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806B1 - 마과 식물로부터 식품용 천연 항진균 소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과 식물로부터 식품용 천연 항진균 소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806B1
KR100982806B1 KR1020100032677A KR20100032677A KR100982806B1 KR 100982806 B1 KR100982806 B1 KR 100982806B1 KR 1020100032677 A KR1020100032677 A KR 1020100032677A KR 20100032677 A KR20100032677 A KR 20100032677A KR 100982806 B1 KR100982806 B1 KR 100982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purity
diosin
plan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호
한기선
정동채
김샛별
박상조
박은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텍
Priority to KR1020100032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과 식물로부터 식품 및 화장품용 천연 항진균 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조된 마과 식물을 0.5~5mm로 분쇄한 후, 상기 분쇄된 마과 식물에 50~100% 농도의 알코올을 5~20배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알코올이 첨가된 마과 식물용액을 25~95℃에서 1~12시간 정치 또는 교반하여 여과한 후, 이 여과액을 상기 건조된 마과식물 중량대비 0.2~1로 농축하는 단계와; 상기 농축물에 정제수를 5~20배 첨가하여 혼합한 후, 상기 정제수가 혼합된 농축물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순도 30~90%의 디오신이 함유된 침전물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과 식물로부터 식품 및 화장품용 천연 항진균 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항진균 소재는 마과 식물의 기능성 물질인 마사포닌, 그 중에서도 항진균, 항암, 항비만,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 등의 기능이 있는 디오신을 물과 알코올만을 이용하여 순도 30~90%의 디오신을 추출함으로써 일반적인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마과 식물 추출물의 디오신 순도가 10% 이하인 것에 비해 높은 순도를 나타낼 뿐 아니라, 단순 알코올 추출물에 포함된 90%이상의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색, 향, 쓴맛, 떫은맛 등을 최소화시켜 식품 및 화장품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과 식물로부터 식품용 천연 항진균 소재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NATURAL ANTIFUNGAL MATERIAL FOR FOOD FROM DIOSCOREACEAE}
본 발명은 마과 식물로부터 식품 및 화장품용 천연 항진균 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조된 마과 식물을 0.5~5mm로 분쇄한 후, 상기 분쇄된 마과 식물에 50~100% 농도의 알코올을 5~20배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알코올이 첨가된 마과 식물용액을 25~95℃에서 1~12시간 정치 또는 교반하여 여과한 후, 이 여과액을 상기 건조된 마과 식물 중량대비 0.2~1로 농축하는 단계와; 상기 농축물에 정제수를 5~20배 첨가하여 혼합한 후, 상기 정제수가 혼합된 농축물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순도 30~90%의 디오신이 함유된 침전물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마과 식물의 천연 항진균 물질은 마 사포닌, 그 중에서도 디오신(Dioscin)을 물과 알코올만을 이용하여 순도 30~90%의 디오신을 추출할 뿐 아니라, 색, 향, 쓴맛, 떫은맛 등을 최소화시켜 식품 및 화장품에 이용될 수 있다.
최근 소비자의 친환경, 천연물 지향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식품, 화장품분야에 천연소재들의 선호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그와 동시에 안전성이 확보된 제조방법 역시 그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마과는 외떡잎식물 백합목의 한 과로써, 대표적인 기능성 물질로는 마사포닌, 그 중에서도 디오신(Dioscin)이 널리 알려져 있다. 디오신의 기능성으로는 항진균 활성이(J Nat Med., Vol. 61, pp 91-101, 2007) 알려져 있으며 그 외 항암,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항비만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화학식 1〕
<디오신의 구조식>
Figure 112010022741102-pat00001
디오신이 포함된 마과 식물로는 부채마(Dioscorea nipponica)가 대표적이며 부채마는 우리 나라 각처의 산지에 나는 다년생 덩굴식물로 디오신의 함량이 재배마보다 부채마에 150배가 많은 것으로(KIM CM등, 1991,Steroidal sapogenin contents in some domestic plants. Arch Pharm 14: 305-310)알려져 있다. 그 외 디오신을 함유하는 마과 식물로는 마(Dioscorea Batatas), 참마(Dioscorea Japonica), 둥근마(Dioscorea Bulbifera), 큰마(Dioscorea Tokoro), 각시마(Dioscorea Tenuipes), 국화마(Dioscorea Septembloba), 단풍마 (Dioscorea Quinqueoloba) 등이 있으며 재배마의 주아, 씨(염여자) 등에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마과 식물로부터 디오신을 제조하는 알려진 방법은 단순 알코올 추출법이 있으며, 이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은 따로 보고되어 있지 않으며 정제하는 방법 역시 학술적인 방법, 즉 알코올 추출물을 여러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컬럼(column), 수지(resin)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런 방법 특히 컬럼(column), 수지(resin) 등을 이용하는 방법은 고비용이 요구되며 주정 이외의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은 식품에 이용될 수 없다. 또한, 단순 주정 또는 알코올 추출물은 디오신 이외의 물질이 90%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색, 향, 맛 등에 큰 영향을 주어 실질적으로 식품사용에 큰 장애물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마과 식물로부터 순도 30~90%의 디오신이 함유된 천연 항진균 소재를 제조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마과 식물의 대표적인 기능성 물질로 마 사포닌, 그중에서도 항진균, 항암, 항비만,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 등의 기능이 있는 디오신(dioscin)을 물과 알코올만을 이용하여 순도 30~90%의 디오신을 추출할 뿐 아니라, 단순 알코올 추출물에 포함된 90%이상의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색, 향, 쓴맛, 떫은맛 등을 최소화시켜 식품 및 화장품에 이용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과 식물로부터 식품 및 화장품용 천연 항진균 소재의 제조방법은 건조된 마과 식물을 0.5~5mm로 분쇄한 후, 상기 분쇄된 마과 식물에 50~100% 농도의 알코올을 5~20배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알코올이 첨가된 마과 식물용액을 25~95℃에서 1~12시간 정치 또는 교반하여 여과한 후, 이 여과액을 상기 건조된 마과식물 중량대비 0.2~1로 농축하는 단계;및 상기 농축물에 정제수를 5~20배 첨가하여 혼합한 후, 상기 정제수가 혼합된 농축물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순도 30~90%의 디오신이 함유된 침전물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얻어진 침전물을 건조하거나, 50~100% 농도의 알코올을 5~20배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마과 식물은 부채마(Dioscorea nipponica), 마(Dioscorea Batatas), 참마(Dioscorea Japonica), 둥근마(Dioscorea Bulbifera), 큰마(Dioscorea Tokoro), 각시마(Dioscorea Tenuipes), 국화마(Dioscorea Septembloba), 단풍마 (Dioscorea Quinqueoloba)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ethanol), 메탄올(methanol), 부탄올(butanol)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과 식물로부터 식품 및 화장품용 천연 항진균 소재의 제조방법은 마과 식물의 기능성 물질인 마사포닌, 그 중에서도 항진균, 항암, 항비만,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 등의 기능이 있는 디오신을 물과 알코올만을 이용하여 순도 30~90%의 디오신을 추출함으로써 일반적인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마과 식물 추출물의 디오신 순도가 10% 이하인 것에 비해 높은 순도를 나타낼 뿐 아니라, 단순 알코올 추출물에 포함된 90%이상의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색, 향, 쓴맛, 떫은맛 등을 최소화시켜 식품 및 화장품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의 패턴을 비교하기 위해 TLC(thin layer chromatography) 패턴을 비교한 것이다.
도 2는 디오신의 대조구를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2를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확인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마과 식물로부터 순도 30~90%의 디오신이 함유된 천연 항진균 소재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건조된 마과 식물을 0.5~5mm로 분쇄한 후, 상기 분쇄된 마과 식물에 50~100% 농도의 알코올을 5~20배 첨가하는 단계(a)와; 상기 알코올이 첨가된 마과 식물용액을 25~95℃에서 1~12시간 정치 또는 교반하여 여과한 후, 이 여과액을 상기 건조된 마과식물 중량대비 0.2~1로 농축하는 단계(b)와; 상기 농축물에 정제수를 5~20배 첨가하여 혼합한 후, 상기 정제수가 혼합된 농축물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순도 30~90%의 디오신이 함유된 침전물을 얻는 단계(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에서 마과 식물은 대표적인 기능성 물질인 마사포닌, 그 중에서도 디오신(Dioscin)을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디오신의 기능성으로는 항진균, 항암, 항비만,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마과 식물은 부채마(Dioscorea nipponica), 마(Dioscorea Batatas), 참마(Dioscorea Japonica), 둥근마(Dioscorea Bulbifera), 큰마(Dioscorea Tokoro), 각시마(Dioscorea Tenuipes), 국화마(Dioscorea Septembloba), 단풍마 (Dioscorea Quinqueoloba)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부채마(Dioscorea nipponica)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부채마(Dioscorea nipponica)를 사용하는 것은 디오신의 함량이 다른 마과 식물보다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마과 식물의 사용부위는 뿌리줄기(괴경), 주아, 씨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a)단계에서 마과 식물을 0.5~5mm로 분쇄하는 것은 상기 마과식물에 알코올이 용이하게 침투되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a)단계에서 마과 식물을 0.5mm 미만으로 분쇄할 경우에는 0.5~5mm로 분쇄할 경우와 동일한 수율 및 활성을 얻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분쇄를 하게 되어 비경제적이고 오히려 입자가 작아서 비산(飛散)이 심해지므로 제조에 불편을 줄 수 있으며, 상기 (a)단계에서 마과 식물을 5mm를 초과하여 분쇄할 경우에는 마과 식물은 탄수화물 함량이 매우 높은 식물로 알코올을 첨가할 경우 오히려 조직이 더 단단해지기 때문에 5mm를 초과하여 분쇄하면 마과 식물 내부의 디오신이 외부로 추출되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높은 순도를 갖는 디오신이 함유된 천연 항진균 소재를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건조된 마과 식물을 0.5~5mm로 분쇄한 후, 상기 분쇄된 마과 식물에 50~100% 농도의 알코올을 5~20배 첨가하는 것은 반복된 실험을 통하여 상기의 알코올 농도 및 첨가량이 도출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ethanol), 메탄올(methanol), 부탄올(butanol), 글리세린(glycerin)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ethanol)을 사용하는 것이며, 식품용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주정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에탄올은 추출에 사용될 경우에 안전성을 높일 뿐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식품 및 화장품의 첨가물로 사용할 때에도 적합할 수 있으며,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공정관리 등과 같은 비용 증가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다.
상기 (b)단계에서 알코올이 첨가된 마과 식물용액을 25~95℃에서 1~12시간 정치 또는 교반하여 여과하는 것은 상기 추출은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온도범위에서 추출될 수 있으며, 1~12시간 동안 정치하거나 교반하여 여과함으로써 상기 알코올이 첨가된 마과 식물용액에서 디오신이 충분히 용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알코올이 첨가된 마과 식물용액을 정치 또는 교반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알코올이 첨가된 마과 식물용액을 25~95℃에서 1~12시간 정치 또는 교반하여 여과한 후, 이 여과액을 상기 건조된 마과 식물 중량대비 0.2~1로 농축하는 것은 상기 여과액에서 알코올 함량을 10% 이하로 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여과액을 건조된 마과 식물 중량대비 0.2 미만으로 농축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농축이 되어 상기 여과된 여과액이 건조상태가 되어 제조에 불편을 줄 수 있으며, 상기 여과액을 건조된 마과 식물 중량대비 1을 초과하여 농축할 경우에는 알코올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아 남아 있는 알코올 성분 때문에 디오신이 일부 용해되어 침전물의 회수시 회수량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코올이 첨가된 마과 식물용액을 25~95℃에서 1~12시간 정치 또는 교반하여 여과한 후, 이 여과액을 상기 건조된 마과식물 중량대비 0.2~1로 농축할 때에 농축방법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농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감압 농축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알코올이 첨가된 마과 식물용액을 25~95℃에서 1~12시간 정치 또는 교반하여 여과한 후, 이 여과액을 상기 건조된 마과식물 중량대비 0.2~1로 농축한 것을 농축물이라고 한다.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농축물에 정제수를 5~20배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은 상기 농축물에 정제수를 5~20배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비수용성 물질은 침전되어 침전물에 함유되어 있는 디오신의 순도가 30~90%인 높은 순도를 갖는 디오신을 함유한 침전물을 얻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알코올 추출 후 여과액을 활성탄처리 하는 방법은 디오신이 모두 흡착이 되는 문제가 있으며, 열수 추출 후 여과를 하게 되면 여과 자체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여과보조제 사용시 역시 활성물질 대부분이 여과되지 않아 추출물에는 디오신이 거의 없게 된다.
만약,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농축물에 정제수를 5배 미만으로 첨가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하기의 얻어진 침전물은 정제수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정제수에 남아있는 불순물 자체의 농도가 높아서 침전물에 함유되어 있는 디오신의 순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농축물에 정제수를 20배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일부 디오신이 분산 상태로 존재하여 수득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침전되기에 필요 이상의 정제수를 사용하게 되어 비경제적이다.
그리고,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농축물에 정제수를 5~20배 첨가하여 혼합한 후, 상기 정제수가 혼합된 농축물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순도 30~90%의 디오신이 함유된 침전물을 얻는 것은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농축물에 정제수를 5~20배 첨가 할 경우에 디오신과 같은 비수용성 물질이 침전되기 때문에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순도가 30~90%인 디오신을 함유하고 있는 침전물을 얻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얻어진 침전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얻어진 침전물을 건조하는 것은 상기 (C)단계에서 얻어진 침전물을 안정적이고 장기간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C)단계에서 얻어진 침전물을 건조할 경우에 그 방법에 있어서 분무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감압건조, 동결건조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할 때에 손실율을 줄이기 위하여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글리신(Glycine), 시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등과 같은 부형제를 혼합하여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얻어진 침전물에 50~100% 농도의 알코올을 5~20배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얻어진 침전물에 50~100% 농도의 알코올을 5~20배 첨가하는 것은 (C)단계에서 얻어진 침전물에서 알코올에 용해되는 물질만을 재용해하고 침전물에 남아있는 수분에 함유된 수용성 물질을 제거하여 디오신의 순도를 70~95%로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ethanol), 메탄올(methanol), 부탄올(butanol), 글리세린(glycerin)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마과 식물로부터 디오신이 함유된 천연 항진균 물질을 함유한 조성물은 그 용도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식품, 식품 첨가제 및 화장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사실이다. 즉,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1.
건조된 부채마 1kg을 3mm로 분쇄한 후, 80%의 에탄올을 부채마 중량에 대해 10배 비율로 넣고, 70℃에서 4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500g 농축액을 얻었다.
실시예 2.
건조된 부채마 1kg을 3mm로 분쇄한 후, 80%의 에탄올을 부채마 중량에 대해 10배 비율로 넣고, 70℃에서 4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어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500g 농축액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농축액에 정제수를 고형분 함량 대비 10배 첨가하여 골고루 혼합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수용성 성분)을 제거한 후, 침전물을 건조시켜 건조물을 얻었다.
실시예 3
건조된 부채마 1kg을 3mm로 분쇄한 후, 80%의 에탄올을 부채마 중량에 대해 10배 비율로 넣고, 70℃에서 4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어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500g 농축액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농축액을 건조하여 추출건조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4.
건조된 부채마 1kg을 3mm로 분쇄한 후, 80%의 에탄올을 부채마 중량에 대해 10배 비율로 넣고, 70℃에서 4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어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500g 농축액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농축액을 건조하여 추출건조 분말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추출건조 분말에 정제수를 10배 첨가하여 골고루 혼합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수용성 성분)을 제거한 후, 침전물을 건조시켜 건조물을 얻었다.
실험 1: TLC(thin layer chromatography) 패턴 비교 실험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의 패턴을 비교하기 위해 추출물을 메탄올에 용해시켜 TLC를 통해 패턴을 비교하였다. TLC 조건은 (CHCl3-MeOH-H2O(52:28:8, 하층부))를 이용하였으며 10% 황산(H2SO4)처리 후 100℃ 이상 반응 처리하였다. 디오신 대조구(Standard)는 중국 Tauto사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과 실시예 3은 디오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른 물질들이 많은 반면, 실시예 2와 실시예 4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은 불순물이 거의 없는 상태로 고순도의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실험 2: 함량 비교 실험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의 디오신 함량을 비교하기 위해 추출물을 메탄올에 용해시켜 여과 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C18 column (Microsolv, USA), 65%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v/v)) 용매로 분당 1ml 유속으로 UV 218nm 파장에서 분석하여 각각의 순도를 비교하였다.
아래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2의 순도 89.8%, 실시예 4의 순도는 72.5%로 일반적 방법인 실시예 3의 순도 8.6%에 비해 8배~10배 이상의 고순도 추출물이다.
Sample 디오신 함량 (%)
실시예 2 89.8
실시예 3 8.6
실시예 4 72.5
실험 3 : 관능 실험
아래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실시예 2와 3에 대하여 색, 향, 맛에 대해 0.01% 수용액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2는 0.01%에서 무미, 무색, 무취로 일반적 방법인 실시예 3에 비해 관능상 매우 뛰어나며 그 적용 범위가 넓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료
실시예 2 무색 무미 무취
실시예 3 연노랑 쓴맛, 떫은 맛 한약재 향
실험 4 : 항진균력 실험
상기 실시예에 대하여 항진균력을 평가하였다. 균주는 Candida albicans ATCC 10231을 사용하였으며, 방법은 생육저해최소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측정을 이용하였으며, NCCLS method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아래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항진균력은 디오신(Dioscin) 함량에 비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실시예 2, 4가 그 기능성에 영향이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다른 항균물질인 감초, 상백피 추출물과 1:1 로 혼합시 일반적 방법인 실시예 3은 그 활성이 저해를 받는 반면 실시예 2, 4는 그 활성에 전혀 저해를 받지 않는다. 이는 기존의 활성 안정성 문제를 해결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MIC for C. albicans 실시예 단독 감초추출물 첨가 상백피추출물 첨가
실시예 2 3. 75 ppm 7 ppm 7 ppm
실시예 3 50 ppm 1,000 ppm 초과 1,000 ppm 초과
실시예 4 5 ppm 10 ppm 10 ppm

Claims (6)

  1. (a) 건조된 마과 식물을 3mm로 분쇄한 후, 상기 분쇄된 마과 식물에 80% 농도의 에탄올(ethanol), 메탄올(methanol), 부탄올(butanol)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알코올을 8~12배 첨가하는 단계;
    (b) 상기 알코올이 첨가된 마과 식물용액을 60~80℃에서 3~5시간 정치 또는 교반하여 여과한 후, 이 여과액을 상기 건조된 마과식물 중량대비 0.2~1로 농축하는 단계;및
    (c) 상기 농축물에 정제수를 10~20배 첨가하여 혼합한 후, 상기 정제수가 혼합된 농축물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순도 70~90%의 디오신이 함유된 침전물을 얻는 단계;및
    (d) 상기 얻어진 침전물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진균 소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과 식물로부터 제조된 순도 70~90%의 디오신이 함유된 천연 항진균 소재를 포함하는 식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과 식물로부터 제조된 순도 70~90%의 디오신이 함유된 천연 항진균 소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00032677A 2010-04-09 2010-04-09 마과 식물로부터 식품용 천연 항진균 소재의 제조방법 KR100982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677A KR100982806B1 (ko) 2010-04-09 2010-04-09 마과 식물로부터 식품용 천연 항진균 소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677A KR100982806B1 (ko) 2010-04-09 2010-04-09 마과 식물로부터 식품용 천연 항진균 소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806B1 true KR100982806B1 (ko) 2010-09-16

Family

ID=4301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677A KR100982806B1 (ko) 2010-04-09 2010-04-09 마과 식물로부터 식품용 천연 항진균 소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8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397A (ko) * 2014-03-05 2015-09-15 배용태 천연물로부터 엽록소를 분리하는 방법 및 엽록소를 제거하는 방법
KR20180003920A (ko) * 2016-07-01 2018-01-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릴리오페사이드 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4609B1 (ko) 2016-10-24 2018-10-08 경상북도(관련부서:경상북도산림자원개발원) 대장암 억제 효능을 가진 부채마 함유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845B1 (ko) * 2002-02-23 2005-10-1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디오신을 함유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제
KR20070059395A (ko) * 2005-12-06 2007-06-1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황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약학조성물
KR100782600B1 (ko) * 2006-09-12 2007-12-06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디오스게닌 및 디오신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845B1 (ko) * 2002-02-23 2005-10-1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디오신을 함유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제
KR20070059395A (ko) * 2005-12-06 2007-06-1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황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약학조성물
KR100782600B1 (ko) * 2006-09-12 2007-12-06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디오스게닌 및 디오신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397A (ko) * 2014-03-05 2015-09-15 배용태 천연물로부터 엽록소를 분리하는 방법 및 엽록소를 제거하는 방법
KR101687447B1 (ko) * 2014-03-05 2016-12-16 배용태 천연물로부터 엽록소를 분리하는 방법 및 엽록소를 제거하는 방법
KR20180003920A (ko) * 2016-07-01 2018-01-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릴리오페사이드 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01551B1 (ko) 2016-07-01 2023-11-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릴리오페사이드 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4609B1 (ko) 2016-10-24 2018-10-08 경상북도(관련부서:경상북도산림자원개발원) 대장암 억제 효능을 가진 부채마 함유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236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항균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JP5615966B2 (ja) ピセアタンノール含有組成物
Saleem et al. Solanum nigrum Linn.-A review
CN112704712B (zh) 一种用于眼部护理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603733B1 (ko)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
US8445039B2 (en)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processed peony, polygonati rhizoma or lily
KR100982806B1 (ko) 마과 식물로부터 식품용 천연 항진균 소재의 제조방법
KR101404286B1 (ko) 신선초 녹즙 부산물로부터 칼콘 고함유 추출물 제조방법
JP6631877B2 (ja) 抗老化剤
JP5465206B2 (ja) アクテオシド含量の高い胡麻若葉乾燥末およびそれより得られるエキス粉末
Radhakrishnan et al. Evaluation of luteolin from shells of Korean peanut cultivars for industrial utilization
JP2006176436A (ja) Scf発現阻害剤
CN109173335A (zh) 一种可视化藤茶活性成分的提取制备方法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2085774B1 (ko) 대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549390B1 (ko) 황칠나무 아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Rajesh et al. Effect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ethanolic extract on anti-cancer activity of Erlisch's Ascites carcinoma induced mice.
KR101310019B1 (ko) 기호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남해 약쑥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6196A (ko) 천연물로부터 엽록소를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
KR101603490B1 (ko) 초임계 추출을 이용한 식물 유래 β-시토스테롤의 분리방법
CN102058731B (zh) 荆条叶及果实提取物的制备及其抗炎的医用用途
KR101007869B1 (ko) 식품보존성이 우수한 수용성 감초추출물의 제조방법
JP5896618B2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
JP2005206567A (ja) 健康的コラーゲン化粧品
CN104173222A (zh) 绿萼梅提取物用作防晒有效成分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