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375B1 -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375B1
KR100981375B1 KR1020080090585A KR20080090585A KR100981375B1 KR 100981375 B1 KR100981375 B1 KR 100981375B1 KR 1020080090585 A KR1020080090585 A KR 1020080090585A KR 20080090585 A KR20080090585 A KR 20080090585A KR 100981375 B1 KR100981375 B1 KR 100981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nsor
axis
lane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1793A (ko
Inventor
김성현
오주삼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90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3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1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통량 측정을 원하는 대상 차로(10); 상기 차로(10)의 중앙에 장착되는 마그네틱센서(20); 상기 차로(10)를 차량진행방향으로 일정 간격(L) 이격하여 차로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한 쌍의 축 감지센서(30); 및 상기 마그네틱센서(20)와 축 감지센서(30)와 연결되어 모든 센서의 신호를 제어하고 차종분류를 위한 연산을 하는 제어기(40); 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각의 축 감지센서(30)는 차로 폭의 절반 길이이며, 상기 마그네틱센서(20)는 두 개의 축 감지센서(30)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며, 각각의 축 감지센서(30)는 차로(10)의 한쪽 부분으로 쏠려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종별 교통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시스템으로,
축 감지센서(30)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차량 속도 산출모듈; 상기 산출된 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축간 거리를 산출하는 차량의 축간거리 산출모듈; 차량이 마그네틱센서(20) 위를 점유한 시간을 측정하는 점유시간 측정모듈;
상기 산출된 차량 속도와 점유시간을 이용하여 차량의 길이를 산정하는 차량길이 산출모듈; 및 마그네틱센서(20)가 활성화되는 동안에 축 감지센서(30)에서 발생한 신호의 개수를 측정하여 차량의 축수를 산정하는 차량의 축수 산출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별 교통 파라미터 산출시스템도 제공한다.
AVC, 이동식, 교통량, 교통파라미터, 차종별

Description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Movable Automatic Vehicle Classification}
본 발명은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존재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마그네틱센서와 차량의 축을 검지할 수 있는 복수의 축 검지 센서를 조합하여 이동식으로 차량의 교통량과 차종, 속도, 점유시간을 획득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도로매설형 고정식 AVC(Automatic Vehicle Classification) 장비는 피에죠 센서와 루프센서를 조합하여 차량의 축수와 차량길이를 수집하여 차종별 교통량을 제공하는 장비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센서의 조합은 통상 1개 차로에 대해서 피에죠센서 1개와 루프센서 2개(도1(a))를 사용하는 방식과, 피에죠센서 2개와 루프센서 1개(도1(b))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국토해양부에서는 2007년부터 도로의 교통량을 차량을 12종으로 분류하여 조사하고 있다. 현재의 기술로 인력에 의한 조사가 아닌 기계식으로 12가지 차종별로 교통량을 조사하는 경우 루프센서와 피에죠센서를 도로 포장면에 매설하고 1년 365일 조사하는 상시교통량장비(AVC: Automatic Vehicle Classification)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식으로 12차종을 조사하는 경우는 매설형 장비에 사용했던 루프센서(1.8m ×1.8m)의 사각 혹은 8각 형태로 노면에 부착시켜야 하고 피에죠센서를 노면에 부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센서의 형상을 유지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의 이동식 차량검지의 경우는 대부분의 경우 마그네틱센서만을 사용하거나 축 검지 센서만을 사용하는 검지기였다. 따라서 마그네틱센서만을 활용하는 경우 차량 분류는 차량의 길이정보만을 활용하여 실시하게 되었고, 이 경우 차종분류는 대, 중, 소 정보로 매우 제한적인 차종분류만이 가능했다. 그리고 축 검지 센서만을 활용하는 차량검지기의 경우는 대부분 정확한 속도 자료를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에 활용하고 있으며, 차량 과속단속장비의 정확도 평가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비들은 개별 차량을 구분하는 기능이 교통량이 많아지면 현저히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물론, 차종분류를 목적으로 하는 차량검지기의 경우, 피에죠 센서를 활용하는 도로 매설형 고정식 장비는 기존에 설치, 운영되고 있었으나, 차종분류를 목적으로 하는 이동식 장비는 현재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을 사용하여,
첫째, 기존의 이동식 장비에서 획득할 수 없었던 차종별 교통량(이륜 차량 포함)을 획득하고자 한다.
둘째, 기존의 이동식 장비에서 획득할 수 없었던 차량의 축수 및 축간 거리를 산출하고자 한다.
셋째, 기존 장비보다 더욱 정확한 차량속도 및 점유시간 자료를 획득하고자 한다.
넷째, 기존 도로매설형 고정식 AVC 장비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장비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통량 측정을 원하는 대상 차로(10); 상기 차로(10)의 중앙에 장착되는 마그네틱센서(20); 상기 차로(10)를 차량진행방향으로 일정 간격(L) 이격하여 차로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한 쌍의 축 감지센서(30); 및 상기 마그네틱센서(20)와 축 감지센서(30)와 연결되어 모든 센서의 신호를 제어하고 차종분류를 위한 연산을 하는 제어기(40); 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각의 축 감지센서(30)는 차로 폭의 절반 길이이며, 상기 마그네틱센서(20)는 두 개의 축 감지센서(30)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며, 각각의 축 감지센서(30)는 차로(10)의 한쪽 부분으로 쏠려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종별 교통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시스템으로,
축 감지센서(30)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차량 속도 산출모듈; 상기 산출된 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축간 거리를 산출하는 차량의 축간거리 산출모듈; 차량이 마그네틱센서(20) 위를 점유한 시간을 측정하는 점유시간 측정모듈;
상기 산출된 차량 속도와 점유시간을 이용하여 차량의 길이를 산정하는 차량길이 산출모듈; 및 마그네틱센서(20)가 활성화되는 동안에 축 감지센서(30)에서 발생한 신호의 개수를 측정하여 차량의 축수를 산정하는 차량의 축수 산출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별 교통 파라미터 산출시스템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게 되면,
첫째로, 기존의 이동식 장비로는 획득할 수 없었던 차종별 교통량(이륜 차량 포함)의 획득이 가능하고, 둘째로, 기존의 이동식 장비에서는 획득할 수 없었던 차량별 축수, 축간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셋째로, 기존의 장비보다 더욱 정확한 차량속도 및 점유시간 자료의 획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차로에 설치되어 차종별 교통량을 측정하는 이동식 장치로서,
교통량 측정을 원하는 대상 차로(10); 상기 차로(10)의 중앙에 장착되는 마그네틱센서(20); 상기 차로(10)를 차량진행방향으로 일정 간격(L) 이격하여 차로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한 쌍의 축 감지센서(30); 및 상기 마그네틱센서(20)와 축 감지센서(30)와 연결되어 모든 센서의 신호를 제어하고 차종분류를 위한 연산을 하는 제어기(40); 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각의 축 감지센서(30)는 차로 폭의 절반 길이이며, 상기 마그네틱센서(20)는 두 개의 축 감지센서(30)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며, 각각의 축 감지센서(30)는 차로(10)의 한쪽 부분으로 쏠려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축 감지센서(30)는 하나는 차로(10)의 오른쪽 부분에, 다른 하나는 차로(10)의 왼쪽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 감지센서(30)는 테이프 스위치 센서, 공기 튜브, 피에죠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차종별 교통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시스템으로, 축 감지센서(30)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차량 속도 산출모듈; 상기 산출된 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축간 거리를 산출하는 차량의 축간거리 산출모듈; 차량이 마그네틱센서(20) 위를 점유한 시간을 측정하는 점유시간 측정모듈; 상기 산출된 차량 속도와 점유시간을 이용하여 차량의 길이를 산정하는 차량길이 산출모듈; 및 마그네틱센서(20)가 활성화되는 동안에 축 감지센서(30)에서 발생한 신호의 개수를 측정하여 차량의 축수를 산정하는 차량의 축수 산출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별 교통 파라미터 산출시스템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 속도 산출모듈에서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수학식은,
Figure 112008064993913-pat00001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V: 차량의 속도, n: 차량의 축 수, tn1: 차량의 n번째 축이 차량 진입방향의 축 감지센서를 통과하는 시간, tn2: 차량의 n번째 축이 차량 진출방향의 축 감지센서를 통과하는 시간, L: 축 감지센서간 거리)
또한, 상기 차량의 축간거리 산출모듈에서 차량의 축간거리를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수학식은,
Figure 112008064993913-pat0000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Xmn: 차량의 m번째 축과 n번째 축 사이의 거리, V: 차량의 속도, tn1: 차량의 n번째 축이 차량 진입방향의 축 감지센서를 통과하는 시간, tn2: 차량의 n번째 축이 차량 진출방향의 축 감지센서를 통과하는 시간, tm1: 차량의 m번째 축이 차량 진입방향의 축 감지센서를 통과하는 시간, tn2: 차량의 m번째 축이 차량 진출방향의 축 감지센서를 통과하는 시간, m≠n )
또한, 상기 차량의 길이 산정모듈에서 차량의 길이를 산정하는데 사용되는 수학식은, VL = PT × V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VL: 차량의 길이, PT: 점유시간, V: 차량의 속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측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차종별 교통 파라미터 산출시스템을 나누어서 설명한다.
1.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측정장치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5는 도로교통량의 통합 12차종 분류를 위한 기준을 나타내는 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는 도3 또는 도4에서 보듯이 차로(10), 마그네틱센서(20), 축 감지센서(30) 및 제어기(40)로 이루어지며, 차로(10)를 제외한 마그네틱센서(20), 축 감지센서(30) 및 제어기(40)는 착탈식으로 차로(10)에 착탈이 가능하므로 고정식 혹은 매립식이 아닌 이동식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차로에 설치되어 차종별 교통량을 측정하는 이동식 장치로서, 교통량 측정을 원하는 대상 차로(10); 상기 차로(10)의 중앙에 장착되는 마그네틱센서(20); 상기 차로(10)를 차량진행방향으로 일정 간격(L)으로 이격하여 차로를 가 로질러 설치되는 한 쌍의 축 감지센서(30); 및 상기 마그네틱센서(20)와 축 감지센서(30)와 연결되어 모든 센서의 신호를 제어하고 차종분류를 위한 연산을 하는 제어기(4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차로(10)는 교통량 측정을 원하는 위치의 차로로, 본 발명은 각 차로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여러 차로에서의 교통량 측정을 원하는 경우에는 각 차로별로 본 발명인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를 설치해주어야 한다.
마그네틱센서(20)는 교통량 측정을 원하는 차로(1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이 마그네틱센서(20)의 상부를 지나가는 경우에 반응하는 것이다. 이는 차량과 직접적인 접촉이 없더라도 차량이 마그네틱센서(20)의 상부를 지나가는 경우에는 센서가 반응하므로 차량이 마그네틱센서(20)의 상부에 진입하여 차량의 꼬리가 나갈 때까지 계속해서 센서가 반응하게 된다.
축 감지센서(30)는 차량의 진입방향과 차량이 나가는 방향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축 감지센서(30)는 차로 폭의 절반 길이에 해당하며 축 감지센서(30) 간에 일정한 거리(L)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축 감지센서(30)는 차로(10)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각각이 한쪽 방향으로 쏠려서 설치될 수도 있고, 하나는 차로의 오른쪽 부분에, 다른 하나는 차로의 왼쪽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축 감지센서(30)는 차량의 바퀴가 센서의 상부를 지나갈 때 차량이 차로에 가하는 하중에 의해 센서가 작동하는 것으로, 차량의 각 축(바퀴)이 센서의 상부를 지나갈 때만 센서가 반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축 감지센서(30)는 상기 마그네틱센서(20)를 사이에 두고 양쪽 같은 거리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축 감지센서(30)에는 테이프 스위치 센서, 공기 튜브, 피에죠 센서 등이 존재한다.
제어기(40)는 상기 마그네틱센서(20)와 축 감지센서(30)와 연결되어 모든 센서의 신호를 제어하고 차종분류를 위한 연산하는 장치이다. 제어지(40)는 각 센서에서의 정보획득을 위해 마그네틱센서(20)와 축 감지센서(30)와 각각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마그네틱센서(20)가 설치된 부분에 같이 설치되나, 각 센서와 연결된 상태라면 그 설치 위치는 제한이 없다.
2. 차종별 교통 파라미터 산출시스템
도6은 본 발명인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차종별 교통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6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차종별 교통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시스템으로, 축 감지센서(30)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차량 속도 산출모듈; 상기 산출된 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축간 거리를 산출하는 차량의 축간거리 산출모듈; 차량이 마그네틱센서(20) 위를 점유한 시간을 측정하는 점유시간 측정모듈; 상기 산출된 차량 속도와 점유시간을 이용하여 차량의 길이를 산정하는 차량길이 산출모듈; 및 마그네틱센서(20)가 활성화되는 동안에 축 감지센서(30)에서 발생한 신호의 개수를 측정하여 차량의 축수를 산정하는 차량의 축수 산출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별 교통 파라미터 산출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각 모듈별로 상세히 살펴본다.
차량 속도 산출모듈은 상기 설명한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산출해 내는 모듈로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수학식 '속도=이동거리/시간' 공식을 이용하게 된다.
여기서는 수학식
Figure 112008064993913-pat00003
을 사용하게 된다. (V: 차량의 속도, n: 차량의 축 수, tn1: 차량의 n번째 축이 차량 진입방향의 축 감지센서를 통과하는 시간, tn2: 차량의 n번째 축이 차량 진출방향의 축 감지센서를 통과하는 시간, L: 축 감지센서간 거리)
가령, 2축 차량을 예로 들면,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측정장치를 사용하면 차량이 센서를 통과할 때 하기의 [그림1]과 같이 마그네틱 센서와 테이프 스위치 센서(이하, 축 감지센서의 일례로 테이프 스위치 센서를 사용한다.)가 반응하게 된다.
[그림1]
Figure 112008064993913-pat00004
차량의 접근과 더불어 마그네틱 센서(20)가 반응하게 되고 이러한 반응이 유지되는 동안에 차량의 첫 축이 차량 진입방향의 축 검지센서(30)를 통과하며 이 때의 시각을 t1 이라 한다. 또한, 차량의 진행과 더불어 첫 축이 차량 진출방향의 축 검지센서(30)를 통과하게 되면 이 때의 시각을 t2 라 한다. 또한, 차량의 둘째 축이 차량 진입방향의 축 검지센서(30)를 통과하며 이 때의 시각을 t3 라 한다. 또한, 차량의 둘째 축이 차량 진출방향의 축 검지센서(30)를 통과하게 되면 이 때의 시각을 t4 라 한다. 따라서 축 검지 센서 간 이격거리(L)와 두 개의 축 검지센서(30)를 밟을 때까지의 시간(t2-t1 )을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 속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두번째 축에 의한 속도를 별도로 산출하여 이를 첫번째 축의 속도와 산술평균하는 방법에 의해 최종 차량의 속도(V)를 산출한다. 본 예에서의 차량의 속도를 산출해보면, V=1/2[(t2-t1)/L+(t4-t3)]가 된다. 여기서, V는 통과차량 속도, t1, t2 ,t3,t4 는 차량 축의 통과시각을 의미한다. 이를 일반화하여 표현한 식이 상기의 수학식
Figure 112008064993913-pat00005
에 해당한다.
차량의 축간거리 산출모듈에서는 장치를 통과하는 차량이 가진 축들 간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도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속도=이동거리/시간'이라는 식을 활용하게 된다. 차량의 속도는 상기의 차량 속도 산정모듈에서 산정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차량의 축간거리 산출모듈에서 차량의 축간거리를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수학식은,
Figure 112008064993913-pat00006
이다.
(AXmn: 차량의 m번째 축과 n번째 축 사이의 거리, V: 차량의 속도, tn1: 차량의 n번째 축이 차량 진입방향의 축 감지센서를 통과하는 시간, tn2: 차량의 n번째 축이 차량 진출방향의 축 감지센서를 통과하는 시간, tm1: 차량의 m번째 축이 차량 진입방향의 축 감지센서를 통과하는 시간, tn2: 차량의 m번째 축이 차량 진출방향의 축 감지센서를 통과하는 시간, m≠n )
상기의 [그림1]을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상기 [그림1]에서의 첫째 축과 둘째 축의 거리를 산출해 보면, AX12=1/2×V×[(t3-t1)+(t4-t2)]가 되며, 3축 이상의 다축 차량인 경우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AX12는 통과차량의 첫째 축과 둘째 축의 거리이다. 이를 일반화하여 표현한 식이 상기의 수학식
Figure 112008064993913-pat00007
에 해당한다. 여기서, 축간 거리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축이 단일축인지 탠덤축인지 구분할 수 있으며, 이의 구분은 2번째 축이면서 축간 거리가 1,350mm이하인 경우는 탠덤축인 것으로 판단한다.
점유시간 측정모듈에서는 차량이 마그네틱 센서(20) 위를 점유한 시간을 마그네틱 센서가 반응한 시간으로 보아 차량이 마그네틱 센서(20) 위를 모두 지나가는 동안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마그네틱센서(20)가 계속해서 작동하는 시간을 측정하기만 하면 가능하다.
차량길이 산정모듈은 교통량 측정을 원하는 차량의 길이를 상기의 이동식 장치로 산정하는 것으로 이 또한, '속도=이동거리/시간'의 식을 이용하게 된다.
즉, 상기 차량의 길이 산정모듈에서 차량의 길이를 산정하는데 사용되는 수학식은, VL = PT × V 에 해당하게 된다. (VL: 차량의 길이, PT: 점유시간, V: 차량의 속도) 즉, 차량이 모두 통과하는 동안에 상기의 마그네틱센서(20)가 계속해서 반응하게 되므로 센서의 반응시간은 차량의 머리부터 꼬리까지의 통과시간과 동일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에서 이미 산정한 차량의 속도를 활용하여 차량의 길이를 산정할 수 있게 된다.
차량의 축수 산정모듈에서는 통과하는 차량이 가지고 있는 축의 수를 산정하게 된다. 마그네틱센서(20)는 차량이 통과하는 동안 계속해서 반응할 것이므로, 마그네틱센서(20)가 반응하는 동안에 테이프 스위치 센서(축 감지센서)에서 발생한 신호의 개수가 해당 차량의 축수에 해당하게 된다. 그러므로, 마그네틱센서(20)의 연속 반응 시간 동안에 축 감지센서(30)가 작동한 횟수가 차량의 축 수에 해당하게 된다.
도1(a) 및 도1(b)는 종래 도로 매설형 고정식 AVC장비를 나타내는 개괄도.
도2는 차량 검지기의 센서 종류에 따른 차종분류 능력을 나타내는 표.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5는 도로교통량의 통합 12차종 분류를 위한 기준을 나타내는 표.
도6은 본 발명인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차종별 교통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1: 피에죠센서 2: 루프센서
10: 차로 11: 차선
20: 마그네틱센서 30: 축 감지센서
40: 제어기
L: 축 감지센서 간 거리

Claims (7)

  1. 차로에 설치되어 차종별 교통량을 측정하는 이동식 장치로서,
    교통량 측정을 원하는 대상 차로(10);
    상기 차로(10)의 중앙에 장착되는 마그네틱센서(20);
    상기 차로(10)를 차량진행방향으로 일정 간격(L) 이격하여 차로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한 쌍의 축 감지센서(30); 및
    상기 마그네틱센서(20)와 축 감지센서(30)와 연결되어 모든 센서의 신호를 제어하고 차종분류를 위한 연산을 하는 제어기(40); 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각의 축 감지센서(30)는 차로 폭의 절반 길이이며, 상기 마그네틱센서(20)는 두 개의 축 감지센서(30)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며, 각각의 축 감지센서(30)는 차로(10)의 한쪽 부분으로 쏠려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측정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한 쌍의 축 감지센서(30)는 하나는 차로(10)의 오른쪽 부분에, 다른 하나는 차로(10)의 왼쪽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측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축 감지센서(30)는 테이프 스위치 센서, 공기 튜브, 피에죠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측정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80090585A 2008-09-16 2008-09-16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 KR100981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585A KR100981375B1 (ko) 2008-09-16 2008-09-16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585A KR100981375B1 (ko) 2008-09-16 2008-09-16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793A KR20100031793A (ko) 2010-03-25
KR100981375B1 true KR100981375B1 (ko) 2010-09-10

Family

ID=4218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585A KR100981375B1 (ko) 2008-09-16 2008-09-16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3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799B1 (ko) * 2012-12-05 2014-02-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좌회전 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좌회전 대기 차로의 길이 설정 방법
CN107742418A (zh) * 2017-09-29 2018-02-27 东南大学 一种城市快速路交通拥堵状态及堵点位置自动识别方法
KR20200048022A (ko) * 2018-10-29 2020-05-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량 주행 소음을 활용한 교통정보 산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9044B (zh) * 2016-02-26 2017-12-29 深圳市国帆网络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利用三轴磁传感器的车位车辆探测方法及装置
US9984704B2 (en) 2016-08-05 2018-05-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ehicle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872023B1 (ko) 2017-11-27 2018-06-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루프센서 매설을 위한 충진 스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912A (ko) * 1999-12-23 2001-07-05 남궁석 차량 정보 검출장치 및 방법
KR20010067701A (ko) * 2001-03-09 2001-07-13 강문호 지자기센서를 이용한 차량감지장치
KR20040032516A (ko) * 2002-10-10 2004-04-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식 차량정보 수집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912A (ko) * 1999-12-23 2001-07-05 남궁석 차량 정보 검출장치 및 방법
KR20010067701A (ko) * 2001-03-09 2001-07-13 강문호 지자기센서를 이용한 차량감지장치
KR20040032516A (ko) * 2002-10-10 2004-04-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식 차량정보 수집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799B1 (ko) * 2012-12-05 2014-02-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좌회전 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좌회전 대기 차로의 길이 설정 방법
CN107742418A (zh) * 2017-09-29 2018-02-27 东南大学 一种城市快速路交通拥堵状态及堵点位置自动识别方法
CN107742418B (zh) * 2017-09-29 2020-04-24 东南大学 一种城市快速路交通拥堵状态及堵点位置自动识别方法
KR20200048022A (ko) * 2018-10-29 2020-05-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량 주행 소음을 활용한 교통정보 산출 시스템 및 방법
KR102200723B1 (ko) 2018-10-29 2021-01-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량 주행 소음을 활용한 교통정보 산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793A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3486B (zh) 车辆用系统及前进道路推定方法
KR100981375B1 (ko) 이동식 차종별 교통량 조사장치
JP5068546B2 (ja) 磁気交通制御システム
EP2029414B1 (en) Vehicle state quantity predicting apparatus and vehicle steering controller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redicting a vehicle state quantity and vehicle steering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US9851216B2 (en) Traffic lane guidance system for vehicle and traffic lane guidance method for vehicle
KR100917051B1 (ko) 주행차량의 교통정보산출장치 및 그 산출방법
US20040056778A1 (en) Vehicle speed estimation using inductive vehicle detection systems
CN109074727A (zh) 安全驾驶辅助系统、车辆、以及程序
US20210398420A1 (en) Moving body monitoring system, control server of moving body monitoring system, and moving body monitoring method
KR20090076270A (ko) 무인차량 주행 시스템
ITTO20100720A1 (it) Sistema e metodo di misura della rugosita&#39; di una superficie stradale
CN107657817A (zh) 一种基于多地磁传感器的车辆状态检测装置
JP2010086070A (ja) 道路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10081636A (ko) 터널교통 상황정보 시스템
KR100939962B1 (ko) 차종정보 인식장치 및 방법
JP6521504B2 (ja) 特殊信号発光機検査装置及び該特殊信号発光機検査装置を有する軌陸車
KR101475062B1 (ko) 차량 통행정보 관리시스템
JP6419260B1 (ja) 交通情報取得装置、交通情報取得システム、交通情報取得方法、および交通情報取得プログラム
KR100906432B1 (ko) 피에조센서를 이용한 교통량조사장비
KR100682513B1 (ko) 자기패턴을 이용한 궤도차량의 정차시스템 및 정차방법
KR101049739B1 (ko) 차량의 윤폭비를 이용한 차종분류 장치
KR101112607B1 (ko) 어레이 자기센서를 이용한 차량 위치검출 시스템
KR20170084666A (ko) 교차로에서의 차량 진입 알람 발생 장치 및 방법
RU2652673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стрелочных переводов и положения остряков
CN109564431A (zh) 用于引导车辆的系统以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