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188B1 -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 Google Patents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188B1
KR100984188B1 KR1020080092993A KR20080092993A KR100984188B1 KR 100984188 B1 KR100984188 B1 KR 100984188B1 KR 1020080092993 A KR1020080092993 A KR 1020080092993A KR 20080092993 A KR20080092993 A KR 20080092993A KR 100984188 B1 KR100984188 B1 KR 100984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ase
output
shaft
in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067A (ko
Inventor
신용철
신현우
Original Assignee
신현우
신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우, 신용철 filed Critical 신현우
Priority to KR1020080092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1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는 구동륜의 허브에 고정 내접된 케이스(11)에 회전 장착되어 케이스의 양측부를 관통하는 고정축(S); 고정축에 대하여 회전 외접되며,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 내접되는 입력축(1); 입력축의 일측 부분에 고정 외접되며, 페달축의 구동에 연동되어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피동 스프로킷(P); 입력축을 사이에 두고 입력축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케이스 내에서 회전 장착된 한쌍의 종동축(2, 2'); 입력축(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입력축에 회전 결합되고, 회전반경이 외부 부하에 의해 가변가능한 한쌍의 가변 핀(P1, P2)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는 한쌍의 반력장치(3a, 4a)를 한쌍의 가변 핀과 함께 각각 수용하는 한쌍의 가변 입력링크(3, 4)를 일체화한 원통형 하우징(13); 한쌍의 종동축 각각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를 개재하여, 일단이 결합되는 2쌍의 출력링크(7, 8); 한 쌍의 가변 핀 각각에 일단이 회전 결합되고, 2쌍의 출력링크 각각에 타단이 회전 결합되는 2쌍의 커플러링크(9, 10); 한쌍의 종동축에 각각 고정 외접되는 한쌍의 1차출력기어(G3, G3'); 한 쌍의 1차출력기어 사이에 이들과 맞물리게 배치되는 2차출력기어(G4); 케이스의 타측 내측 중앙에 고정축이 관통되며 케이스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링형상부(14); 및 링형상부에 고정 외접되어 2차출력기어와 맞물림하는 최종출력기어(G5)를 포함하며, 한쌍의 가변 핀은 서로에 대하여 180도의 위상차를 가진다.
커플러링크, 가변 입력링크, 출력링크, 입력축, 종동축

Description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본 발명은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출력축에 작용하는 부하가 제로 일 때에는 허브를 고정적으로 내장한 구동휠의 허부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하우징에 출력축의 출력을 전달하지 않게 하고 그리고 출력축에 작용하는 부하가 제로 이상일 때에는 상기 하우징에 출력축의 출력을 전달하되 출력축의 부하의 증감에 따라 출력되는 순간토크가 자동으로 증감되는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속기는 서로 다른 크기의 기어를 서로 조합함으로써 일정한 감속비로 동력을 출력하는 정속감속기와, 원뿔 형태의 감속장치를 적용하여 감속비를 가변시킬 수 있는 무단 변속기로 구분된다.
모터나 엔진 등의 동력 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은 고회전력으로 출력되지만 힘(토크)이 적다. 따라서, 대부분의 산업기계에 있어서는 감속장치를 이용하여 토크를 증가시켜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감속기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수를 감속시키는 대신 토크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상기 감속기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회전수를 감속시킴과 동시에 토크를 증가시켜 출력하게 되나, 출력축에 가해지는 부하가 출력축의 출력토크보다 클 경우 부하가 동력발생원인 모터나 엔진에 역으로 작용함으로써 모터나 엔진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출력축의 출력토크보다 큰 부하가 모터나 엔진에 역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목표하는 출력을 출력축으로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무단변속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된 출원 제10-2007-006434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출원에 의해 개시된 무단변속장치에는 외력(모터 또는 엔진 등)에 의해 일방향회전운동하게 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외부에 그 구동력을 전달하는 출력축 사이에 레버 크랭크기구가 개재되어 있다.
이 레버 크랭크기구는 입력축의 일방향 회전운동을 출력축이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왕복선회운동하게 하는 공지의 기구이며, 이러한 공지의 기구를 이용하여 장치는 예를 들면, 와이퍼 구동장치가 해당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레버 크랭크 기구를 이용한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를 자전거, 전기자전거, 전동휠체어, 전동카 등의 구동륜의 허브에 장전하는 경우, 동력전달체계가 일측으로 편위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서, 작동중 떨림이나 소음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를 자전거, 전기자전거, 전동휠체어, 전동카 등의 구동륜의 허브에 장전하는 경우, 출력축에 작용하는 부하가 제로 일 때에도, 즉 구동륜이 관성에 의해 어떠한 외력도 없이 구를 수 있을 때도, 상기 종래의 무 단변속장치는 자전거, 전기자전거, 전동휠체어, 전동카 등의 구동륜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하우징에 출력축의 출력을 전달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종래의 무단변속장치에 구비된 레버 크랭크 기구가 필요없이 작동하게 되어, 레버 크랭크 기구를 이루고 있는 부재들의 내구성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그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구동륜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의 양측부을 관통하여 뻗어 있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의 일측 부분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으며, 페달축의 구동에 연동되어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피동 스프로킷; 상기 입력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입력축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종동축); 상기 입력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가능하게 상기 입력축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반경이 외부 부하에 의해 가변가능한 한 쌍의 가변 핀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반력장치를 상기 한 쌍의 가변 핀과 함께 각각 수용하고 있는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를 일체화한 하나의 원통형 하우징; 상기 한 쌍의 종동축 각각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을 개재하여,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2쌍의 출력링크; 상기 한 쌍의 가변 핀 각각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2쌍의 출력링크 각각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2쌍의 커플러링크; 상기 한 쌍의 종동축에 각각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는 한 쌍의 1차출력기어; 상기 한 쌍의 1차출력기어 사이에 이들과 맞물리게 배치되어 있는 2차출력기어; 상기 케이스의 타측 내측 중앙에 고정축이 관통되며 상기 케이스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링형상부; 및 상기 링형상부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2차출력기어와 맞물림하는 최종출력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변 핀는 서로에 대하여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배치되어 있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가변 입력링크를 중심으로 해서, 커플러링크, 출력링크 및 종동축이 선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작동중 떨림이 발생되지 않아, 소음이 종래보다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종동축 사이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한 쌍의 출력기어가 최종출력기어를 개재하여 서로 맞물려 있으면, 상기 최종출력기어를 상기 한 쌍의 출력기어들이 서로 협력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출력기어로 하여금 종래의 최종 출력기어보다 큰 힘을 가지고서 회전하게 하여, 큰 힘으로 외부의 기기를 구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축에 작용하는 부하가 제로 일 때에도, 즉 자전거, 전기자전거, 전동휠체어, 전동카 등의 구동륜이 관성에 의해 어떠한 외력도 없이 구를 수 있을 때도, 상기 구동륜의 허부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하우징에 출력축의 출력을 전달하지 않게 하여, 무단변속장치에 구비된 레버 크랭크 기구가 무용으로 작동되지 않게 하여서, 레버 크랭크 기구를 이루고 있는 부재들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실시예의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의 개념도가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륜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케이스(1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11)의 양측부를 관통하여 뻗어 있는 고정축(S)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축(S)에는 베어링(B1)을 개재하여 상기 고정축(S)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입력축(1)이 외접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축(1)은 상기 케이스(11)에 베어링(B2)을 개재하여 상기 케이스(1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1)의 일측부 밖으로 돌출된 상기 입력축(1)의 일측 부분에는 피동 스프로킷(P)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 스프로킷(P)은 도시되지 않은 페달축에 장착된 도시되지 않은 구동 스프로킷에 감겨진 체인(C)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의 일측부에 상기 케이스(1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고정축(S)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는, 상기 입력축(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입력축(1)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11)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1)으로부터의 동력을 하기되는 구성요소들(레버 크랭크기구)을 경유하여 전달받게 되는 한 쌍의 종동축(2, 2'); 및 상기 입력축(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가능하게 상기 입력축(1)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반경이 외부 부하 에 의해 가변가능한 한 쌍의 가변 핀(P1, P2)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반력장치(3a, 4a)을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과 함께 각각 수용하고 있는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3, 4)를 일체화한 하나의 원통형 하우징(13)으로서, 상기 입력축(1)의 외주면에 일방향 클러치(12)를 개재하여 일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외접된 입력기어(G1)와 맞물림하는 1차피동기어(G2)가 고정적으로 외접된 상기 하나의 원통형 하우징(13)을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는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에 전달되는 양방향 회전력을 일방향으로만 전달받아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를 개재하여, 일단이 외접되어 결합되어 있는 2쌍의 출력링크(7, 8); 및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 각각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2쌍의 출력링크(7, 8) 각각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2쌍의 커플러링크(9, 1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들은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에 각각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걸음되어, 상기 종동축(2, 2')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는 서로에 대하여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2쌍의 출력링크들 중 출력링크(7, 7)는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7)가 상기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7) 보다도 회전방향에서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앞선 위상차를 가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다른 출력링크(8, 도시되지 않음)도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8)가 상기 다른 하나의 출력 링크(도시되지 않음) 보다도 회전방향에서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앞선 위상차를 가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7)가 상기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7) 보다도 회전방향에서 약 123도 앞선 위상차를 가지는 방식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2쌍의 출력링크(7, 8)와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간의 구동적 결합 방식은,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을 관형으로 만들고,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의 양단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을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출력링크(7, 8)의 일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에는 한 쌍의 1차출력기어(G3, G3')가 각각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1차출력기어(G3, G3') 사이에는 이들과 맞물리게 2차출력기어(G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의 타측 내측 중앙에 고정축(S)이 관통하게 되는 링형상부(14)가 상기 케이스(11)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형상부(14)에는 상기 2차출력기어(G4)와 맞물림하는 최종출력기어(G5)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다.
상기 2차출력기어(G4)와 상기 한 쌍의 1차출력기어(G3, G3')간 결합된 상태와 상기 2차출력기어(G4)와 최종출력기어(G5) 간의 결합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지만, 도 4에는 다른 구성 간의 명확한 결합을 나타내기 위해 제외되어 있다. 하지만, 도 4는 상기 2차출력기어(G4)가 케이스(11) 밖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이점쇄선으로 상기 2차출력기어(G4)가 상기 한 쌍의 1차출력기어(G3, G3') 및 최종출력기 어(G5)와 맞물려 있는 것을 가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반력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반력장치에 전달되는 부하에 따라 실린더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회로에 접속된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실시예의 허브타입의 무단변속기는 다음과 같이 동력전달 및 변속된다.
1. 반력장치를 압축시킬 수 있는 부하가 출력축인 케이스(11)에 작용하는 경우
체인(C)과 피동 스프로킷(P)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축(1)은 입력기어(G1)와 1차피동기어(G2)를 경유하여 하우징(13)을 회전시키고, 상기 하우징(13)의 회전은 상기 하우징(13)의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3, 4)에 180도 위상차를 가진 상태로 배치된 한 쌍의 가변 핀(P1, P2)를 회전시키고, 이 한 쌍의 가변 핀(P1, P2) 각각의 회전력은 2쌍의 커플러링크(9, 10)를 통해서 2쌍의 출력링크(7, 8) 각각이 종동축(2, 2')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 각도 선회 왕복운동하게 한다.
즉, 한 쌍의 출력링크(7, 8) 각각이 종동축(2)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 각도 선회 운동하게 되고, 나머지 한 쌍의 출력링크(7, 8) 각각이 종동축(2')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 각도 선회 운동하게 되며, 출력링크(7, 7) 간에는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 각도 선회 운동하게 되고, 출력링크(8, 8) 간에는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 각도 선회운동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2쌍의 출력링크(7, 8)의 일정 각도 선회왕복운동은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을 통해서 한 쌍의 종동축(2, 2')에 항상 서로에 동일한 일방향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여기에서 케이스(11)에 작용하는 큰 부하가 한 쌍의 반력장치(3a, 4a)에 전달되어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이 상기 하나의 원통형 하우징(13)의 중심축선에 가까워질 경우에,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의 공전반경이 작아져 상기 2쌍의 출력링크(7, 8)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작아지게 되어서 종동축(2, 2')은 저속모드가 되고, 반대로 케이스(11)에 작용하는 작은 부하가 한 쌍의 반력장치(3a, 4a)에 전달되어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이 상기 하나의 원통형 하우징(13)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멀어질 경우에,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의 공전반경이 커져 상기 2쌍의 출력링크(7, 8)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커지게 되어서 종동축(2, 2')은 고속모드가 된다.
그리고 케이스(11)에 작용하는 큰 부하가 한 쌍의 반력장치(3a, 4a)을 압축시켜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이 상기 하나의 원통형 하우징(13)의 중심축선에 위치될 경우에,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의 공전반경이 제로인 상태에서 자전만 하게 되어 상기 2쌍의 출력링크(7, 8)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제로로 되어서 종동축(2, 2')의 속도는 "0"이 되며, 이때, 변속비의 기준이 되는 최저속도가 "0"이 되기 때문에, 이론상 변속비가 0 ~∞으로 되어서 본 실시예의 무단변속기는 무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허브타입의 무단 변속장치는, 상기 가변 입력링크를 중심 으로 해서, 커플러링크, 출력링크 및 종동축이 좌우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작동중 떨림이 발생되지 않아, 소음이 종래보다 발생되지 않으며, 아울러, 2개의 종동축 사이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한 쌍의 1차출력기어(G3, G3')가 2차 출력기어를 개재하여 서로 맞물려 있어서, 상기 2차 출력기어를 상기 한 쌍의 1차 출력기어들이 서로 협력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본 실시예의 2차 출력기어에 맞물린 최종출력기어(G5)에 고정된 케이스(11)로 하여금 종래의 최종 출력기어보다 큰 힘을 가지고서 회전하게 하여, 큰 힘으로 구동륜을 구동시킬 수가 있다.
2. 반력장치를 압축시킬 수 없는 부하가 출력축인 케이스(11)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13)에 수용된 반력장치(3a, 4a)를 가압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11)에 내장된 구성요소들은 자전식으로 작동되지 않고, 고정축(S)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11)와 함께 공전식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에, 상기 피동 스프로킷 (P)은 상기 케이스(11)의 회전에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고 정지상태에 있게 되어서, 상기 구성요소들에게 휴지상태를 제공하여 상기 구성요소들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 커플러링크, 출력링크 및 종동축이 좌우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소음, 진동, 큰 구동력의 작용효과를 배제하고 케이스에 내장된 구성요소들의 내구성만 고려한다면, 커플러링크, 출력링크 및 종동축이 일측에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의 무단변속작용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된 출원 제10-2007-0064349호와 본 출원과 동일자로 출원된 것을 참조하면 보다 더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단변속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및
도 2는 도 1의 무단변속장치에 대한 측면도.

Claims (6)

  1. 구동륜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케이스(1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11)를 관통하여 뻗어 있는 고정축(S);
    상기 고정축(S)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는 입력축(1);
    상기 입력축(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으며, 페달축의 구동에 연동되어 상기 케이스(11)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피동 스프로킷(P);
    상기 입력축(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입력축(1)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11)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종동축(2, 2');
    상기 입력축(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가능하게 상기 입력축(1)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반경이 외부 부하에 의해 가변가능한 한 쌍의 가변 핀(P1, P2)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반력장치(3a, 4a)를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과 함께 각각 수용하고 있는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3, 4)를 일체화한 하나의 원통형 하우징(13);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를 개재하여,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2쌍의 출력링크(7, 8);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 각각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2쌍의 출력링크(7, 8) 각각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2쌍의 커플러링크(9, 10);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에 각각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는 한 쌍의 1차출력기어(G3, G3');
    상기 한 쌍의 1차출력기어(G3, G3') 사이에 이들과 맞물리게 배치되어 있는 2차출력기어(G4);
    고정축(S)이 관통되며 상기 케이스(11)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11)의 타측 내측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링형상부(14); 및
    상기 링형상부(14)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2차출력기어(G4)와 맞물림하는 최종출력기어(G5)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는 서로에 대하여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들은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에 각각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걸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1)의 외주면에는 입력기어(G1)가 일방향 클러치(12)를 개재하여 일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원통형 하우징(13)에는 상기 입력기어(G1)와 맞물림하는 1차피 동기어(G2)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이 관형으로 만들어 지고,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의 양단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을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출력링크(7, 8)의 일단이 각각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쌍의 출력링크들 중 출력링크(7, 7)는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7)가 상기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7) 보다도 회전방향에서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각도범위에서 앞선 위상차를 가지고서 배치되며,
    다른 출력링크들(8, 8)도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8)가 상기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8) 보다도 회전방향에서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각도범위에서 앞선 위상차를 가지고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6. 구동륜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케이스(1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11)를 관통하여 뻗어 있는 고정축(S);
    상기 고정축(S)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는 입력축(1);
    상기 입력축(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으며, 페달축의 구동에 연동되어 상기 케이스(11)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피동 스프로킷(P);
    상기 입력축(1)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11)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종동축(2);
    상기 입력축(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가능하게 상기 입력축(1)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반경이 외부 부하에 의해 가변가능한 한 쌍의 가변 핀(P1, P2)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반력장치(3a, 4a)를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과 함께 각각 수용하고 있는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3, 4)를 일체화한 하나의 원통형 하우징(13);
    상기 종동축(2) 양단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를 개재하여,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출력링크(7, 8);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 각각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출력링크(7, 8) 각각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커플러링크(9, 10);
    상기 종동축(2)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는 1차출력기어(G3);
    상기 1차출력기어(G3)과 맞물리게 배치되어 있는 2차출력기어(G4);
    고정축(S)이 관통되며 상기 케이스(11)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11)의 타측 내측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링형상부(14); 및
    상기 링형상부(14)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2차출력기어(G4)와 맞물림하 는 최종출력기어(G5)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는 서로에 대하여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배치되어 있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KR1020080092993A 2008-09-23 2008-09-23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KR100984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993A KR100984188B1 (ko) 2008-09-23 2008-09-23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993A KR100984188B1 (ko) 2008-09-23 2008-09-23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067A KR20100034067A (ko) 2010-04-01
KR100984188B1 true KR100984188B1 (ko) 2010-09-28

Family

ID=4221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993A KR100984188B1 (ko) 2008-09-23 2008-09-23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4194A (zh) * 2016-07-28 2018-02-06 钟跃荣 一种机械无级变速方法及无级变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7040A (ja) 2005-08-25 2007-03-08 Ntn Corp 無段変速装置
KR100858910B1 (ko) 2007-06-28 2008-09-17 신용철 무단변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7040A (ja) 2005-08-25 2007-03-08 Ntn Corp 無段変速装置
KR100858910B1 (ko) 2007-06-28 2008-09-17 신용철 무단변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067A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7822B2 (en) Input synthesis gear system
JP6418218B2 (ja) 車両用差動制限装置
JP4823308B2 (ja) 無段変速機
CA2677552C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5325754B2 (ja) 無段変速機
JP2012021592A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KR101006779B1 (ko) 무단변속장치
KR101354154B1 (ko) 무단변속장치
US6779415B2 (en) Mechanical transmission
KR100984188B1 (ko)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KR100984187B1 (ko) 무단변속장치
KR101029316B1 (ko)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JP2010144762A (ja) 駆動力配分装置
KR101027833B1 (ko) 무단변속장치
KR101254596B1 (ko)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US5288280A (en) Steplessly adjustable rotary transmission
KR101327332B1 (ko)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KR20110117757A (ko) 허브 타입 무단변속장치 및 이를 포함한 구동륜
JP6057289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によるエンジンの始動方法
KR101327336B1 (ko) 무단변속장치
KR101213547B1 (ko) 무단변속장치
KR101889307B1 (ko) 무단변속기
KR101213546B1 (ko) 무단변속장치
JPH1137240A (ja) 摩擦ローラ式変速機
KR101296614B1 (ko) 무단변속장치가 구비된 전동이륜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