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078B1 -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078B1
KR100988078B1 KR1020100062365A KR20100062365A KR100988078B1 KR 100988078 B1 KR100988078 B1 KR 100988078B1 KR 1020100062365 A KR1020100062365 A KR 1020100062365A KR 20100062365 A KR20100062365 A KR 20100062365A KR 100988078 B1 KR100988078 B1 KR 100988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ation basin
sewage
chemical injection
sewage treatment
treatment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제
최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 셋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 셋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 셋
Priority to KR102010006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8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provided with flocculating compar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5Phosphorus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 처리 공정상의 생물 반응조에서 최종 침전지에 이르는 과정에 약품 분사 노즐과 선회류 응집 반응기가 설치되며,
상기 약품 분사 노즐은 약품 투입 펌프를 통하여 공급된 약품이 생물 반응조에서 침전조로 유입되는 하수에 고르게 투입되어, 수류에 의해 하수와 균일하게 혼합되게 하고,
상기 선회류 응집 반응기는 외통과 내통의 이중 원통관으로 형성되어, 외통의 접선 방향을 따라 연결된 하수 유입 관로를 통하여 유입된 하수가 이중 원통관의 이송 관로의 내부에 설치된 내,외측 고정 날개를 따라 유속에 의해 무동력으로 선회류를 일으키며 상승하는 과정에서 약품과 슬러지가 고르게 혼합되면서 하수 중의 인과 슬러지에 의하여 플록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플록을 이룬 슬러지가 이중 원통관의 내통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오버 플로우 홀을 통하여 내통의 슬러지 배출구로 배출 하강하여, 침전지 전단의 슬러지 호퍼에 침강되게 하고,
상기 침전지의 후단부에 육각형의 경사판이 설치되어 분리된 상등수에 미세 플록이 섞여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하수 처리 과정에서 인이 최소의 운전 설비와 관리 비용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SYSTEM OF PHOSPHORUS REMOVAL IN THE SEWAGE TREATMENT PLANT}
본 발명은 하수나 오,폐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나 오,폐수에는 각종 유기물과 입자상 물질 및 질소와 인 등의 여러 물질들이 혼합되어 있는데,
하수 처리장에서 하수 등에서 인을 제거하는 방법에는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 방법과 약품을 이용한 화학적 처리 방법이 있다.
그리고 화학적 처리 방법으로는 하수에 금속 이온염을 투입하여, 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인과 금속 이온이 결합되게 한 뒤, 그 침전물을 분리 제거시키는 기본적인 방식이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 구체적인 예를 몇 가지 살펴보면,
먼저, 칼슘 이온을 사용할 경우,
10Ca2 + + 6P043 -+20H ↔ Ca10(P04)6(OH)2 에서와 같이, 칼슘과 인산염이 형성되는데, 하수의 알칼리도와 Ph조정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여, 운영상 매우 복잡하고, 최종 슬러지 발생량이 증가하는 폐단이 있어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경우,
Al3 + + HnPO4 3 -n ↔ AlPO4 + 3H+
AlPO4 형태로 침전시키며,
또한 철염을 사용하는 경우,
Fe3 + + HnPO4 3 -n ↔ FePO4 + nH+
HePO4 형태로 침전시켜 인을 제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금속 이온염을 이용한 인 처리 과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금속 이온염을 어느 공정에서 투입하느냐에 따라 약품의 소모량 및 인의 제거 효율이 크게 달라진다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하수처리 공정상의 약품 투입 지점을 살펴보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 처리 과정에서 1차 침전지 전단에 약품을 투입하여, 1차 침전지에서 응집 침전시켜 인을 제거하는 방법과,
반응조에서 하수가 2차 침전지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약품을 투입하여, 응집 침전 후, 침전된 슬러지를 인발하여 인을 제거하는 방법 및,
2차 침전지의 후단에 여과 시설이 있을 경우, 여과지 전단에 약품을 투입 응집시켜, 여과기에서 인을 제거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약품을 동일 지점에 투입한다고 하더라도, 약품 투입 방법과 하수와 약품의 혼합 비율 등에 따라 인의 제거 효율은 각각 달라지게 되고,
또한 약품을 하수 처리 공정상에 어느 최적의 지점에서 투입할 것인가는 여전히 큰 숙제로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가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의 제거 효율에 크게 영향을 주는 약품 투입 방법과, 하수와 약품의 혼합 비율 및 하수 처리 공정상, 약품이 투입되는 최적의 지점을 선정하여 인의 침전 요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최소의 운전 설비와 관리 비용으로 하수에 포함된 인이 슬러지와 함께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하수 처리 공정상의 생물 반응조에서 침전지에 이르는 과정에 약품 분사 노즐과 선회류 응집 반응기가 설치되며,
상기 약품 분사 노즐은 약품 투입 펌프를 통하여 공급된 약품이 생물 반응조에서 침전조로 유입되는 하수에 고르게 투입되어, 수류에 의해 하수와 균일하게 혼합되게 하고,
상기 선회류 응집 반응기는 외통과 내통의 이중 원통관으로 형성되어, 외통의 접선 방향을 따라 연결된 하수 유입 관로를 통하여 유입된 하수가 이중 원통관의 이송 관로의 내부에 설치된 내,외측 고정 날개를 따라 유속에 의해 무동력으로 선회류를 일으키며 상승하는 과정에서 약품과 슬러지가 고르게 혼합되면서 하수 중의 인과 슬러지에 의하여 플록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플록을 이룬 슬러지가 이중 원통관의 내통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오버 플로우 홀을 통하여 내통의 슬러지 배출구로 배출 하강하여, 침전지 전단의 슬러지 호퍼에 침강되게 하고,
상기 침전지의 후단부에 육각형의 경사판이 설치되어 분리된 상등수에 미세 플록이 섞여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하수 처리 과정에서 인이 최소의 운전 설비와 관리 비용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는,
링 타입의 약품 분사관에 설치된 약품 분사 노즐에 의하여 별도의 약품 교반 장치 없이도, 하수에 약품을 고르게 지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회류 응집 반응기의 이중 원통관 내부에 나선형으로 설치된 고정 날개에 의하여 하수가 선회류를 일으키며 상승하면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하수 중의 인과 슬러지가 약품과 고르게 교반 및 응집되어 플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형성된 플록이 선회류 응집 반응기의 내통 상부에 구비된 오버 플로우 홀과 슬러지 배출구를 통하여 침전지 하부의 슬러지 호퍼로 모여 제거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침전지의 후단부 수중 상부에 경사판이 설치되어 상등수에 미세 플럭이 섞여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적은 유지 관리 비용으로 경제적으로 하수 처리 과정에서 인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하수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약품 투입 지점 위치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약품 분사 노즐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선회류 응집 반응기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장방형 슬러지 수집 침전지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원형 슬러지 수집 침전지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8 및 도 9 는 침전지의 다음 단계에 사여과기가 설치된 하수 처리장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의 종단면도,
도 10 및 도 11 은 침전지의 다음 단계에 드럼형 여과기가 설치된 하수 처리장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의 종단면도,
도 12 는 하수 유입 관로에서 하수와 약품이 혼합되는 유동 해석 결과를 나타낸 컴퓨터 그래픽 화면,
도 13 은 선회류 응집 반응기 내에서의 하수와 슬러지의 유동 해석 결과를 나타낸 컴퓨터 그래픽 화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약품 분사 노즐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로서,
하수 처리장의 생물 반응조(도시 생략)와 침전지(도시 생략) 사이의 하수 유입 관로(5)에 단관 플렌지(7)(7')가 장착되어 있고, 이 단관 플랜지(7)(7') 사이에는 연결관(9)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9)의 내부에는 상기 하수 유입 관로(5)의 내경보다 작고 내측으로 다수의 약품 분사 노즐(11)이 구비된 링 타입의 약품 분사관(13)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관(9)에는 소켓(14)이 장착되어, 상기 약품 분사관(13)과 연결된 약품 주입관(15)이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선회류 응집 반응기(16)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중 원통관(17)의 외통(18)과 내통(19) 사이의 바닥면이 막혀있는 상태에서, 외통(18)과 내통(19) 사이에 이송 관로(20)가 형성되어, 외통(18)과 내통(19)이 지지대(21)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외통(18)의 하측부에는 상기 하수 유입 관로(5)가 접선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통(18)의 내주면과 내통(19)의 외주면에는 외측 고정 날개(22)와 내측 고정 날개(23)가 바닥에서 상측 방향으로 나선형을 이루며 비대칭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통(19)의 상부에는 수개의 오버 플로우 홀(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통(19)의 중심부는 슬러지 배출구(27)를 형성하고 있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장방형 슬러지 수집 침전지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로서,
장방형 침전지(29)의 전단부에 하수 유입 관로(5)가 연결되어 생물 반응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수 유입 관로(5)에는 상기 선회류 응집 반응기(16)와 약품 분사 노즐(11), 약품 분사관(13) 및 약품 주입관(15)이 차례로 연결되어 약품 투입 펌프(31) 를 통하여 약품 탱크(33)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회류 응집 반응기(16)의 하측부에는 슬러지 호퍼(35)가 설치되어 있고, 내측부에는 공지의 슬러지 수집 체인(37)이 설치되어 있으며, 후단부에는 웨어(39)가 설치되어 청정한 상등수가 월류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수중 상부에는 육각형의 경사판(41)이 설치되어 미세 플록이 웨어(39)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원형 슬러지 수집 침전지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로서,
원형 침전지(43)의 중심부에 선회류 응집 반응기(16)가 설치되어 하수 유입 관로(5)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선회류 응집 반응기(16)의 주위에는 육각형의 경사판(41')이 설치되어, 청정한 상등수가 월류되는 웨어(39')로 미세 플록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류 응집 반응기(16)의 하측부에는 슬러지 호퍼(35')가 설치된 구조이다.
도 8 및 도 9 는 침전지의 다음 단계에 사여과기가 설치된 하수 처리장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의 종단면도로서,
장방형 침전지(29) 또는 원형 침전지(43)와 사여과기(47) 사이의 하수 유입 관로(5)에 상기 약품 분사 노즐(11)과 약품 분사관(13) 등이 설치되어, 장방형 또는 원형 침전지(29)(43)와 연결된 사여과기(47)의 선단부에 상기 선회류 응집 반응기(16)가 설치된 구조이다.
도 10 및 도 11 은 침전지의 다음 단계에 드럼형 여과기가 설치된 하수 처리장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의 종단면도로서,
장방형 침전지(29) 또는 원형 침전지(43)와 드럼형 여과기(48) 사이의 하수 유입 관로(5)에 상기 약품 분사 노즐(11)과 약품 분사관(13)과 함께, 응집 보조제가 투입되는 약품 분사 노즐(11)과 약품 분사관(13)이 병행 설치되고, 드럼형 여과기(48)의 선단부에 상기 선회류 응집 반응기(16)가 설치된 구조로,
장방형 또는 원형 침전지(29)(43)와 드럼형 여과기(48) 사이에 응집 보조제가 투입되는 약품 분사 노즐(11)과 약품 분사관(13)이 추가 설치되어, 본 지점에서 약품을 투입할 때, 약품 투입량을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고,
장방형 또는 원형 침전지(29)(43)에서 침전 후, 상등수와 함께 배출되는 일부 미세 부유 물질과 인 성분이 드럼형으로 회전하는 부직포 또는 여과포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게 함으로써, 유해 물질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12 는 하수 유입 관로에서 하수와 약품의 혼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컴퓨터에 의한 유동 해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픽 화면으로,
하수가 하수 유입 관로(5) 내에서 난류를 형성하며 혼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 은 선회류 응집 반응기 내에서의 하수와 슬러지의 유동 해석 결과를 나타낸 컴퓨터 그래픽 화면으로,
이중 원통관(17)의 이송 관로(20)의 하측부에서는 유속이 0.02m/s 정도로 빠르기 때문에, 교반의 역할을 하며,
중간부에서는 0.01m/s 정도로 응집의 여건을 유지하며 이동하다가,
상단부에 이르러 유속은 0.001~0.004m/s 정도로 느려져 플록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유속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는,
하수 처리장에서 인 처리 공정시, 먼저 약품 탱크(33)에 일정 농도의 Lime. Aluminium 용액을 저장한 뒤, 약품 약품의 농도를 균일하게 하고, 침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교반시킨다.
다음에 처리하고자 하는 하수 중에 포함된 인의 함유량을 표본 추출하여, 인의 함유량에 따라 약품의 투입량을 결정한 후, 약품 투입 펌프(31)를 가동시켜, 약품 주입관(15)을 통하여 약품 분사관(13)의 약품 분사 노즐(11)을 통하여 약품을 하수 유입 관로(5)에 투입시키면,
도 2 에서와 같이, 다수의 약품 분사 노즐(11)을 통하여 분사된 약품이 하수와 함께, 하수가 유입되는 유속에 의하여 난류를 형성하면서 하수와 급속 혼합되어, 하수 이송 관로(5)를 따라 침전지로 이송되어 진다.
이 상태는 하수와 약품이 완전히 고르게 혼합된 상태라고는 볼 수 없으나,
도 12 의 컴퓨터 그래픽 화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수와 약품이 비교적 고르게 혼합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품이 투입된 하수는 하수 유입 관로(5)를 따라 장방형 침전지(29)에 설치된 선회류 응집 반응기(16)의 이송 관로(20)의 하측부로 외통(18)의 접선 방향을 따라 유입되어, 나선형으로 형성된 외측 고정 날개(22)와 내측 고정 날개(23)를 따라 바닥에서 위쪽 방향으로 선회류를 일으키며 상승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수와 약품은 내,외통(19)(18) 사이에 비대칭의 나선형으로 설치된 내,외측 고정 날개(23)(22)에 의하여 생성되는 선회류에 의해 비로서 완전한 혼합과 응집이 이루어져, 하수에 포함된 인이 슬러지와 함께 플록을 형성하면서 이송 관로(20)의 상측으로 이송하게 되는 데,
이때, 선회류 응집 반응기(16) 내에서 하수와 슬러지는 도 13 의 컴퓨터 그래픽 화면에서와 같이,
이중 원통관(17)의 이송 관로(20)의 하측부에서는 유속이 0.02m/s 정도로 빠르기 때문에, 약품과 슬러지가 교반되면서 하수 중의 인이 약품에 의해 슬러지와 결합되면서 제거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며,
중간부에서는 유속이 0.01m/s 정도로 응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유속을 유지하며 상부로 이동하다가,
상단부에 이르러 내통(19)의 오버 플로우 홀(25) 부근에서부터 내통(19)의 슬러지 배출구(27)의 하측부에 이르기까지의 유속은 0.001 ~ 0.003m/s 정도로 속도가 대단히 늦어져 플록과 플록이 서로 결합하여 보다 큰 플록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응집된 플록은 하수 슬러지+AlPO4 형태로 응집되어 장방형 침전지(29)의 슬러지 호퍼(35) 내부로 하강 침전하여 수거하게 되고,
일부 입자가 작은 플록은 장방형 침전지(29)의 경우,
장방형 침전지(29)의 후단부로 유속에 의해 하수와 함께 흘러가면서 장방형 침전지(29) 바닥에 서서히 침강하여, 슬러지 수집 체인(37)에 의해 슬러지 호퍼(35) 내부로 모이게 된다.
한편, 장방형 침전지(29)의 후단부에서는 청정한 상태의 상등수가 웨어(39)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데, 플록의 형태가 대단히 작고 또한 비중이 1 보다 적은 경우, 이들 미세 플록은 침전지 바닥에 침강되지 못하고, 수류에 따라 부상하여 월류되게 되며, 이들 입자에는 인의 입자도 존재하게 되므로, 미세 플록에 포함되어 있는 인이 상등수에 섞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방형 침전지(29)의 후단부 중앙 상부 수중에 육각형의 경사판(41)을 설치하여, 미세 플록이 경사판(41)을 통과하는 동안 미세 입자들이 경사판(41)과 충돌하면서 미세 플록이 서로 응집되어 그 크기가 커지게 함으로써, 미세 플록이 상등수에 섞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원형 침전지(43)의 경우,
선회류 응집 반응기(16) 주위에 경사판(41')이 설치되어, 장방형 침전지(29)와 같이, 하수에 섞인 미세 플록이 경사판(41')에 의해 그 크기가 커져, 상등수에 섞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는,
종래 하수 처리 공정상의 인 처리시, 급속 교반과 오니 교반을 각각 기계적으로 시행하던 것을 급속 교반과 단속 교반 및 플록 형성을 일체화하여 실시함으로써, 인 제거 장치와 운전 관리를 단순화하여 가동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하수와 인이 포함된 슬러지의 이동을 수류에 의한 무동력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하여 운전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회류 응집 반응기(16)의 내통(19)의 중심부에 구비된 슬러지 배출구(27)를 통하여 플록이 하강하여, 입자가 크고 비중이 큰 플록은 슬러지 호퍼(35)에 바로 침강하게 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슬러지 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 플록은 장방형 침전지(29)의 길이 방향으로 수류를 따라 이동하여, 장방형 침전지(29)의 후단부의 수중 상부에 설치된 육각형의 경사판(41)에 의하여 재응집되어 미세 플록에 인이 섞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 제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에 의하면,
링 타입의 약품 분사관(13)에 설치된 약품 분사 노즐(11)에 의하여 별도의 약품 교반 장치 없이도, 하수에 약품을 고르게 지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회류 응집 반응기(16)의 2중 원통관(17) 내부에 나선형으로 설치된 고정 날개(22)(23)에 의하여 하수가 선회류를 일으키며 상승하면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하수 중의 인과 슬러지가 약품과 고르게 교반 및 응집되어 플록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형성된 플록이 선회류 응집 반응기(16)의 내통(19) 상부에 구비된 오버 플로우 홀(25)과 슬러지 배출구(27)를 통하여 장방형 침전지(29) 하부의 슬러지 호퍼(35)로 모여 제거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장방형 침전지(29)의 후단부 수중 상부에 경사판(41)이 설치되어 상등수에 미세 플럭이 섞여 유출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보다 적은 유지 관리 비용으로 하수 처리 과정에서 인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여러 변형예가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 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5 : 하수 유입 관로
7, 7' : 단관 플렌지
9 : 연결관
11 : 약품 분사 노즐
13 : 약품 분사관
14 : 소켓
15 : 약품 주입관
16 : 선회류 응집 반응기
17 : 이중 원통관
18 : 외통
19 : 내통
20 : 이송 관로
21 : 지지대
22 : 외측 고정 날개
23 : 내측 고정 날개
25 : 오버 플로우 홀
27 : 슬러지 배출구
29 : 장방형 침전지
31 : 약품 투입 펌프
33 : 약품 탱크
35, 35' : 슬러지 호퍼
37 : 슬러지 수집 체인
39, 39' : 웨어
41, 41' : 경사판
43 : 원형 침전지
47 : 사여과기
48 : 드럼형 여과기

Claims (13)

  1. 하수 처리 공정상의 생물 반응조에서 침전지에 이르는 하수 유입 관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약품 투입 펌프와 약품 주입관을 통하여 공급된 약품이 약품 분사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게 한 약품 분사관과;
    상기 침전지의 하수 유입 관로에 연결되어, 이중 원통관의 외통과 내통 사이에 형성된 이송 관로의 바닥면이 막혀있는 상태에서, 외통의 하측부에 상기 하수 유입 관로가 연결되고, 외통의 내주면과 내통의 외주면에 외측 고정 날개와 내측 고정 날개가 나선형으로 각각 설치되며, 내통의 상부에 수개의 오버 플로우 홀이 형성되고, 내통의 중심부가 슬러지 배출구를 형성하고 있는 선회류 응집 반응기와;
    상기 선회류 응집 반응기의 하측부에 설치된 슬러지 호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는 장방형 슬러지 수집 침전지이고, 장방형 침전지의 선단부에 선회류 응집 반응기와, 장방형 침전지의 후단부의 수중 상부에 경사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는 원형 슬러지 수집 침전지이고, 원형 침전지의 중심부에 선회류 응집 반응기와, 선회류 응집 반응기 주위에 경사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분사관은 하수 유입 관로의 내경보다 작은 링 타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 유입 관로는 외통의 하측부에 접선 방향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고정 날개와 내측 고정 날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외통과 내통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중 원통관의 외통과 내통은 서로 지지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8. (삭제)
  9. (삭제)
  10. 하수 처리 공정상의 생물 반응조와 침전지에서 여과기에 이르는 하수 유입 관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약품 투입 펌프와 약품 주입관을 통하여 공급된 약품이 약품 분사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게 한 약품 분사관과;
    상기 여과기의 선단부의 하수 유입 관로에 연결되어, 이중 원통관의 외통과 내통 사이에 형성된 이송 관로의 바닥면이 막혀있는 상태에서, 외통의 하측부에 상기 하수 유입 관로가 연결되고, 외통의 내주면과 내통의 외주면에 외측 고정 날개와 내측 고정 날개가 나선형으로 각각 설치되며, 내통의 상부에 수개의 오버 플로우 홀이 형성되고, 내통의 중심부가 슬러지 배출구를 형성하고 있는 선회류 응집 반응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는 장방형 슬러지 수집 침전지이고, 장방형 침전지의 후단부의 수중 상부에 경사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는 원형 슬러지 수집 침전지이고, 원형 침전지의 중심부에 선회류 응집 반응기와, 선회류 응집 반응기의 주위에 경사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는 드럼형 여과기이고, 상기 약품 분사관과 선회류 응집 반응기사이의 하수 유입 관로에 응집 보조제가 투입되는 약품 분사 노즐과 약품 분사관이 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KR1020100062365A 2010-06-29 2010-06-29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KR100988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365A KR100988078B1 (ko) 2010-06-29 2010-06-29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365A KR100988078B1 (ko) 2010-06-29 2010-06-29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8078B1 true KR100988078B1 (ko) 2010-10-20

Family

ID=4313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365A KR100988078B1 (ko) 2010-06-29 2010-06-29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0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1414A (zh) * 2018-10-09 2018-12-25 河北航天环境工程有限公司 基于气动旋流强制掺混技术的高效澄清器
KR20190136823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한국아쿠오시스 수처리용 응집반응장치
CN111018113A (zh) * 2019-12-31 2020-04-17 重庆阁林环保科技有限公司 基于mbbr技术的污水处理设备
CN111035972A (zh) * 2019-12-23 2020-04-21 宜兴华都琥珀环保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液下排液方式的沉淀池
CN113354165A (zh) * 2021-06-10 2021-09-07 深圳市世纪清源环保技术有限公司 污水处理装置及污水处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4318A (ja) 1997-10-15 1999-04-27 Ishigaki:Kk 汚泥等の凝集装置
KR200418339Y1 (ko) 2006-03-28 2006-06-13 (주)한맥기술 수처리 장치
KR100946263B1 (ko) 2009-05-18 2010-03-08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응집제 절감 혼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4318A (ja) 1997-10-15 1999-04-27 Ishigaki:Kk 汚泥等の凝集装置
KR200418339Y1 (ko) 2006-03-28 2006-06-13 (주)한맥기술 수처리 장치
KR100946263B1 (ko) 2009-05-18 2010-03-08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응집제 절감 혼합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823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한국아쿠오시스 수처리용 응집반응장치
KR102054499B1 (ko) 2018-05-31 2019-12-11 주식회사 한국아쿠오시스 수처리용 응집반응장치
CN109081414A (zh) * 2018-10-09 2018-12-25 河北航天环境工程有限公司 基于气动旋流强制掺混技术的高效澄清器
CN111035972A (zh) * 2019-12-23 2020-04-21 宜兴华都琥珀环保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液下排液方式的沉淀池
CN111035972B (zh) * 2019-12-23 2020-11-13 宜兴华都琥珀环保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液下排液方式的沉淀池
CN111018113A (zh) * 2019-12-31 2020-04-17 重庆阁林环保科技有限公司 基于mbbr技术的污水处理设备
CN113354165A (zh) * 2021-06-10 2021-09-07 深圳市世纪清源环保技术有限公司 污水处理装置及污水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30084B (zh) 两级两相流化床自结晶处理高氟、高硬度废水方法及系统
KR100988078B1 (ko) 하수 처리장의 인 제거 장치
CN106830252A (zh) 具有载体絮凝沉淀功能的一体式水处理装置
CN109824186B (zh) 通过负压提升矿物质砂循环高速沉淀池工艺
CN102657960A (zh) 一种沉淀反应与固液分离一体化装置
CN208829353U (zh) 污水处理沉淀装置
CN108002639A (zh) 集成式一体化生态水厂
CN209010208U (zh) 高效混凝沉淀一体化设备
CN112358017B (zh) 一种利用诱导结晶处理污水的系统和方法
CN206680234U (zh) 具有载体絮凝沉淀功能的一体式水处理装置
CN110204103B (zh) 基于水力流态成层的悬浮介质层过滤系统
CN210394034U (zh) 通过负压提升矿物质砂循环高速沉淀池
CN204384990U (zh) 一种循环冷却水石灰软化澄清过滤处理系统
CN110697827A (zh) 一种气浮式分离设备及搭载其的极限除磷系统
KR100310043B1 (ko) 수리적와류에의한약품의순간혼화방법및그장치
CN208279432U (zh) 一种用于减少药剂投加量的化学除磷装置
CN217757087U (zh) 污水处理池
CN105712539A (zh) 一种焦化酚氰废水深度处理系统及处理工艺
CN212609938U (zh) 一种tbm施工隧洞污水处理系统
CN211141582U (zh) 一种气浮式分离设备及搭载其的极限除磷系统
CN208234719U (zh) 一种污水处理厂提标改造系统
CN211170213U (zh) 一种含渣含油废水一级处理一体化设备
CN211283963U (zh) 一种碱减量印染废水预处理系统
CN103641259B (zh) 一种脱硫废水处理装置
CN102849834A (zh) 一种化学反应-沉淀一体化处理方法及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