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813A -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813A
KR20190002813A KR1020170082992A KR20170082992A KR20190002813A KR 20190002813 A KR20190002813 A KR 20190002813A KR 1020170082992 A KR1020170082992 A KR 1020170082992A KR 20170082992 A KR20170082992 A KR 20170082992A KR 20190002813 A KR20190002813 A KR 20190002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topper
fine dust
fixed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680B1 (ko
Inventor
고종이
박정열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Priority to KR1020170082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6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3Horizontally moving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형적인 롤 스크린 형태에서 벗어나 절첩가능한 구조를 가지면서 무엇보다도 양쪽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구조적으로 설치하기 쉽고 사용하기도 편리하도록 개량된 양방향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Device for dust screen window with Linked window}
본 발명은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방충망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창짝과 연동하는 미세먼지 차단망을 설치하여 일정폭 내에서 개폐되게 함으로써 입주자가 미세먼지 차단과 환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증대시킨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시설에나 건물의 창문에는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망을 설치한다.
이러한 방충망은 금속망이거나 또는 플라스틱망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메쉬상의 망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메쉬상의 방충망은 미세먼지나 황사 등이 실내로 그대로 유입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미세먼지나 황사는 최근 들어 심각한 환경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미세먼지는 인체의 폐포까지 깊숙하게 침투하여 각종 호흡기 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면역기능까지 저하시켜 다양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매우 주의를 요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주행이 잦은 환경에서의 차량매연, 최근 심해진 미세먼지, 황사 및 계절에 따른 꽃가루 등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유입은 방충망으로는 막을 수 없으며 이 경우 창문을 닫아야만 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기존 방충망을 대체하여 일명 '나노망'이라 일컬어지는 미세먼지차단망이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미세먼지차단망은 방충망을 완전히 대체한 방충 겸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갖춘 것이기 때문에 고정형이어서 촘촘함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 기능은 우수하지만 조망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나 황사가 없는 화창한 날에는 환기를 위해 창을 열게 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노망은 너무 촘촘하기 때문에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도 있고, 조망이 너무 좋지 않으며, 실내를 어둡게 하는 단점도 있다.
때문에, 환기나 조망을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미세먼지차단망을 완전히 열어야 하므로 이때에는 방충기능이 약화되는 단점이 파생된다.
다른 예로, 기존 방충망을 그대로 둔 채 롤방충망을 설치하여 상하로 당겨 별도 차단하는 방식도 개시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롤하우징이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보기 흉하고, 일일이 수작업으로 당겨 망을 쳐야 하므로 사용하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04130호(2016.09.05.) '창문용 미세먼지 차단필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11490호(2017.02.02.) '미세먼지 차단용 창구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51090호(2017.05.11.)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기존 방충망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창짝과 연동하는 미세먼지 차단망을 설치하여 일정폭 내에서 개폐, 즉 일부만 개폐되게 함으로써 입주자가 미세먼지 차단과 환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증대시킨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창틀(100)과; 상기 창틀(100)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바깥쪽 창짝(130) 및 안쪽 창짝(140)과; 상기 창틀(100)의 일측벽 내부에 설치되며, 롤스크린 형태로 인출할 수 있게 미세먼지 차단망(200)을 탄성적으로 감아 고정하는 롤하우징(210)과; 상기 롤하우징(210)의 상단 및 하단 일측면에 고정되고, 미세먼지 차단망(200)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릿(SL)을 갖는 고정가이드부(270a)와; 상기 고정가이드부(270a)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접을 수 있고, 상기 슬릿(SL)과 동일한 슬릿이 형성된 유동가이드부(270b);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200)의 인출단은 상기 바깥쪽 창짝(130)의 일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안쪽 창짝(140)의 글라스(142)를 바라보는 바깥쪽 창짝(130)의 프레임면에는 모헤어 고정브라켓(134)이 더 설치되고, 상기 모헤어 고정브라켓(134)에는 틈새를 막는 모헤어(132)가 끼워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가이드부(270a)와 유동가이드부(270b)는 일직선상으로 유지되며, 상기 바깥쪽 창짝(130)을 활주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0a)과 방충망레일(110) 사이에 끼워 고정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가이드부(270a)와 유동가이드부(270b)는 일직선상으로 유지되며, 상기 바깥쪽 창짝(130)을 활주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0a)과 방충망레일(110)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레일(120a)에는 스토퍼(300)가 끼움 고정되어 상기 유동가이드부(270b)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300)는 창틀(100)의 바닥면에 나사고정되는 스토퍼본체(310)와; 상기 스토퍼본체(310)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스토퍼유동체(320) 및 상기 스토퍼본체(310)의 상면을 밀폐하는 스토퍼커버(330)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유동체(32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20a,120b)에 끼워지는 레일끼움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스노퍼커버(330)의 일측면에는 틈새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모헤어삽입부(332)가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유동체(320)의 일측에는 돌출부(340)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340)에는 이를 상하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높이조절볼트(350)가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볼트(350)는 상기 스토퍼커버(330)의 상면에서 관통하여 스토퍼유동체(320)의 돌출부(340)에 체결되어 높이조절볼트(3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토퍼유동체(3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방충망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창짝과 연동하는 미세먼지 차단망을 설치하여 일정폭 내에서 개폐, 즉 일부만 개폐되게 함으로써 입주자가 미세먼지 차단과 환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의 설치예를 실외측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의 작동예를 실내측에서 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사용시 안창과 바깥창 사이의 기밀 유지예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의 설치예를 보인 부분 발췌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의 예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를 구성하는 수평가이드의 접이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를 구성하는 스토퍼의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는 기존 방충망을 그대로 둔 채 창짝과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일부만 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종래 미세먼지창이 무조건 다 열어야 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환기시에도 종래에는 창짝을 열고, 미세먼지창을 다시 열어야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창짝 연동형이므로 한번에 열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는 미세먼지차단창이 창틀 속에 숨겨지기 때문에 외부에서 봤을 때 노출되지 않아 창호의 외관품질도 향상시키는 장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조립성(가시공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평가이드를 접이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시공 편의성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는 창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존 방충망(도시생략)을 그대로 둔 채 창짝에 연동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창틀(100)의 실외측 가장 바깥에는 방충망이 끼워지는 방충망레일(110)이 기존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방충망레일(110)을 기준으로 실내측을 향해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가이드레일(120)이 구비되는데, 바깥쪽 가이드레일(120a)에는 바깥쪽 창짝(130, 도 2 참조)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안쪽 가이드레일(120b)에는 안쪽 창짝(140, 도 2 참조)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는 방충망레일(110)과 바깥쪽 가이드레일(120a) 사이의 창틀(100) 공간 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 1의 (b)와 같이, 바깥쪽 창짝(130)이 열리면서 생긴 공간은 도시하지 않은 방충망이 있는 상태에서 방충망과 간격을 두고 미세먼지 차단망(200)이 위치하게 되므로 미세먼지 혹은 황사 차단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200)은 롤스크린 형태로서 상기 바깥쪽 창짝(130)과 공지된 구조의 원터치 버튼(미도시)에 의해 잠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바깥쪽 창짝(130)과의 고정관계를 해제하게 되면 자동으로 말려 들어가 보이지 않게 되므로 바깥쪽 창짝(130)을 완전히 개방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방충망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미세먼지나 황사가 없는 화창한 날에 원활하게 환기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200)은 창틀(100)의 측부 공간상에 설치된 롤하우징(210, 도 4 참조)에 감기는 형태로 들어가게 되므로 창틀(100)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아 외관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망(200)은 상하방향이 아닌 좌우방향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도 1의 (b) 및 도 3과 같이, 바깥쪽 창짝(130)이 열릴 때 바깥쪽 창짝(130)과 안쪽 창짝(140)의 글라스(142) 사이에는 도 3에서 타원형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과 같이 틈새가 생겨 미세먼지 혹은 황사의 유입 우려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부분을 밀폐할 수 있도록 안쪽 창짝(140)의 글라스(142)를 바라보는 바깥쪽 창짝(130)의 프레임면에 모헤어 고정브라켓(134)을 더 고정하고, 상기 모헤어 고정브라켓(134)에 모헤어(132)를 끼워 고정하여 생긴 틈새를 모헤어(132)가 막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보다 더 완벽한 밀폐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롤하우징(21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0)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며, 특히 도 6의 예시와 같이 상단과 하단에는 고정캡(220)이 씌워지고, 상기 롤하우징(210)의 내부 중심에는 롤축(230)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캡(22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롤축(230) 상에는 비틀림스프링(240)이 구비되어 미세먼지 차단망(200)이 롤 형태로 말리면서 회전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비틀림스프링(240)은 일종의 스파이어럴스프링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면 되며, 미세먼지 차단망(200)의 단부는 상기 롤축(230)의 양단에 고정되어 감겼다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롤축(230)의 하단은 상기 고정캡(2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ㅜ' 형상으로 형성되고, 롤축(230)이 끼워지지 않은 하단부에 탄지편(250)이 접지되는데, 상기 탄지편(250)은 'ㄱ' 형상으로 탄성을 갖도록 고정캡(220)에 고정되며, 고정캡(220)의 일측에는 나사체결식으로 회전가능한 조절나사(260)가 설치되어 조절나사(260)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종의 캠 기능으로 상기 탄지편(25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탄지편(250)이 롤축(230)의 하단부를 탄압하는 힘을 달리하게 하여 상기 롤축(230)의 회전력을 조절케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롤스크린, 즉 미세먼지 차단망(200)의 복귀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롤하우징(210)의 상단과 하단 일측면에는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20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수평가이드(270)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가이드(270)는 상기 롤하우징(210)에 고정된 고정가이드부(270a)와 상기 고정가이드부(270a)의 단부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유동가이드부(270b)로 이루어지며, 이들 고정가이드부(270a)와 유동가이드부(270b)에 형성된 슬릿(SL)을 따라 미세먼지 차단망(200)이 슬라이딩 안내된다.
여기에서, 상기 유동가이드부(270b)를 고정가이드부(270a)에 대해 회전시켜 도 7과 같이 접을 수 있게 구성하는 이유는 이미 형틀을 갖추고 있는 창틀(100)에 끼워 넣어 시공할 때 모두 고정가이드부 형태로 구성되면 끼워 넣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시공초기에는 유동가이드부(270b)를 접어 마치 막대기, 즉 일종의 바(bar)와 같이 만들어 쉽게 끼워 설치하고, 설치된 후에는 유동가이드부(270b)를 펼치게 되면 미세먼지 차단망(200)을 슬라이딩 안내할 수평가이드(270)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때문에, 이 부분은 본 발명에서 아주 중요한 특징중 하나가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가이드부(270b)의 단부에는 스토퍼(300)가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300)는 도 8의 예시와 같이, 수평상태로 펼쳐진 유동가이드부(270b)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가이드레일(120a,120b)에 끼워지는데, 창틀(100)의 바닥면에 나사고정되는 스토퍼본체(310)와, 상기 스토퍼본체(310)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스토퍼유동체(320) 및 상기 스토퍼본체(310)의 상면을 밀폐하는 스토퍼커버(33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유동체(32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20a,120b)에 끼워지는 레일끼움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스노퍼커버(330)의 일측면에는 틈새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모헤어삽입부(332)가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토퍼유동체(320)의 일측에는 돌출부(340)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340)에는 이를 상하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높이조절볼트(350)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높이조절볼트(350)는 상기 스토퍼(300) 설치시 창틀(100) 자체가 틀어져 있는 경우 스토퍼(300)를 정상적으로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높이조절볼트(350)를 조이거나 풀어 스토퍼유동체(320)를 움직임으로써 창틀(100) 틀어짐에 대응하여 고정설치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때문에, 상기 높이조절볼트(350)는 상기 스토퍼커버(330)의 상면에서 이를 관통하여 스토퍼유동체(320)의 돌출부(340)에 체결된다.
덧붙여, 도시하지 않았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200)의 인출단 중앙에는 대응되는 창짝, 더 정확하게는 바깥쪽 창짝(130)의 대응면에 후크식으로 조립되는 원터치식 버튼(미도시)이 고정되어 평상시에는 바깥쪽 창짝(130)과 일체를 이루기 때문에 바깥쪽 창짝(130)을 열면 스토퍼(300) 위치까지 함께 움직이고, 원터치식 버튼을 눌러 결합상태를 해제하면 롤하우징(210)으로 말려 들어가면서 바깥쪽 창짝(130)이 자유롭게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원터치식 버튼은 다양한 형태로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기로 한다.
또한, 바깥쪽 창짝(130)에 완전히 고정시키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먼저, 도 9의 예시와 같이, 창짝이 모두 닫힌 상태에서는 미세먼지 차단망(200)이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며, 이때에는 방충망이 방충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이후 모든 설명은 방충망이 있는 상태이므로 방충망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이어, 미세먼지 차단망(200)을 사용하기 위해 내측창, 즉 안쪽 창짝(140)을 먼저 연 후 이어 외측창, 즉 바깥쪽 창짝(130)을 개방한다.
그러면, 바깥쪽 창짝(130)에 구속되어 있던 미세먼지 차단망(200)이 바깥쪽 창짝(130)과 연동하여 인출되면서 개방된 부분을 미세먼지 차단망(200)이 가리게 된다.
때문에, 이 상태를 유지하면 미세먼지 또는 황사 등을 차단한 상태로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다가, 날씨가 양호하여 환기를 위주로 하고 싶을 때는 도 10의 예시와 같이, 미세먼지 차단망(200)이 바깥쪽 창짝(13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원터치식 버튼을 눌려 미세먼지 차단망(200)의 연동을 해제하면 미세먼지 차단망(200)은 창틀(100)의 일측에 내장되어 있는 롤하우징(210) 속으로 말려 들어가 보이지 않게 되고, 바깥쪽 창짝(130)은 미세먼지 차단망(200)이 분리되었기 때문에 원하는 만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망(200)을 바깥쪽 창짝(130)과 연동되게 구현하여 필요시에 미세먼지나 황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되, 조망을 방해하지 않고, 언제든지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성이 그 만큼 증대되는 장점을 가진다.
100: 창틀
200: 미세먼지 차단망
300: 스토퍼

Claims (7)

  1. 창틀(100)과;
    상기 창틀(100)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바깥쪽 창짝(130) 및 안쪽 창짝(140)과;
    상기 창틀(100)의 일측벽 내부에 설치되며, 롤스크린 형태로 인출할 수 있게 미세먼지 차단망(200)을 탄성적으로 감아 고정하는 롤하우징(210)과;
    상기 롤하우징(210)의 상단 및 하단 일측면에 고정되고, 미세먼지 차단망(200)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릿(SL)을 갖는 고정가이드부(270a)와;
    상기 고정가이드부(270a)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접을 수 있고, 상기 슬릿(SL)과 동일한 슬릿이 형성된 유동가이드부(270b);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200)의 인출단은 상기 바깥쪽 창짝(130)의 일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쪽 창짝(140)의 글라스(142)를 바라보는 바깥쪽 창짝(130)의 프레임면에는 모헤어 고정브라켓(134)이 더 설치되고, 상기 모헤어 고정브라켓(134)에는 틈새를 막는 모헤어(132)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부(270a)와 유동가이드부(270b)는 일직선상으로 유지되며, 상기 바깥쪽 창짝(130)을 활주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0a)과 방충망레일(110) 사이에 끼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부(270a)와 유동가이드부(270b)는 일직선상으로 유지되며, 상기 바깥쪽 창짝(130)을 활주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0a)과 방충망레일(110)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레일(120a)에는 스토퍼(300)가 끼움 고정되어 상기 유동가이드부(270b)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00)는 창틀(100)의 바닥면에 나사고정되는 스토퍼본체(310)와; 상기 스토퍼본체(310)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스토퍼유동체(320) 및 상기 스토퍼본체(310)의 상면을 밀폐하는 스토퍼커버(3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유동체(32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20a,120b)에 끼워지는 레일끼움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스노퍼커버(330)의 일측면에는 틈새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모헤어삽입부(3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유동체(320)의 일측에는 돌출부(340)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340)에는 이를 상하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높이조절볼트(350)가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볼트(350)는 상기 스토퍼커버(330)의 상면에서 관통하여 스토퍼유동체(320)의 돌출부(340)에 체결되어 높이조절볼트(3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토퍼유동체(3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KR1020170082992A 2017-06-30 2017-06-30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KR101939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992A KR101939680B1 (ko) 2017-06-30 2017-06-30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992A KR101939680B1 (ko) 2017-06-30 2017-06-30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13A true KR20190002813A (ko) 2019-01-09
KR101939680B1 KR101939680B1 (ko) 2019-04-11

Family

ID=65017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992A KR101939680B1 (ko) 2017-06-30 2017-06-30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682A (ko) 2019-12-13 2021-06-23 이선중 미세먼지 방지창호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5048A (ko) * 2008-12-24 2010-07-02 (주)인익스 미닫이 창호용 롤방충망 장치
KR20100006779U (ko) * 2008-12-24 2010-07-02 (주)인익스 롤방충망 케이스 고정구조
KR20110009619U (ko) * 2010-04-03 2011-10-11 케이에스스크린(주) 하단바 접이식 방충망 프레임
KR20160104130A (ko) 2015-02-25 2016-09-05 (주) 드림에어 창문용 미세먼지 차단필터
KR20170011490A (ko) 2015-07-23 2017-02-02 정수영 미세먼지 차단용 창구조
KR20170051090A (ko) 2015-11-02 2017-05-11 이규호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5048A (ko) * 2008-12-24 2010-07-02 (주)인익스 미닫이 창호용 롤방충망 장치
KR20100006779U (ko) * 2008-12-24 2010-07-02 (주)인익스 롤방충망 케이스 고정구조
KR20110009619U (ko) * 2010-04-03 2011-10-11 케이에스스크린(주) 하단바 접이식 방충망 프레임
KR20160104130A (ko) 2015-02-25 2016-09-05 (주) 드림에어 창문용 미세먼지 차단필터
KR20170011490A (ko) 2015-07-23 2017-02-02 정수영 미세먼지 차단용 창구조
KR20170051090A (ko) 2015-11-02 2017-05-11 이규호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680B1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1737A (en) Pleated screen device based on wire tension system
KR20180114378A (ko) 미세먼지 필터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조립체
KR102216108B1 (ko) 절첩식 미세먼지 필터망이 구비된 창호
KR20210068977A (ko) 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이 포함된 창호
KR101939680B1 (ko)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KR101761003B1 (ko) 실내 슬라이드 도어의 연동 및 회전장치
KR101631707B1 (ko) 시스템루버의 구동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시스템루버 장치
KR20080029057A (ko) 햇빛가리개가 구비된 절첩식 방충망
KR101517098B1 (ko)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JP2007506882A (ja) 網部を有する窓
US4592167A (en) Doors
KR102580798B1 (ko) 폴딩 방충망
US20070266653A1 (en) Combination window, screen, storm shutter and fire escape
KR102642124B1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KR20170028541A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DE19938430C1 (de) Fenster mit Zwangsbelüftung
KR101631708B1 (ko) 시스템루버의 구동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시스템루버 장치
KR20210049289A (ko)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KR101957679B1 (ko) 미세먼지 차단 스크린 창
WO2021076202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a concealed screen assembly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KR101883454B1 (ko) 복합기능을 갖는 창호
KR20200139860A (ko) 환기창의 잠금장치
JP2000096957A (ja) 摺動式スクリーンユニット
KR20200017289A (ko) 창호용 방진필터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