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801B1 - 가스 노즐 조립체 - Google Patents

가스 노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801B1
KR100982801B1 KR1020080043538A KR20080043538A KR100982801B1 KR 100982801 B1 KR100982801 B1 KR 100982801B1 KR 1020080043538 A KR1020080043538 A KR 1020080043538A KR 20080043538 A KR20080043538 A KR 20080043538A KR 100982801 B1 KR100982801 B1 KR 100982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nozzle body
gas
presen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7475A (ko
Inventor
홍성환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3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80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6Apparatus for sealing, encapsulating, glassing, decapsulat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노즐 조립체는, 가스 공급배관에 연결되는 제 1 노즐 몸체, 및 상기 제 1 노즐 몸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노즐 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노즐 조립체를 제 1 노즐 몸체와 제 2 노즐 몸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중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가스 노즐의 주기적인 세정시 노즐을 교체 장착하는 과정에서 조립 및 가공상태에 따른 공정 데이터의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노즐, 세정, 실링, 암나사, 수나사

Description

가스 노즐 조립체{Gas nozzle assembly}
본 발명은 가스 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시 웨이퍼 상에 증착 공정 및 식각 공정 등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가스를 토출하는 가스 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는 웨이퍼 상에 사진(photo), 확산(diffusion), 증착(deposition), 식각(etching) 및 이온 주입(ion implant) 등과 같은 공정들을 반복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반복되는 제조 공정들 중, 상기 웨이퍼의 표면에 소정의 가스를 토출하기 위해 가스 노즐을 사용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가스 노즐(10)은 하나의 노즐 몸체(11)로 구성되고, 내부에 노즐 몸체(11)의 전단 및 후단을 관통하는 노즐홀(12)이 균일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가스 노즐은 증착 공정 및 식각 공정 등을 수행하기 위해 노즐 몸체(11)의 후단부를 가스 공급배관(미도시)에 연결하고 노즐 펌프(미도시)를 작동시켜 노즐을 통해 웨이퍼 상에 소정의 가스를 토출하게 된다.
한편, 증착 공정 및 식각 공정 등을 진행시 증착, 식각 부산물인 폴리 머(Polymer)가 가스 노즐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스 노즐을 주기적으로 세정할 필요가 있다. 이때, 가스 노즐을 세정하기 위해 노즐 몸체(11)를 가스 공급배관으로부터 분리시켜 세정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노즐의 주기적인 세정시 가스 노즐을 가스 공급배관과 분리 또는 결합하는 과정에서 조립 및 가공상태에 따른 영향으로 공정 데이터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새로운 노즐 가공품에 대한 성능 검증이 된 제품이라도 공정에 영향을 끼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노즐의 주기적인 세정시 노즐을 교체 장착하는 과정에서 조립 및 가공상태에 따른 공정 데이터의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고, 노즐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가스 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노즐 조립체는, 가스 공급배관에 연결되는 제 1 노즐 몸체, 및 상기 제 1 노즐 몸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노즐 몸체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노즐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가스 노즐 조립체를 제 1 노즐 몸체와 제 2 노즐 몸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중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가스 노즐의 주기적인 세정시 노즐을 교체 장착하는 과정에서 조립 및 가공상태에 따른 공정 데이터의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둘째, 실제 현장에서 노즐 세정시 노즐을 교체하고 공정결과까지 확인하는데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셋째, 기존의 노즐 길이 대비하여 개선하고자 하는 노즐의 길이가 약 3배 정도 짧기 때문에 노즐홀에 대한 직진성이 월등히 향상되므로 가공품에 대한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노즐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노즐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노즐 조립체(100)는 제 1 노즐 몸체(110), 제 2 노즐 몸체(120) 및 실링부재(130) 등을 구비한다.
제 1 노즐 몸체(110)는 소정 길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선단 및 후단을 관통하는 제 1 노즐홀(111)이 균일하게 형성된다. 제 1 노즐 몸체(110)의 후단부(113)는 가스 공급배관(미도시)에 연결되고, 선단부(115)는 제 1 노즐 몸체(110)의 외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단차를 형성하여 돌출된다. 제 1 노즐 몸체(110)의 선단부(115) 외경에는 후술할 제 2 노즐 몸체(120)의 암나사(123a)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115a)가 형성된다.
제 2 노즐 몸체(120)는 제 1 노즐 몸체(110)의 선단부(11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노즐 몸체(120)는 제 1 노즐 몸체(110) 보다 짧은 길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선단 및 후단을 관통하는 제 2 노즐홀(121)이 균일하게 형성된다. 제 2 노즐홀(121)은 제 1 노즐 몸체(110)와 제 2 노즐 몸체(120)가 결합될 때 제 1 노즐홀(111)과 연통된다. 제 2 노즐 몸체(120)의 후단부(123)에는 제 1 노즐 몸체(110)의 수나사(115a)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123a)가 형성된다.
실링부재(130)는 제 1 노즐 몸체(110)와 제 2 노즐 몸체(120)의 결합부위에 서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노즐 몸체(110)와 제 2 노즐 몸체(120)의 결합부위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실링부재(130)는 제 1 노즐 몸체(110)의 선단부(115)에 끼워지고, 제 1 노즐 몸체(110)와 제 2 노즐 몸체(120)가 결합될 때 실링부재(130)의 양면이 제 1 및 제 2 노즐 몸체(110, 120)와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실링부재(130)는 제 1 노즐 몸체(110)의 선단부(115)가 삽입되도록 중앙에 홀(131)이 형성되고, 두께가 얇은 원형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 링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130)는 중앙 홀(131)의 내경에 암나사(미도시)가 형성되어 제 1 노즐 몸체(110)의 선단부 수나사(115a)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실링부재(130)는 플라스틱 계열의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노즐 조립체(100)는 제 1 노즐 몸체(110)와 제 2 노즐 몸체(1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중 구조로 제작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노즐 몸체(110)의 후단부(113)에 가스 공급배관을 연결하고, 제 1 노즐 몸체(110)의 선단부(115)에 제 2 노즐 몸체(120)의 후단부(123)를 삽입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립한다. 이때, 제 1 노즐 몸체(110)의 선단부(115)에 형성된 수나사(115a)와 제 2 노즐 몸체(120)의 후단부(123)에 형성된 암나사(123a)가 나사 결합되어 체결된다.
제 1 노즐 몸체(110)와 제 2 노즐 몸체(120)가 결합될 때, 제 1 노즐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노즐홀(111)과 제 2 노즐 몸체(120)의 내부에 형성 된 제 2 노즐홀(121)이 서로 연통된다.
제 1 노즐 몸체(110)와 제 2 노즐 몸체(120)의 결합부위를 실링하는 실링부재(130)가 구비되고, 제 1 노즐 몸체(110)와 제 2 노즐 몸체(120)가 결합될 때 실링부재(130)의 양면이 제 1 및 제 2 노즐 몸체(110, 120)와 밀착된다. 따라서, 노즐을 통해 가스가 토출될 때, 제 1 노즐 몸체(110)와 제 2 노즐 몸체(120)의 결합부위에서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노즐 몸체(110)와 제 2 노즐 몸체(120)를 조립한 상태에서 증착 공정 및 식각 공정 등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증착 공정 및 식각 공정 등을 진행시 증착, 식각 부산물인 폴리머(Polymer)가 가스 노즐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스 노즐을 주기적으로 세정할 필요가 있다.
가스 노즐을 세정하기 위하여 제 2 노즐 몸체(1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1 노즐 몸체(110)와 분리시킨다. 이렇게 제 2 노즐 몸체(120)만 분리하여 세정작업을 수행한 후 제 1 노즐 몸체(110)에 다시 결합하므로 제 1 노즐 몸체(110)는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가스 노즐의 주기적인 세정시 노즐을 교체 장착하는 과정에서 조립 및 가공상태에 따른 공정 데이터의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고, 실제 현장에서 노즐 세정시 노즐을 교체하고 공정결과까지 확인하는데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기존의 노즐 길이 대비하여 개선하고자 하는 노즐의 길이가 약 3배 정도 짧기 때문에 노즐홀에 대한 직진성이 월등히 향상되므로 가공품에 대한 불량률 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스 노즐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노즐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가스 노즐 조립체 110 : 제 1 노즐 몸체
111 : 제 1 노즐홀 120 : 제 2 노즐 몸체
121 : 제 2 노즐홀 130 : 실링부재

Claims (5)

  1. 가스 공급배관에 연결되며 내부를 관통하는 제 1 노즐홀이 형성된 제 1 노즐 몸체; 및
    상기 제 1 노즐 몸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를 관통하는 제 2 노즐홀이 형성된 제 2 노즐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노즐홀과 상기 제 2 노즐홀의 단면적이 같도록 서로 연통이 되며, 상기 제 1 노즐 몸체로부터 상기 제 2 노즐 몸체를 착탈하며 상기 제 2 노즐 몸체의 세정을 수행하는 가스 노즐 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즐 몸체의 선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노즐 몸체의 후단부에 상기 수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가스 노즐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즐 몸체와 상기 제 2 노즐 몸체의 결합부위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스 노즐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 1 노즐 몸체의 선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노즐 몸체와 상기 제 2 노즐 몸체가 결합될 때 상기 실링부재의 양면이 상기 제 1 및 제 2 노즐 몸체와 밀착되는 가스 노즐 조립체.
KR1020080043538A 2008-05-09 2008-05-09 가스 노즐 조립체 KR100982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538A KR100982801B1 (ko) 2008-05-09 2008-05-09 가스 노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538A KR100982801B1 (ko) 2008-05-09 2008-05-09 가스 노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475A KR20090117475A (ko) 2009-11-12
KR100982801B1 true KR100982801B1 (ko) 2010-09-16

Family

ID=4160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538A KR100982801B1 (ko) 2008-05-09 2008-05-09 가스 노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8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411B1 (ko) * 2014-05-15 2016-01-05 유승배 환자용 변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492A (ko) * 2005-12-29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화상 표시장치의 제조용 스프레이 노즐과 이를 이용한습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492A (ko) * 2005-12-29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화상 표시장치의 제조용 스프레이 노즐과 이를 이용한습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475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205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ront side protection during backside cleaning
CN111101117B (zh) 匀气装置和半导体处理设备
KR100982801B1 (ko) 가스 노즐 조립체
KR101586428B1 (ko) 브러쉬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반도체 웨이퍼 세정 장치
CN112791252B (zh) 一种五官科用耳道冲洗机器
WO2016078113A1 (zh) 掩膜板的清洗方法及清洗装置
KR20070098604A (ko) 기판처리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US8505145B2 (en) Central core for a cleaning sponge roller
US20150155178A1 (en) Method of processing a substrat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TW202001005A (zh) 在一電鍍系統中之清洗元件及方法
KR100930579B1 (ko) 세정용 노즐
CN105695942A (zh) 环件结构及其制作方法
JP2013158681A (ja) 洗浄ノズル
KR101338298B1 (ko) 세정액 제조장치
CN107349022A (zh) 使种植体上形成小孔的酸蚀工艺
JP3808790B2 (ja) 基板処理装置
WO2019140549A1 (zh) 采样针清洗装置
KR101424725B1 (ko)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
KR20080099625A (ko) 웨이퍼 제조 공정에서 약액을 공급하는 노즐 및 웨이퍼세정 장치
KR20100128412A (ko) 반도체 소자의 세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M512026U (zh) 轉接式半導體設備接地機構
KR200475780Y1 (ko) 반도체 기판의 공정에 사용되는 분사노즐
CN213853365U (zh) 一种砂浆回流滤网机构
KR20070017851A (ko) 반도체 제조설비
JP2007229611A (ja) 蒸気噴射ノズ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1215

Effective date: 20110509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