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215B1 -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 - Google Patents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215B1
KR101417215B1 KR1020110118612A KR20110118612A KR101417215B1 KR 101417215 B1 KR101417215 B1 KR 101417215B1 KR 1020110118612 A KR1020110118612 A KR 1020110118612A KR 20110118612 A KR20110118612 A KR 20110118612A KR 101417215 B1 KR101417215 B1 KR 101417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elt
stand
rotation
rota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087A (ko
Inventor
서정환
박맹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1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2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 B65G21/06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constructed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for conveying in a circular ar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8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the load-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a concave or tubular belt, e.g. a belt forming a t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 설비에 구동수단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 및, 상기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 상에 제공되고 운송 설비의 벨트가 지지 이송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은, 구동수단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봉과 결합하고, 회전에 의해 하강하는 롤러와 벨트 사이에 롤러의 교체공간이 확보되도록, 벨트 이송방향으로 적어도 2이상의 롤러가 안착되도록 롤러축 안착홈이 형성된 회동형 롤러 스탠드를 포함하여 롤러 스탠드의 회동에 따라 롤러의 교체공간을 확보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 컨베이어와 같은 운송 설비에서 벨트를 지지 이송하는 롤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Roller Device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 컨베이어와 같은 운송 설비에서 벨트를 지지 이송하는 롤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한 롤러 교체가 용이한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체에서 운송물을 장거리 운송하는 데에는 운송 설비 예컨대, 벨트 켄베이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제철소의 원료 또는 연료인 철광석과 석탄은 하역장소에서 야드까지 벨트 컨베이어를 통하여 운송하고, 야드에서 다시불출설비(리크레이머)와 연계된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생산 공장으로 운송된다.
예컨대, 벨트 컨베이어는 회전체인 롤러의 상부에 무한궤도로 이송되는 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물론, 벨트 컨베이어는 실제 제철소 원,연료 등을 운송하는 캐리어부분과 운송물이 운송되고 빈 벨트만이 이송되는 리턴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벨트 컨베이어의 경우 그 이송 조건(환경)에 따라 벨트는 직선 구간과 상승 구간 및 하강 구간 등으로 이루어 지고, 이와 같은 상승 구간이나 하강 구간에서는 벨트 즉, 캐리어부분의 벨브(이하, '캐리어 벨트'라 함)와 리턴부분의 벨트(이하, '리턴 벨트'라 함)가 경사면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구간이 발생된다.
특히, 상승하는 경우 경사면의 최상단(최고봉)에서는 벨트와 이를 지지 이송하는 롤러간의 마찰(마모)가 최대로 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야드에 적치된 석탄 등을 불출하는 불출설비(리크레이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크레이머(100)의 버켓(110)을 통하여 수집된 석탄이나 광석 등의 불출물은, 리크레이머의 하부에 연계된 벨트 컨베이어(120)를 통하여 원하는 지점으로 운송된다.
따라서, 도 1에서 확대된 부분과 같이, 벨트 컨베이어(120)의 벨트(130)가 상승되는 경사구간(T)에서 최상단 롤러(140)와 벨트(130)사이에는 가장 큰 하중이 인가되고, 이 위치에서의 롤러(140)의 마모가 가장 심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폴리형 롤러(140)를 도시한 것으로서 통상 리턴 벨트(130)의 이송을 지지하는 리턴 롤러에 해당된다. 즉, 도 1에서 상승구간의 최상단 롤러는 마모를 저감시키거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폴리형 롤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롤러(140)의 경우 벨트의 상승구간의 최상단에 위치되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벨트의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롤러이기 때문에, 고장력 벨트와의 심한 마찰에 의한 롤로의 마모와 파손이 빈번하여 발생하고, 따라서 롤러의 주기적인 보수 유지나 교체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 설비 보수 유지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다.
예컨대, 도 2에서는 이와 같은 상승구간에서의 최상단 롤러의 교체 작업을 도시하고 있는데, 작업자는 먼저 롤을 교체 가능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벨트(130) 즉, 리턴벨트의 하부에 봉(150)을 가로질러 배치하고, 이 봉(150)을 체인기구(160)등을 이용하여 들어 올려, 롤러(140)의 교체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종래의 경우 모든 작업이 작업자의 수작업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따라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롤러의 교체작업을 수작업으로 구현함에 따른, 작업 지연이 발생되고, 이는 롤러 뿐만 아니라, 컨베이어 벨트도 손상이나 파손시키어 수명을 단축시키고, 수작업에 의한 설비의 가동 중단이나 가동 지연으로 벨트 컨베이어의 가동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때, 롤러(140)은 벨트 컨베이어(120)의 프레임(122)의 하부 브라켓트(142)에 안착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교체시 작업자가 롤러 교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시 밸런스 불량 등으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은 것이었다. 이때, 도 2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124,126,128은 캐리어 롤러 스탠드와 캐리어롤러 및 캐리어벨트를 나타낸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운송 설비 즉, 벨트 컨베이어에서 벨트 특히, 리턴 벨트를 지지 이송하는 롤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과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인 롤러 교체가 용이한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송 설비에 구동수단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 및, 상기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 상에 제공되고 운송 설비의 벨트가 지지 이송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은, 구동수단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봉과 결합하고, 회전에 의해 하강하는 롤러와 벨트 사이에 롤러의 교체공간이 확보되도록, 벨트 이송방향으로 적어도 2이상의 롤러가 안착되도록 롤러축 안착홈이 형성된 회동형 롤러 스탠드를 포함하여 롤러 스탠드의 회동에 따라 롤러의 교체공간을 확보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봉은 상기 회동형 롤러 스탠드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여 설비 프레임의 양측에 장착된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회전봉의 일단에 상기 구동수단이 연계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에 구비된 회전봉이 연결되고 설비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된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봉이 연계되는 웜휠과 상기 웜휠과 맞물리고 기어박스 외부의 조작핸들 또는 모터로 회전 조작되는 웜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은, 운송 설비의 벨트 경사구간에 배치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에 구비된 회동형 롤러 스탠드에는 롤러의 축부가 안착 구동되는 롤러의 축 안착홈을 포함하여, 상기 롤러는 스탠드에서 분리 교체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는, 리턴 벨트가 안착 지지되면서 이송되는 폴리형 리턴롤러로 제공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 벨트를 지지 이송하는 롤러 들이 장착된 스탠드를, 필요시 간단한 조작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일측 롤러는 상승되어 벨트를 들어 올리면서 롤 교체의 공간 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타측 롤러는 하강하여, 특히 작은 수작업 만으로도 신속하고 안정적인 롤러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전제하에, 롤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 장치는 운송 설비인 벨트 컨베이어에서 특히, 벨트 상승 구간의 최상단에서 배치되어 벨트와의 마모가 심한 롤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결국 벨트 컨베이어의 보수 유지성 및 가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존에 비하여 작업상 위험한 여러 장비들을 필요하지 않게 하면서 핸들 조작의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롤러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리크레이머에서의 벨트 상승 구간에서 벨트와의 마모가 심한 벨트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 마모된 롤러의 교체 작업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교체가 용이한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 구성도
도 5는 도 3에서 롤러를 제거한 상태를 본 발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에서 위치 가변형 롤러 스탠드 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운송 설비는,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 설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운송 설비(10)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기본적으로 운송물 예를 들어, 제철소의 석탄이나 철광석 등을 운송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가 연속적으로 지지되면서 이송되도록 회전 구동되는 설비측에 제공되는 벨트 이송용 롤러들을 포함한다.
다만, 이하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리크레이머(100)와 연계된 벨트 컨베이어(120)와 마찬가지로, 벨트의 경사 이송구간(T)에서 최상부에 위치하고, 따라서 벨트 하중이 최대로 인가되는 위치에서의 롤러(7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한 장치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 롤러 장치는, 벨트(12)의 이송 구간의 환경(예컨대, 도 1의 벨트의 경사 이송구간(T))에 상관없이 벨트 직선 이송 구간에 배치되어도 사용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다만, 벨트의 경사 이송구간인 경우 최상단에 배치된 롤러(70)가 벨트의 하중이 가장 많이 인가되는 부분이므로, 이부분의 롤러 교체가 가장 빈번하므로, 본 발명 롤러 장치를 일 실시예로 적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롤러 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실제 캐리어 롤러(126)의 경우 여러 개가 조합되어 중앙이 오목한 형태로 제공되므로, 캐리어 벨트(128)의 중앙에 운송물이 낙하되지 않고 이송되도록 하므로, 본 발명 롤러 장치는 직선의 일체로 된 폴리형 롤러(70)로 제공되고, 이와 같은 폴리형 롤러(70)는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리턴 롤러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의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벨트(12)는 리턴 벨트일 수 있고, 롤러(70)는 리턴 롤러일 수 있다. 동시에, 이하의 본 실시예에서는 운송 설비(10)를 벨트 컨베이어(10)로 설명한다.
이에,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설비의 롤러장치(1)는, 운송 설비인 벨트 컨베이어컨(10)에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구동수단(50)(예를 들어, 조작수단일 수 있다)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30) 및, 상기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30)상에 제공되고 운송 설비의 벨트(12)가 지지 이송되는 롤러(70)를 포함하여 롤러 교체를 용이토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의 도 6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의 롤러 장치(1)는, 실질적으로 벨트(12)의 이송을 지지하되, 특히 벨트의 경사구간(도 1의 'T'구간)에서 벨트의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위치에 제공되는 롤러(70)를 한쌍으로 조립되는 롤러 스탠드수단을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30)로 제공하여 롤러(70)의 교체시, 도 6과 같이 교체 대상의 롤러(70)가 회동하여 정상적인 라인의 롤러와 롤러교체공간(D)을 형성하여, 벨트를 들어 올리는 기존의 번거로운 작업없이 롤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 도 3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롤러(70)들의 위치를 가변시키어 벨트 하부에서의 롤러교체공간을 확보 가능도록 하는 본 발명의 상기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30)은, 벨트 컨베이어의 설비 프레임(14)에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구동수단(50)(조작수단일 수 있다)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회전봉(32) 및, 상기 회전봉(32)에 설치되고 롤러(70)가 적어도 2 이상 장착되는 회동형 롤러 스탠드(34)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회전봉(32)이 구동수단(50)의 작동으로 좌우로 회동되는 각도 만큼, 상기 회전봉(32)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양측의 회동형 롤러 스탠드(34)도 일체로 회동되고, 결국 회동형 롤러 스탠드(34)의 회전방향이나 회전각도에 따라 벨트(12)의 하부에서의 롤러 교체공간(D)이 적당하게 제공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회동형 롤러 스탠드(34)에는 상단부에 각각 롤러(70)들의 축부(72)가 안착되어 회전 구동되는 롤러축 안착홈(36)들이 제공되어 있어, 실제 벨트 하부에서 롤러교체공간(D)이 확보되면, 롤러의 스탠드 이탈과 재 교체는 어렵지 않다.
또한, 하나의 회동형 롤러 스탠드(34)에 2개의 롤러축 안착홈(36)이 제공되고, 따라서 양측 롤러 스탠드 사이에 각각 축부가 안착홈에 안착된 한쌍의 롤러(70)중, 도 6과 같이, 회동형 롤러 스탠드(34)의 회동시 즉, 회전봉(32)을 축으로 회동하는 경우, 하강하는 롤러 반대측의 롤러(70)는 상승하면서 벨트를 강제로 들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상승하는 롤러(70)는 벨트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지지체 역할을 하면서, 교체 대상의 롤러의 하강위치에서 벨트 사이에는 더 확장된 롤러교체공간(D)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봉(32)은 상기 회동형 롤러 스탠드(34)를 관통 고정되되, 바람직하게는 스탠드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그리고 벨트 컨베이어의 설비 프레임(14)의 양측에 수직 장착된 지지판(16)에 베어링(미부호)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그 일단은 신장되어 구동수단(50)에 연계된다.
따라서, 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봉(32)과 일체로 롤러 스탠드(34)는 도 6과 같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회전봉과 롤러 스탠드는 견고하게 용접 등으로 접합 결합되는 것이 롤러 하중을 감안할때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회전봉(32)과 일체로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30)의 롤러 스탠드(34)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구동수단(50)은, 상기 회전봉(32)이 연결되고 벨트 컨베이어인 설비 프레임(14)의 일측에 장착된 기어박스(52); 및, 상기 기어박스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봉(32)의 일단이 연결되는 웜휠(54)과 상기 웜휠과 맞물리고 기어박스 외부의 핸들(58) 또는 모터(미도시)로 회전 조작되는 웜기어(5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52)는 설비 프레임(14)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판(16)에 설치된 브라켓트(52a)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회전봉(32)은 도 4와 같이, 지지판(16)과 기어박스(52)의 후면의 베어링(미부호)들에 조립되고, 회전봉(32)의 타단은 반대측 지지판에 베어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구동수단(50)의 조작핸들(58)을 돌리면, 조작핸들(58)의 조작봉(58a)이 연결된 웜기어(56)가 기어박스(52)내부에서 회전하고, 이에 맞물린 웜휠(54)과 일체로 회전봉(32)은 핸들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만큼 회전되고, 동시에 일체로 회동형 롤러 스탠드(34)가 도 6과 같이 회전봉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에 따라 롤러 교체공간이 확보되는 것이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본 발명 롤러 장치(1)의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30)은,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경사구간 예를 들어, 도 1의 'T구간'에 서 최상단 롤러들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핸들(58)이 기어박스의 외부에 연계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조작핸들 대신에 모터를 연결하여 그 구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서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조작핸들(58)의 경우 본 발명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조작핸들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 예를 들어, 조작핸들의 회전을 방지하는 와이어, 기어박스에 제공되어 웜휠의 회전을 차단하는 스톱퍼 등이 제공될 수 있다.
1....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 10.... 운송 설비
12.... 벨트 14.... 설비 프레임
16.... 지지판 30....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
32.... 회전봉 34.... 회동형 롤러 스탠드
50..... 구동수단(조작수단) 52.... 기어박스
54.... 웜휠 56.... 웜기어
58.... 핸들(모터) 70.... 롤러
D.... 롤러교체공간

Claims (7)

  1. 삭제
  2. 운송 설비(10)에 구동수단(5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30); 및,
    상기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30) 상에 제공되고 운송 설비의 벨트(12)가 지지 이송되는 롤러(70);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30)은,
    구동수단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회전봉(32); 및,
    상기 회전봉(32)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봉(32)과 결합하고, 회전에 의해 하강하는 롤러(70)와 벨트(12) 사이에 롤러의 교체공간(D)이 확보되도록, 벨트(12) 이송방향으로 적어도 2이상의 롤러가 안착되도록 롤러축 안착홈(36)이 형성된 회동형 롤러 스탠드(34);
    를 포함하여 롤러 스탠드의 회동에 따라 롤러의 교체공간을 확보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32)은 상기 회동형 롤러 스탠드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여 설비 프레임(14)의 양측에 장착된 지지판(16)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회전봉의 일단에 상기 구동수단(50)이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30)에 구비된 회전봉(32)이 연결되고 설비 프레임(14)의 일측에 장착된 기어박스(52); 및,
    상기 기어박스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봉이 연계되는 웜휠(54)과 상기 웜휠과 맞물리고 기어박스 외부의 조작핸들(58) 또는 모터로 회전 조작되는 웜기어(56);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스탠드에서 분리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70)는, 리턴 벨트가 안착 지지되면서 이송되는 폴리형 리턴롤러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형 롤러 스탠드수단(30)은, 운송 설비의 벨트 경사구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
KR1020110118612A 2011-11-15 2011-11-15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 KR101417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612A KR101417215B1 (ko) 2011-11-15 2011-11-15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612A KR101417215B1 (ko) 2011-11-15 2011-11-15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087A KR20130053087A (ko) 2013-05-23
KR101417215B1 true KR101417215B1 (ko) 2014-07-09

Family

ID=4866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612A KR101417215B1 (ko) 2011-11-15 2011-11-15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6139A (zh) * 2019-09-06 2019-11-12 上海双彩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滚筒轴承座安装结构及伸缩式输送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8527A (en) * 1980-09-25 1982-04-08 Nissan Motor Co Ltd Searching eye device for car
JPH09278150A (ja) * 1996-04-12 1997-10-28 Sumitomo Metal Ind Ltd 搬送用ベルトコンベアのリターンローラ支持ブラケット
KR100784769B1 (ko) 2007-06-27 2007-12-14 주식회사 광양기업 벨트 컨베이어용 리턴롤러 교환장치
KR100847031B1 (ko) 2006-12-08 2008-07-17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리턴 롤러 지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8527A (en) * 1980-09-25 1982-04-08 Nissan Motor Co Ltd Searching eye device for car
JPH09278150A (ja) * 1996-04-12 1997-10-28 Sumitomo Metal Ind Ltd 搬送用ベルトコンベアのリターンローラ支持ブラケット
KR100847031B1 (ko) 2006-12-08 2008-07-17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리턴 롤러 지지 장치
KR100784769B1 (ko) 2007-06-27 2007-12-14 주식회사 광양기업 벨트 컨베이어용 리턴롤러 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087A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750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0732459B1 (ko) 컨베이어 벨트 주행 자동 조절장치
CN110697397A (zh) 一种可双向转移物料的输送线
KR101417215B1 (ko) 운송 설비의 롤러 장치
KR101121563B1 (ko) 트리퍼카 밀림 방지 장치
CN104512737A (zh) 板式给料机倾斜调整机构
KR100918696B1 (ko)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클리너 조절 장치
JP5371516B2 (ja) 積付・払出し装置
KR101320660B1 (ko) 회전슈트
KR101175788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20110114999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20020018857A (ko) 가역벨트컨베이어용 벨트면의 에지부 승강 장치
KR101253848B1 (ko) 컨베이어 샤틀 설비
KR20120014403A (ko) 벨트 사행 방지형 컨베이어 장치
KR101455101B1 (ko) 벨트 컨베이어
KR200462268Y1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20090030288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13004603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KR100758456B1 (ko) 양방향 조정이 가능한 컨베이어설비의 사행조정장치
KR101223111B1 (ko) 벨트콘베이어의 운송물 낙하 방지 장치
KR101277837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281239B1 (ko) 운송물 낙하 방지장치
CN213677556U (zh) 用于储物箱回收的装置
KR101388010B1 (ko) 벨트컨베이어용 롤러 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