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799B1 -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799B1
KR102106799B1 KR1020180153858A KR20180153858A KR102106799B1 KR 102106799 B1 KR102106799 B1 KR 102106799B1 KR 1020180153858 A KR1020180153858 A KR 1020180153858A KR 20180153858 A KR20180153858 A KR 20180153858A KR 102106799 B1 KR102106799 B1 KR 102106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sulation
support frame
insulation plate
noise reduction
natural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준오
문순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53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선박 등에 형성되는 벽체의 창호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벽체 내부로 유입되는 소음은 저감시키되, 바람 등의 공기는 벽체 내외부로 유출입 가능하도록 하는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부가 벽체의 창호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을 벽체의 창호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프레임고정부;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하부에 힌지 결합되되,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 상기 차음플레이트가 전방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각도 조절 유닛;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차음플레이트 양측부에 연결되되,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차음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측면 차단부;를 포함하는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Noise reduction apparatus with natural venti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선박 등에 형성되는 벽체의 창호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벽체 내부로 유입되는 소음은 저감시키되, 바람 등의 공기는 벽체 내외부로 유출입 가능하도록 하는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부에 설치되는 소음 저감 장치는 도로변의 고층아파트 및 고층건물에서 자동차 등으로 인해 창호부로 유입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층아파트의 건설 증가와 아울러 주행차량수의 증가로 인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소음 문제가 점차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10-1066644호 등에서 건물 벽체에 소음 저감 수단을 내장시키거나, 창문을 이중창으로 설치하는 등 다양한 해결방안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개발기술들은 사람들이 창호부를 개방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음 저감 효과가 발휘되지 못함에 따라 창호부를 편하게 개방시키지 못하게 되어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창호부를 개방하여 자연환기를 가능하도록 하되,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은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음 저감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6644호(2011.09.1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벽체의 창호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벽체 내부로 유입되는 소음은 저감시키되, 바람 등의 공기는 벽체 내외부로 유출입 가능하도록 하는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는 후방부가 벽체의 창호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을 벽체의 창호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프레임고정부;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하부에 힌지 결합되되,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 상기 차음플레이트가 전방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각도 조절 유닛;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차음플레이트 양측부에 연결되되,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차음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측면 차단부;를 포함하는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은, 중간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상 틀로 이루어지는 후방지지부와, 상기 후방지지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차음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 상에 설치되는 상기 차음플레이트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면, 상기 하측지지부는, 상기 후방지지부 하단에서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그 돌출되는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길이 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측지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거치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음플레이트는, 상기 거치돌기가 내측으로 삽입 또는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안착홈부가 형성된 안착고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차음플레이트가 상기 하측지지부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는, 각 상기 차음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통공의 크기가 상기 차음플레이트 별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차음플레이트의 전면에는, 부직포와 같은 흡음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면, 상기 각도 조절 유닛은,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와, 일단은 상기 제1 링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차음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를 구비하는 힌지링크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차음플레이트 사이의 회전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 유닛은, 끼움홀이 형성되는 링이 다수개 연속적으로 연결된 체인로프와,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차음플레이트에 상기 체인로프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로프결합부를 구비하는 힌지단속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힌지링크부의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사이의 각도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측면 차단부는, 소정 간격으로 주름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주름형 차단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는 지지프레임, 프레임고정부, 차음플레이트, 각도 조절 유닛, 측면차단부를 포함하며, 차음플레이트는 통공이 다수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벽체부의 창호부가 개방되는 경우 소음 저감과 동시에 자연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는 차음플레이트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각도 조절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각도 조절 유닛에 의해 지지프레임으로부터 회전 되는 각도가 조절 가능하므로, 차음플레이트의 설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소음차단정도 및 환기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더불어 차음플레이트의 설치 각도에 따라 시야확보정도를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는 프레임고정부가 지지프레임을 벽체의 창호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별로 필요로 하는 위치에 원하는 때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에서 지지프레임과 차음플레이트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는 건물, 선박 등에 형성되는 창틀, 베란다와 같은 벽체에 형성되는 창호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창호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0)과, 벽체의 외측방향인 전방을 향해 상부가 열리도록 지지프레임(1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300)가 구비되되, 차음플레이트(300)에는 다수개의 통공(31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창호부가 개구된 경우,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300)에 의해 벽체의 외부 공간, 특히 벽체의 하부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이 차음플레이트(300)에 의해 차단되어 벽체의 내부 공간으로의 유입되는 것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차음플레이트(300)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310)에 의해 공기는 벽체의 내외부로 유출입 가능하게 되어 자연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는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3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각도 조절 유닛(400)을 포함하여,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소음 저감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3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는 크게 지지프레임(100), 프레임고정부(200), 차음플레이트(300), 각도 조절 유닛(400), 측면 차단부(500)를 포함한다.
우선, 지지프레임(100)은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의 기본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후방부가 건물, 선박 등에 형성되는 창틀, 베란다와 같은 벽체에 형성되는 창호부에 후술할 프레임고정부(20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은 벽체의 창호부 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되 중간에 개구부(111)가 형성되는 사각 형상의 틀로 이루어지는 후방지지부(110)와, 후방지지부(110)의 하측에 형성되되 후술할 차음플레이트(300)가 결합되는 하측지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측지지부(120)는, 일례로,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그 돌출되는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길이 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길이 조절부는, 텐트 폴대와 같이 종래의 각종 프레임의 길이가변수단이 다양하게 변경실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프레임고정부(200)는 지지프레임(100)을 벽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라비너와 같은 결합부재로 이루어져, 벽체에 형성되는 창틀프레임 또는 고리 등에 결합부재가 걸림 결합 가능하되, 벽체의 창호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프레임고정부(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의 상하부에 모두 형성됨으로, 벽체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차음플레이트(300)는 벽체의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소음이 유입되는 것은 방지하되 벽체의 내외부로 공기가 유출입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차음플레이트(300)는 지지프레임(100)의 하부에 벽체의 외측방향인 전방을 향해 상부가 열리도록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례로 차음플레이트(300)는 지지프레임(100)의 하부에 힌지부재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음플레이트(300)에는 통공(310)이 다수 형성되어 자연환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차음플레이트(300)는 소음 차단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300)는 지지프레임(100)에 상부가 열리도록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후에 상술할 각도 조절 유닛(400)에 의해 차음플레이트(300) 별로 회전 각도를 달리 하여 상부가 개구되는 정도를 달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111) 상에 설치된 차음플레이트(300)의 경우,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차음플레이트(300)의 설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파손 등에 의한 차음플레이트(300)의 교체가 요구될 경우, 소음 저감 장치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300) 중 적어도 하나에 부직포와 같은 흡음부재(미도시)가 더 부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장 전방측에 설치되는 차음플레이트(300)의 전면에 흡음부재가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각도 조절 유닛(400)은 차음플레이트(300)가 전방으로 회전될 때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차음플레이트(30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차음플레이트(300) 별로 회전 각도를 달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례로, 각도 조절 유닛(400)은, 끼움홀이 형성되는 링이 다수개 연속적으로 연결된 체인로프(410)를 포함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로프(410)에 의해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300)가 차음플레이트(300) 별로 회전 각도를 달리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체인로프(410)의 일단이 차음플레이트(300)에 결합되고, 체인로프(410)에 형성된 다수의 끼움홀 중 하나의 끼움홀이 지지프레임(100)에 형성되는 결합공 또는 결합고리 등의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로프결합부(420)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되거나,
반대로 체인로프(410)의 일단이 지지프레임(100)에 결합되고, 체인로프(410)에 형성된 다수의 끼움홀 중 하나의 끼움홀이 차음플레이트(300)에 형성되는 결합공 또는 결합고리 등의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로프결합부(420)에 의해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체인로프(410)에 형성된 다수의 끼움홀 중 두 개의 끼움홀이 차음플레이트(300)와 지지프레임(100)에 형성되는 결합공 또는 결합고리 등의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로프결합부(420)에 각각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각도 조절 유닛(4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과 차음플레이트(300)에서 상측 중앙부의 바람 등의 공기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00)과 차음플레이트(300)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 유닛(400)은 힌지링크부(430), 힌지단속부, 거치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힌지링크부(430)는 차음플레이트(300)와 지지프레임(100) 사이의 회전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특히, 도 1 상에서는 가장 전방측에 설치되는 차음플레이트(300)와 지지프레임(100) 사이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지지프레임(100)의 상부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431)와, 일단은 제1 링크(43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가장 전방측에 설치되는 차음플레이트(300)의 상부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432)와, 제1 링크(431)와 제2 링크(432) 사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여, 힌지결합부에 의해 제1 링크(431)와 제2 링크(432) 사이의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가장 전방측에 설치되는 차음플레이트(300)와 벽체의 창호부에 설치된 지지프레임(1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차음플레이트(300)의 상부의 개구 정도가 조절되어 소음 차단 각도 및 환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힌지단속부는 힌지링크부(430)의 제1 링크(431)와 제2 링크(432) 사이의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로프(410)로 이루어져, 체인로프(410)에 의해 가장 전방측에 설치되는 차음플레이트(300)와 지지프레임(100) 사이의 각도가 변경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다른 예로,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힌지링크부(430)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에 구비되어, 제1 링크(431)와 제2 링크(432) 사이의 각도가 조정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단속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힌지단속수단은 종래의 힌지부에 적용되는 구성 및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실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거치부(440)는, 가장 전방측에 설치되는 차음플레이트(300)와 지지프레임(100)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차음플레이트(3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링크부(430)에 구비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지지돌기에 차음플레이트(300)가 거치됨으로써 차음플레이트(300)의 회전 각도를 고정된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때 거치부(440)는 지지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힌지링크부(430) 상에 레일(미도시)이 형성되고, 레일 상에 지지돌기가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지지돌기를 가압하여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시켜, 지지돌기에 거치되는 차음플레이트(3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도 조절 유닛(400)은 상기의 각도 조절 유닛(400)의 다른 예에 기재된 힌지링크부(430)와 힌지단속부를 포함하되, 힌지링크부(430)와 힌지단속부의 구성 및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되며,
이때, 힌지링크부(430)는 지지프레임(100)과, 지지프레임(100)에 가장 인접하여 설치되는 차음플레이트(300) 사이 각도를 조절하는 제1 힌지링크부(430)와,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300)에서 인접한 두 개의 차음플레이트(300) 사이 각도를 조절하는 제2 링크(432)부가 인접한 두 개의 차음플레이트(300) 사이 각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음으로, 측면 차단부(500)는 차음플레이트(300)가 회전되어 상부가 개구됨으로써 지지프레임(100)과 차음플레이트(300)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 공간의 양측 부분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일례로, 측면 차단부(5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가장 전방측에 설치되는 차음플레이트(300)의 측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프레임(100)의 측부에 연결되는 차단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차단막은 차음플레이트(300)가 지지프레임(100)의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그 차단폭이 유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주름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주름형 차단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주름에 개구부(111) 상에서 차음플레이트(300)의 측단부가 끼움 결합되며, 이를 통해, 상기 주름은 차음플레이트(3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측면 차단부(500)는, 가장 후방측에 설치되는, 다시 말해 가장 지지프레임(100)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차음플레이트(300)와, 지지프레임(100) 사이에 제1 차단막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300)에서 인접한 차음플레이트(300) 사이로 형성되는 개구 공간의 측면부를 차단하도록 인접한 차음플레이트(300) 사이 공간 별로 제2 차단막이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는 차음플레이트(300)와 지지프레임(100)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 공간의 하측 부분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하면 차단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하면 차단부는 측면 차단부(50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단은 지지프레임(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차음플레이트(300)와 연결되는 주름형 차단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에서 지지프레임과 차음플레이트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 본 발명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는 지지프레임(100)과 차음플레이트(300)는 고정 결합되거나,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지지프레임(100)과 차음플레이트(30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의 지지프레임(100)과 차음플레이트(300)의 결합부분을 분해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프레임(100)은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거치돌기(130)를 더 포함하며, 차음플레이트(300)는 하부에 거치돌기(13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차음플레이트(300)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안착고리(320)를 더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프레임(100)의 하측지지부(120)에 거치돌기(130)가 형성되며, 차음플레이트(300)의 안착고리(320)와 결합됨으로써, 차음플레이트(300)가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안착고리(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되, 거치돌기가 내측으로 삽입 또는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100)과 차음플레이트(30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안착홈부는 거치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321)과 안착홈의 입구측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는 주로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유입되는 소음은 차음플레이트(300)에 의해 차단시킬 수 있게 되며, 이때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차음플레이트(300)가 복수개 구비되되, 각도 조절 유닛(400)에 의해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300)의 설치 각도를 조절 가능함에 따라 상호 인접하여 설치되는 차음플레이트(300)에 형성되는 통공 간의 교차범위가 조절되게 되어 소음차단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음플레이트(300)에 형성되는 통공과 차음플레이트(300)가 전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개구되는 상측 공간으로 바람 등의 공기가 유출입이 용이하게 되어 자연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각도 조절 유닛(400)에 의해 차음플레이트(3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여 차음플레이트(300)의 개구되는 상측 공간이 조절됨에 따라 환기정도를 조절 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음플레이트(300)에 의해 외부시선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사생활 보호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각도 조절 유닛(400)에 의해 차음플레이트(3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여 시야확보비율도 조절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지지프레임
110 : 후방지지부
111 : 개구부
120 : 하측지지부
130 : 거치돌기
200 : 프레임고정부
300 : 차음플레이트
310 : 통공
320 : 안착고리
321 : 안착홈
322 : 이탈방지돌기
400 : 각도 조절 유닛
410 : 체인로프
420 : 로프결합부
430 : 힌지링크부
431 : 제1 링크
432 : 제2 링크
440 : 거치부
500 : 측면 차단부

Claims (10)

  1. 후방부가 벽체의 창호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을 벽체의 창호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프레임고정부;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하부에 힌지 결합되되,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
    상기 차음플레이트가 전방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각도 조절 유닛;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차음플레이트 양측부에 연결되되,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차음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측면 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차단부는, 소정 간격으로 주름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주름형 차단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중간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상 틀로 이루어지는 후방지지부와,
    상기 후방지지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차음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상에 설치되는 상기 차음플레이트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지지부는,
    상기 후방지지부 하단에서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그 돌출되는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길이 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지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거치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음플레이트는,
    상기 거치돌기가 내측으로 삽입 또는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안착홈부가 형성된 안착고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차음플레이트가 상기 하측지지부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는,
    각 상기 차음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통공의 크기가 상기 차음플레이트 별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차음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차음플레이트의 전면에는, 부직포와 같은 흡음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유닛은,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와, 일단은 상기 제1 링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차음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를 구비하는 힌지링크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차음플레이트 사이의 회전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유닛은,
    끼움홀이 형성되는 링이 다수개 연속적으로 연결된 체인로프와,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차음플레이트에 상기 체인로프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로프결합부를 구비하는 힌지단속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힌지링크부의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사이의 각도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10. 삭제
KR1020180153858A 2018-12-03 2018-12-03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KR102106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858A KR102106799B1 (ko) 2018-12-03 2018-12-03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858A KR102106799B1 (ko) 2018-12-03 2018-12-03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799B1 true KR102106799B1 (ko) 2020-05-06

Family

ID=7073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858A KR102106799B1 (ko) 2018-12-03 2018-12-03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7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7606A1 (zh) * 2022-10-26 2024-05-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降噪装置及通信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505Y1 (ko) * 2004-05-25 2004-11-20 윤종화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
KR101066644B1 (ko) 2008-10-28 2011-09-22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창호개방 시 외부소음 저감형 창호시스템
JP2015075038A (ja) * 2013-10-09 2015-04-20 株式会社パーカーコーポレーション 圧縮機用防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64814A (ko) * 2014-11-28 2016-06-08 신지훈 방음 장치
WO2017033798A1 (ja) * 2015-08-21 2017-03-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音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505Y1 (ko) * 2004-05-25 2004-11-20 윤종화 방음 및 환기용 창호구조
KR101066644B1 (ko) 2008-10-28 2011-09-22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창호개방 시 외부소음 저감형 창호시스템
JP2015075038A (ja) * 2013-10-09 2015-04-20 株式会社パーカーコーポレーション 圧縮機用防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64814A (ko) * 2014-11-28 2016-06-08 신지훈 방음 장치
WO2017033798A1 (ja) * 2015-08-21 2017-03-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音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7606A1 (zh) * 2022-10-26 2024-05-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降噪装置及通信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15205A1 (en) Attachment profile member allowing the passage of air and ceiling assembly comprising such a profile member
JP2019082097A (ja) 拡張窓カバー
KR102106799B1 (ko)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KR101761003B1 (ko) 실내 슬라이드 도어의 연동 및 회전장치
CA2938335C (en) Partition system
US8607503B2 (en) Adventure door
KR101913569B1 (ko) 가변형 구조를 갖는 창호
JP7017438B2 (ja) 建具
KR20160120633A (ko) 창호 시스템
JP3208117U (ja) 集合住宅の採光構造
CZ21019U1 (cs) Otvor dverí mezi místnostmi
KR101631708B1 (ko) 시스템루버의 구동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시스템루버 장치
JP2010024731A (ja) スクリーン装置
KR102186400B1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102118111B1 (ko) 초미세먼지 방지용 나노 방진망을 설치한 창호용 설치구조
KR101318730B1 (ko) 복합 여닫이 창호
KR101209095B1 (ko) 벽체와 이격 조정이 가능한 확장겸용 사용 미서기 창호
KR101829053B1 (ko) 창문 구조물
KR20190002813A (ko)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KR20190017308A (ko) 병풍 가구
JP2018503050A (ja) 通風装置の空気吐出口
KR102235129B1 (ko) 방범창살 및 방충망 일체형 창호
KR102432393B1 (ko) 방진 및 방충 기능이 선택적으로 가변되는 창호시스템
JP5173306B2 (ja) 開き扉付き引戸
JP3728559B2 (ja) ブラインド内蔵のガラス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