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779B1 - 무단변속장치 - Google Patents

무단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779B1
KR101006779B1 KR1020080134377A KR20080134377A KR101006779B1 KR 101006779 B1 KR101006779 B1 KR 101006779B1 KR 1020080134377 A KR1020080134377 A KR 1020080134377A KR 20080134377 A KR20080134377 A KR 20080134377A KR 101006779 B1 KR101006779 B1 KR 101006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haft
variable
link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361A (ko
Inventor
신용철
신현우
Original Assignee
신현우
신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80134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779B1/ko
Application filed by 신현우, 신용철 filed Critical 신현우
Priority to US13/141,323 priority patent/US8708856B2/en
Priority to UAA201109183A priority patent/UA97930C2/ru
Priority to CN200980152914.7A priority patent/CN102265064B/zh
Priority to PCT/KR2009/001378 priority patent/WO2010074367A1/ko
Priority to AU2009331014A priority patent/AU2009331014B2/en
Priority to RU2011131367/11A priority patent/RU2484335C2/ru
Priority to SG2011044427A priority patent/SG172223A1/en
Priority to EP09835133.1A priority patent/EP2378160B1/en
Priority to MA34023A priority patent/MA32973B1/fr
Priority to JP2011543378A priority patent/JP5450650B2/ja
Priority to MX2011006889A priority patent/MX2011006889A/es
Priority to CA2677552A priority patent/CA2677552C/en
Priority to TW098130866A priority patent/TWI379046B/zh
Publication of KR2010007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779B1/ko
Priority to ZA2011/05183A priority patent/ZA201105183B/en
Priority to EC2011011208A priority patent/ECSP11011208A/es
Priority to CO11091853A priority patent/CO6410251A2/es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21/1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means of cranks, eccentrics, or like members fixed to one rotary member and guided along tracks on the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06Crankshafts
    • F16C3/10Crankshafts assembled of several parts, e.g. by welding by cri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Friction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110); 입력축을 사이에 두고 입력축에 대하여 방사바깥방향으로 배치되고, 입력축의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위상차를 가지고서 배치되어 입력축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복수개의 종동기어; 입력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자전식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입력축에 결합되고, 회전반경이 외부 부하에 의해 가변가능한 가변캠(P)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가압하는 반력장치(S)를 가변 캠과 함께 수용하는 가변입력링크(130); 가변캠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변입력링크의 회전운동에 따라 가변 입력링크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하는 가변캠과 함께 가변입력링크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식으로 회전하는 디스크판(140); 복수개의 종동기어 각각에 전달되는 양방향 회전력을 일방향으로만 전달받아 복수개의 종동기어 각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일단이 내접결합되는 복수개의 출력링크; 및 디스크판에 상기 위상차와 동일한 위상차를 가지고서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 각각에 일단이 링크결합되고, 복수개의 출력링크 각각에 타단이 링크결합되는 동일한 길이의 복수개의 커플러링크를 포함하는 무단변속장치로 되어 있다.
커플러링크, 가변 입력링크, 출력링크, 입력축, 종동기어

Description

무단변속장치{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출력축에 작용하는 부하의 증감에 따라 출력되는 순간토크가 자동으로 증감되는 컴팩트한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속기는 서로 다른 크기의 기어를 서로 조합함으로써 일정한 감속비로 동력을 출력하는 정속감속기와, 원뿔 형태의 감속장치를 적용하여 감속비를 가변시킬 수 있는 무단 변속기로 구분된다.
모터나 엔진 등의 동력 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은 고회전력으로 출력되지만 힘(토크)이 적다. 따라서, 대부분의 산업기계에 있어서는 감속장치를 이용하여 토크를 증가시켜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감속기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수를 감속시키는 대신 토크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상기 감속기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회전수를 감속시킴과 동시에 토크를 증가시켜 출력하게 되나, 출력축에 가해지는 부하가 출력축의 출력토크보다 클 경우 부하가 동력발생원인 모터나 엔진에 역으로 작용함으로써 모터나 엔진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출력축의 출력토크보다 큰 부하가 모터나 엔진에 역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목표하는 출력을 출력축으로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무단변속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된 제10-2007-006434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출원에 의해 개시된 무단변속장치에는 외력(모터 또는 엔진 등)에 의해 일방향회전운동하게 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외부에 그 구동력을 전달하는 출력축 사이에 레버 크랭크기구가 개재되어 있다.
이 레버 크랭크기구는 입력축의 일방향 회전운동을 출력축이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왕복선회운동하게 하는 공지의 기구이며, 이러한 공지의 기구를 이용하여 장치는 예를 들면, 와이퍼 구동장치가 해당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레버 크랭크 기구를 이용한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는 동력전달체계가 일측으로 편위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서, 작동중 떨림이나 소음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무단변속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된 제10-2008-009299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무단변속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1); 상기 입력축(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입력축(1)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1)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게 되는 한 쌍의 종동축(2, 2'); 상기 입력축(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가능하게 상기 입력축(1)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반경이 외부 부하에 의해 가변가능한 한 쌍의 가변 핀(P1, P2)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반력장치(3a, 4a)를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과 함께 각각 수용하고 있는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3, 4);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에 전달되는 양방향 회전력을 일방향으로만 전달받아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 5', 6')을 개재하여, 일단이 외접되어 결합되어 있는 2쌍의 출력링크(7, 8; 7', 8'); 및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 각각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2쌍의 출력링크(7, 8; 7', 8') 각각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2쌍의 커플러링크(9, 10; 9' 1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축(1)과 상기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3, 4) 간의 구동적 결합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1)의 양단에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3, 4) 각각의 일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는 방식이 취해질 수도 있고, 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1)의 외주면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입력기어(G1)를 마련하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3, 4)를 일체화한 하나의 원통형 하우징(11)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1차피동기어(G2)를 마련한 상태에서 이들(G1, G2)을 서로 맞물리게 하는 방식이 취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는 서로에 대하여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2쌍의 출력링크들 중 출력링크(7, 7')는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7)가 상기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7') 보다도 회전방향에서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앞선 위상차를 가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다른 출력링크(8, 8')도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8)가 상기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8') 보다도 회전방향에서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앞선 위상차를 가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쌍의 출력링크(7, 8; 7', 8')와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간의 구동적 결합 방식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의 양단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 5', 6')을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출력링크(7, 8, 7' 8')의 일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되는 방식이 취해질 수 있고, 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을 관형으로 만들고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의 양단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 5' 6')을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출력링크(7, 8; 7' 8')의 일단이 각각 고정적으로 내접되는 방식이 취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에는 한 쌍의 출력기어(G3, G3')가 각각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출력기어(G3, G3') 사이에는 이들과 맞물리게 최종출력기어(G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최종출력기어(G4)에는 동력을 전달해야할 외부기기의 도시되지 않은 종동축과 커플링될 최종출력축(15)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는 상기 가변 입력링크를 중심으로 해서, 커플러링크, 출력링크 및 종동축이 좌우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작동중 떨림이 발생되지 않아, 소음이 종래보다 발생되지 않으며, 아울러, 2개의 종 동축 사이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한 쌍의 출력기어가 최종출력기어를 개재하여 서로 맞물려 있어서, 상기 최종출력기어를 상기 한 쌍의 출력기어들이 서로 협력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출력기어로 하여금 큰 힘을 가지고서 회전하게 하여, 큰 힘으로 외부의 기기를 구동시킬 수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무단변속장치는 서로 위상차를 두고서 링크 운동하는 제1링크부(3, 9, 9', 7, 7')와 제2링크부(4, 10, 10', 8, 8')간에 입력축(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어서, 무단변속장치가 비대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가 서로 위상차를 가지고서 선회운동 즉, 서로 반대방향으로 선회운동함으로써, 상기 입력축(1)에 배가된 비틀림 부하를 주게 되어, 입력축(1)이 내구성에 취약하게 만들고, 심지어는 정확한 시점에서 시계방향운동에는 반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상기 제1링크부 또는 제2링크부가 선회운동을 전환하지 못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그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입력축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의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위상차를 가지고서 배치되어 상기 입력축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게 되는 복수개의 종동기어; 상기 입력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자전식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상기 입력축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반경이 외부 부하에 의해 가변가능한 가변 캠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가압하는 반력장치를 상기 가변 캠과 함께 수용하고 있는 가변 입력링크; 상기 가변 캠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변 입력링크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가변 입력링크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하게 되는 상기 가변 캠과 함께 상기 가변 입력링크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식으로 회전하는 디스크판; 상기 복수개의 종동기어 각각에 전달되는 양방향 회전력을 일방향으로만 전달받아 상기 복수개의 종동기어 각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을 개재하여, 일단이 내접되어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출력링크; 및 상기 디스크판에 상기 위상차와 동일한 위상차를 가지고서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 각각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링크 각각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는 동일한 길이의 복수개의 커플러링크를 포함하고 있는 무단변속장치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무단 변속장치는, 서로 위상차를 두고서 링크 운동하는 4개의 링그부들이 동일한 2차원레벨에서 그리고 상하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무단변속장치가 컴팩트해지고, 상기 입력축에 배가된 비틀림 부하를 주지 않게 되어, 입력축이 내구성에 강화시켜서, 정확한 시점에서 시계방향운동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상기 링크부들이 선회운동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실시예의 무단변속장치의 개념도가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5의 무단변속장치가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무단변속장치는, 프레임(F)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110); 상기 입력축(11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입력축(110)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배치되어 9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110)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게 되는 4개의 종동기어(121, 122, 123, 124); 상기 입력축(1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자전식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상기 입력축(110)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반경이 외부 부하에 의해 가변가능한 가변 캠(P)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가압하는 반력장치(S)를 상기 가변 캠(P)과 함께 수용하고 있는 가변 입력링크(130); 상기 가변 캠(P)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하게 되는 상기 가변 캠(P)과 함께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식으로 회전하는 디스크판(140); 상기 4개의 종동기어(121, 122, 123, 124) 각각에 전달되는 양방향 회전력을 일방향으로만 전달받아 상기 4개의 종동기어(121, 122, 123, 124) 각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151, 152; 153, 154)을 개재하여, 일단이 내접되어 결합되어 있는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 및 상기 디스크판(140)에 9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형성된 4개의 구멍 각각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고, 상기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 각각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는 동일한 길이의 4개의 커플러링크(191, 192, 193, 19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151, 152; 153, 154)들은 상기 4개의 종동기어(121, 122; 123, 124)에 각각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걸음되어, 상기 종동기어(121, 122; 123, 12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축(110)과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 간의 구동적 결합 방식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110)의 선단에 가변 입력링크(130)가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는 방식이 취해질 수도 있고, 또는 입력축(110)의 외주면에 가변 입력링크(130)가 고정적으로 외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력축(110)의 기단에는 상기 4개의 종동기어(121, 122, 123, 124) 모두와 맞물림하여 회전되는 하나의 출력기어(G3)가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하나의 출력기어(G3)에는 상기 입력축(110)의 기단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입력축(110)의 회전중심과 동심의 회전축선을 가지는 환형 출력축(G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형 출력축(G4)에는 동력을 전달해야할 외부기기의 도시되지 않은 종동 스프로킷, 종동기어, 종동풀리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외부기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반력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반력장치에 전달되는 부하에 따라 실린더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회로에 접속된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실시예의 무단변속기는 다음같이 동력전달 및 변속된다.
외부로 부터 동력을 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축(110)은 가변 입력링크(130)을 회전시켜서,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에 편심되어 수용되게 배치된 가변 캠(P)을 회전시키고, 이 가변 캠(P) 회전력은 상기 가변 캠(P)에 도시되지 않은 핀을 개개하여 상기 가변 캠(P)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크판(140)을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식으로 회전시킨다.
공전식으로 회전되는 상기 디스크판(140)은,
상기 디스크판(140)의 0도 ~ 90도 공전운동에 의해, 상기 디스크판(140)에 링크결합된 4개의 커플러링크(191, 192, 193, 194)를 통해서 상기 4개의 커플러링 크(191, 192, 193, 194) 각각에 링크결합된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들중 예를 들면, 하나의 출력링크(171)가 실질의 구동을 위한 일정각도 선회운동되는 경우에,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171)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174)를 정방향으로 진퇴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171)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또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172)를 정방향으로 진입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171)에 대하여 180도 이상의 위상차를 가지는 나머지 하나의 출력링크(173)를 역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키고;
계속해서 상기 디스크판(140)의 91도 ~ 180도 공전운동에 의해, 상기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들중 하나의 출력링크(171)에 대하여 +90도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2)가 실질의 구동을 위한 일정각도 선회운동되어서, 상기 출력링크(172)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1)를 정방향으로 진퇴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2)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3)를 정방향으로 진입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2)에 대하여 180도 이상의 위상차를 가지는 나머지 하나의 출력링크(174)를 역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키며;
계속해서 상기 디스크판(140)의 181도 ~ 270도 공전운동에 의해, 상기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들중 하나의 출력링크(172)에 대하여 +90도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3)가 실질의 구동을 위한 일정각도 선회운동되어서, 상기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2)를 정방향으로 진퇴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 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4)를 정방향으로 진입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180도 이상의 위상차를 가지는 나머지 하나의 출력링크(171)를 역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키며; 그리고
계속해서 상기 디스크판(140)의 271도 ~ 360도 공전운동에 의해, 상기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들중 하나의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90도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4)가 실질의 구동을 위한 일정각도 선회운동되어서, 상기 출력링크(174)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3)를 정방향으로 진퇴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4)를 정방향으로 진입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180도 이상의 위상차를 가지는 나머지 하나의 출력링크(171)를 역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키다.
상기 출력링크(171, 172, 173, 174)와 상기 종동기어(121, 122, 123, 124) 사이에는 상기 출력링크(171, 172, 173, 174)의 정방향 선회운동에만 그 운동을 상기 종동기어(121, 122, 123, 124)에 각각 전달하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151, 152)이 개재되어 있어서, 결국, 상기 4개의 종동기어(121, 122, 123, 124)들과 동시에 맞물려 있는 출력기어(G3)는 상기 입력축(110)이 구동되면 항상 정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출력기어(G3)에 구비된 환형 출력축(G4)에서 전달되는 큰 부하가 종동기어, 출력링크, 커플러링크 디스크판 및 가변 캠를 통해서 반력장치(S)에 전달되어, 상기 가변 캠(P)이 가변 입력링크(130)의 중심축선에 가까워질 경우 에, 상기 가변 캠(P)의 공전반경이 작아져, 상기 출력링크(171, 172, 173, 174)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작아지게 되어서 종동기어(121, 122, 123, 124)는 저속모드가 되고, 반대로 상기 환형 출력축(G4)에서 전달되는 작은 부하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반력장치(S)에 전달되어, 상기 가변 캠(P)이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멀어질 경우에, 상기 가변 캠(P)의 공전반경이 커져 상기 출력링크들의 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커지게 되어서 상기 종동기어들은 고속모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환형 출력축에서 전달되는 부하가 반력장치(S)을 압축시켜 상기 가변 캠(P)이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중심축선에 위치될 경우에, 상기 가변 캠(P)의 공전반경이 제로인 상태에서 자전만 하게 되어, 상기 출력링크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제로로 되어서 종동기어들의 속도는 "0"이 되며, 이때, 변속비의 기준이 되는 최저속도가 "0"이 되기 때문에, 이론상 변속비가 0 ~∞으로 되어서 본 실시예의 무단변속기는 무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입력축(110)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4개의 출력링크가 9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디스크판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상기 실시예에서 입력축(110)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서로에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디스크판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2개 출력링크, 서로에 12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디스크판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3개의 출력링크, 서로에 72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디스크판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5개의 출력링크, 서로에 6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디스크판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6개의 출력링크 등, 적어 도 10개 이내의 출력링크들이 상기 입력축(110)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에 일정각도를 가지고서 디스크판에 링크결합될 수 있는 구현방법은 당해업자에게는 자명하게 치환될 수 있는 구현방법이다.
도 1은 종래의 무단변속장치의 일실시예를 초기위치에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180도 위상변위된 상태에서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무단변속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단변속기를 입력축 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무단변속기를 디스크판 측에서 본 사시도, 및
도 7은 도 5의 일부 단면도.

Claims (7)

  1. 외부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110);
    상기 입력축(11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입력축(110)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의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위상차를 가지고서 배치되어 상기 입력축(110)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게 되는 복수개의 종동기어;
    상기 입력축(1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자전식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상기 입력축(110)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반경이 외부 부하에 의해 가변가능한 가변 캠(P)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가압하는 반력장치(S)를 상기 가변 캠(P)과 함께 수용하고 있는 가변 입력링크(130);
    상기 가변 캠(P)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하게 되는 상기 가변 캠(P)과 함께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식으로 회전하는 디스크판(140);
    상기 복수개의 종동기어 각각에 전달되는 양방향 회전력을 일방향으로만 전달받아 상기 복수개의 종동기어 각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을 개재하여, 일단이 내접되어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출력링크; 및
    상기 디스크판(140)에 상기 위상차와 동일한 위상차를 가지고서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 각각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링크 각각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는 동일한 길이의 복수개의 커플러 링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110)과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 간의 구동적 결합 방식은, 상기 입력축(110)의 선단에 가변 입력링크(130)가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110)과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 간의 구동적 결합 방식은, 입력축(110)의 외주면에 가변 입력링크(130)가 고정적으로 외접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110)의 기단에는 상기 복수개의 종동기어 모두와 맞물림하여 회전되는 하나의 출력기어(G3)가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출력기어(G3)에는 상기 입력축(110)의 기단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입력축(110)의 회전중심과 동심의 회전축선을 가지는 환형 출력축(G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출력축(G4)에는 동력을 전달해야할 외부기기의 종동 스프로킷, 종동기어, 또는 종동풀리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장치는 탄성 스프링, 또는 상기 반력장치에 전달되는 부하에 따라 실린더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회로에 접속된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장치.
KR1020080134377A 2008-12-26 2008-12-26 무단변속장치 KR101006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377A KR101006779B1 (ko) 2008-12-26 2008-12-26 무단변속장치
JP2011543378A JP5450650B2 (ja) 2008-12-26 2009-03-18 無段変速装置
CN200980152914.7A CN102265064B (zh) 2008-12-26 2009-03-18 无级变速装置
PCT/KR2009/001378 WO2010074367A1 (ko) 2008-12-26 2009-03-18 무단변속장치
AU2009331014A AU2009331014B2 (en) 2008-12-26 2009-03-18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pparatus
RU2011131367/11A RU2484335C2 (ru) 2008-12-26 2009-03-18 Вариатор
SG2011044427A SG172223A1 (en) 2008-12-26 2009-03-18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pparatus
EP09835133.1A EP2378160B1 (en) 2008-12-26 2009-03-18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pparatus
US13/141,323 US8708856B2 (en) 2008-12-26 2009-03-18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pparatus
UAA201109183A UA97930C2 (ru) 2008-12-26 2009-03-18 Механизм трансмиссии с непрерывным плавным изменением передачи
MX2011006889A MX2011006889A (es) 2008-12-26 2009-03-18 Aparato de transmision continuamente variable.
MA34023A MA32973B1 (fr) 2008-12-26 2009-03-18 Appareil de transmission a variation continue
CA2677552A CA2677552C (en) 2008-12-26 2009-09-03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W098130866A TWI379046B (en) 2008-12-26 2009-09-14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ZA2011/05183A ZA201105183B (en) 2008-12-26 2011-07-14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pparatus
EC2011011208A ECSP11011208A (es) 2008-12-26 2011-07-15 Aparato de transmisión continuamente variable
CO11091853A CO6410251A2 (es) 2008-12-26 2011-07-22 Aparato de transmisión continuamente vari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377A KR101006779B1 (ko) 2008-12-26 2008-12-26 무단변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361A KR20100076361A (ko) 2010-07-06
KR101006779B1 true KR101006779B1 (ko) 2011-01-10

Family

ID=4263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377A KR101006779B1 (ko) 2008-12-26 2008-12-26 무단변속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06779B1 (ko)
UA (1) UA97930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154B1 (ko) 2012-01-09 2014-01-22 신현우 무단변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336B1 (ko) * 2011-04-07 2013-11-11 신현우 무단변속장치
KR101254596B1 (ko) * 2011-06-07 2013-04-15 신현우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WO2012011662A2 (ko) * 2010-07-19 2012-01-26 Shin Young-Chul 무단변속장치
KR101327332B1 (ko) * 2011-04-07 2013-11-08 신현우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KR101327334B1 (ko) * 2011-04-08 2013-11-11 신정선 운동변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033A (ko) * 2002-10-14 2002-11-21 최기남 무단변속 장치
JP2004263857A (ja) 2003-02-10 2004-09-24 Ntn Corp トラクションドライブ式無段変速機
JP2007057040A (ja) 2005-08-25 2007-03-08 Ntn Corp 無段変速装置
KR100858910B1 (ko) 2007-06-28 2008-09-17 신용철 무단변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033A (ko) * 2002-10-14 2002-11-21 최기남 무단변속 장치
JP2004263857A (ja) 2003-02-10 2004-09-24 Ntn Corp トラクションドライブ式無段変速機
JP2007057040A (ja) 2005-08-25 2007-03-08 Ntn Corp 無段変速装置
KR100858910B1 (ko) 2007-06-28 2008-09-17 신용철 무단변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154B1 (ko) 2012-01-09 2014-01-22 신현우 무단변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97930C2 (ru) 2012-03-26
KR20100076361A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779B1 (ko) 무단변속장치
EP2378160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pparatus
JP4823308B2 (ja) 無段変速機
KR101354154B1 (ko) 무단변속장치
KR101027833B1 (ko) 무단변속장치
KR100984187B1 (ko) 무단변속장치
US4116083A (en) Variable speed transmission
KR101029316B1 (ko)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ATE291185T1 (de) Verbindungsvorrichtung für stufenlose riemengetriebe mit antriebsringen
KR101254596B1 (ko)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KR101213547B1 (ko) 무단변속장치
KR101327332B1 (ko)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KR101213546B1 (ko) 무단변속장치
KR101327336B1 (ko) 무단변속장치
KR100984188B1 (ko)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JP6854494B2 (ja) 無段変速機
RU2204749C1 (ru) Высокомоментный вариатор
RU2151935C1 (ru) Бесступенчатая передача
CA2411883A1 (en) Geared drive ring coupler
RU2622178C1 (ru) Высокомоментный вариатор нефрикционного типа
RU2087781C1 (ru) Импульсный вариатор
RU213107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ключения скоростей при реверсировании ведущего вала с сохранением направления вращения ведомого вала
RU97103379A (ru) Способ сообщения враща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я в вариатор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