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751B1 - 롤러 스탠드 - Google Patents

롤러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751B1
KR100987751B1 KR1020090009593A KR20090009593A KR100987751B1 KR 100987751 B1 KR100987751 B1 KR 100987751B1 KR 1020090009593 A KR1020090009593 A KR 1020090009593A KR 20090009593 A KR20090009593 A KR 20090009593A KR 100987751 B1 KR100987751 B1 KR 100987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ipe
stand
circumferential surfac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374A (ko
Inventor
박종하
Original Assignee
대길산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길산기(주) filed Critical 대길산기(주)
Priority to KR102009000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75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8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the load-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a concave or tubular belt, e.g. a belt forming a t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히는 제철공장에서 선철의 재료가 되는 광석과 코크스 등을 운송 시 벨트 콘베어의 벨트를 지지하는 롤러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롤러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롤러가 구성되는 스탠드 하부에 스탠드를 지지하는 파이프를 양측으로 분리하여 상호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면서도 상기 파이프가 회동되도록 구성하여 롤러의 교체를 용이하여 롤러 교체가 신속히 이루어져 벨트 콘베어의 수송효율을 높이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롤러 스탠드

Description

롤러 스탠드{The roller stand}
본 발명은 롤러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롤러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분리된 파이프의 인출 및 자체회동이 이루어져 롤러의 교체를 용이하여 롤러 교체가 신속히 이루어져 벨트 콘베어의 수송효율을 높이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삭제
제철 공장에서 일정높이로 구성된 원통형의 고로 꼭대기에 광석과 코크스를 넣고 아래쪽에서 녹은 선철을 모으는 고로조업 시 상기 선철의 재료가 되는 광석과 코크스를 고로 및 야드로의 운송작업은 통상의 벨트 콘베어가 사용된다.
상기 고로 조업에 재료로 사용되는 광석과 코크스는 그 중량이 무거워 벨트의 궤도 이송 과정에서 가중한 하중이 발생하게 되며 벨트 또한 자체하중이 높아 이러한 하중을 지지하고 재료의 이송을 위해 벨트의 하부에 다수의 아이들러(롤러 스탠드)를 설치한다.
상기 롤러 스탠드는 프레임에 설치된 스탠드 상에 장착되며, 운송물의 낙하 및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벨트를 'U'자 모양으로 형태가 유지되도록 중앙의 수평으로 배치된 롤러의 양측에 경사진 롤러를 배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의 회전을 통해 철광석과 코크스를 운송되어 롤러와 벨트는 강력한 장력을 가질 수 있도록 마찰되면서 회전되고 그와 동시에 고로 조업 특성상 계속적으로 운송물이 운송되기 때문에 롤러의 손상이 발생이 야기될 수 있으며 롤러 스탠드가 고온에 의해 열화되는 등의 운송공정이 지연되는 요인이 발생되어 수송효율을 저하시키면서도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수단인 구동모터에 부하로 작용되어 결국 구동모터의 수명까지 단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등의 단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단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벨트를 지지하는 롤러를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장, 설비를 통해 벨트를 들어올리고 공간을 확보한 후에 롤러를 교체하는 방법이 사용되나 이러한 방법은 시간과 인력이 과다하게 소비되고 고소작업으로써 인명사고의 위험이 있어왔으며, 특히 운반물을 벨트로 하강되는 슈트 하부에 구성되는 롤러의 교체 시에는 비산 방지용 스커드를 제거 후에 롤러를 교체하는 등 그 작업이 번거롭고 까다로운 단점이 있어왔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롤러 스탠드에 있어서, 롤러가 구성되는 스탠드 하부에 스탠드를 지지하는 파이프를 양측으로 분리하여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파이프가 회동되도록 구성하여 스탠드를 회동된 상태에서 롤러를 교체할 수 있어 벨트에 압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롤러 교체작업이 이루어져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슈트 하부의 롤러 교체 작업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주안점을 두고 발명되었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롤러(20)를 지지하는 스탠드(10)와, 상기 스탠드(10)에 의해 지지되며 벨트(미도시)를 구동하는 롤러(20)와, 상기 스탠드(10)를 지지하는 파이프와, 롤러(20)에 의해 운송물을 운반하는 벨트(미도시)로 구성되는 롤러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파이프(30)와 이동되는 이동 파이프(30')로 구성되어 양측이 선택적으로 이동되게 하되, 상기 파이프들(30,30')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인출봉(100)을 구성하고 상기 인출봉(100)의 일측단부를 상기 파이프(30)의 내주면과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시키고 타측단부는 인출링(120)을 구성하여 이동파이프(30')가 인출봉(100)을 내부로 두고 연장되어 인출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롤러 스탠드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인출봉(100)의 일측단부로 통상의 링의 형태로 구성되며 내주면은 상기 인출봉(100) 일측 둘레면과 결합되고, 외주면은 파이프(30)의 내주면과 각각 용접 등의 결속 방법으로 결합되는 고정링(110)과, 상기 고정링(110)에 의해 결합된 인출봉(100)의 타측단부로는 통상의 링의 형태로 구성되며 내주면은 인출봉(100)의 일측 둘레면과 결합되어 구성되는 인출링(120)을 구성하여, 상기 이동 파이프(30')의 인출 시 이동 파이프(30')의 내주면으로 돌출 구성되는 걸림링(130)이 상기 인출링(120)에 걸림 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걸림링(130)은 통상의 링의 형태로 구성되며 이동 파이프(30')의 내주면과 결합하여 구성하되, 인출봉(100)과는 결속되지 않는다.
상기 양측 파이프(30, 30')로 수직 및 수평 방향의 금속판의 단부가 상호 취부되는 형태로 구성되되, 수평방향의 금속판으로 회동대(70)가 안착되며, 수직방향의 금속판에는 상기 파이프(30, 30')의 하부 둘레면이 안착되는 안착대(50)와, 상기 안착대(50)에 하부가 안착되고 파이프(30)의 양측 단부에 후부가 각각 고정 구성되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되, 파이프(30, 30')의 회전 시에 안착대(50)에 걸림구성되도록 일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걸림부(70a)가 구성되는 회동대(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착대(50) 및 회동대(70)의 양측으로 고정구(80)가 체결되는 홈을 각각 구성하고, 통상의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져 회동대(70)의 회전여부에 따라 회동대(70) 및 안착대(50)를 각각 고정 및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구(80)가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 교체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슈트 하부의 롤러 교체 작업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져 벨트 콘베어의 수송효율을 높이면서도 롤러 교체작업이 용이하여 소수의 인원으로도 교체가 이루어지며 스탠드에 구성되는 롤러홈을 경사진 형태로 구성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그 효과가 큰 발명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롤러의 교체가 용이한 롤러(캐리어 롤러 및 임펙트 롤러)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히는 롤러(20)를 지지하는 스탠드(10)와, 상기 스탠드(10)에 의해 지지되며 벨트(미도시)를 구동하는 롤러(20)와, 상기 스탠드(10)를 지지하는 파이프(30)와, 롤러(20)에 의해 운송물을 운반하는 벨트(미도시)로 구성되는 롤러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파이프(30)와 이동되는 이동 파이프(30')로 구성되어 양측이 선택적으로 이동되게 하되, 상기 파이프들(30,30')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인출봉(100)을 구성하고 상기 인출봉(100)의 일측단부를 상기 파이프(30)의 내주면과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시키고 타측단부는 인출링(120)을 구성하여 이동 파이프(30')가 인출봉(100)을 내부로 두고 연장되어 인출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롤러 스탠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10)가 구성되는 파이프(30, 30')가 회동되도록 구성하여 롤러(20)의 교체를 용이하여 롤러(20) 교체가 신속히 이루어져 벨트 콘베어의 수송효율을 높이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스탠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스탠드의 바람직한 구성장치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스탠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내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가 분리되어 인출되는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스탠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가 분리되어 인출되는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2, 3에 도시된 바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스탠드는 크게 롤러(20)를 지지하는 스탠드(10)와 상기 스탠드(10)에 의해 지지되며 벨트(미도시)를 구동하는 롤러(20)와, 상기 스탠드(10)를 지지하는 파이프(30,30')와, 롤러(20)에 의해 운송물을 운반하는 벨트(미도시)와, 상기 파이프를 회전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파이프의 내부로 파이프를 분리하여 인출하는 인출수단으로 대분 구성된다.
상기 스탠드(10)는 롤러(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파이프(30, 30') 상에 돌출구성 되며 중앙에 수평으로 구성되는 중앙스탠드와 양측부에 롤러(20)가 일정각을 두고 비스듬히 구성될 수 있도록 사이드 스탠드가 구성되며 롤러(20)의 돌출부(20a)가 안착되어 롤러(20)를 지지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롤러홈(40)이 구성된다.
상기 롤러홈(40)은 도 1, 2,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의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며 더 자세하게는 상기 롤러홈(40)이 30˚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벨트의 운전진동으로 롤러(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롤러(20)는 벨트를 통해 철광석, 코크스 등의 원료를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벨트의 중앙부를 평행하게 지지하는 중앙롤러가 구성되고 운반물의 낙하 및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벨트(미도시)의 양측단에 트로프 각(trough angle)을 이루게 지지하는 한 쌍의 사이드 롤러를 구성되며, 더욱 자세히는 롤러(20) 상에 벨트의 형태가 U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롤러(20)의 양측단에 돌출부(20a)가 구성되어 스탠드(10)의 롤러홈(40)에 안착된다.
상기 벨트는 롤러(20)의 상단으로 구성되어 롤러(20)의 회전에 의해 운송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30,30')는 스탠드(10) 및 롤러(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파이프(30, 30')의 일측으로 회전수단이 구성되고 내부로 인출수단이 각각 구성되어 스탠드(10) 상의 롤러(20)의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파이프(30,30')의 일측으로 파이프(30,30')의 하부 둘레면을 안착하는 안착대(50)를 포함한다.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대(50)는 측면이 수직 및 수평 형태의 금속판의 단부가 상호 취부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수직방향의 금속판에는 파이프(30,30')의 하부 둘레면이 안착되고 수평방향의 금속판에는 회동대(70)가 구성되며, 상기 회동대(70)와 상호 결착되도록 고정구(80)가 삽입되는 홈이 양측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30,30')의 양단부에 구성된 안착대(50) 사이에 지지판(60)을 파이프(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성하여 파이프(30)의 양측단부에 구성되는 안착대(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대(70)는 파이프(30,30')의 일측 단부에 각각 고정 구성되어 회동대(70)의 회전으로 하여금 파이프(30, 30')가 연동회전 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안착대(50)에 하부가 안착되되, 고정구(80)로 하여금 안착대(50)와 고정될 수 있는 홈이 양측에 각각 구성되며, 일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걸림부(70a)를 구성하여 회전 시에 걸림부(70a)로 하여금 안착대(50)에 걸림되어 파이프(30, 30')의 회동되는 각이 한정되며 회동된 후 스탠드(10)가 기울어진 채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롤러(2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80)는 통상의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져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 인해 회동대(70) 및 안착대(50)를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회동대(70)의 회전 시에는 고정구(80)를 해제하여 회동대(7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출수단은 양측으로 분리된 파이프(30,30')의 내부에 구성되어 분리되어 이동되는 파이프가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30,30')의 분리되는 부위(30a)의 상측으로 파이프(30,30')의 상부를 수용하면서 안착되는 덮개부(90)를 분진 및 수분 등의 기타이물질이 이 분리부위(30a)를 통해 파이프(30,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수단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인출봉(100)은 파이프(30,30')의 내부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되 일측단부가 파이프(30)의 내주면과 용접등의 방법으로 결합고정되고 이동되는 이동 파이프(30')와는 결합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이동 파이프(30')가 상기 일출봉(100)을 내부로 하여 선택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출봉(100)과 파이프(30)의 결합은 고정링(110)을 이용하되 통상의 링의 형태로 구성되며 내주면은 인출봉(100)의 일측단부의 둘레면과 결합되고, 외주면은 파이프(30)의 내주면과 결합 구성된다.
상기 고정링(110)이 구성된 인출봉(100)의 타측단부로 인출링(120)이 구성되는데 통상의 링의 형태로 구성되며 내주면은 고정링(110)이 구성되는 반대측 인출봉(100)의 일측 둘레면에 결합되어 이동 파이프(30')의 인출 시 후술되는 걸림링(130)에 걸림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링(130)은 통상의 링의 형태로 구성되며 외주면이 이동 파이프(30')의 내주면과 결합되되, 내주면은 인출봉(100)과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수용하게 구성하여 이동 파이프(30')의 인출 시에 걸림링(130)이 인출봉(100)을 수용된 채로 이동되어 인출링(120)에 걸림되어 이동 파이프(30)의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링(110)은 인출봉(100)의 외주면 및 파이프(30)의 내주면과 용접등으로 결합되고, 인출링(120)은 인출봉(100)의 외주면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링(110)과 인출링(120) 사이에 위치하는 걸림링(130)은 상기 이동 파이프(30')의 내주면과 결합한다. 상기 결합 형태는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을 통한 접합이 이루어지지만 다른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의 구성장치를 통해 실시의 예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고로조업에 의한 원료를 운송공정에 의해 마모되는 롤러(20)의 교체 시에 파이프(30, 30')의 분리부(30a) 상측에 구성된 덮개부(90)를 탈착하고 파이프의 어느 일측을 인출하면 분리부(30a)를 기준으로 이동 파이프(30')는 인출되는 방향으로 인출된다.
상기 이동 파이프(30')가 인출되는 형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링(130)이 결합된 이동 파이프(30')의 일측을 인출하면 외주면이 이동 파이프(30')에 결합된 걸림링(130)은 이동 파이프(30')의 이동방향에 따라 인출봉(100)을 수용한 채로 이동되어 이동 파이프(30')가 인출봉(100)의 길이방향으로 인출된다. 어느 정도 인출이 이루어지면 인출링(120)에 의해 걸림링(130)이 걸림고정되어 이동 파이프(30')가 인출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고정링(110)으로 결합되는 파이프(30)가 인출되는 형태는 고정링(110)이 결합된 측의 파이프(30)를 인출하면 파이프(30)와 결합된 고정링(110) 및 고정링(110)과 결합된 인출봉(100)이 인출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되는 인출봉(100)은 인출링(120)이 이동 파이프(30')의 내주면에 구성된 걸림링(130)에 걸림고정되어 파이프(30)가 인출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분리되는 파이프(30)와 이동 파이프(30')는 양측 파이프 중 어느 하나가 인출되어도 인출이 이루어지며 이는 롤러(20)가 교체되는 측의 파이프(30)에 따라 선택적으로 파이프(30.30')를 인출하여 롤러(20)의 교체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30, 30')의 인출이 이루어지면 스탠드(10)를 회동하기 위해 고정구(80) 해체하고 안착대(50)에 안착된 회동대(70)를 걸림부(70a) 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회동된 회동대(70)는 경사진 형태의 걸림부(70a)에 의해 일정각도 회동된 후 걸림부(70a)가 안착대(50)에 걸림되어 회동대(70)가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며 회동대(70)의 후부에 구성된 파이프(30) 또한 회전되어 벨트(미도시)와 롤러(20)는 이격 공간을 가지고 이격되는 공간에 의해 손상된 롤러(20)를 탈거한 후 새로운 롤러(20)를 스탠드(10)에 장착하여 롤러(20)의 교체가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20)가 교체되면 다시 회동대(70)를 원래대로 회동시켜 회동대(70)의 하부면이 안착대(50)에 안착시킨 후 고정구(80)를 체결하여 스탠드(10)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고 인출된 파이프(30,30')를 원래대로 인입한 후 덮개부(90)를 파이프(30,30')의 분리부(30a)의 상측에 안착하여 롤러(20)의 교체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스탠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스탠드의 바람직한 구성장치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스탠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내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가 분리되어 인출되는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스탠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가 분리되어 인출되는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0 : 스탠드 20 : 롤러
30 : 파이프 40 : 롤러홈
50 : 안착대 60 : 지지판
70 : 회동대 80 : 고정구
90 : 덮개부
100 : 인출봉 110 : 고정링
120 : 인출링 130 : 걸림링

Claims (7)

  1. 삭제
  2. 롤러(20)를 지지하는 스탠드(10)와, 상기 스탠드(10)에 의해 지지되며 벨트(미도시)를 구동하는 롤러(20)와, 상기 스탠드(10)를 지지하는 파이프와, 롤러(20)에 의해 운송물을 운반하는 벨트(미도시)로 구성되는 롤러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파이프(30)와 이동 파이프(30')로 양측으로 분리하되, 상기 파이프들(30,30')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인출봉(100)을 구성하고 상기 인출봉(100)과 상기 파이프(30)를 결합하여 타측의 이동 파이프(30')가 인출봉(100) 상에서 연장되어 인출이 이루어지되,
    링의 형태로 구성되며 내주면은 상기 인출봉(100)의 일측 둘레면과 결합하되, 외주면은 파이프(30)의 내주면과 결합되는 고정링(110)과,
    링의 형태로 구성되며 내주면은 고정링(110)이 구성된 인출봉(100)의 타측 둘레면과 결합하여 상기 이동 파이프(30')의 인출 시 걸림링(130)에 걸림고정되는 인출링(120)과,
    링의 형태로 구성되며 외주면이 이동 파이프(30)의 내주면에 결합하되, 내주면은 인출봉(100)과 결속되지 않고 수용하는 걸림링(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롤러 스탠드
  3.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30,30')의 일측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의 금속판의 단부가 상호 취부되는 형태로 구성되되, 수평방향의 금속판으로 회동대(70)가 안착되며, 수직방향의 금속판에는 파이프(30, 30')의 하부 둘레면이 안착되는 안착대(50)와,
    상기 안착대(50)에 하부가 안착되고 파이프(30, 30')의 양측 단부에 후부가 각각 고정 구성되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되, 파이프(30, 30')의 회전 시에 안착대(50)에 걸림구성되도록 일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걸림부(70a)가 구성되는 회동대(70)를 포함하는 롤러 스탠드
  4.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50) 및 회동대(70)의 양측으로 고정구(80)가 체결되는 홈을 각각 구성하고,
    통상의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져 회동대(70)의 회전여부에 따라 회동대(70) 및 안착대(50)를 각각 고정 및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구(80)가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롤러 스탠드
  5. 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30,30')의 양측에 구성된 안착대(50) 사이로 파이프(30,30')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안착대(5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판(60)을 포함하는 롤러 스탠드
  6. 삭제
  7. 삭제
KR1020090009593A 2009-02-06 2009-02-06 롤러 스탠드 KR100987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593A KR100987751B1 (ko) 2009-02-06 2009-02-06 롤러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593A KR100987751B1 (ko) 2009-02-06 2009-02-06 롤러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374A KR20100090374A (ko) 2010-08-16
KR100987751B1 true KR100987751B1 (ko) 2010-10-13

Family

ID=4275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593A KR100987751B1 (ko) 2009-02-06 2009-02-06 롤러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7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029A (ja) * 1993-08-06 1995-02-28 Nippon Tsusho Kk コンベヤベルト用ローラ装置
JPH0723729U (ja) * 1993-09-30 1995-05-02 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トラフ型キャリアローラ
JPH08151114A (ja) * 1994-11-29 1996-06-11 Nippon Conveyor Kk ベルトコンベヤのキャリヤベッド
JPH09188412A (ja) * 1996-01-10 1997-07-22 Sumitomo Metal Ind Ltd ベルトコンベアのキャリアローラスタン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029A (ja) * 1993-08-06 1995-02-28 Nippon Tsusho Kk コンベヤベルト用ローラ装置
JPH0723729U (ja) * 1993-09-30 1995-05-02 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トラフ型キャリアローラ
JPH08151114A (ja) * 1994-11-29 1996-06-11 Nippon Conveyor Kk ベルトコンベヤのキャリヤベッド
JPH09188412A (ja) * 1996-01-10 1997-07-22 Sumitomo Metal Ind Ltd ベルトコンベアのキャリアローラ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374A (ko) 201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461B1 (ko)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원료로부터의 철편 추출장치
KR100960998B1 (ko) 컨베이어 롤러 스탠드
KR100987751B1 (ko) 롤러 스탠드
US10632472B2 (en) Machine for transporting a liner into a grinding mill body
KR100982895B1 (ko)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
JPH11189319A (ja) 可倒式キャリアローラースタンド
KR100945677B1 (ko) 낙광방지 기능을 갖는 컨베어벨트의 벨트스커트 구조
KR20130088412A (ko) 철편 선별장치
KR100916093B1 (ko) 분리형 캐리어 롤러 스탠드 어셈블리
KR101455101B1 (ko) 벨트 컨베이어
KR20120073063A (ko) 스크레이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하운송물 처리장치
KR101417215B1 (ko)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
KR101266465B1 (ko) 저장빈 상부의 누적광 회수장치
KR101746768B1 (ko) 스크랩 분배장치
CN219647421U (zh) 一种便于拆除的提升翻转整粒机
CN114394378B (zh) 综采皮带机h架
KR101159673B1 (ko) 연속식하역기용 차단장치
CN115973672B (zh) 一种分段筛网模块输送机
KR10128941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롤러 스탠드
KR101368935B1 (ko) 연속하역장비
KR100984408B1 (ko) 벨트콘베이어의 벨트요동 방지장치
KR20020041925A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캐리어 스탠드
JP7041007B2 (ja) 連続ベルトコンベアのゴムベルト支持用ローラユニット
CN202479130U (zh) 级配筛分送料一体机
KR101223111B1 (ko) 벨트콘베이어의 운송물 낙하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021

Effective date: 201003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