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308B1 -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 Google Patents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308B1
KR100981308B1 KR1020090113035A KR20090113035A KR100981308B1 KR 100981308 B1 KR100981308 B1 KR 100981308B1 KR 1020090113035 A KR1020090113035 A KR 1020090113035A KR 20090113035 A KR20090113035 A KR 20090113035A KR 100981308 B1 KR100981308 B1 KR 100981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afety
safety rod
rod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옥
Original Assignee
이은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옥 filed Critical 이은옥
Priority to KR1020090113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06B2009/015Mount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벽체의 창을 가로지르는 안전봉 몸체; 그리고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 서포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벽체의 개구부, 예를 들면 건축물의 창을 통한 낙상사고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비상시 상기 창을 통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성 및 편의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창 안전봉, 창 안전시설, 프레임, 몸체, 서포터

Description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Safety Bar for Window and Safety Guard for Window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벽체에 형성된 창에 구비되는 창 안전봉 및 창 안전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의 개구부를 통해 낙상사고 등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동시에 비상시 상기 창을 통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성 및 편의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체에는 창과 같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창에는 창호가 설치되는데 상기 창호는 태양광에 의한 실내 조명 기능과 함께 실외 관망기능 및 풍수의 차단, 방음, 단열 등의 역할을 하는 건축물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상기 창호의 일반적인 구조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된 벽체의 개구부인 창에 창틀이 설치되고, 상기 창틀의 내측에 이를 개폐하기 위한 투명, 불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창이 장착된 창문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창호는 벽체의 개구부인 창에 구비되는 창틀(1)과, 상기 창틀(1)에 설치되는 창문(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창문(2)은 상기 벽체에 형성된 창의 구조나 크기 등에 따라 미서기창, 미붙이창, 여닫이 창, 중연창, 중중연창 등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창문(2)의 설치를 위한 창틀(1)은 주로 상기 벽체에 형성된 창에 대응되는 형태로서 일반적으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한 쌍의 나란한 수평 프레임(1a)과 상기 한 쌍의 수평 프레임(1a)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나란한 수직 프레임(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창문(2)은 주로 상기 수평 프레임(1a)에 상단과 하단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1a)에 형성된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창을 개폐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창호는 창문(2) 개방시 그 개방된 부위를 통해 잦은 낙상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인 창호는 상기 창문(2)이 개방된 상태에서, 개구부를 통해 사람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해주는 시설물이 없어 위험에 대한 지각능력이 발달하지 못한 유아 또는 어린이가 개구부를 통해 건축물 외부로 낙하하여 낙상사고 또는 심할 경우 사망사고까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성인의 경우에도 부주의로 인한 낙하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주로 상기 창문(2)의 실외측에 안전봉이 설치되고 있으나, 종래의 안전봉은 고정식으로서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제거가 어려워서 화재 등의 비상시에 오히려 탈출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창호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 개방시 개구된 부위를 통해 낙상사고 등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상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 형성이 용이하여 안전성 및 편의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을 통한 출입공간 형성이 용이한 구조의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체에 형성된 창에 구비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비상시 상기 창을 통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창 안전봉으로서, 상기 벽체의 창을 가로지르는 안전봉 몸체; 그리고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 서포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 안전봉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는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봉 몸체는 접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 라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창에 출입공간 형성시 상기 몸체가 접힘으로써 창의 출입공간을 더 넓힐 수 있어 비상시 보다 안전한 출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분리지지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는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에 분리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창 안전봉은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가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벽체의 창을 가로지르는 제1안전봉 몸체와,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안전봉 몸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지지 서포터를 갖는 제1안전봉; 그리고 상기 제1안전봉 몸체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안전봉 몸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체의 창에 구비되는 제2안전봉 몸체를 갖는 제2안전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 안전시설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안전봉은 상기 제2안전봉 몸체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전지지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지지 서포터와 상기 제2회전지지 서포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안전봉 몸체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는 접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은 상기 창에 출입공간 형성시 상기 제1안전봉 몸체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가 접힘으로써 창의 출입공간을 더 넓힐 수 있어 비상시 보다 안전한 출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은 상기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분리지지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에 분리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창 안전시설은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과 이를 갖는 창 안전시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 개방시 개구된 부위를 통해 낙상사고 등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봉 또는 창 안전시설을 설치한 후 선택적으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 형성이 가능하여 비상시에 상기 창을 통한 탈출이 가능하므로 안전성과 비상시의 대피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창을 통한 출입공간 형성작업이 단순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비상시에 신속하게 대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창 안전봉 또는 창 안전시설을 프레임과 모듈화하므로 필요에 따라 안전봉 또는 창 안전시설의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봉 몸체가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창의 출입공간을 더 넓힐 수 있어 비상시 보다 안전한 출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2실시예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3실시예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은 벽체의 창 즉, 개구부에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화재 등의 비상시에 창을 통한 탈출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창 형성을 위한 벽체의 개구부에 직접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 예를 들면 프레임이나 서포터 등을 매개로 상기 창에 구비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1실시예(10)는 벽체(W)에 형성된 창(O)을 가로지르는 안전봉 몸체(100)와,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일단부(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봉 몸체(100)는 상기 회전지지부(130)에 의해 상기 창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부(130)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0)와 힌지(131) 결합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 서포터(14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0)가 직접 상기 벽체 또는 상기 벽체의 창에 설치된 프레임에 직접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결국,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창에 구비될 경우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일단부(11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단으로 작용하고 상기 안전봉 몸 체(100)의 타단부(120)가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는 자유단으로 작용하는 구조를 가지면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일단부(110) 즉 상기 회전지지부(130)의 힌지(131)를 회전축으로 상기 안전봉 몸체(100)가 회전하면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가능하여 유용하고 편리하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안전봉 몸체가 상기 창에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창에 출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창에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장착되고 수평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창에 출입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창 안전봉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창을 형성하는 벽체의 개구부 테두리면에 직접 설치되는 형태로 상기 창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별도의 프레임유닛 또는 복수의 프레임을 상기 창에 설치한 후 상기 프레임유닛 또는 복수의 프레임에 상기 창 안전봉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일단(110)이 설치되는 프레임을 제1프레임이라 칭하고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타단(120)이 설치되는 프레임을 제2프레임이라 칭한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은 상기 창의 테두리면 중 상호 대향된 수직 테두리면에 각각 설치되거나 상호 대향된 수평 테두리면에 각각 설치되는 별도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창의 테두리면과 대응되는 일체형의 프레임의 상호 대향된 수평 프레임 또는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벽체에 형성된 창의 테두리면 중 대향된 수직 테두리면에 상호 이격되게 각각 구비되는 제1프레임(11)과 제2프레임(12)에 장착되어 상기 창에 설치되는 구조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11)에는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일단부(11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지지 서포터(140)가 구비되고, 상기 제2프레임(12)에는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타단부(120)가 분리가능하게 지지되는 분리지지 서포터(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40)는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일단부(110)와 결합되는 회전결합부(141)와 상기 제1프레임에 고정되는 플랜지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결합부(141)는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일단부(110)와 힌지(131) 결합되고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회전방향 즉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플랜지부(142)는 상기 제1프레임(11)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일단부(110)는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40)의 회전결합부(141)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일단부(110)에 구비된 회전지지체(111)를 매개로 상기 회전결합부(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개시한다.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는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타단부(120)가 지지 되는 지지부(151)와, 상기 제2프레임(12)에 고정되는 브라켓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51)는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12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홈(151a)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51a)은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회전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타단부(120)는 평상시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의 삽입홈(151a)에 지지되며, 비상시 상기 삽입홈(151a)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안전봉 몸체(100)가 일단부(110)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타단부(120)는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의 삽입홈(151a)에 직접 삽입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타단부(120)에 구비된 고정지지체(121)를 매개로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의 삽입홈(151a)에 삽입 가능한 구조를 개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평상시에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타단부(120)가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고 비상시에만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은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타단부(120)가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타단부(120)를 구속하는 잠금유닛(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유닛(160)은 회전 방식으로 상기 안전봉 몸체(100) 의 타단부(120) 즉, 상기 고정지지체(121)를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 내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시키는 형태를 개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잠금유닛(160)은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의 지지부(151) 내부에 형성된 수용홀(151b)에 탄력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식 걸쇠(16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식 걸쇠(161)는 상기 고정지지체(121)에 회전방식으로 걸림되거나 걸림해제되는 걸림홈(161a)을 가지며, 힌지축(162)과 토션스프링(163)에 의해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에 탄력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힌지축(162)은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축방향과 동일한 회전축방향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토션스프링(163)은 상기 힌지축(162)에 권선된 상태로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와 상기 회전식 걸쇠(161)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식 걸쇠(161)는 상기 토션스프링(16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타단부(120) 즉 상기 고정지지체(121)를 구속하여 안전봉 몸체(100)를 고정하거나 비상시 탄력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120) 즉 상기 고정 지지체(121)의 구속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안전봉 몸체(100)가 상기 일단부(110)를 회전축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회전식 걸쇠(161)에는 회전식 걸쇠의 회전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작돌기가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창 안전봉의 지지력 및 강도가 향상되도록, 창 안전봉의 단부 즉 안전봉 몸체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들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며, 이외에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한 쌍의 프레임들 사이에 별도의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창 안전봉 설치를 위하여 3개 이상의 프레임들이 상기 벽체의 창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창을 형성하는 벽체의 개구부 테두리면 중 양측단에 각각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양측단 프레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더 구비하여, 창의 폭이 넓은 경우 각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창 안전봉의 길이가 길어져 이로 구성된 창 안전봉의 지지력이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안전봉이 설치된 프레임들은 창에 구비되는 창틀프레임과 모듈화되어 상기 창에 구비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창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2실시예(2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안전봉 몸체(100)가 일단부(110) 즉 회전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개시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안전봉 몸체(100)가 상기 일단부(110)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 역시 상기 안전봉 몸체(100)가 상기 일 단부(110)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가능하여 유용하고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20)은 상기 안전봉 몸체(10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분리지지 서포터(250)의 구조가 전술한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250)는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타단부(120)가 수직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갖는 삽입홈(251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20) 역시 평상시에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타단부(120)가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25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고 비상시에만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2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회전식 걸쇠(261)를 갖는 잠금유닛(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봉 몸체(100)의 타단부(120)가 수직방향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원활한 분리를 위해 상기 회전식 걸쇠(261)를 탄력적으로 회전지지하는 힌지축(262)과 토션스프링(263)이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250)의 수용홀(251b) 하부에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20)은 상기 안전봉 몸체(100)가 일단부(110)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3실시예(20)는 전술 한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안전봉 몸체(300)가 접철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안전봉 몸체(300)가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300a)를 갖는 제1몸체부(310)와 타단부(300b)를 갖는 제2몸체부(320)로 분할되며,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는 접철부(330)에 의해 접철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철부(330)는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를 힌지(331) 결합시켜 상기 안전봉 몸체(300)가 접철 가능하게 한다.
이 때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는 상호 직접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 접철 가능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몸체부(310)에 구비된 제1접철부(311)와 상기 제2몸체부(320)에 구비된 제2접철부(321)를 힌지(331) 결합하여 상기 안전봉 몸체(300)가 접철되도록 구성한 것을 개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평상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상기 안전봉 몸체(300)의 타단이 창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부(330)가 외력 등에 의해 임의로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를 접철시키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접철부(330)에는 별도의 잠금유닛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유닛의 일 예로 상기 힌지(331)의 일측에 상기 제1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20)에 결합되는 잠금핀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30)은 상기 안전봉 몸체(300)가 상기 일단부(300a)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가능하여 유용하고 편리하며, 또한 상기 창에 출입공간 형성시 상기 안전봉 몸체(300)가 접힘으로써 창의 출입공간을 더 넓힐 수 있어 비상시 보다 안전한 출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30)은 상기 안전봉 몸체(300)가 접철되는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2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실시예의 다른 설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실시예(40)는 벽체(W)의 창(O)을 가로지르는 제1안전봉 몸체(100a)와 상기 제1안전봉 몸체(100a)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안전봉 몸체(100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지지 서포터를 갖는 제1안전봉과, 그리고 상기 제1안전봉 몸체(100a)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100c)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안전봉 몸체(100a)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체의 창에 구비되는 제2안전봉 몸체(100b)를 갖는 제2안전봉을 포함하여 구 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40)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을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100c)를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창 안전봉이 상기 창을 가로지르도록 난간 형태로 설치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에서 상기 제1안전봉과 제2안전봉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동일한 회전방식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 것이며, 다만 상기 제1안전봉과 제2안전봉 실질적으로 상기 제1안전봉 몸체(100a)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100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일체적 거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안전봉 몸체(100a)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100b)를 연결부재(100c)를 매개로 연결한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은 상기 제1안전봉과 제2안전봉 즉 상기 제1안전봉 몸체(100a)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100b)가 연결부재(100c)를 매개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안전봉 몸체(100a)의 일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100b) 일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만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회전지지 서포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안전봉 몸체(100a)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100b)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부에만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분리지지 서포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안전봉 몸체(100a)의 일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100b) 일단부에 각각 제1회전지지 서포터와 제2회전지지 서포터가 구비되고 상 기 상기 제1안전봉 몸체(100a)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100b) 타단부에 각각 제1분리지지 서포터와 제2분리지지서포터가 구비될 경우, 상기 제1회전지지 서포터와 상기 제2회전지지 서포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분리지지 서포터와 상기 제2분리지지 서포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 역시 평상시에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1분리지지 서포터와 제2분리지지 서포터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고 비상시에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잠금유닛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40)은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 역시 평상시 추락방지 등의 안전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벽체에 형성된 창의 개구부 중 추락방지 등의 위험이 존재하는 부위 또는 환기 또는 그 외 목적을 위하여 자주 개방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있다가, 비상시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안전봉 몸체(100a)과 제2안전봉 몸체(100b)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100c)가 설치되어 있던 부위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용이하여 편리하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실시예의 다른 설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창 안전시설(50)은 제1안전봉 몸체(100a)와 제2안전봉 몸체(100b)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벽체의 창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제1안전봉 몸체(100a)의 일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100b)의 일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부가 상기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된 상부 수평프레임(13)에 구비되고, 상기 제1안전봉 몸체(100a)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100b)의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된 하부 수평프레임(14)에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단부와 적어도 하나의 타단부가 반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50)은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창 안전시설과 비교하여 제1안전봉 몸체(300a)와 제2안전봉 몸체(300b)가 접철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은 상기 제1안전봉 몸체(300a)가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를 갖는 제1몸체부(310a)와 타단부를 갖는 제2몸체부(320a)로 분할되며, 상기 제1몸체부(310a)와 상기 제2몸체부(320a)는 접철부(330a)에 의해 접철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철부(330a)는 상기 제1몸체부(310a)와 상기 제2몸체부(320a)를 힌지(331a) 결합시켜 상기 제1안전봉 몸체(300a)가 접철 가능하게 한다.
이 때 상기 제1몸체부(310a)와 상기 제2몸체부(330a)는 상호 직접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 접철 가능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몸체부(310a)에 구비된 제1접철부(311a)와 상기 제2몸체부(320a)에 구비된 제2접철부(321a)를 힌지(331a) 결합하여 상기 안전봉 몸체(300a)가 접철되도록 구성한 것을 개시한다.
한편, 상기 제2안전봉 몸체(300b)의 접철구조는 상기 제1안전봉 몸체(300a)의 접철구성 및 접철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60)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에 더하여 상기 창에 출입공간 형성시 상기 제1안전봉 몸체(300a)와 제2안전봉 몸체(300b)가 접힘으로써 창의 출입공간을 더 넓힐 수 있어 비상시 보다 안전한 출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60)은 상기 제1안전봉 몸체(300a)와 제2안전봉 몸체(300b)가 접철되는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창 안전시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2실시예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3실시예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실시예의 다른 설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창 안전봉 100: 안전봉 몸체
110: 일단부 120: 타단부
130: 회전지지부 140: 회전지지 서포터
150: 분리지지 서포터 160: 잠금유닛

Claims (11)

  1. 벽체에 형성된 창에 구비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비상시 상기 창을 통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창 안전봉으로서,
    상기 벽체의 창을 가로지르는 안전봉 몸체;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 서포터; 그리고
    상기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는 분리지지 서포터를 포함하는 창 안전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는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되는 창 안전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봉 몸체는 접철이 가능한 창 안전봉.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가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유닛을 더 포함하는 창 안전봉.
  6. 벽체의 창을 가로지르는 제1안전봉 몸체와,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안전봉 몸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지지 서포터를 갖는 제1안전봉;
    상기 제1안전봉 몸체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안전봉 몸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체의 창에 구비되는 제2안전봉 몸체를 갖는 제2안전봉; 그리고
    상기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는 분리지지 서포터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전봉은 상기 제2안전봉 몸체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전지지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지지 서포터와 상기 제2회전지지 서포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되는 창 안전시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전봉 몸체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는 접철이 가능한 창 안전시설.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유닛을 더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KR1020090113035A 2009-11-23 2009-11-23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KR100981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035A KR100981308B1 (ko) 2009-11-23 2009-11-23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035A KR100981308B1 (ko) 2009-11-23 2009-11-23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308B1 true KR100981308B1 (ko) 2010-09-10

Family

ID=43009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035A KR100981308B1 (ko) 2009-11-23 2009-11-23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30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I20110069A1 (it) * 2011-06-20 2012-12-21 Fabio Cucini "un dispositivo anticaduta per interventi di manutenzione o pulizia su aperture murarie quali porte e finestre"
KR200464624Y1 (ko) 2010-09-20 2013-01-10 고영신 창문용 추락방지 장치
CN103089129A (zh) * 2011-10-27 2013-05-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平开窗的防坠落装置及平开窗
CN103195335A (zh) * 2013-03-29 2013-07-10 广州澳普利发门窗系统有限公司 一种多功能铝合金平开窗结构
CN104806141A (zh) * 2013-12-21 2015-07-29 张朝峰 一种自动垂直物联网防盗报警护栏
KR20160109033A (ko) 2015-03-09 2016-09-21 홍영택 착탈식 안전난간대
KR101866989B1 (ko) * 2018-01-18 2018-06-12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안전 창문틀
EP4273351A1 (en) 2022-05-03 2023-11-08 MAG Profiles ApS A kit of parts for securing railings on a construction si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854B1 (ko) * 2006-11-15 2006-12-13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개폐가능한 방범창
KR100720957B1 (ko) * 2007-02-22 2007-05-23 (주)건축사사무소 수목 21 건축물 방범기능을 구비한 창호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854B1 (ko) * 2006-11-15 2006-12-13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개폐가능한 방범창
KR100720957B1 (ko) * 2007-02-22 2007-05-23 (주)건축사사무소 수목 21 건축물 방범기능을 구비한 창호구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624Y1 (ko) 2010-09-20 2013-01-10 고영신 창문용 추락방지 장치
ITPI20110069A1 (it) * 2011-06-20 2012-12-21 Fabio Cucini "un dispositivo anticaduta per interventi di manutenzione o pulizia su aperture murarie quali porte e finestre"
CN103089129A (zh) * 2011-10-27 2013-05-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平开窗的防坠落装置及平开窗
CN103089129B (zh) * 2011-10-27 2015-08-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平开窗的防坠落装置及平开窗
CN103195335A (zh) * 2013-03-29 2013-07-10 广州澳普利发门窗系统有限公司 一种多功能铝合金平开窗结构
CN104806141A (zh) * 2013-12-21 2015-07-29 张朝峰 一种自动垂直物联网防盗报警护栏
CN104806141B (zh) * 2013-12-21 2016-07-06 苏州汇诚智造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自动垂直物联网防盗报警护栏
CN104790849B (zh) * 2013-12-21 2016-10-19 李高翔 一种自动垂直防盗报警护栏
KR20160109033A (ko) 2015-03-09 2016-09-21 홍영택 착탈식 안전난간대
KR101866989B1 (ko) * 2018-01-18 2018-06-12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안전 창문틀
EP4273351A1 (en) 2022-05-03 2023-11-08 MAG Profiles ApS A kit of parts for securing railings on a construction si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308B1 (ko)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KR101271289B1 (ko) 출입문용 접이식 방충망
CA2805215A1 (en) Load bearing structural closure system
US20140150343A1 (en) Telescoping security wndow
JP6616256B2 (ja) 仕切り柵
FI128656B (fi) Lukitusjärjestelmä, turvalukko ja menetelmä elementin avaamiseksi ja sulkemiseksi
KR20110107272A (ko) 안전봉 어셈블리
KR100964160B1 (ko) 창 안전시설
JP2008240489A (ja) 進入口及び非常用進入口
KR20110063082A (ko)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JP6718810B2 (ja) 建具
KR101271204B1 (ko) 안전봉 어셈블리
KR101081626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SE513307C2 (sv) Arrangemang för reversibel intäckning av ett öppet utrymme
JP2019120004A (ja) ドアセット
KR101024310B1 (ko)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JP2009052323A (ja) 内外双方向開閉自在の門扉
KR100755514B1 (ko)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KR102562471B1 (ko) 길이 가변형 안전봉을 설치한 창호
KR101017289B1 (ko) 창 안전시설
JP3653223B2 (ja) 屈伸自在の中柱を有する防煙シャッター及びその中柱
KR20150114133A (ko)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
EP2925948A1 (en) Collapsible escape ladder with guards
JPH08114073A (ja) 後付け面格子
KR102683241B1 (ko) 폭 가변형 방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