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300B1 -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6300B1 KR100986300B1 KR1020100006623A KR20100006623A KR100986300B1 KR 100986300 B1 KR100986300 B1 KR 100986300B1 KR 1020100006623 A KR1020100006623 A KR 1020100006623A KR 20100006623 A KR20100006623 A KR 20100006623A KR 100986300 B1 KR100986300 B1 KR 1009863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ex
- concrete
- plate
- buffer member
- exten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수판과 완충재의 설치가 용이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설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은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지수부재와, 상기 지수부의 양측으로부터 콘크리트의 신축 변형이 가능하도록 콘크리트의 사이에 형성되며 신축성을 갖는 완충부재와,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재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은 지수판에 대한 완충부의 체결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거푸집의 시공시간이 단축되어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은 지수판에 대한 완충부의 체결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거푸집의 시공시간이 단축되어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수판과 완충재의 설치가 용이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설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로나 옹벽 등과 같이 길게 구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계절변화에 따른 신축현상이 일어나게 되며, 상기 신축현상에 대응하여 완충기능을 위한 완충부를 일정한 간격마다 시공하고 있다.
다시 설명하면 일정한 간격마다 신축에 대한 완충역할이 가능한 완충부를 구성하되, 상기 완충부를 통하여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구성된 지수판을 설치하여 완충부가 구성되게 하고 있다.
종래 시공되고 있는 완충부는 수로나 옹벽설치를 위한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되, 완충부가 설치되는 부분에 지수판을 설치하고, 상기 지수판의 좌우측에 합성고무로된 완충고무편을 고정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졌다.
상기 콘크리트 몰탈 타설시 지수판의 양측에 구성되는 완충고무편의 고정수단이 없기때문에 못으로 고정하고 있다. 다시 설명하면 완충고무편을 지수판에 고정하기 위하여 일측 완충고무편을 지수판의 중앙에 구성된 타원형 중공체 일측에 위치시킨 다음 타원형 중공체의 타측에서 못을 박아 못이 타원형 중공체를 관통하여 일측에 위치한 완충고무편에 박혀지게 함으로써 일측 완충고무편이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나서 타원형 중공체의 타측에 또 다른 완충고무편을 위치시킨 다음 거푸집 바깥쪽에서 못을 박아 완충고무편이 지수판의 타원형 중공체 양측부에 고정되게 한 다음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게 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정한 간격마다 지수판과 완충고무편이 형성된 완충부가 구성되게 하므로서 계절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시 지수판과 완충고무편이 이를 흡수하여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수판을 통해 완충부의 설치에 따른 누수현상을 차단케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지수판과 완충부는 지수판에 대한 완충부의 설치가 쉽지 않아 거푸집 시공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며, 완충고무편의 위치가 틀어질 우려가 높아 콘크리트 양생 후에 완충부에 의한 완충효과가 경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지수판과 완충부재의 체결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은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대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차수판을 포함하는 지수부재와, 콘크리트의 신축 변형시 이 변형량에 대응하여 신축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으며 상기 지수부재로부터 상기 차수판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수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나란하게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완충부재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완충부재의 두께에 대응하게 이격된 두 개의 연장판을 구비하고 상기 완충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연장판의 접촉면에 완충부재를 향해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완충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으로 소정 깊이 삽입되어 있는 삽입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수부재의 연장판과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의 결합력을 증진시키는 보조캡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완충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수부재를 향해 노출된 일측면에는 상기 소정 폭의 끼움홀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체결부재와, 상기 지수부재의 측면으로부터 거푸집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되며 상기 끼움홀의 폭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연장부와 연결되는 후단은 상기 연장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크고 전단으로 향해 연장될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걸릴 수 있게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는 끼움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수부재로부터 상기 완충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돌출된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에 접촉된 상기 완충부재를 관통하여 연장됨으로서 상기 연장판과 완충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연장판은 완충부재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어 연장되는 제1, 제2 연장판으로 되고, 고정핀은 상기 제1, 제2 연장판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제2 관통홀과, 상기 제1, 제2 관통홀과 대응하도록 상기 완충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을 관통하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완충부재를 상기 지수판에 체결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제2 관통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은 후단면의 직경이 상기 제1 관통홀의 직경에 대응하며 전방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탄성변형이 가능한 삽입체결부와, 상기 삽입체결부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의 직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통로드와, 상기 원통로드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홀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체결부가 제2 관통홀을 관통해 체결될 때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되는 후방체결부와, 후방체결부의 후단에 상기 제1 관통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가 접착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마련되는 접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착부는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 중 어느 한쪽에 도포되는 접착제 또는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 중 어느 한쪽에 부착되는 양면테이프로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은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로부터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차수판을 포함하는 지수부재와, 상기 지수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차수판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의 신축 변형시 변형량에 대응하여 신축이 이루어지는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고, 양 측면이 거푸집에 고정되어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또는 거푸집에 고정되고 상기 완충부재가 끼워질 수 있는 형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거푸집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형고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의 중공으로 콘크리트 몰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신축부의 단부에 체결되는 신축부커버를 더 구비하거나, 상기 신축부의 중공에 삽입되며, 신축성을 갖는 보조 신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몰탈을 충진하기 위한 거푸집을 시공하는 거푸집 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을 장착하는 지수판유닛 장착단계와, 상기 커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고 양생하는 몰탈 타설 및 양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수판유닛 장착단계는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대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차수판을 포함하는 지수부재를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하는 지수부재 설치과정과, 콘크리트의 신축 변형시 이 변형량에 대응하여 신축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으며 상기 지수부재로부터 상기 차수판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완충부재를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지수부재의 일측에 결합시키는 완충부재 설치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수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나란하게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완충부재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완충부재의 두께에 대응하게 이격된 두 개의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으로부터 완충부재를 향해 돌출되어 완충부재를 상기 지수부재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은 지수판에 대한 완충부의 체결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거푸집의 시공시간이 단축되어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완충부재에 결합되는 보조캡부재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을 거푸집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형고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와 부분발췌 사시도,
도 10은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을 거푸집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플레이트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1은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신축부커버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3은 보조신축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을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14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5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완충부재에 결합되는 보조캡부재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을 거푸집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형고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와 부분발췌 사시도,
도 10은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을 거푸집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플레이트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1은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신축부커버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3은 보조신축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을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14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5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이하 '지수판유닛'이라 함)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지수판유닛(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지수판유닛(100)은 콘크리트(2) 구조물의 제작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1)에 장착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2)의 신축변형에 의한 구조물의 파손 발생을 방지한다.
지수판유닛(100)은 거푸집(1)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수부재(10)와, 지수부재(10)에 체결되어 콘크리트(2)의 신축변형시 이 변형량에 대응하도록 신축 변형이 이루어지는 완충부재(20)와, 지수부재(10)와 완충부재(20)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110)을 포함한다.
지수부재(1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중공부(12)가 마련된 신축부(11)와, 신축부(11)의 양단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차수판(13)을 포함한다.
신축부(11)는 소정의 신축변형이 가능하도록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태에서 콘크리트(2)가 수축 또는 팽창할 때, 상기 신축부(11)에서 수축 또는 팽창된 변형량에 대응하여 신축 변형이 이루어져 지수부재(10)가 파손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차수판(1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있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요철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철부(14)는 차수판(13)의 강도 보강 및 콘크리트(2)와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완충부재(20)는 지수부재(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지수부재(10)와 연결되며,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완충부재(20)는 콘크리트(2)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계절 변화 등 여러 이유로 콘크리트(2)가 수축 및 팽창할 때, 수축 또는 팽창되는 콘크리트(2)의 변형량을 흡수하여 콘크리트(2)에 균열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지수부재(10)는 완충부재(20)의 설치에 따라 형성되는 콘크리트(2)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물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결합수단(110)은 지수부재(10)에 완충부재(2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결합수단(110)은 지수부재(10)에 형성된 연장판(111)과, 연장판(111)에 마련된 고정돌기(112)를 포함한다.
연장판(111)은 신축부(11)로부터 완충부재(20)의 설치방향을 따라 즉, 차수판(13)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지수부재(10)의 양측면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판(111)들의 사이에 상기 완충부재(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판(111)들의 이격거리는 완충부재(20)의 두께에 대응한다.
상기 고정돌기(112)는 연장판(111)들이 상호 마주보는 면 즉, 상기 완충부재(20)와의 접촉면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완충부재(20)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완충부재(20)를 연장판(111)의 사이에 삽입하면 완충부재(20)가 상술한 것처럼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돌기(112)와 접촉되는 부분의 형상이 변형되며 고정돌기(112)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지수부재(10)에 대한 완충부재(20)의 고정력이 향상되어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는 과정에서 완충부재(20)가 지수부재(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U자형의 하수로관을 형성하기 위해 지수판유닛(100)이 사용되는 것이므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수부재(10)와 완충부재(20)를 지지하기 위해 보조지지구(5)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에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캡부재(120)가 더 구비되어 있는 지수판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보조캡부재(120)는 완충부재(20)의 단부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데, 완충부재(20)가 콘크리트의 신축변형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는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연장판(111)과 고정돌기(112)에 직접 끼워지는 경우에는 고정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쉽게 분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20)와 지수부재(10)를 직접 결합해서는 충분한 결합력을 갖지 못하는 경우에는 도시된 것처럼 경질의 보조캡부재(120)를 완충부재(20)에 접착시킴으로써 결합상태가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돌기(112)가 보조캡부재(120)의 단부에 걸려 완충부재(20)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이 이루어지는데, 이와는 달리 보조캡부재(120)의 측면에 상기 고정돌기(112)가 기워질 수 있는 끼움홈이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보조캡부재(120)와 완충부재(20)의 고정은 본 실시예와 같은 접착제 외에도 양면테이프, 고정핀 등 다양한 체결수단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도 4에는 지수판유닛(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지수판유닛(200)은 결합수단(210)이 완충부재(20)에 장착되는 체결부재(211)와, 지수부재(10)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부재(221)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재(211)는 지수부재(10) 측과 연결되는 완충부재(20)의 단부에 장착되는데, 완충부재(20)의 일단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지수부재(10)를 향해 노출된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끼움홀(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부재(221)는 신축부(11)의 측면으로부터 완충부재(20)의 연장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신축부(1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22)와, 연장부(222)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223)를 포함한다.
연장부(222)는 상기 체결부재(211)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폭은 상기 끼움홀(212)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23)는 연장부(222)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연장부(222)와 연결되는 후단부는 연장부(222)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전단부를 향해 진행할 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223)도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끼움홀(212)을 통해 삽입부(223)를 체결부재(211)의 내측으로 밀어넣으면 삽입부(223)가 탄성변형되면서 끼움홀(212)을 통과해 체결부재(211)의 내측으로 진입하게 되며, 완충부재(20)는 삽입부(223)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신축 변형된다.
삽입부(223)가 체결부재(211)의 내측으로 진입하게 되면 초기 상태로 복귀되면서 삽입부(223)의 후단이 끼움홀(212)의 양측으로 벌어져 걸리게 됨으로써 삽입부(223)가 체결부재(211)에 고정된다.
상기 완충부재(20)에 대한 체결부재(211)의 장착은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피스(213)를 이용해 체결할 수도 있고, 이 외에도 다양한 부재들을 이용해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부재(20)에 체결부재(211)가 장착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끼움부재(221)가 끼워지는 홈이 완충부재(20)의 단부에 직접 성형되어 체결부재(211)와 같은 별도의 부재가 없어도 끼움부재(221)가 완충부재(20)에 직접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지수판유닛(30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지수판유닛(300)은 결합수단(310)이 지수부재(10)로부터 돌출형성된 제1, 제2 연장판(311,312)과, 제1, 제2 연장판(311,312)과 완충부재(20)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핀(321)을 포함한다.
제1, 제2 연장판(311,312)은 거푸집(1)을 향해 돌출되게 지수부재(10)의 일측과 타측에 모두 형성되어 있는데, 제1, 제2 연장판(311,312)의 이격거리는 완충부재(20)의 두께에 대응한다. 그리고 제1, 제2 연장판(311,312)은 지수부재(10)의 운반 및 보관의 용이성을 위해 신축부(11)의 외주면을 향해 접철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제2 연장판(311,312)에는 각각 제1, 제2 관통홀(313,314)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제2 관통홀(313,314)의 형성위치와 대응하도록 완충부재(20)에는 결합홀(31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홀(313)의 직경(h1)은 제2 관통홀(314)의 직경(h2)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금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홀(315)의 직경은 제2 관통홀(314)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핀(321)은 제1 연장판(311)측으로부터 제1 관통홀(313)과 결합홀(315), 제2 관통홀(314)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삽입됨으로써 완충부재(20)를 지수부재(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고정핀(321)은 후단의 직경이 제1 관통홀(313)의 직경에 대응하며 전방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원추형의 삽입체결부(322)와, 삽입체결부(322)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2 관통홀(314)의 직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통로드(323)와, 원통로드(323)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관통홀(313)의 직경에 대응하는 후방체결부(324)와, 후방체결부(324)의 후단에 형성되며 제1 관통홀(313)보다 직경이 큰 스토퍼(325)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체결부(322)는 형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결합홀(315)과 제2 관통홀(314)을 통과해 제2 연장판(31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후단의 직경이 제2 관통홀(314)보다 크기 때문에 삽입된 후에는 인출이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원통로드(323)는 결합홀(315)을 통과해 제2 관통홀(314)에 끼워지게 되며, 후방체결부(324)도 상기 제1 관통홀(313)을 폐쇄하도록 제1 관통홀(313)에 끼워진다. 아울러 스토퍼(325)가 제1 연장판(311)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핀(321)이 완충부재(20)를 제1, 제2 연장판(311,312)의 사이에 고정시키면서 제1, 제2 연장판(311,312)이 구속된다.
고정핀(321)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리벳 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지수판유닛(400)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결합수단(410)은 완충부재(20)의 폭에 대응하도록 이격된 제3, 제4 연장판(411,412)과, 제3, 제4 연장판(411,412)의 내주면으로부터 상호 마주보는 면을 향해 돌출된 삽입돌기(413)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재(20)에는 삽입돌기(413)에 대응하는 삽입홈(421)이 형성되어 있어서, 완충부재(20)의 하단을 지수부재(1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삽입돌기(413)가 삽입홈(421)에 끼워지도록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거푸집(1)의 내측 하단에 완충부재(2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형고정부재(3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형고정부재(30)는 완충부재(20)가 삽입될 수 있게 전면으로부터 인입되어 있는 형고정홈(31)이 마련되어 있는데, 형고정홈(31)의 폭이 완충부재(20)의 폭과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형고정부재(30)를 거푸집(1)에 못을 이용해 고정시킨 다음 형고정홈(31)에 지수부재(10)와 결합되어 있는 완충부재(20)를 삽입시키면, 지수판유닛(200)이 거푸집(1)의 내부에서 콘크리트(2)가 타설되기 전에 수직상으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10에는 지수판유닛(100)을 거푸집(1)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플레이트(40)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플레이트(40)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며 지수부재(10)와 완충부재(20)의 형상에 대응하는 고정홀(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수판유닛(100)이 지지플레이트(40)에 끼워진 상태로 가장자리가 거푸집(1)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40)에 의해 지수판유닛(200)의 위치와 장착상태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수판유닛(200)에 두 개의 지지플레이트(40)가 상하로 이격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지지플레이트(40)의 설치 갯수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지수부재(10)와 완충부재(20)는 모두 그 형태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동일번호를 부여하였으며, 지수부재(10)의 신축부(11)재는 도시된 실시예의 타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는 지수판유닛(500)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지수판유닛(500)은 지수부재(510)와 완충부재(5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지수부재(510)와 완충부재(520)를 별도로 체결할 필요가 없도록 되어 있다.
지수부재(510)는 신축부(511)와 차수판(512)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지수부재(510)의 구조 및 기능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완충부재(520) 역시 지수부재(510)와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그 형태와 기능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지수판유닛(500)은 고정홀(551)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플레이트(550)를 관통하고, 지지플레이트(550)가 못과 같은 체결구를 통해 거푸집과 고정됨으로써 거푸집 내에 고정 결합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지지플레이트(550)는 이분할 되어 있고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553)에 체결핀(552)을 삽입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지지플레이트(550)가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지수판유닛(500)에 더욱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지지플레이트(550)도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신축부(511)의 중공(513)으로 콘크리트 몰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신축부커버(530) 또는 보조신축부재(540)를 구비하는 지수판유닛(5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신축부(51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중공(513)을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신축부커버(530)를 체결시킴으로써 중공(513)으로 콘크리트 몰탈이 유입되어 신축부(511)의 신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중공으로 콘크리트 몰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중공에 보조신축부재(54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지수판유닛(5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수부재(510)의 중공으로 스폰지와 같이 가볍고 신축성이 뛰어난 재질의 보조신축부재(540)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보조신축부재(540)를 성형하기 위한 합성수지를 충진시켜 지수부재(511)를 압출할 수 있다.
도 14에는 지수판유닛(600)의 제6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지수판유닛(600)은 지수부재(10)와 완충부재(20)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610)으로써 보조연결구(611)가 더 구비되어 있다.
보조연결구(611)는 일측에 지수부재(10)로부터 돌출된 연장판(6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공간의 형상도 연장판(612)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보조연결구(611)가 연장판(612)에 끼움결합된다.
상기 보조연결구(611)는 지수부재(10)나 완충부재(20)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으로, 연질의 지수부재(10)와 완충부재(20)가 직접 결합되는 경우 충분한 결합력을 얻지 못하고 완충부재(20)가 지수부재(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완충부재(20)의 측면에 위치하여 지수판유닛(600)들 사이의 이격 거리가 적정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는 스페이서가 상기 보조결합구(61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지수판유닛(700)의 제7 실시예인데, 본 실시예의 지수판유닛(700)은 결합수단으로써 양면테이프(710)가 적용되었다.
도시된 것처럼 지수부재(10)의 양측면에는 완충부재가 접착될 수 있는 접착면(15)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완충부재(20)의 단부에는 양면테이프(710)가 부착되어 있는데, 접착부(711)의 일측은 완충부재(20)에 접착되어 있고, 타측에는 커버시트(712)가 부착되어 있다. 이 커버시트(712)를 제거한 다음 완충부재(20)를 지수부재(10)에 부착하면 양면테이프(710)의 접착력에 의해 지수부재(10)와 완충부재(20)를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도 16에도 접착력을 통해 완충부재(20)를 지수부재(10)에 접착시키는 지수판유닛(800)의 제8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지수부재(10)는 신축부(11)와 차수판(13)의 경계부분에서 차수판(13)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돌출된 부착판(16)이 마련되어 있다.
완충부재(20)는 이 부착판(16)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접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면테이프(810)가 부착되어 있는데, 양면테이프(810)는 완충부재(20)에 일측면이 접착되어 있는 접착부(811)와, 이 접착부(811)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커버시트(812)를 구비한다.
커버시트(812)는 접착부(811)에 접착된 제1 시트부재(813)와, 제1 시트부재(813)의 하단과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시트부재(814)를 포함하는데, 제2 시트부재(814)는 제1 시트부재(813)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커버시트(812)가 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제1, 제2 시트부재(813,814)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2 시트부재(814)의 상단을 파지하고 이를 상방으로 인출하게 되면, 제1 시트부재(813)가 제2 시트부재(814)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는 하단부부터 접착부(811)와 분리되며, 커버시트(812)가 제거된 접착부(811)는 부착판(16)에 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결합수단으로써 적용된 양면테이프(810)는 완충부재(20)가 부착판(16)에 부착되는 부착위치를 정한 상태에서 커버시트(812)를 제거하여 부착이 완료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완충부재(20)를 용이하게 지수부재(10)에 부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을 통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제일 첫번째 단계는 거푸집 설치단계이다.
콘크리트 몰탈을 충진 및 양생시키기 위한 거푸집을 구조물의 시공 지점에 장착한다.
거푸집의 장착이 완료되면 다음 단계로 거푸집을 통해 형성된 몰탈 충진공간에 지수판유닛을 설치한다.
지수판유닛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지수부재와 완충부재를 포함하는데, 먼저 거푸집의 사이로 차수가 가능하도록 지수부재를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의 신축변형량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지수부재에 결합시킨다.
지수부재는 중공부를 갖는 신축부와 신축부로부터 연장되는 차수판이 마련되어 있고, 결합수단은 상기 신축부로부터 거푸집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두 개의 연장판과, 이 연장판의 내측에 완충부재를 향해 끼워지는 고정돌기를 포함한다.
완충부재는 연장판의 사이로 삽입된 후 고정돌기가 완충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이 설치되고 나면 콘크리트 몰탈을 거푸집에 타설하고, 이를 소정시간 양생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을 얻는다.
본 설명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제1 실시예를 거푸집의 내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단계는 이와는 달리 상술한 제2 내지 제8 실시예의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이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술한 지지플레이트 또는 형고정부재를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의 장착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거푸집
2; 콘크리트
100,200,300,400,500,600,700,800;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10; 지수부재
11; 신축부 12; 중공부 13; 차수판
20; 완충부재
110,210,310,410,510,610,710,810; 결합수단
2; 콘크리트
100,200,300,400,500,600,700,800;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10; 지수부재
11; 신축부 12; 중공부 13; 차수판
20; 완충부재
110,210,310,410,510,610,710,810; 결합수단
Claims (15)
- 삭제
-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대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차수판을 포함하는 지수부재와;
콘크리트의 신축 변형시 상기 콘크리트의 변형량에 대응하여 신축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으며 상기 지수부재로부터 상기 차수판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수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나란하게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완충부재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완충부재의 두께에 대응하게 이격된 두 개의 연장판을 구비하되, 상기 연장판들은 상기 연장판들의 사이로 끼워지는 완충부재를 파지할 수 있게 상기 완충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완충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연장판의 접촉면에 완충부재를 향해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완충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으로 소정 깊이 삽입되어 있는 삽입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수부재의 연장판과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의 결합력을 증진시키는 보조캡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대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차수판을 포함하는 지수부재와;
콘크리트의 신축 변형시 상기 콘크리트의 변형량에 대응하여 신축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으며 상기 지수부재로부터 상기 차수판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완충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수부재를 향해 노출된 일측면에는 소정 폭의 끼움홀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체결부재와,
상기 지수부재의 측면으로부터 거푸집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되며 상기 끼움홀의 폭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연장부와 연결되는 후단은 상기 연장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크고 전단으로 향해 연장될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걸릴 수 있게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는 끼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대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차수판을 포함하는 지수부재와;
콘크리트의 신축 변형시 상기 콘크리트의 변형량에 대응하여 신축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으며 상기 지수부재로부터 상기 차수판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수부재로부터 상기 완충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돌출된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에 접촉된 상기 완충부재를 관통하여 연장됨으로서 상기 연장판과 완충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대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차수판을 포함하는 지수부재와;
콘크리트의 신축 변형시 상기 콘크리트의 변형량에 대응하여 신축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으며 상기 지수부재로부터 상기 차수판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수부재로부터 상기 완충부재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어 연장되는 제1, 제2 연장판과,
상기 제1, 제2 연장판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제2 관통홀과, 상기 제1, 제2 관통홀과 대응하도록 상기 완충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을 관통하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완충부재를 상기 지수부재에 체결하는 고정핀을 구비하되,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제2 관통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은 후단면의 직경이 상기 제1 관통홀의 직경에 대응하며 전방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탄성변형이 가능한 삽입체결부와, 상기 삽입체결부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의 직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통로드와, 상기 원통로드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홀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체결부가 제2 관통홀을 관통해 체결될 때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되는 후방체결부와, 후방체결부의 후단에 상기 제1 관통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대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차수판을 포함하는 지수부재와;
콘크리트의 신축 변형시 상기 콘크리트의 변형량에 대응하여 신축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으며 상기 지수부재로부터 상기 차수판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가 접착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마련되는 접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착부는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 중 어느 한쪽에 도포되는 접착제 또는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 중 어느 한쪽에 부착되는 양면테이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 삭제
- 제 2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고, 양 측면이 거푸집에 고정되어 상기 지수부재와 완충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 제 2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푸집에 고정되고 상기 완충부재가 끼워질 수 있는 형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거푸집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형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 제 2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의 중공으로 콘크리트 몰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신축부의 단부에 체결되는 신축부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 제 2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의 중공으로 콘크리트 몰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신축부의 중공에 삽입되며, 신축성을 갖는 보조 신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6623A KR100986300B1 (ko) | 2010-01-25 | 2010-01-25 |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6623A KR100986300B1 (ko) | 2010-01-25 | 2010-01-25 |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86300B1 true KR100986300B1 (ko) | 2010-10-07 |
Family
ID=4313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6623A KR100986300B1 (ko) | 2010-01-25 | 2010-01-25 |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6300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87421A (zh) * | 2012-03-12 | 2012-07-18 |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地下室后浇带超前止水隔离结构 |
CN102839689A (zh) * | 2012-09-04 | 2012-12-26 |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 水闸底部深覆盖层基础防渗墙顶大变形止水及施工方法 |
CN103233520A (zh) * | 2013-01-21 | 2013-08-07 | 高行友 | 一种建筑外墙结构自防水系统及其施工方法 |
KR101372749B1 (ko) * | 2013-07-15 | 2014-03-11 | (주)대한콜크 | 복합 구조의 다성능 기능 지수판 |
CN103696446A (zh) * | 2013-12-30 | 2014-04-02 | 上海市隧道工程轨道交通设计研究院 | 轨道交通地下车站与出入口通道接头处的施工方法 |
KR101549418B1 (ko) * | 2015-03-04 | 2015-09-02 | (유)이지스건설 | 쐐기 형상의 지수판 및 이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매립형 신축이음매 거푸집 |
CN110359486A (zh) * | 2019-07-05 | 2019-10-22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一种管廊施工缝处环向止水带固定装置及其施工方法 |
KR102086110B1 (ko) | 2019-04-05 | 2020-03-06 | (주)에코이노텍 | 지수판 일체형 프리캐스트 구조물 |
KR20200117839A (ko) | 2020-01-15 | 2020-10-14 | (주)에코이노텍 | 지수판 일체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 시공방법 |
CN115059191A (zh) * | 2022-05-23 | 2022-09-16 | 无锡康城七恒零碳建筑科技有限公司 | 一种七恒被动式pu外保温保护边条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2492A (ko) * | 2003-07-24 | 2003-10-22 | 우기원 | 엘리베이터용 조작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KR20040032261A (ko) * | 2002-10-08 | 2004-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고압공급장치 |
KR100482280B1 (ko) * | 2002-10-19 | 2005-04-19 |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
KR200382492Y1 (ko) * | 2005-01-25 | 2005-04-20 | 김병수 |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
KR100538920B1 (ko) * | 2003-07-16 | 2005-12-29 | 김병수 |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
KR200432261Y1 (ko) * | 2006-09-18 | 2006-11-30 | 김병수 |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부 시공장치 |
-
2010
- 2010-01-25 KR KR1020100006623A patent/KR1009863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2261A (ko) * | 2002-10-08 | 2004-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고압공급장치 |
KR100482280B1 (ko) * | 2002-10-19 | 2005-04-19 |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
KR100538920B1 (ko) * | 2003-07-16 | 2005-12-29 | 김병수 |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
KR20030082492A (ko) * | 2003-07-24 | 2003-10-22 | 우기원 | 엘리베이터용 조작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KR200382492Y1 (ko) * | 2005-01-25 | 2005-04-20 | 김병수 |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
KR200432261Y1 (ko) * | 2006-09-18 | 2006-11-30 | 김병수 |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부 시공장치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87421A (zh) * | 2012-03-12 | 2012-07-18 |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地下室后浇带超前止水隔离结构 |
CN102839689A (zh) * | 2012-09-04 | 2012-12-26 |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 水闸底部深覆盖层基础防渗墙顶大变形止水及施工方法 |
CN103233520A (zh) * | 2013-01-21 | 2013-08-07 | 高行友 | 一种建筑外墙结构自防水系统及其施工方法 |
KR101372749B1 (ko) * | 2013-07-15 | 2014-03-11 | (주)대한콜크 | 복합 구조의 다성능 기능 지수판 |
CN103696446A (zh) * | 2013-12-30 | 2014-04-02 | 上海市隧道工程轨道交通设计研究院 | 轨道交通地下车站与出入口通道接头处的施工方法 |
CN103696446B (zh) * | 2013-12-30 | 2015-11-25 | 上海市隧道工程轨道交通设计研究院 | 轨道交通地下车站与出入口通道接头处的施工方法 |
KR101549418B1 (ko) * | 2015-03-04 | 2015-09-02 | (유)이지스건설 | 쐐기 형상의 지수판 및 이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매립형 신축이음매 거푸집 |
KR102086110B1 (ko) | 2019-04-05 | 2020-03-06 | (주)에코이노텍 | 지수판 일체형 프리캐스트 구조물 |
CN110359486A (zh) * | 2019-07-05 | 2019-10-22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一种管廊施工缝处环向止水带固定装置及其施工方法 |
KR20200117839A (ko) | 2020-01-15 | 2020-10-14 | (주)에코이노텍 | 지수판 일체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 시공방법 |
CN115059191A (zh) * | 2022-05-23 | 2022-09-16 | 无锡康城七恒零碳建筑科技有限公司 | 一种七恒被动式pu外保温保护边条 |
CN115059191B (zh) * | 2022-05-23 | 2023-11-28 | 无锡康城七恒零碳建筑科技有限公司 | 一种七恒被动式pu外保温保护边条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6300B1 (ko) |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963836B1 (ko) |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 |
KR100662699B1 (ko) | 건축용 슬리브 | |
KR101368377B1 (ko) | 앵커와 배수시트의 체결을 일원화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1599811B1 (ko) | 파형강판 결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584306B1 (ko) | 조립식 암거 | |
JP4656966B2 (ja) | 地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継手構造とその施工方法 | |
KR100805842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 |
JP2009209639A (ja) | コンクリート構造物目地部の耐震補強継手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101321917B1 (ko) |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부력방지장치 | |
JP4537225B2 (ja) |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100993901B1 (ko) |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 |
KR100993674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 |
KR101032314B1 (ko) | 옹벽용 띠형 보강재 연결기구 | |
KR101500685B1 (ko) |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 | |
KR100482280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 |
KR101548170B1 (ko) | 내진완충용 패드가 구비된 조립식 pc암거 | |
KR100719907B1 (ko) | 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의 신축이음구조 | |
KR102247640B1 (ko) |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내진보강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마감구조체 | |
KR200304413Y1 (ko) |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 |
KR101834205B1 (ko) |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 |
KR100912438B1 (ko) | 슬라이딩 앵커가 구비된 농수로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803072B1 (ko) |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 |
KR102541093B1 (ko) | 바닥 충격음 차단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체를 이용한 바닥 충격음 차단 구조 | |
KR100538920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