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310B1 -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 Google Patents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310B1
KR101024310B1 KR1020090120042A KR20090120042A KR101024310B1 KR 101024310 B1 KR101024310 B1 KR 101024310B1 KR 1020090120042 A KR1020090120042 A KR 1020090120042A KR 20090120042 A KR20090120042 A KR 20090120042A KR 101024310 B1 KR101024310 B1 KR 101024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window
safety rod
rod body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길수
Original Assignee
동명건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건업(주) filed Critical 동명건업(주)
Priority to KR1020090120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의 창을 가로지르는 안전봉 몸체;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 서포터; 그리고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가 상기 창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거나 상기 창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안전봉 몸체에 구비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벽체의 개구부, 예를 들면 건축물의 창을 통한 낙상사고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비상시 상기 창을 통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성 및 편의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창 안전봉, 창 안전시설, 안전봉 몸체, 회전지지 서포터, 탄성체

Description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Safety Bar for Window and Safety Guard for Window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벽체에 형성된 창에 안전봉을 설치하기 위한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의 개구부를 통해 낙상사고 등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동시에 화재 등의 비상시 상기 창을 통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성 및 편의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체에는 창과 같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창에는 창호가 설치되는데 상기 창호는 태양광에 의한 실내 조명 기능과 함께 실외 관망기능 및 풍수의 차단, 방음, 단열 등의 역할을 하는 건축물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상기 창호의 일반적인 구조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된 벽체의 개구부인 창에 창틀이 설치되고, 상기 창틀의 내측에 이를 개폐하기 위한 투명, 불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창이 장착된 창문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창호는 벽체의 개구부인 창에 구비되는 창틀(1)과, 상기 창틀(1)에 설치되 는 창문(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창문(2)은 상기 벽체에 형성된 창의 구조나 크기 등에 따라 미서기창, 미붙이창, 여닫이 창, 중연창, 중중연창 등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창문(2)의 설치를 위한 창틀(1)은 주로 상기 벽체에 형성된 창에 대응되는 형태로서 일반적으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한 쌍의 나란한 수평 프레임(1a)과 상기 한 쌍의 수평 프레임(1a)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나란한 수직 프레임(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창문(2)은 주로 상기 수평 프레임(1a)에 상단과 하단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1a)에 형성된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창을 개폐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창호는 창문(2) 개방시 그 개방된 부위를 통해 잦은 낙상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인 창호는 상기 창문(2)이 개방된 상태에서, 개구부를 통해 사람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해주는 시설물이 없어 위험에 대한 지각능력이 발달하지 못한 유아 또는 어린이가 개구부를 통해 건축물 외부로 낙하하여 낙상사고 또는 심할 경우 사망사고까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성인의 경우에도 부주의로 인한 낙하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주로 상기 창문(2)의 실외측에 안전봉이 설치되고 있으나, 종래의 안전봉은 고정식으로서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제거가 어려워서 화재 등의 비상시에 오히려 탈출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 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창호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 개방시 개구된 부위를 통해 낙상사고 등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상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 형성이 용이하여 안전성 및 편의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을 통한 출입공간 형성이 용이한 구조의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체에 형성된 창에 구비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비상시 상기 창을 통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창 안전봉으로서, 상기 벽체의 창을 가로지르는 안전봉 몸체;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 서포터; 그리고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가 상기 창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거나 상기 창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안전봉 몸체에 구비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 안전봉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가 상기 타단부를 향하여 탄력지지 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안전봉 몸체에 축방향의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탄성체가 가압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가 상기 창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는 탄력지지 서포터를 매개로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에는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를 탄력지지하는 상기 탄성체가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와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는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유닛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창 안전봉은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분리지지 서포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창 안전봉은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를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의 일측이 삽입되는 탄력지지 서포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에는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를 탄력지지하는 상기 탄성체가 수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는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유닛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또 다른 일 형태로서, 상기 창 안전봉은 일단부가 상기 안전봉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탄성체에 의해 탄력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신축식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식 로드에 축방향의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탄성체가 가압되어 상기 신축식 로드가 상기 창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창 안전봉은 상기 신축식 로드를 상기 안전봉 몸체의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신축식 로드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안전봉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로드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신축식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유닛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창 안전봉은 상기 신축식 로드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신축식 로드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분리지지 서포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벽체의 창을 가로지르는 제1안전봉 몸체와,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안전봉 몸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지지 서포터와,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타단부가 상기 창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거나 상기 창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제1안전봉 몸체에 구비되는 탄성체를 갖는 제1안전봉; 그리고 상기 제1안전봉 몸체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안전봉 몸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체의 창에 구비되는 제2안전봉 몸체를 갖는 제2안전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 안전시설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안전봉은 상기 제2안전봉 몸체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전지지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제1회전지지 서포터 및 상기 제2회전지지 서포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유닛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지지 서포터와 상기 제2회전지지 서포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탄성체가 수용된 탄력지지 서포터를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은, 상기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는 분리지지 서포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과 이를 갖는 창 안전시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 개방시 개구된 부위를 통해 낙상사고 등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봉 또는 창 안전시설을 설치한 후 선택적으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 형성이 가능하여 비상시에 상기 창을 통한 탈출이 가능하므로 안전성과 비상시의 대피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창을 통한 출입공간 형성작업이 단순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비상시에 신속하게 대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창 안전봉 또는 창 안전시설을 프레임과 모듈화하므로 필요에 따라 안전봉 또는 창 안전시설의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봉 몸체를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전시켜 창에 출입공간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상기 창으로부터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를 탄성체를 이용한 신축방식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여 비상시 보다 신속하게 출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7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은 벽체의 창 즉, 개구부로부터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화재 등의 비상시에 창을 통한 탈출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창 형성을 위한 벽체의 개구부에 직접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 예를 들면 프레임이나 서포터 등을 매개로 상기 창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실시예들은, 벽체의 창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한 안전봉 몸체, 상기 안전봉 몸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지지 서포터,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와 결합되는 탄력지지 서포터, 그리고 상기 안전봉 몸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에 구비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 안전봉으로서,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와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 중 하나는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창의 프레임이나 벽체에 고정되는 다른 하나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안전봉 몸체는,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구조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1실시예(10)는 벽체(W)에 형성된 창(O)을 가로지르는 안전봉 몸체(110)와,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 서포터(120)와, 상기 안전봉 몸체(110)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를 상기 창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봉 몸체(110)는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에 의해 상기 창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0)와 힌지축(125)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때 상기 안전봉 몸체(110)는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와 함께 모듈화되어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를 매개로 상기 벽체 또는 상기 벽체의 창에 설치된 프레임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는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 없이 직접 상기 벽체 또는 상기 벽체의 창에 설치된 프레임에 힌지결합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창에 구비된 상태에서 비상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회전할 경우,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단으로 작용하고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는 상기 창으로부터 탈거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110)가 일단부(111)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자유단으로 작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가 상기 창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 즉 상기 힌지축(125)을 회전축으로 상기 안전봉 몸체(110)가 회전하여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가능하여 유용하고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130)는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가 상기 타단부(112)를 향하여 탄력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가 상기 창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평상시 상기 안전봉 몸체(110)는 상기 창에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112)가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비상시 상기 안전봉 몸체(110)에 축방향의 힘이 가해짐에 따라 즉,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에서 일단부(111)측으로 축방향의 힘을 가함에 따라 상기 탄성체(130)는 가압되고 이로 인해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가 상기 창으로부터 탈거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110)는 일단부(111) 즉 상기 힌지축(125)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를 탄력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체(130)가 수용되는 탄력지지 서포터(1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131)는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와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가 상기 탄성체(130)에 의해 탄력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와 상기 힌지축(125)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110)가 일단부 즉, 상기 힌지축(125)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는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131)에 직접 삽입 결합되어 상기 탄성체(130)에 의해 탄력지지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에 구비된 탄력지지체(113)를 매개로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131)에 삽입 결합된 것을 개시한다.
이 때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가 삽입되는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131)의 입구부에는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가 탄력지지 서포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용 와셔(13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131)는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에 직접 힌지 결합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131)에 구비된 회전지지체(132)를 매개로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에 힌지 결합된 것을 개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은 안전봉 몸체가 창에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창에 출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창의 수평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창에 출입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창 안전봉을 개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창을 형성하는 벽체의 개구부 테두리면에 직접 설치되는 형태로 상기 창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별도의 프레임유닛 또는 복수의 프레임을 상기 창에 설치한 후 상기 프레임유닛 또는 복수의 프레임에 상기 창 안전봉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제1프레임이라 칭하고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제2프레임이라 칭한 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은 상기 창의 테두리면 중 상호 대향된 수직 테두리면에 각각 설치되거나 상호 대향된 수평 테두리면에 각각 설치되는 별도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창의 테두리면과 대응되는 일체형의 프레임의 상호 대향된 수평 프레임 또는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벽체에 형성된 창의 테두리면 중 대향된 수직 테두리면에 상호 이격되게 각각 구비되는 제1프레임(11)과 제2프레임(12)에 장착되어 상기 창에 설치되는 구조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11)에는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지지 서포터(120)가 구비되고, 상기 제2프레임(12)에는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가 분리가능하게 지지되는 장착홀(12a)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는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131)를 매개로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11)에 고정되며,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는 상기 장착홀(12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프레임(12)에 직접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는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 즉,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131)에 구비된 회전지지체(132)와 결합되는 회전결합부(121)와 상기 제1프레임(11)에 고정되는 플랜지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결합부(121)는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일단부(111)와 즉, 상기 회전지지체(132)와 힌지축(125)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힌지축(125)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창으로부터 개폐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22)는 상기 제1프레임(11)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는 상기 플랜지부(122)를 통해 상기 제1프레임(11)에 구비되는 대신, 상기 제1프레임(11) 없이 상기 벽체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는 상기 탄성체(1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장착홀(12a)에 삽입된 후 상기 제2프레임(12)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비상시 상기 안전봉 몸체(110)에 축방향의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장착홀(12a)로부터 탈거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110)가 회전하면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창 안전봉의 지지력 및 강도가 향상되도록, 창 안전봉의 단부 즉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들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며, 이외에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한 쌍의 프레임들 사이에 별도의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창 안전봉 설치를 위하여 3개 이상의 프레임들이 상기 벽체의 창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창을 형성하는 벽체의 개구부 테두리면 중 양측단에 각각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양측단 프레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더 구비하여, 창의 폭이 넓은 경우 각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창 안전봉의 길이가 길 어져 이로 구성된 창 안전봉의 지지력이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창 안전봉이 설치된 프레임들은 창에 구비되는 창틀프레임과 모듈화되어 상기 창에 구비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창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2실시예(2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를 지지하는 분리지지 서포터(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를 탈착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제2프레임(12)에 장착홀을 형성하는 대신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를 구비하여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가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는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는 안전봉 수용부(141)와,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를 상기 창 즉 상기 제2프레임(12)에 고정하기 위하여 돌출된 플랜지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전봉 수용부(141)의 삽입홀은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의 단면형상에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 역시 상기 안전봉 몸체(110)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로부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 부(112)가 탈거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 몸체(110)가 일단부 즉,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가능하여 유용하고 편리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20)은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가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3실시예(30)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가 삽입 지지되는 분리지지 서포터(150)의 형태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가 제2프레임(12)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형태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2프레임(12)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장착홀(12a)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는 상기 장착홀(12a)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는 안전봉 수용부(151)와, 상기 제2프레임(12)에 분리지지 서포터를 고정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안전봉 수용부(151)의 삽입홀은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의 단면형상에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30) 역시 상기 안전봉 몸체(110)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로부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가 분리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 몸체(110)가 일단부 즉,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가능하여 유용하고 편리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30)은 상기 안전봉 몸체(110)의 타단부(11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를 상기 제2프레임(12)에 매립형 타입으로 구비한 구성 이외에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2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4실시예(4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안전봉 몸체(110a)의 일단부(111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안전봉 몸체(110a)의 일단부(111a)가 회전지지 서포터(120a)의 회전결합부(121a)와 힌지축(125a)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탄성체(130a)가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a)를 탄력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안전봉 몸체(110a)의 일단부(111a)는 회전지지체(132a)를 매개로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a)에 힌지결합된다. 이 때 상기 안전봉 몸체(110a)의 일단부(111a)는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a)에 직접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a)를 탄력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체(130a)가 수용되고 제1프레임(11)에 구비되는 탄력지지 서포터(131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131a)는 상기 제1 프레임(11)에 구비되는 대신 제1프레임 없이 벽체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131a)는 상기 탄성체(130a)가 수용되고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a)의 가압플랜지부(122a)가 삽입 지지되는 삽입홀을 갖는 수용몸체와 상기 제1프레임(11)에 고정되도록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a)가 삽입되는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131a)의 입구부에는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a)가 탄력지지 서포터(131a)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용 와셔(133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40) 역시 상기 안전봉 몸체(110a)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안전봉 몸체(110a)의 타단부(112a)가 제2프레임(12)의 장착홀(12a)로부터 분리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 몸체(110a)가 일단부 즉, 상기 힌지축(125a)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가능하여 유용하고 편리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40)은 상기 안전봉 몸체(110a)의 일단부(111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 이외에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창 안전봉이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5실시예(50)는 전술한 제4실시예와 비교하여 안전봉 몸체(110a)의 타단부(112a)를 지지하는 분리지지 서포터(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봉 몸체(110a)의 타단부(112a)를 탈착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제2프레임(12)에 장착홀을 형성하는 대신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를 구비하여 상기 안전봉 몸체(110a)의 타단부(112a)가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는 상기 제2실시예의 분리지지 서포터와 동일하게 안전봉 수용부(141)와, 플랜지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 역시 상기 안전봉 몸체(110a)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로부터 안전봉 몸체(110a)의 타단부(112a)가 탈거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 몸체(110a)가 일단부 즉,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가능하여 유용하고 편리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50)은 상기 안전봉 몸체(110a)의 타단부(112a)가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4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6실시예(60)는 전술한 제5실시예와 비교하여 안전봉 몸체(110a)의 일단부(111a) 즉, 회전지지 서포터(120a)를 탄력지지하는 탄성체(130a)가 수용된 탄력지지 서포터의 형태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가 제1프레임(11)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형태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1프레임(11)에는 장착홀(11a)이 형 성되며;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는 상기 장착홀(11a)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안전봉 몸체(110a)의 일단부(111a) 즉,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a)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는 안전봉 수용부(131b)와, 상기 제1프레임(11)에 탄력지지 서포터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안전봉 수용부(131b)와 결합되는 플랜지부(13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60) 역시 상기 안전봉 몸체(110a)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분리지지 서포터(140)로부터 안전봉 몸체(110a)의 타단부(112a)가 분리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 몸체(110a)가 일단부 즉,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가능하여 유용하고 편리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60)은 상기 안전봉 몸체(110a)의 일단부(111a) 즉,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a)가 삽입되어 탄력지지되는 탄력지지 서포터를 제1프레임(11)에 매립형 타입으로 구비한 구성 이외에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5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7실시예(70)는 벽체(W)에 형성된 창(O)을 가로지르는 안전봉 몸체(110b)와,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일단부(111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 서포터(120b)와, 상기 안전봉 몸체(110b)에 구비되는 탄성체(130b)와, 상기 탄성체(130b)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타단부(112b)를 통해 탄력적으로 외부로 돌출 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타단부(112b)가 상기 창에 분리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신축식 로드(1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신축식 로드(171)가 탄력적으로 벽체의 창에 지지되거나 분리됨에 따라 상기 창에 지지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하거나 비상시 상기 창으로부터 회전방식으로 회전하여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탄성체(130b)는 고정플러그(172)에 의해 일단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신축식 로드(171)는 일단부가 상기 탄성체(130b)에 의해 탄력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타단부(112b)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그러므로, 상기 신축식 로드(171)에 축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체(130b)는 가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신축식 로드(171)는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타단부(112b)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창으로부터 분리 또는 탈거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일단부(111b)와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b)를 힌지결합하는 힌지축(125b)을 회전축으로 안전봉 몸체(110b)가 회전하면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가능하여 유용하고 편리하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내부로 상기 신축식 로드(171)를 편리하게 인입시키기 위하여 신축식 로드를 조작하기 위한 로드 조작부(17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조작부(173)는 일단이 상기 신축식 로드(17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안전봉 몸체(110b)에 형성된 슬롯(1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로드 조작부(173)를 상기 슬롯(113)을 따라 이동시키면 상기 신축식 로드(171)는 상기 탄성체(130b)를 가압하면서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된다.
이 때 상기 신축식 로드(171)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인입되는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입구에는 상기 신축식 로드(171)가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외부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와셔(17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 역시 상기 창을 형성하는 벽체의 개구부 테두리면에 직접 설치되는 형태로 상기 창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별도의 프레임유닛 또는 복수의 프레임을 상기 창에 설치한 후 상기 프레임유닛 또는 복수의 프레임에 상기 창 안전봉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은 상기 벽체에 형성된 창의 테두리면 중 대향된 수직 테두리면에 상호 이격되게 각각 구비되는 제1프레임(11)과 제2프레임(12)에 장착되어 상기 창에 설치되는 구조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11)에는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일단부(111b)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지지 서포터(120b)가 구비되고, 상기 제2프레임(12)에는 상기 신축식 로드(171)가 분리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삽입 지지되는 장착홀(12a)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b)와 상기 신축식 로드(171)는 상기 창의 벽 체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120b)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회전결합부(121b)와 플랜지부(12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일단부(111b)는 직접 상기 회전결합부(121b)외 힌지결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지지체(132b)를 매개로 상기 회전결합부(121b)와 힌지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 역시 상기 신축식 로드(171)가 상기 탄성체(130b)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장착홀(12a)에 삽입된 후 상기 제2프레임(12)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비상시 상기 로드 조작부(173)를 조작하여 상기 신축식 로드(171)에 축방향의 힘을 가하여 상기 탄성체(130b)를 가압하면 상기 신축식 로드(171)가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장착홀(12a)로부터 탈거됨에 따라 상기 안전봉 몸체(110b)를 회전하여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2는 상기 창 안전봉의 제7실시예의 로드 조작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창 안전봉(70a)의 로드 조작부(173a)는 일단이 신축식 로드(171)에 연결되고 타단이 안전봉 몸체(110b)의 외부로 노출되는 끈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 조작부(173a)의 일단은 상기 신축식 로드(171)에 나사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탄성체(130b)의 일단을 지지 하는 고정플러그(172)를 관통하여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일단부(111b) 측에 형성된 홀(113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용이한 조작을 위해 고리형태의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 도 12에 도시된 창 안전봉(70a)은 전술한 제7실시예의 창 안전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동일부호를 적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8실시예(80)는 전술한 제7실시예와 비교하여 신축식 로드(171)를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분리지지 서포터(140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축식 로드(171)를 탈착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제2프레임(12)에 장착홀을 형성하는 대신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c)를 구비하여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타단부(112b)가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c)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c)는 상기 신축식 로드(171)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는 안전봉 수용부(141c)와, 상기 제2프레임(12)에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c)를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14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c)는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 역시 상기 신축식 로드(171)가 상기 탄성체(130b)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c)에 삽입된 후 상기 제2프레임(12)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비상시 로드 조작부(173)를 조작하여 상기 신축식 로드(171)에 축방향의 힘을 가하여 상기 탄성체(130b)를 가압하면 상기 신축식 로드(171)가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c)로부터 탈거됨에 따라 상기 안전봉 몸체(110b)를 회전하여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80)은 상기 신축식 로드(171)가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40c)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7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4는 상기 창 안전봉의 제8실시예의 로드 조작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창 안전봉(80a)은 상기 제8실시예의 로드 조작부 대신 도 12에 도시된 끈 형태의 로드 조작부(173a)를 갖는다.
이외에 도 14에 도시된 창 안전봉(80a)은 전술한 제8실시예의 창 안전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동일부호를 적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9실시예(90)는 전술한 제8실시예와 비교하여 신축식 로드(171)가 삽입 지지되는 분리지지 서포터(150c)의 형태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c)가 제2프레임(12)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형태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2프레임(12)에는 로드장착 홀(12a)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c)는 상기 장착홀(12a)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신축식 로드(171)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는 로드 수용부(151c)와, 상기 제2프레임(12)에 분리지지 서포터를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15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 역시 상기 신축식 로드(171)가 상기 탄성체(130b)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c)에 삽입된 후 상기 제2프레임(12)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비상시 로드 조작부(173)를 조작하여 상기 신축식 로드(171)에 축방향의 힘을 가하여 상기 탄성체(130b)를 가압하면 상기 신축식 로드(171)가 상기 안전봉 몸체(110b)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c)로부터 탈거됨에 따라 상기 안전봉 몸체(110b)를 회전하여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90)은 상기 신축식 로드(171)가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상기 분리지지 서포터(150c)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8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6은 상기 창 안전봉의 제9실시예에 따른 로드 조작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창 안전봉(90a)은 상기 제9실시예의 로드 조작부 대신 도 16에 도시된 끈 형태의 로드 조작부(173a)를 갖는다.
이외에 도 16에 도시된 창 안전봉(90a)은 전술한 제9실시예의 창 안전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동일부호를 적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7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실시예(201)는 벽체(W)의 창(O)을 가로지르는 제1안전봉(201a)과 상기 제1안전봉(201a)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1c)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안전봉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체의 창에 구비되는 제2안전봉(20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1)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창 안전봉을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1c)를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창 안전봉이 상기 창을 가로지르도록 난간 형태로 설치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에서 상기 제1안전봉(201a)과 제2안전봉(201b)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안전봉 몸체와 동일한 제1안전봉 몸체와 제2안전봉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일한 탈착방식 및 회전방식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 것이며, 다만 상기 제1안전봉과 제2안전봉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일체적 거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1a)과 상기 제2안전봉(201b)을 연결부재(201c)를 매개로 연결한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은 상기 제1안전봉(201a)과 제2안전 봉(201b)이 연결부재(201c)를 매개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안전봉(201a)의 일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1b)의 일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만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회전지지구조를 적용하고 상기 제1안전봉(201a)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1b)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부에만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탈착지지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1)에서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 역시 평상시 추락방지 등의 안전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벽체에 형성된 창의 개구부 중 추락방지 등의 위험이 존재하는 부위 또는 환기 또는 그 외 목적을 위하여 자주 개방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있다가, 비상시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1a)과 제2안전봉(201b)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1c)가 설치되어 있던 부위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용이하여 편리하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2실시예(202)는 벽체(W)의 창(O)을 가로지르는 제1안전봉(202a)과 상기 제1안전봉(202a)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2c)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안전봉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체의 창에 구비되는 제2안전봉(20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2)은 전술한 제2실시예의 창 안전봉을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2c)를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창 안전봉이 상기 창을 가로지르도록 난간 형태로 설치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에서 상기 제1안전봉(202a)과 제2안전봉(202b)은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안전봉 몸체와 동일한 제1안전봉 몸체와 제2안전봉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일한 탈착방식 및 회전방식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 것이며, 다만 상기 제1안전봉과 제2안전봉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일체적 거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2a)과 상기 제2안전봉(202b)을 연결부재(202c)를 매개로 연결한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은 상기 제1안전봉(202a)과 제2안전봉(202b)이 연결부재(202c)를 매개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안전봉(202a)의 일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2b)의 일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만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회전지지구조를 적용하고 상기 제1안전봉(202a)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2b)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부에만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탈착지지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2)에서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 역시 평상시 추락방지 등의 안전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벽체에 형성된 창의 개구부 중 추락방지 등의 위험이 존재하는 부위 또는 환기 또는 그 외 목적을 위하여 자주 개방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있다가, 비상시 일 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2a)과 제2안전봉(202b)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2c)가 설치되어 있던 부위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용이하여 편리하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3실시예(203)는 벽체(W)의 창(O)을 가로지르는 제1안전봉(203a)과 상기 제1안전봉(203a)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3c)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안전봉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체의 창에 구비되는 제2안전봉(203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3)은 전술한 제3실시예의 창 안전봉을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3c)를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창 안전봉이 상기 창을 가로지르도록 난간 형태로 설치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에서 상기 제1안전봉(203a)과 제2안전봉(203b)은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안전봉 몸체와 동일한 제1안전봉 몸체와 제2안전봉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일한 탈착방식 및 회전방식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 것이며, 다만 상기 제1안전봉과 제2안전봉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일체적 거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3a)과 상기 제2안전봉(203b)을 연결부재(203c)를 매개로 연결한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은 상기 제1안전봉(203a)과 제2안전봉(203b)이 연결부재(203c)를 매개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안전봉(203a)의 일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3b)의 일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만 상기 제 3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회전지지구조를 적용하고 상기 제1안전봉(203a)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3b)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부에만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탈착지지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3)에서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3실시예의 창 안전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 역시 평상시 추락방지 등의 안전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벽체에 형성된 창의 개구부 중 추락방지 등의 위험이 존재하는 부위 또는 환기 또는 그 외 목적을 위하여 자주 개방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있다가, 비상시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3a)과 제2안전봉(203b)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3c)가 설치되어 있던 부위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용이하여 편리하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4실시예(204)는 벽체(W)의 창(O)을 가로지르는 제1안전봉(204a)과 상기 제1안전봉(204a)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4c)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안전봉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체의 창에 구비되는 제2안전봉(20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4)은 전술한 제4실시예의 창 안전봉을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4c)를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창 안전봉이 상기 창을 가로지르도록 난간 형태로 설치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에서 상기 제1안전봉(204a)과 제2안전 봉(204b)은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안전봉 몸체와 동일한 제1안전봉 몸체와 제2안전봉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일한 탈착방식 및 회전방식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 것이며, 다만 상기 제1안전봉과 제2안전봉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일체적 거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4a)과 상기 제2안전봉(204b)을 연결부재(204c)를 매개로 연결한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은 상기 제1안전봉(204a)과 제2안전봉(204b)이 연결부재(204c)를 매개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안전봉(204a)의 일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4b)의 일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만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회전지지구조를 적용하고 상기 제1안전봉(204a)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4b)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부에만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탈착지지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4)에서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4실시예의 창 안전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 역시 평상시 추락방지 등의 안전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벽체에 형성된 창의 개구부 중 추락방지 등의 위험이 존재하는 부위 또는 환기 또는 그 외 목적을 위하여 자주 개방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있다가, 비상시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4a)과 제2안전봉(204b)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4c)가 설치되어 있던 부위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용이하여 편리하다.
도 22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5실시예(205)는 벽체(W)의 창(O)을 가로지르는 제1안전봉(205a)과 상기 제1안전봉(205a)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5c)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안전봉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체의 창에 구비되는 제2안전봉(205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5)은 전술한 제5실시예의 창 안전봉을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5c)를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창 안전봉이 상기 창을 가로지르도록 난간 형태로 설치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에서 상기 제1안전봉(205a)과 제2안전봉(205b)은 상기 제5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안전봉 몸체와 동일한 제1안전봉 몸체와 제2안전봉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일한 탈착방식 및 회전방식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 것이며, 다만 상기 제1안전봉과 제2안전봉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일체적 거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5a)과 상기 제2안전봉(205b)을 연결부재(205c)를 매개로 연결한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은 상기 제1안전봉(205a)과 제2안전봉(205b)이 연결부재(205c)를 매개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안전봉(205a)의 일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5b)의 일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만 상기 제5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회전지지구조를 적용하고 상기 제1안전봉(205a)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5b)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부에만 상기 제 5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탈착지지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5)에서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5실시예의 창 안전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 역시 평상시 추락방지 등의 안전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벽체에 형성된 창의 개구부 중 추락방지 등의 위험이 존재하는 부위 또는 환기 또는 그 외 목적을 위하여 자주 개방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있다가, 비상시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5a)과 제2안전봉(205b)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5c)가 설치되어 있던 부위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용이하여 편리하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6실시예(206)는 벽체(W)의 창(O)을 가로지르는 제1안전봉(206a)과 상기 제1안전봉(206a)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6c)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안전봉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체의 창에 구비되는 제2안전봉(206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6)은 전술한 제6실시예의 창 안전봉을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6c)를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창 안전봉이 상기 창을 가로지르도록 난간 형태로 설치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에서 상기 제1안전봉(206a)과 제2안전봉(206b)은 상기 제6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안전봉 몸체와 동일한 제1안전봉 몸체와 제2안전봉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일한 탈착방식 및 회전방식으로 회 전하면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 것이며, 다만 상기 제1안전봉과 제2안전봉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일체적 거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6a)과 상기 제2안전봉(206b)을 연결부재(206c)를 매개로 연결한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은 상기 제1안전봉(206a)과 제2안전봉(206b)이 연결부재(206c)를 매개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안전봉(206a)의 일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6b)의 일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만 상기 제6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회전지지구조를 적용하고 상기 제1안전봉(206a)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6b)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부에만 상기 제6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탈착지지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6)에서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6실시예의 창 안전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 역시 평상시 추락방지 등의 안전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벽체에 형성된 창의 개구부 중 추락방지 등의 위험이 존재하는 부위 또는 환기 또는 그 외 목적을 위하여 자주 개방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있다가, 비상시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6a)과 제2안전봉(206b)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6c)가 설치되어 있던 부위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용이하여 편리하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7실시예(207)는 벽체(W) 의 창(O)을 가로지르는 제1안전봉(207a)과 상기 제1안전봉(207a)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7c)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안전봉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체의 창에 구비되는 제2안전봉(207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7)은 전술한 제7실시예의 창 안전봉을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7c)를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창 안전봉이 상기 창을 가로지르도록 난간 형태로 설치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에서 상기 제1안전봉(207a)과 제2안전봉(207b)은 상기 제7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안전봉 몸체와 동일한 제1안전봉 몸체와 제2안전봉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일한 탈착방식 및 회전방식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 것이며, 다만 상기 제1안전봉과 제2안전봉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일체적 거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7a)과 상기 제2안전봉(207b)을 연결부재(207c)를 매개로 연결한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은 상기 제1안전봉(207a)과 제2안전봉(207b)이 연결부재(207c)를 매개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안전봉(207a)의 일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7b)의 일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만 상기 제7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회전지지구조를 적용하고 상기 제1안전봉(207a)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7b)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부에만 상기 제7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탈착지지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7)에서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은 전술한 제7실시예의 창 안전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 역시 평상시 추락방지 등의 안전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벽체에 형성된 창의 개구부 중 추락방지 등의 위험이 존재하는 부위 또는 환기 또는 그 외 목적을 위하여 자주 개방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있다가, 비상시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7a)과 제2안전봉(207b)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7c)가 설치되어 있던 부위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용이하여 편리하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8실시예(208)는 벽체(W)의 창(O)을 가로지르는 제1안전봉(208a)과 상기 제1안전봉(208a)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8c)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안전봉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체의 창에 구비되는 제2안전봉(208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8)은 전술한 제8실시예의 창 안전봉을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8c)를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창 안전봉이 상기 창을 가로지르도록 난간 형태로 설치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에서 상기 제1안전봉(208a)과 제2안전봉(208b)은 상기 제8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안전봉 몸체와 동일한 제1안전봉 몸체와 제2안전봉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일한 탈착방식 및 회전방식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 것이며, 다만 상기 제1안전봉과 제2안전봉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일체적 거동성을 높 이기 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8a)과 상기 제2안전봉(208b)을 연결부재(208c)를 매개로 연결한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은 상기 제1안전봉(208a)과 제2안전봉(208b)이 연결부재(208c)를 매개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안전봉(208a)의 일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8b)의 일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만 상기 제8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회전지지구조를 적용하고 상기 제1안전봉(208a)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8b)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부에만 상기 제8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탈착지지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8)에서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8실시예의 창 안전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 역시 평상시 추락방지 등의 안전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벽체에 형성된 창의 개구부 중 추락방지 등의 위험이 존재하는 부위 또는 환기 또는 그 외 목적을 위하여 자주 개방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있다가, 비상시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8a)과 제2안전봉(208b)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8c)가 설치되어 있던 부위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용이하여 편리하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9실시예(209)는 벽체(W)의 창(O)을 가로지르는 제1안전봉(209a)과 상기 제1안전봉(209a)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9c)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안전봉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체의 창 에 구비되는 제2안전봉(209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9)은 전술한 제9실시예의 창 안전봉을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9c)를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창 안전봉이 상기 창을 가로지르도록 난간 형태로 설치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에서 상기 제1안전봉(209a)과 제2안전봉(209b)은 상기 제9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안전봉 몸체와 동일한 제1안전봉 몸체와 제2안전봉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일한 탈착방식 및 회전방식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 것이며, 다만 상기 제1안전봉과 제2안전봉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일체적 거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9a)과 상기 제2안전봉(209b)을 연결부재(209c)를 매개로 연결한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은 상기 제1안전봉(209a)과 제2안전봉(209b)이 연결부재(209c)를 매개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안전봉(209a)의 일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9b)의 일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만 상기 제9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회전지지구조를 적용하고 상기 제1안전봉(209a)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209b)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부에만 상기 제9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봉의 탈착지지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09)에서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9실시예의 창 안전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 역시 평상시 추락방지 등의 안전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벽체에 형성된 창의 개구부 중 추락방지 등의 위험이 존재하는 부위 또는 환기 또는 그 외 목적을 위하여 자주 개방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있다가, 비상시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안전봉(209a)과 제2안전봉(209b)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09c)가 설치되어 있던 부위에 출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비상시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출입이 용이하여 편리하다.
한편,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0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로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0실시예(210)는 전술한 제7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안전봉 및 제2안전봉과 동일한 제1안전봉(210a) 및 제2안전봉(210b)을 연결부재(210c)를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연결하여 난간 형태로 구성하되, 각 안전봉의 신축식 로드를 각 안전봉 몸체의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한 로드 조작부를 다른 형태로 적용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10)은 전술한 제7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에 도 12에 도시된 끈 형태의 로드 조작부를 적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10)은 전술한 제7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로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1실시예(211)는 전술한 제8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안전봉 및 제2안전봉과 동일한 제1안전봉(211a) 및 제2안전봉(211b)을 연결부재(211c)를 매개로 상호 이격 되게 연결하여 난간 형태로 구성하되, 각 안전봉의 신축식 로드를 각 안전봉 몸체의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한 로드 조작부를 다른 형태로 적용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11)은 전술한 제8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에 도 14에 도시된 끈 형태의 로드 조작부를 적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11)은 전술한 제8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로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2실시예(212)는 전술한 제9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안전봉 및 제2안전봉과 동일한 제1안전봉(212a) 및 제2안전봉(212b)을 연결부재(212c)를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연결하여 난간 형태로 구성하되, 각 안전봉의 신축식 로드를 각 안전봉 몸체의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한 로드 조작부를 다른 형태로 적용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12)은 전술한 제9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에 도 16에 도시된 끈 형태의 로드 조작부를 적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212)은 전술한 제9실시예에 따른 창 안전시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4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4실시예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5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6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7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7실시예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로드 조작부의 다른 형태가 적용된 창 안전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8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로드 조작부의 다른 형태가 적용된 창 안전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봉의 제9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로드 조작부의 다른 형태가 적용된 창 안전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4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5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6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7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8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9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0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창 안전시설의 제1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창 안전봉 110: 안전봉 몸체
120: 회전지지 서포터 130: 탄성체
140, 150: 분리지지 서포터 171: 신축식 로드
201: 창 안전시설 201a: 제1안전봉
201b: 제2안전봉 201c: 연결부재

Claims (16)

  1. 벽체의 창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한 안전봉 몸체;
    상기 안전봉 몸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지지 서포터;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와 결합되는 탄력지지 서포터; 그리고
    상기 안전봉 몸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에 구비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 안전봉으로서;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와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 중 하나는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창의 프레임이나 벽체에 고정되는 다른 하나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안전봉 몸체는,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안전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는;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와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와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를 연결하는 창 안전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에 축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는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지지체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결합부는, 상기 안전봉 몸체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탄성체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창 안전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는, 상기 회전결합부를 구속하여 상기 회전결합부가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회전결합부의 일측은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탄성체의 일측에 의해 지지되는 창 안전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는,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와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와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를 연결하는 창 안전봉.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에 축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회전지지 서포터는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에 구비되는 회전지지체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는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탄성체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창 안전봉.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는,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를 구속하여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가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는,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탄성체의 일측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회전지지체는 상기 탄력지지 서포터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체의 타측을 지지하는 창 안전봉.
  8. 벽체의 창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한 안전봉 몸체;
    상기 안전봉 몸체의 일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안전봉 몸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지지 서포터;
    상기 안전봉 몸체에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 몸체의 타단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신축식 로드; 그리고
    상기 안전봉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신축식 로드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 안전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식 로드를 상기 안전봉 몸체의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신축식 로드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안전봉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로드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창 안전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조작부는; 일단이 상기 신축식 로드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안전봉 몸체에 구비되는 고정 플러그를 관통하여 상기 안전봉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창 안전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조작부는 끈 형상으로서 상기 로드 조작부의 타단에 고리 형상의 손잡이가 구비되는 창 안전봉.
  12. 벽체의 창을 가로지르는 제1안전봉 몸체와,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안전봉 몸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지지 서포터와,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타단부가 상기 창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거나 상기 창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제1안전봉 몸체에 구비되는 탄성체를 갖는 제1안전봉; 그리고
    상기 제1안전봉 몸체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안전봉 몸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체의 창에 구비되는 제2안전봉 몸체를 갖는 제2안전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 안전시설.
  13. 벽체의 창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한 제1안전봉 몸체와,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제1회전지지 서포터와, 상기 제1회전지지 서포터와 결합되는 제1탄력지지 서포터와 상기 제1안전봉 몸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1상기 탄력지지 서포터에 구비되는 제1탄성체를 갖는 제1안전봉; 그리고
    상기 제1안전봉 몸체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안전봉 몸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체의 창에 구비되는 제2안전봉 몸체를 갖는 제2안전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 안전시설로서;
    상기 제1회전지지 서포터와 상기 제1탄력지지 서포터 중 하나는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창의 프레임이나 벽체에 고정되는 다른 하나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1안전봉 몸체는,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타단부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창 안전시설.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전봉은, 상기 제2안전봉 몸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제2회전지지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전봉은, 상기 제2회전지지 서포터와 결합되는 제2탄력지지 서포터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2상기 탄력지지 서포터에 구비되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회전지지 서포터와 상기 제2탄력지지 서포터 중 하나는 상기 제2안전봉 몸체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다른 하나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안전봉 몸체는,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제2안전봉 몸체의 타단부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창 안전시설.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안전봉 몸체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전봉 몸체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는 분리지지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KR1020090120042A 2009-12-04 2009-12-04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KR101024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042A KR101024310B1 (ko) 2009-12-04 2009-12-04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042A KR101024310B1 (ko) 2009-12-04 2009-12-04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310B1 true KR101024310B1 (ko) 2011-03-23

Family

ID=4393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042A KR101024310B1 (ko) 2009-12-04 2009-12-04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482B1 (ko) * 2023-04-20 2024-05-14 이흥수 유리난간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944Y1 (ko) 2001-09-04 2001-12-24 김상훈 비상 탈출용 방범창
KR100514382B1 (ko) * 2005-05-03 2005-09-13 주식회사청목씨엠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창문보호용 안전장치
KR100892496B1 (ko) * 2008-10-10 2009-04-10 이은옥 착탈식 추락방지 안전봉이 내설된 창호
KR100924235B1 (ko) 2009-03-13 2009-11-02 이은옥 탈착식 안전봉 어셈블리, 탈착식 안전봉 지지유닛, 그리고 안전봉 설치용 3중 창틀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944Y1 (ko) 2001-09-04 2001-12-24 김상훈 비상 탈출용 방범창
KR100514382B1 (ko) * 2005-05-03 2005-09-13 주식회사청목씨엠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창문보호용 안전장치
KR100892496B1 (ko) * 2008-10-10 2009-04-10 이은옥 착탈식 추락방지 안전봉이 내설된 창호
KR100924235B1 (ko) 2009-03-13 2009-11-02 이은옥 탈착식 안전봉 어셈블리, 탈착식 안전봉 지지유닛, 그리고 안전봉 설치용 3중 창틀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482B1 (ko) * 2023-04-20 2024-05-14 이흥수 유리난간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308B1 (ko)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KR100924235B1 (ko) 탈착식 안전봉 어셈블리, 탈착식 안전봉 지지유닛, 그리고 안전봉 설치용 3중 창틀유닛
KR101024310B1 (ko)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US20120174485A1 (en) Telescoping security window
KR20110030258A (ko) 안전문
KR20110107272A (ko) 안전봉 어셈블리
KR101132145B1 (ko) 롤 방충망의 개폐수단을 갖는 창호
KR20110063082A (ko)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KR101376101B1 (ko) 현장 맞춤형 방충망 장치
KR102106799B1 (ko)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KR101271204B1 (ko) 안전봉 어셈블리
KR101017289B1 (ko) 창 안전시설
KR101840085B1 (ko)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
WO2017126778A1 (ko) 가변 회동타입 안전 오르내리창
ITRE980056A1 (it) Cabina doccia con pareti a scomparsa.
KR102618014B1 (ko) 기존 새시를 이용해 설치할 수 있는 롤러블 구조의 좌우 미닫이 개폐식 방충망
KR20100008672U (ko) 회전접이식 현관방충망
KR100729426B1 (ko) 미서기 창호시스템
KR200249676Y1 (ko) 건물 창문용 스크린 장치
KR200456513Y1 (ko) 창문용 안전 난간대
KR102384844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안전장치
JP2000096957A (ja) 摺動式スクリーンユニット
KR200410368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KR102169815B1 (ko) 블라인드 일체형 폴딩 도어
BR202019019949U2 (pt) Mecanismo para abertura e fechamento com travamento superior e inferior de painéis de vidros pivotantes de janelas, varandas, sacadas e congêne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