축 외관의 타측 끝단에는 내측 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신축 외관의 내측 플랜지에는 다수개의 체결 구멍과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 플랜지의 홈부로는 신축관을 밀폐하는 패킹이 끼워지고, 상기 패킹이 끼워진 신축 외관의 내부 공간으로는 신축 내관이 끼워지며, 상기 신축 내관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양측은 뚫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신축 내관의 일측 외경으로는 패킹 가압 플랜지가 끼워지고, 상기 패킹 가압 플랜지에는 다수개의 체결구멍과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신축 외관의 내측 플랜지와 체결 고정되고, 상기 신축 내관의 타측 끝단에는 외측 플랜지가 설치되어 관체와 연결되고, 상기 외측 플랜지에는 신축거리 확인을 위한 지시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시계는 신축 내관과 동일한 길이로 제작되며, 상기 지시계는 상기 패킹 가압 플랜지의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신축 외관의 내측 플랜지에 형성된 통공으로 끼워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신축 외관의 외측면의 중앙부에는 라벨이 부착되며, 상기 라벨에는 신축거리에 따른 위험도를 세분화한 구간이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서 관체 사이의 신축된 거리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관체와 연결되는 신축관의 이탈로 인한 유체 소실이 및 누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관에 지시계를 부착함으로써, 누수 및 유체 소실 등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유지 보수 등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에서 지시계가 '여유'일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에서 지시계가 '안전거리'일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에서 지시계가 '위험'일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1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신축 외관(12), 패킹(26), 패킹 가압 플랜지(28), 신축 내관(30) 및 지시계(34)로 구성된다. 먼저, 신축관(10)은 관체 사이를 연결하는 이음관으로, 연결된 관체의 신축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관이다. 신축 외관(12)은 신축관(10)의 암관 역할을 하는 원통형의 관이다. 신축 외관(12)은 내부로는 빈 공간(14)을 형성하면서 양측으로 뚫린 형태로, 양 끝단에는 각각 외측 플랜지(16)와 내측 플랜지(18)가 용접 설치된다. 외측 플랜지(16)는 신축 외관(12)과 관체(40)를 연결하는 접속부이다. 외측 플랜지(16)는 원반의 형태로, 신축 외관(12)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중앙부는 뚫리며, 중심을 기준으로 다수개의 체결 구멍(20)이 형성된다. 내측 플랜지(18)는 패킹 가압 플랜지(30)와 연결되는 접속부이다. 내측 플랜지(18)는 원반의 형태로, 신축 외관(12)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중앙부는 뚫리며, 중심을 기준으로 다수개의 체결 구멍(20)이 형성된다. 또한, 내측 플랜지(18)의 일측은 패킹(26)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부를 형성한다. 통공(22)은 지시계(34)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이다. 통공(22)은 내측 플랜지(18) 및 패킹 가압 플랜지(30)에 각각 형성된다. 라벨(24)은 관체의 연결상태의 위험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라벨은 신축 외관(12)의 외측면에 중앙부에 위치되며, 스티커 및 인쇄로 부착 및 표기될 수 있다. 라벨(24)은 각각 '여유', '안전구간', '위험'의 세 구간으로 나누어져 표시되며, 구간은 각각 다른 색상으로 표시된다. 패킹(26)은 신축관(10)을 밀폐하는 것으로, 내측 플랜지(18)에 형성된 홈부로 끼워지는 것이다.
신축 내관(28)은 신축관(10)의 수관 역할을 하는 원통형의 관이다. 신축 내관(28)은 내부로는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양측으로 뚫린 형태로, 타측의 끝단에는 외측 플랜지(32)가 용접 설치된다. 패킹 가압 플랜지(30)는 패킹(26)을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패킹 가압 플랜지(30)는 원반의 형태로, 중앙부는 뚫리며, 중심을 기준으로 다수개의 체결 구멍(20)이 형성된다. 외측 플랜지(32)는 신축 내관(30)과 관체(50)를 연결하는 접속부이다. 외측 플랜지(32)는 원반의 형태로, 신축 내관(28)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중앙부는 뚫리며, 중심을 기준으로 다수개의 체결 구멍(20)이 형성된다. 지시계(34)는 관체(40, 50) 사이의 신축거리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신축 내관(28)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제작된다. 지시계(34)는 긴 원통의 바 형태로 형성되며, 신축 내관(28)의 외측 플랜지(32)에 용접 부착된다. 볼트(36) 및 너트(38)는 플랜지 사이를 연결 고정하는 체결구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신축 외관(12)의 내부 공간(14)으로는 신축 내관(28)이 끼워진다. 먼저, 신축 외관(12)의 내측 플랜지(18)에는 패킹(26)이 끼워진다. 내측 플랜지(18)의 일측에는 패킹(26)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된다. 패킹(26)은 상기 홈부로 끼워져 신축관(10)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다음, 패킹 가압 플랜지(30)가 신축 내관(28)의 외경으로 끼워진다. 이때, 신축 내관(28)의 외측 플랜지(32)에는 지시계(34)가 부착된 상태이며, 패킹 가압 플랜지(30)에는 지시계(34)가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22)이 형성된 상태이다. 따라서, 패킹 가압 플랜지(26)를 신축 내관(28)의 외경으로 끼우면, 지시계(34)는 패킹 가압 플랜지(30)의 통공(22)을 통과하여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후, 패킹 가압 플랜지(30)가 끼워진 신축 내관(28)을 신축 외관(12)의 내부 공간(14)으로 끼운다. 이때, 신축 외관(12)의 내측 플랜지(18)에도 지시계(34)가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22)이 형성된 상태이다. 따라서, 신축 내관(28)을 신축 외관(12)의 내부로 끼우면, 지시계(34)는 신축 외관(12)의 내측 플랜지(18)에 형성된 통공(22)을 통과하여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후, 신축 외관(12)의 내측 플랜지(18)에 형성된 체결 구멍(20)에 각각 볼트(36)를 끼워 패킹 가압 플랜지(30)와 연결한 다음, 너트(38)로 조여 고정한다. 이때, 볼트(36) 및 너트(38) 이외에 다른 체결 방법 및 수단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상태가 되면, 패킹(26)은 패킹 가압 플랜지(30)에 의해 가압 된 상태가 되어, 기밀성은 더욱 향상된다. 마지막으로, 신축 외관(12)의 외측면의 중간부에는 위험도를 세 구간으로 나눈 라벨(24)이 부착된다. 이때, 라벨(24)의 각 구간에는 '여유', '위험구간', '위험'으로 기재되며, 각 구간마다 다른 색상으로 표시된다. 이후, 신축 외관(12) 및 신축 내관(28)의 각각의 외측 플랜지(16, 32)에 관체(40, 50)를 연결하면, 관체(40, 50) 사이의 신축 거리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관의 신축에 따른 신축관(10)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관체(40, 50) 사이의 신축에 따른 신축거리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축 외관(12)의 내부 공간(14)으로는 신축 내관(28)이 끼워지며, 신축 외관(12) 및 신축 내관(28)의 외측 플랜지(16, 32)에는 각각 관체(40, 50)들이 연결된다. 신축 내관(28)은 관체(40, 50) 사이의 신축에 따라 신축 외관(12)의 내부 공간(14)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신축 외관(12)에는 라벨(24)이 부착되며, 신축 내관(28)에는 지시계(34)가 부착된 상태이다. 먼저, 라벨(24)은 신축된 거리에 따른 위험도를 세 구간으로 나누어 표기한 것이다. 라벨(24)에는 각각 '여유', '안전구간', '위험'으로 나누어 기재되며, 기재된 각 명칭의 아래로는 구간마다 각각 다른 색상으로 표기된다. 지시계(34)는 신축 내관(28)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제작되어, 신축 내관(28)의 인입된 정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바(bar)이다. 지시계(34)는 신축 내관(28)의 외측 플랜지(32)에 부착되며, 이후, 패킹 가압 플랜지(30)와 신축 외관(12)의 내측 플랜지(18)에 형성된 각각의 통공(22)으로 끼워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가 되면, 지시계(34)는 라벨(24)에서 각 구간을 색상으로 각각 표기한 부분의 위로 위치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신축 내관(28)이 슬라이드 되면, 지시계(34)도 함께 슬라이드 되어, 사용자는 지시계(34)가 라벨(24)의 어느 구간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신축관(10)의 지시계(34)가 '여유' 구간에 위치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여유' 구간일 때, 신축 내관(28)은 신축 외관(12)의 외측 플랜지(16) 가까이에 위치된다. 즉, 지시계(34)가 '여유' 구간에 위치된 경우는 신축관(10)이 관체(40, 50) 사이의 축 방향 변위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신축관(10)의 지시계(34)가 '안전구간'에 위치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전구간'일 때, 신축 내관(28)은 슬라이드 되어 신축 외관(12)의 중간 부분에 위치된다. '안전구간'은 연결된 관체(40, 50)의 신장 된 거리가 안전범위에 위치한 상태이다. 따라서, 지시계(34)가 '안전구간'에 위치할 때는 신축관(10)이 관체(40, 50) 사이의 축 방향 변위의 흡수가 가능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신축관(10)의 지시계(34)가 '위험' 구간에 위치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험' 구간일 때, 신축 내관(28)은 슬라이드 되어 신축 외관(12)의 내측 플랜지(18) 가까이에 위치된다. '위험' 구간은 연결된 관체(40)와 관체(50) 사이의 거리가 많이 신장 된 상태이다. 즉, 지시계(34)가 '위험' 구간에 위치할 때는 신축 내관(28)의 이탈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축 내관(28)의 이탈로 인한 유체 소실 및 누수 등의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 신축관 12 : 신축 외관
14 : 공간 16 : 외측 플랜지
18 : 내측 플랜지 20 : 체결 구멍
22 : 통공 24 : 라벨
26 : 패킹 28 : 신축 내관
30 : 패킹 가압 플랜지 32 : 외측 플랜지
34 : 지시계 36 : 볼트
38 : 너트 40 : 관체
50 : 관체

Claims (3)

  1. 두 개의 관체(40, 50) 사이에 설치되며 온도나 습도변화에 의한 관체의 신축을 자동적으로 흡수하여 관체(40, 50) 사이의 축 방향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신축관에 있어서,
    상기 신축관(10)은 신축 외관(12), 신축 내관(28) 및 지시계(34)로 구성되며,
    상기 신축관(10)의 신축 외관(12)은 내부에 공간(14)을 형성하면서 양측은 뚫리고,
    상기 신축 외관(12)의 일측 끝단에는 외측 플랜지(16)가 설치되어 관체(40)와 연결되며,
    상기 신축 외관(12)의 타측 끝단에는 내측 플랜지(18)가 설치되고,
    상기 신축 외관(12)의 내측 플랜지(18)에는 다수개의 체결 구멍(20)과 하나의 통공(22)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 플랜지(18)의 홈부에는 신축관(10)을 밀폐하는 패킹(26)이 끼워지고,
    상기 패킹(26)이 끼워진 신축 외관(12)의 내부 공간으로는 신축 내관(28)이 끼워지며,
    상기 신축 내관(28)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양측은 뚫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신축 내관(28)의 일측 외경으로는 패킹 가압 플랜지(30)가 끼워지고,
    상기 패킹 가압 플랜지(30)에는 다수개의 체결구멍(20)과 하나의 통공(22)이 형성되며, 상기 패킹 가압 플랜지(30)의 체결구멍(20)과 상기 신축 외관(12)의 내측 플랜지(18)에 형성된 체결구멍(20)으로는 볼트(36)가 끼워진 상태로 너트(38) 체결되며 상기 패킹 가압 플랜지(30)와 상기 내측 플랜지(18)를 결합 구성하며;
    상기 신축 내관(28)의 타측 끝단에는 외측 플랜지(32)가 설치되어 관체(50)와 연결되고,
    상기 외측 플랜지(32)에는 신축거리 확인을 위한 지시계(34)가 부착되며;
    상기 지시계(34)는 신축 내관(28)과 동일한 길이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패킹 가압 플랜지(30)의 통공(22)을 통과하여 상기 신축 외관(12)의 내측 플랜지(18)에 형성된 통공(22)으로 끼워져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신축 외관(12)의 외측면의 중앙부에는 라벨(24)이 부착되며;
    상기 라벨(24)에는 신축거리에 따른 위험도를 세분화한 구간이 표기되며, 상기 지시계(34)는 상기 라벨(24)의 어느 구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신축내관(28)의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라벨(24)의 다른 구간에 위치하며 외부에서 신축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


  2. 삭제
  3. 삭제
KR1020200117501A 2020-09-14 2020-09-14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 KR102300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501A KR102300164B1 (ko) 2020-09-14 2020-09-14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501A KR102300164B1 (ko) 2020-09-14 2020-09-14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164B1 true KR102300164B1 (ko) 2021-09-08

Family

ID=77787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501A KR102300164B1 (ko) 2020-09-14 2020-09-14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4169B1 (ko) 2023-12-12 2024-06-13 심성구 상수관의 위치변위정보 수집이 가능한 신축관이음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489Y1 (ko) 2005-05-02 2005-07-21 소민철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KR101774362B1 (ko) * 2016-02-29 2017-09-19 이정명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KR101938750B1 (ko) * 2011-08-22 2019-04-10 빅톨릭 컴패니 팽창 접합부
KR102000094B1 (ko) * 2017-09-15 2019-10-21 플로우하이텍(주) 신축 이음관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489Y1 (ko) 2005-05-02 2005-07-21 소민철 슬라이드형 신축관 이음장치
KR101938750B1 (ko) * 2011-08-22 2019-04-10 빅톨릭 컴패니 팽창 접합부
KR101774362B1 (ko) * 2016-02-29 2017-09-19 이정명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KR102000094B1 (ko) * 2017-09-15 2019-10-21 플로우하이텍(주) 신축 이음관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4169B1 (ko) 2023-12-12 2024-06-13 심성구 상수관의 위치변위정보 수집이 가능한 신축관이음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0144B2 (en) Conduit with joint covered by a boot
US3689110A (en) Fluid line coupling
JPH04504458A (ja) 内部拡張カップリング装置
US3526275A (en) Tube bundle assembly having baffle and header seal features for use in plastic tube heat transfer apparatus combinations
KR101006355B1 (ko) 벨로우즈형 신축밸브
AU727773B2 (en) Mold shot riser element with O-ring sealing
KR102300164B1 (ko)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
KR101059014B1 (ko) 신축 및 내진용 관이음쇠
US3006665A (en) Telescopic pipe joint with means to assure rectilinear movement
US2089940A (en) Coupling device for collapsible tubes
US3574361A (en) Flexible joint for piping systems
US4072329A (en) Flexible fluid connecting device
KR20140087869A (ko) 신축 이음관
US2821414A (en) Pressure balanced bellows type flexible coupling for conduits
US3107931A (en) Pipe expansion joint
CN212718570U (zh) 一种新型柔性管道的密封接头
US4540203A (en) Rolling cuff flexible bellows
JPS6124782Y2 (ko)
CN211145737U (zh) 一种剖分式排水伸缩节
JPH02147666U (ko)
CN219933280U (zh) 一种管道波纹管连接结构
KR20140096558A (ko) 냉각유로를 가지는 고온 고압용 벨로우즈형 유연배관부
KR200318955Y1 (ko) 관 조인트의 구조
CN211821142U (zh) 管路接头
KR200344488Y1 (ko)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