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619B1 - 자동차용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619B1
KR100980619B1 KR1020080090588A KR20080090588A KR100980619B1 KR 100980619 B1 KR100980619 B1 KR 100980619B1 KR 1020080090588 A KR1020080090588 A KR 1020080090588A KR 20080090588 A KR20080090588 A KR 20080090588A KR 100980619 B1 KR100980619 B1 KR 100980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ver
flange
dash panel
guide member
engin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1796A (ko
Inventor
최홍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0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61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1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55Padded or energy-absorbing fittings, e.g. seat bel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시 승객의 가슴 상해치에 영향을 미치는 차체 변형량을 줄일 수 있는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는, 스티어링 칼럼과 연결된 유니버설 조인트가 관통하는 대시 패널 부위에 더스트 커버가 엔진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더스트 커버 끝단부의 플랜지가 변형유도 멤버를 통해 대시 패널 끝단부의 플랜지에 접합되되,
상기 대시 패널의 플랜지는 실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변형유도 멤버는 엔진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대시 패널의 플랜지와 변형유도 멤버 양단의 플랜지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폐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스트 커버, 변위 흡수, 변형유도, 슬롯

Description

자동차용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 {Structure for Absorbing Displacement of Dust Cover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시 승객의 가슴 상해치에 영향을 미치는 차체 변형량을 줄일 수 있는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체의 대시(dash) 토팬(toepan) 영역은 충돌 안정성을 대표하는 부위로, 충돌 시험시 변형량을 측정하여 자동차 성능을 판단한다.
상기 대시를 관통하는 부품으로 운전석측에 구비된 스티어링 칼럼은 대시를 경계면으로 하여 유니버설 조인트의 링키지(linkage) 구조와 연결된다.
이때 엔진룸과 실내를 구분하는 대시의 부품 특성을 감안하여 유니버설 조인트의 링키지부는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돌출형 더스트 커버를 통하여 격벽 구조를 이룬다.
즉,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을 스티어링 기어박스로 전달하는 연결수단인 유니버설 조인트는 대시 패널을 관통하여 실내와 실외인 엔진룸에 걸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시 패널의 관통 부위에는 더스트 커버를 설치하여 엔진룸 내의 소음이나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더스트 커버(2)는 대시 패널(1)에 접합되어 유니버설 조인트(3)의 체결 작업이 용이하도록 실내측에서 엔진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하며, 도 2에서와 같이 유니버설 조인트(3)가 조립되어 실내측의 스티어링 칼럼(4)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더스트 커버(2)의 돌출 구조는 레이아웃상 충돌 과정에서 엔진룸내의 다른 부품과 접촉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 우물정자 형태의 서브프레임(5) 후방으로의 변위 발생이 일반적인 차체의 거동인 바, 이러한 변형 양상으로 보아 서브프레임(5) 후방측에 위치한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충돌시 후방 변위는 스티어링 칼럼(4)으로 전달되고 이는 스티어링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승객의 가슴에 상해를 가하게 되며, 따라서 통상 충격 흡수를 위하여 붕괴형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측정 부위의 경우는 더스트 커버(2)로 전달된 변위가 대시 패널(1)과 더스트 커버(2)의 접합 플랜지(6)를 통하여 흡수 없이 전달되어 지게 되고, 이는 실내측으로 변위가 발생하는 차체 변형량으로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체 측정 부위에서의 충돌로 인해 생기는 변위를 흡수하는 더스트 커버와 대시 패널의 연결 구조를 정립하고, 이에 의해 차량 충돌시 승객의 가슴 상해치에 영향을 끼치는 차체 변형량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는, 스티어링 칼럼과 연결된 유니버설 조인트가 관통하는 대시 패널 부위에 더스트 커버가 엔진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더스트 커버 끝단부의 플랜지가 변형유도 멤버를 통해 대시 패널 끝단부의 플랜지에 접합되되,
상기 대시 패널의 플랜지는 실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변형유도 멤버는 엔진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대시 패널의 플랜지와 변형유도 멤버 양단의 플랜지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폐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차체 측정 부위에서의 충돌로 인해 생기는 변위를 흡수하는 더스트 커버와 대시 패널의 연결 구조를 정립하고, 이에 의해 차량 충돌시 승객의 가슴 상해치에 영향을 끼치는 차체 변형량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과 연결된 유니버설 조인트가 관통하는 대시 패널(10) 부위에 더스트 커버(20)가 엔진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더스트 커버(20) 끝단부의 플랜지(22)가 변형유도 멤버(30)를 통해 대시 패널(10) 끝단부의 플랜지(12)에 접합된다.
이때 대시 패널(10)의 플랜지(12)는 실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변형유도 멤버(20)는 엔진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대시 패널(10)의 플랜지(12)와 변형유도 멤버(30) 양단의 플랜지(34)가 접합된 상태에서 폐단면을 형성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더스트 커버(20)의 플랜지(22)는 엔진룸측으로 돌출된 변형유도 멤버(30)의 도중에 접합되고, 더스트 커버(20)의 플랜지(22)와 접합되지 않은 엔진룸측으로 돌출된 변형유도 멤버(30) 부위에는 충돌시 노치 집중효과를 발생하여 절단될 수 있도록 슬롯(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더스트 커버(20)의 종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본래 기능인 먼지 및 소음에 대한 실링 기능과 조립성 공간 확보 기능은 유지된다.
또한, 더스트 커버(20)와 대시 패널(10) 사이에 변형 유도형 슬롯(32)을 지닌 폐단면을 이루는 변형유도 멤버(30)가 마련되어 접합되되, 대시 패널(10)의 플 랜지(12) 형상의 변경으로 변위 흡수 구조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충돌시 도 5에 나타낸 흡수구조의 변형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차량에 충돌이 발생한 경우 서브프레임이 후방으로 변형되면서 엔진룸 내의 부품이 엔진룸측으로 돌출된 더스트 커버(20)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 충돌 하중이 더스트 커버(20)에 입력되어 변형유도 멤버(30)에 전달된다.
따라서 더스트 커버(20)의 플랜지(22)와 접합되는 변형유도 멤버(30)의 접합부로 충돌 하중이 집중되고, 이에 의해 변형유도 멤버(30) 접합부가 꺾어지는 국부 변형이 일차적으로 발생하며, 슬롯(32)으로 인한 노치 집중효과 발생으로 슬롯(32) 부위가 부수적으로 절단되면서, 변형유도 멤버(30)의 플랜지(34)와 접합하는 대시 패널(10) 접합부로의 변위 전달을 감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서 화살표(↔)는 변형유도 멤버(30)의 변위 흡수 가능량으로서, 이는 결국, 대시 패널(10) 변형 감소량이 되는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 더스트 커버를 실내측과 엔진룸측에서 본 도면,
도 2는 도 1a의 더스트 커버에 유니버설 조인트의 조립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차량 충돌시 차체의 일반 거동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차량 충돌시 종래 더스트 커버 부위의 변형 발생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충돌시 도 5에 나타낸 흡수구조의 변형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대시 패널 12: 플랜지
20: 더스트 커버 22: 플랜지
30: 변형유도 멤버 32: 슬롯
34: 플랜지

Claims (3)

  1. 스티어링 칼럼과 연결된 유니버설 조인트가 관통하는 대시패널(10) 부위에 더스트 커버(20)가 엔진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더스트 커버(20)의 끝단부의 플랜지(22)가 변형유도 멤버(30)를 통해 대시패널(10) 끝단부의 플랜지(12)에 접합되도록 구성되는 더스트 커버의 변위흡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대시패널(10)의 플랜지(12)는 실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변형유도멤버(30)는 엔진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대시패널(10)의 플랜지(12)와 변형유도멤버(30)의 양단 플랜지(34)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20)의 플랜지(22)는 상기 변형유도멤버(30)의 플랜지(34) 부위가 아닌 엔진룸측으로 돌출 절곡된 변형유도멤버(30)의 도중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20)의 플랜지(22)와 접합되지 않고 엔진룸측으로 돌출 절곡된 상기 변형유도멤버(30) 부위에는 충돌시 노치 집중효과가 발생되어 절단될 수 있도록 하는 슬롯(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
KR1020080090588A 2008-09-16 2008-09-16 자동차용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 KR100980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588A KR100980619B1 (ko) 2008-09-16 2008-09-16 자동차용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588A KR100980619B1 (ko) 2008-09-16 2008-09-16 자동차용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796A KR20100031796A (ko) 2010-03-25
KR100980619B1 true KR100980619B1 (ko) 2010-09-07

Family

ID=4218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588A KR100980619B1 (ko) 2008-09-16 2008-09-16 자동차용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52574A (ja) * 2021-03-29 2022-10-12 マツダ株式会社 車体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224U (ko) * 1994-04-11 1995-11-20 자동차의 측면 보강장치
KR200197875Y1 (ko) * 1997-03-07 2000-10-02 류정열 자동차의 리어멤버 보강구조
KR20020050629A (ko) * 2000-12-21 2002-06-27 이계안 조향축의 더스트 커버 조립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224U (ko) * 1994-04-11 1995-11-20 자동차의 측면 보강장치
KR200197875Y1 (ko) * 1997-03-07 2000-10-02 류정열 자동차의 리어멤버 보강구조
KR20020050629A (ko) * 2000-12-21 2002-06-27 이계안 조향축의 더스트 커버 조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796A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7126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KR100301137B1 (ko) 자동차의 차체 앞부분 구조체
JP4459984B2 (ja) 車体フロア構造
JP5201864B2 (ja) 車体構造
US8342599B2 (en) Steering support member structure
CN106347466B (zh) 车身组装结构
JP2007045352A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CN114620141A (zh) 车辆的车体
CN106256657B (zh) 前车身增强结构及其组装方法
JP2010000866A5 (ko)
KR100980619B1 (ko) 자동차용 더스트 커버의 변위 흡수구조
JP2014144714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2009137523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102002308B1 (ko) 차량용 범퍼 빔
JP4973045B2 (ja) 車両前部構造
JP4133723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2002240739A (ja) 車体前部構造
JP2000203461A (ja) 車体構造
JP4341558B2 (ja) 車体構造
JP2007253786A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JP2006137326A (ja) 車体前部構造
KR20060109632A (ko) 자동차의 카울사이드패널 보강구조
KR100445876B1 (ko) 자동차 카울부의 보강구조
JP4304464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3527420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部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