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376B1 - 차량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376B1
KR100981376B1 KR1020100006990A KR20100006990A KR100981376B1 KR 100981376 B1 KR100981376 B1 KR 100981376B1 KR 1020100006990 A KR1020100006990 A KR 1020100006990A KR 20100006990 A KR20100006990 A KR 20100006990A KR 100981376 B1 KR100981376 B1 KR 100981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ripod
tow
support
t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환
Original Assignee
김옥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환 filed Critical 김옥환
Priority to KR1020100006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collapsible or retractable when not in use, e.g. hide-away h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8Tow ropes, chains or the like
    • B60D1/185Tow ropes, chains or the like comprising a cable or chain win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 B60P3/12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on a tow do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견인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많은 사전준비시간이 필요없어 견인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차량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견인장치는 견인삼각대지지장치에 연결된 견인삼각대지지쇠사슬에 양끝단이 지지되고, 양끝단에 토바대이동쇠사슬을 걸어 상기 토바대를 상기 견인차량이동시 잡아당기는 견인삼각대; 일측에 설치된 상기 토바대이동쇠사슬이 상기 견인삼각대의 양끝단에 걸치고, 타측에 형성된 노가다이고정부가 이동차량의 앞바퀴의 노가다이에 걸쳐 상기 이동차량을 지지하는 토바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견인장치 { towing apparatus for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피견인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많은 사전준비시간이 필요없어 견인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차량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중 고장을 일으키거나,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그 차량이 자력으로 운행할 수 없을 때에는 견인을 전문으로 하는 견인차량을 불러 피견인차량을 견인해 가게 되며, 이를 위해 견인차량에는 차량견인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고장난 피견인 차량을 견인조치하는 견인차량은 차량 후방쪽에 차량견인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바, 종래 이러한 차량견인장치는 견인삼각대를 이용한 차량견인장치와 유압식 견인붐을 이용한 차량견인장치로 크게 구분되는데, 여기서 전자인 견인삼각대를 이용한 차량견인장치는 삼각 견인봉을 피견인차량에 위치시키고 체인등을 이용하여 피견인 차량과 견인차량의 삼각견인봉을 결합한 후, 메인붐의 위치를 이용하여 피견인 차량을 인양한 다음 견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견인삼각대를 이용한 차량견인장치는 피견인차량의 구난시 이 삼각 견인봉을 풀고 피견인차량을 구난하는 작업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메인붐을 이용하여 견인작업이 아닌 다른 특장작업을 실시할 때면 상기 삼각견인봉을 지면에 풀어놓은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자연히 견인작업시 이 메인붐을 이용하여 다른 특장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견인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사전준비시간이 많이 필요하고,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견인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일반 토바대는 사람이 직접 손으로 무거운 토바대를 들고 움직여야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차량견인시 불편한 점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차량 견인시 피견인차량이 중량이 많이 나갈 경우 견인차량의 후방차체프레임이 약하여 차체프레임이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피견인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많은 사전준비시간이 필요없어 견인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차량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견인장치는 견인삼각대지지장치에 연결된 견인삼각대지지쇠사슬에 양끝단이 지지되고, 양끝단에 토바대이동쇠사슬을 걸어 상기 토바대를 상기 견인차량이동시 잡아당기는 견인삼각대; 일측에 설치된 상기 토바대이동쇠사슬이 상기 견인삼각대의 양끝단에 걸치고, 타측에 형성된 노가다이고정부가 이동차량의 앞바퀴의 노가다이에 걸쳐 상기 이동차량을 지지하는 토바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견인삼각대는 상하이동결합부를 중심으로 한 상하로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상하이동부; 견인삼각대연결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상하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토바대의 좌우이동을 지지하는 좌우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견인삼각대는 상기 상하이동부가 상기 상하이동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로의 회전운동을 허용 또는 금지시키는 상하이동부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는 양측에 상기 토바대와 상기 견임삼각대지지장치에 쇠사슬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방향 측에는 상하이동결합부가 결합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하이동결합부를 통하여 상하이동부제2몸체부와 결합하는 상하이동부제1몸체부; 및 일측은 상하이동부제1몸체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좌우이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상하이동부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견인삼각대는 제1몸체부고정수단을 회전시켜 좌우이동부제1몸체부가 좌우이동부제2몸체부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상하이동부고정핀이 상기 상하이동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바대는 하부에 이동차량지지결합부와 결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차량지지결합부와 결합하고 상기 이동차량을 지지하는 이동차량지지부; 하부는 토바대몸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결합하고, 상부는 상기 이동차량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결합하여 상기 이동차량지지부를 지지하는 이동차량지지결합부; 상기 이동차량지지결합부를 지지하고 상기 홈을 따라 상기 이동차량지지결합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토바대몸체부; 및 상기 토바대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차량의 앞바퀴의 노가다이에 걸쳐 상기 이동차량에 전방방향으로의 힘을 가하는 노가다이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견인장치는 상기 견인차량의 후방의 상면에 설치된 지지장치지지프레임이 상기 견인삼각대지지장치를 지지하고 견인차량의 후방차체프레임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견인장치는 상기 토바대에 연결되어 있는 토바대이동와이어를 토바대이동도르레에 걸쳐 상기 토바대이동와이어의 일측을 잡아당기거나 또는 타측을 잡아당겨 상기 토바대를 상기 견인차량에 적재 또는 내리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피견인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많은 사전준비시간이 필요없어 견인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직접 손으로 무거운 토바대를 들고 다닐 필요가 없이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무거운 토바대를 쉽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장치지지프레임을 견인차량의 후방의 상면에 보강하여 견인차량 후방차체프레임의 휘어지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견인장치(10)를 견인차량(110)에 설치하여 이동차량(130)을 견인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토바대(400)를 토바대이동와이어(600)를 사용하여 견인차량(110)에 적재하기 위해서 토바대이동와이어(600)를 잡아다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토바대(400)를 토바대이동와이어(600)를 사용하여 견인차량(110)에 적재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견인삼각대(30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견인삼각대(300)에서 상하이동부고정핀(340)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견인삼각대(300)에서 제1몸체부고정수단(333)을 회전시켰을때 좌우이동부제1몸체부(331)가 좌우이동부제2몸체부(33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토바대(4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토바대(400)위에 설치된 이동차량지지부(440)가 토바대(400) 위를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견인장치(10)를 견인차량(110)에 설치하여 이동차량(130)을 견인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토바대(400)를 토바대이동와이어(600)를 사용하여 견인차량(110)에 적재하기 위해서 토바대이동와이어(600)를 잡아다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토바대(400)를 토바대이동와이어(600)를 사용하여 견인차량(110)에 적재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견인삼각대(30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견인삼각대(300)에서 상하이동부고정핀(340)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견인삼각대(300)에서 제1몸체부고정수단(333)을 회전시켰을때 좌우이동부제1몸체부(331)가 좌우이동부제2몸체부(33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토바대(4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토바대(400)위에 설치된 이동차량지지부(440)가 토바대(400) 위를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견인차량(110)에 설치되는 차량견인장치(10)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견인장치(10)는 견인삼각대지지장치(120)에 연결된 견인삼각대지지쇠사슬(310)에 양끝단이 지지되고, 양끝단에 토바대이동쇠사슬(410)을 걸어 상기 토바대(400)를 상기 견인차량(110) 이동시 잡아당기는 견인삼각대(300), 일측에 설치된 상기 토바대이동쇠사슬(410)이 상기 견인삼각대(300)의 양끝단에 걸치고, 타측에 형성된 노가다이고정부(420)가 이동차량(130)의 앞바퀴의 노가다이(도면 미도시)에 걸쳐 상기 이동차량(130)을 지지하는 토바대(400) 및 견인삼각대지지장치(120)로 구성된다. 상기 견인삼각대지지장치(120)는 차바닥에 플레이트를 용접하여 기초를 형성한 후에 견인삼각대지지쇠사슬(310)을 연결할 수 있는 견인삼각대지지수단(121)을 지지하는 도르래(122)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차량견인장치는 상기 견인차량의 후방의 상면에 설치된 지지장치지지프레임(123)이 상기 견인삼각대지지장치를 지지하고 견인차량의 후방차체프레임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견인삼각대(3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삼각대(300)는 상하이동결합부(350)를 중심으로 한 상하로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상하이동부(320), 견인삼각대연결부(36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상하이동부(320)에 연결되어 상기 토바대(400)의 좌우이동을 지지하는 좌우이동부(330), 상기 상하이동부(320)가 상기 상하이동결합부(350)를 중심으로 상하로의 회전운동을 허용 또는 금지시키는 상하이동부고정핀(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이동부(320)는 상하이동부제1몸체부(331), 상하이동부제2몸체부(332)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제1몸체부(321)는 양측에 토바대(400)와 견임삼각대지지장치(120)에 쇠사슬로 연결하기 위한 쇠사슬고정수단(321a)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방향 측에는 상하이동결합부(350)가 결합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하이동결합부(350)을 통하여 상하이동부제2몸체부(322)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제2몸체부(322)는 일측은 상하이동부제1몸체부(321)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좌우이동부(33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이동부제1몸체부(321)는 좌우이동부(330)에 고정되어 있는 상하이동부제2몸체부(322)에 대하여 상대적인 상하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견인삼각대(300)는 제1몸체부고정수단(333)을 회전시켜 좌우이동부제1몸체부(331)가 좌우이동부제2몸체부(332)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상하이동부고정핀(340)이 상기 상하이동부(320)로부터 자동적으로 이탈하게 된다. 제1몸체부고정수단(333)과 좌우이동부제1몸체부(331)의 구체적인 결합모습은 공지되어 있는 사실이여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토바대(4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바대(400)는 하부에 이동차량지지결합부(450) 결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차량지지결합부(450)와 결합하고 상기 이동차량(130)을 지지하는 이동차량지지부(440), 하부는 토바대몸체부(430)에 형성되어 있는 홈(431)에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결합하고 상부는 상기 이동차량지지부(4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결합하여 상기 이동차량지지부(440)를 지지하는 이동차량지지결합부(450), 상기 이동차량지지결합부(450)를 지지하고 상기 토바대몸체부(430)에 형성되어 있는 홈(431)을 따라 상기 이동차량지지결합부(45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토바대몸체부(430) 및 상기 토바대몸체부(43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차량(130)의 앞바퀴의 노가다이(도면 미도시)에 걸쳐 상기 이동차량(130)에 전방방향으로의 힘을 가하는 노가다이고정부(420)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량견인장치(10)를 견인차량(110)에 설치하여 이동차량(130)을 견인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바대(400)를 토바대이동와이어(600)를 사용하여 견인차량(110)에 적재하기 위해서 토바대이동와이어(600)를 잡아당겨 토바대(400)를 견인차량(110)에 적재하거나 내릴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바대(400)에 이동차량(130)을 적재하여 이동차량(130)을 견인하게 된다. 상기 차량견인장치(10)는 상기 토바대(400)에 연결되어 있는 토바대이동와이어(600)를 토바대이동도르레(500)에 걸쳐 상기 토바대이동와이어(600)의 일측을 잡아당기거나 또는 타측을 잡아당겨 상기 토바대(400)를 상기 견인차량(110)에 적재 또는 내리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바대이동플레이트(700)를 사용하여 적재시 상기 토바대(400)가 견인삼각대(30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피견인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많은 사전준비시간이 필요없어 견인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어 산업상 매우 유용하다.
10 : 차량견인장치
110 : 견인차량
120 : 견인삼각대지지장치
121 : 견인삼각대지지수단
122 : 도르래
123 : 지지장치지지프레임
130 : 이동차량
300 : 견인삼각대
310 : 견인삼각대지지쇠사슬
320 : 상하이동부
321 : 상하이동부제1몸체부
321a : 쇠사슬고정수단
322 : 상하이동부제2몸체부
330 : 좌우이동부
331 : 좌우이동부제1몸체부
332 : 좌우이동부제2몸체부
333 : 제1몸체부고정수단
340 : 상하이동부고정핀
350 : 상하이동결합부
360 : 견인삼각대연결부
400 : 토바대
410 : 토바대이동쇠사슬
420 : 노가다이고정부
430 : 토바대몸체부
431 : 홈
440 : 이동차량지지부
450 : 이동차량지지결합부
500 : 토바대이동도르레
600 : 토바대이동와이어
700 : 토바대이동플레이트

Claims (10)

  1. 삭제
  2. 견인차량에 설치되는 차량견인장치에 있어서,
    견인삼각대지지장치에 연결된 견인삼각대지지쇠사슬에 양끝단이 지지되고, 양끝단에 토바대이동쇠사슬을 걸어 상기 토바대를 상기 견인차량이동시 잡아당기는 견인삼각대;
    일측에 설치된 상기 토바대이동쇠사슬이 상기 견인삼각대의 양끝단에 걸치고, 타측에 형성된 노가다이고정부가 이동차량의 앞바퀴의 노가다이에 걸쳐 상기 이동차량을 지지하는 토바대;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삼각대는,
    상하이동결합부를 중심으로 한 상하로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상하이동부; 및
    견인삼각대연결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상하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토바대의 좌우이동을 지지하는 좌우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견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삼각대는,
    상기 상하이동부가 상기 상하이동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로의 회전운동을 허용 또는 금지시키는 상하이동부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견인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는,
    양측에 상기 토바대와 상기 견인삼각대지지장치에 쇠사슬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방향 측에는 상하이동결합부가 결합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하이동결합부를 통하여 상하이동부제2몸체부와 결합하는 상하이동부제1몸체부; 및
    일측은 상하이동부제1몸체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좌우이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상하이동부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견인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삼각대는,
    제1몸체부고정수단을 회전시켜 좌우이동부제1몸체부가 좌우이동부제2몸체부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상하이동부고정핀이 상기 상하이동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견인장치.
  6. 견인차량에 설치되는 차량견인장치에 있어서,
    견인삼각대지지장치에 연결된 견인삼각대지지쇠사슬에 양끝단이 지지되고, 양끝단에 토바대이동쇠사슬을 걸어 상기 토바대를 상기 견인차량이동시 잡아당기는 견인삼각대;
    일측에 설치된 상기 토바대이동쇠사슬이 상기 견인삼각대의 양끝단에 걸치고, 타측에 형성된 노가다이고정부가 이동차량의 앞바퀴의 노가다이에 걸쳐 상기 이동차량을 지지하는 토바대;를 포함하고,
    상기 토바대는,
    하부에 이동차량지지결합부와 결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이동차량지지결합부와 결합하고 상기 이동차량을 지지하는 이동차량지지부;
    하부는 토바대몸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결합하고, 상부는 상기 이동차량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결합하여 상기 이동차량지지부를 지지하는 이동차량지지결합부;
    상기 이동차량지지결합부를 지지하고 상기 홈을 따라 상기 이동차량지지결합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토바대몸체부; 및
    상기 토바대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차량의 앞바퀴의 노가다이에 걸쳐 상기 이동차량에 전방방향으로의 힘을 가하는 노가다이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견인장치.
  7. 견인차량에 설치되는 차량견인장치에 있어서,
    견인삼각대지지장치에 연결된 견인삼각대지지쇠사슬에 양끝단이 지지되고, 양끝단에 토바대이동쇠사슬을 걸어 상기 토바대를 상기 견인차량이동시 잡아당기는 견인삼각대;
    일측에 설치된 상기 토바대이동쇠사슬이 상기 견인삼각대의 양끝단에 걸치고, 타측에 형성된 노가다이고정부가 이동차량의 앞바퀴의 노가다이에 걸쳐 상기 이동차량을 지지하는 토바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견인장치는,
    상기 견인차량의 후방의 상면에 설치된 지지장치지지프레임이 상기 견인삼각대지지장치를 지지하고 상기 견인차량의 후방차체프레임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견인장치.
  8. 견인차량에 설치되는 차량견인장치에 있어서,
    견인삼각대지지장치에 연결된 견인삼각대지지쇠사슬에 양끝단이 지지되고, 양끝단에 토바대이동쇠사슬을 걸어 상기 토바대를 상기 견인차량이동시 잡아당기는 견인삼각대;
    일측에 설치된 상기 토바대이동쇠사슬이 상기 견인삼각대의 양끝단에 걸치고, 타측에 형성된 노가다이고정부가 이동차량의 앞바퀴의 노가다이에 걸쳐 상기 이동차량을 지지하는 토바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견인장치는,
    상기 토바대에 연결되어 있는 토바대이동와이어를 토바대이동도르레에 걸쳐 상기 토바대이동와이어의 일측을 잡아당기거나 또는 타측을 잡아당겨 상기 토바대를 상기 견인차량에 적재 또는 내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견인장치.
  9. 견인차량에 설치되는 차량견인장치에 사용되는 토바대에있어서
    하부에 이동차량지지부와 결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이동차량지지결합부와 결합하고 이동차량을 지지하는 이동차량지지부;
    하부는 토바대몸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결합하고, 상부는 상기 이동차량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결합하여 상기 이동차량지지부를 지지하는 이동차량지지결합부;
    상기 이동차량지지결합부를 지지하고 상기 홈을 따라 상기 이동차량지지결합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토바대몸체부; 및
    상기 토바대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차량의 앞바퀴의 노가다이에 걸쳐 상기 이동차량에 전방방향으로의 힘을 가하는 노가다이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바대.
  10. 삭제
KR1020100006990A 2010-01-26 2010-01-26 차량견인장치 KR100981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990A KR100981376B1 (ko) 2010-01-26 2010-01-26 차량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990A KR100981376B1 (ko) 2010-01-26 2010-01-26 차량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376B1 true KR100981376B1 (ko) 2010-09-10

Family

ID=43009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990A KR100981376B1 (ko) 2010-01-26 2010-01-26 차량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3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755Y1 (ko) * 2010-10-25 2013-03-11 김재현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KR200466491Y1 (ko) * 2012-07-19 2013-04-18 김재현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KR20160055580A (ko) * 2014-11-10 2016-05-18 (주)용진특장 토우 돌리 바퀴 조립체 인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504U (ja) 1984-02-28 1985-09-1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被牽引装置
KR200211690Y1 (ko) * 2000-08-28 2001-01-15 조운환 견인차용 보조적재장치
KR200229953Y1 (ko) * 2001-02-02 2001-07-19 안창수 구난차량용 견인삼각대 구조
US20050158162A1 (en) * 2002-11-14 2005-07-21 Shubert Arden R. Wheel-lift device with tongue for towing vehicles-(4)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504U (ja) 1984-02-28 1985-09-1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被牽引装置
KR200211690Y1 (ko) * 2000-08-28 2001-01-15 조운환 견인차용 보조적재장치
KR200229953Y1 (ko) * 2001-02-02 2001-07-19 안창수 구난차량용 견인삼각대 구조
US20050158162A1 (en) * 2002-11-14 2005-07-21 Shubert Arden R. Wheel-lift device with tongue for towing vehicles-(4)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755Y1 (ko) * 2010-10-25 2013-03-11 김재현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KR200466491Y1 (ko) * 2012-07-19 2013-04-18 김재현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KR20160055580A (ko) * 2014-11-10 2016-05-18 (주)용진특장 토우 돌리 바퀴 조립체 인출장치
KR101682279B1 (ko) * 2014-11-10 2016-12-02 (주)용진특장 토우 돌리 바퀴 조립체 인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70135B (zh) 起重机及其起重臂俯仰装置
US9522812B2 (en) Raisable-lowerable member for crane
US10450771B2 (en) Utility pole setting trailer
US9206021B2 (en) Crane and crane assembling method
US3964767A (en) Anti-sway trailer hitch
US5405160A (en) Trailer hitch attachment apparatus
KR100981376B1 (ko) 차량견인장치
JP6509016B2 (ja) ブーム着脱装置
CN212171845U (zh) 一种侧方拖拽救援装置
KR101843011B1 (ko) 윈치의 탈부착이 용이한 다목적 로우더
US10076990B2 (en) Drag winch assembly for a tow vehicle including a slidable boom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A1156614A (en) Bumper mounted hoist and movable hitch
US2782944A (en) Vehicle towing device
US6086083A (en) Trailer hitch and method of coupling
JP4835209B2 (ja) クレーンのウィンチ取外し方法および上部旋回体
US2466938A (en) Transportation assembly
JP6525717B2 (ja) ブーム着脱装置及び着脱方法
CN104093578B (zh) 牵引装置
US3127037A (en) newman
US9212495B2 (en) Work machine
US6386569B1 (en) Fifth-wheel hitch coupling adapter
TWM444343U (zh) 直升機拖運結構改良
US3092260A (en) Back-hitch gaintry
US2787385A (en) Mast erection
US3915320A (en) Tow truck lift h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