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330B1 -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정전기 방지용 전도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정전기 방지용 전도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330B1
KR100980330B1 KR1020100019319A KR20100019319A KR100980330B1 KR 100980330 B1 KR100980330 B1 KR 100980330B1 KR 1020100019319 A KR1020100019319 A KR 1020100019319A KR 20100019319 A KR20100019319 A KR 20100019319A KR 100980330 B1 KR100980330 B1 KR 100980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eight
parts
composite sheet
conductiv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만귀
이현대
김승빈
Original Assignee
조만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만귀 filed Critical 조만귀
Priority to KR1020100019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6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material in insulating or poorly conductive material, e.g. conductive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1/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electrostatic 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정전기 방지용 전도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기재층의 양면에 폴리카보네이트와 고무의 블렌드물을 포함하는 표면층이 적층되어 탁월한 정전기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동시에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전도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복합 시트는 LCD 트레이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진공성형공정으로 성형 시 불량률이 거의 없고,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제품이 손상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보다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생산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정전기 방지용 전도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방법{Anti-static conductivity composite sheet with good abrasion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정전기 방지용 전도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기재층의 양면에 폴리카보네이트와 고무의 블렌드물을 포함하는 표면층이 적층되어 탁월한 정전기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동시에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전도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부품(반도체류, LCD Module, Back light Unit, Mobile phone 부품 등)의 조립공정, 운반 및 보관과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트레이(tray)는 먼지, 이물과 같은 오염성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전자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표적으로는 미결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적용한 시트에 도전성 고분자를 코팅한 투명 시트의 진공 성형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미결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트는 내열성이 낮아 하절기에 보관과정에서 변형이 발생하며, 동절기에는 저온충격특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공성형 과정에서도 시트의 가열 냉각과정 중 결정성에 의한 백화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 있고, 일정 두께 이상의 두꺼운 시트 제품을 성형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어 제품을 다양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시트 이외에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를 적용한 시트에 도전성 고분자를 코팅한 불투명 시트의 진공 성형물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시트는 내열성 및 성형성은 우수한 반면에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이 열세하여 이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2008-0035058호에는 전도성물질층/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수지층/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수지층/PC 수지층/전도성물질층의 5층으로 구성된 다층 시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다층 시트는 비연속적인 공정으로 전도성물질로 코팅 처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어 작업성이 떨어지고, 제조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으며, 성형이 어려워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만족할만한 수준이라고 보기 어렵다.
또한 내충격성이 나쁘기 때문에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함) 트레이로 사용하기에 만족스럽지 않아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상기 다층 시트 중 전도성물질층은 운반 및 보관 과정에서 주변 환경에 의해 마모 및 표면 벗겨짐 현상이 일어나 정전기 해소 저하 및 대전방지기능 저하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전기에 민감한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부품이 담기는 용도로 사용되는 트레이는 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정전기를 빠른 시간 내에 분산 해소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이물을 최소화시켜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여러 가지 트레이(tray)를 제조하고 있으나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 중에 트레이의 취약한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으로 인하여 상당한 이물질 발생 및 적재 시 중량에 견디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이하 ‘ABS’라 함)을 기재층으로하고, 그 양면에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이하 ‘PC'라 함)와 고무의 블렌드물을 포함하는 표면층을 형성하여 별도의 전도성물질의 코팅 없이도 정전기 방지 기능이 탁월하며, 동시에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LCD 트레이 제조 시 성형성이 우수한 전도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3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면층에 대전방지제 및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함으로써 가공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고 성형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정전기를 빠른 시간 내에 분산 해소시킬 수 있고, 주변 환경에 의한 마모 및 표면 벗겨짐 현상이 없으며,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동시에 우수한 전도성 복합 시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전도성 복합 시트로 형성된 LCD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정전기 방지용 전도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공압출되어 적층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고무의 블렌드물을 포함하는 표면층;으로 이루어진 전도성 복합 시트로서, 상기 표면층은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무 1 ~ 20 중량부, 대전방지제 0.01 ~ 10 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0.1 ~ 2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기재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표면층 10 ~ 30 중량부의 무게비를 갖는 전도성 복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복합 시트는 기재층에 ABS를 적용하여 내열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가공성 및 성형성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BS의 종류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복합 시트는 표면층에 PC와 고무의 블렌드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표면층에 PC와 고무의 블렌드물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고, 또한 LCD 트레이에서 가장 중요한 이물 발생 방지에 탁월한 특성이 있다.
상기 PC의 종류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복합 시트의 표면층에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물성 또한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무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모노머 고무(EPDM), 천연 고무(N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부타디엔 고무(BR), 클로로프렌 고무(CR),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부틸 고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면층은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무 1 ~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무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격보강의 효과가 없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가 크게 저하된다.
또한 상기 표면층은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전방지제 0.0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성이온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대전방지성이 나타날 만큼 충분히 표면저항이 낮아지지 않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불량, 황변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알킬술폰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황산염, 알킬인산염을 포함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알킬베타인, 알킬알라닌을 포함하는 양성이온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4급 암모늄염은 디스테아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 디메틸 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알킬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이하 ‘CNT’라 함)를 PC와 고무의 용융 혼련 도중에 첨가함으로써 블렌드물의 상용성을 향상시켰다. 상기 CNT가 포함됨에 따라, 전도성 복합 시트는 우수한 정전기 분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CNT는 전기 방전법(arc-discharge), 열분해법(pyrolysis), 레이저 증착법(laser vaporization), 플라즈마 화학기상 증착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열화학 기상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전기분해법 또는 플레임 합성법 등을 사용해 합성할 수 있으나, 이러한 합성법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방법으로 합성된 CNT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CNT는 현존하는 재료들 중에서 그 강도가 가장 뛰어난 물질로 인식되고 있는바, 고분자 물질의 기계적 성능 향상에 매우 적합한 충진제이기도 하다.
상기 CNT는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CNT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전도성 복합 시트 표면층의 정전기 분산 효과와 대전방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CNT의 분산성 조절이 어렵고, 상기 전도성 복합 시트 표면층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NT는 1 ~ 50nm, 바람직하게는, 2 ~ 10nm의 두께 및 0.01 ~ 10㎛, 바람직하게는 1 ~ 1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두께 및 길이로부터 상기 CNT는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 1,000의 종횡비(L/D)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CNT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전도성 복합 시트의 표면층이 균일한 전기 전도성을 갖고, 우수한 대전방지 효과 및 정전기 분산 효과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은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오노머 0.003 ~ 0.2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오노머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표면층에 이오노머를 상기 범위로 더 첨가하는 경우, ABS 기재층과 표면층 간의 접착력이 매우 우수해지고, 정전기 분산 효과도 더욱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복합 시트는 상기 기재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표면층 10 ~ 30 중량부의 무게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표면층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 비율이 낮아져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진공성형성 및 기계적 물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복합 시트를 이용하여 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정전기를 빠른 시간 내에 분산 해소 할 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이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LCD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LCD 트레이는 우수한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동시에 가짐으로써 먼지 및 이물과 같은 오염으로부터 LCD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복합 시트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a) 폴리카보네이트, 고무, 대전방지제 및 탄소나노튜브를 혼련하여 컴파운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의 양면에 상기 컴파운딩 조성물이 적층되도록 용융하여 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고,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의 용융온도는 210 ~ 250 ℃이고, 컴파운딩 조성물의 용융온도는 240 ~ 2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복합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a) 폴리카보네이트, 고무, 대전방지제 및 탄소나노튜브를 혼련하여 컴파운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혼련은 통상의 혼합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균일한 혼합을 위하여, 트윈 압출기 등을 통하여 용융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혼합한 경우 균일도가 높고 상호 수지 간에 고른 분포의 매트릭스가 형성되므로 기계적, 물리적 특성이 향상된 결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a)단계를 통하여 기재층의 양면에 적층되는 표면층을 구성하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표면층은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무 1 ~ 20 중량부, 대전방지제 0.01 ~ 10 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0.1 ~ 20 중량부를 함유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BS 기재층과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상기 a)단계에서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오노머 0.003 ~ 0.2 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 후, b)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의 양면에 상기 컴파운딩 조성물이 적층되도록 용융하여 공압출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b)단계에 사용될 수 있는 압출기는 예를 들어 외부 층과 내부 층을 달리할 수 있는 압출기가 최소 2개 이상에 피드 블럭이 갖추어진 시트 제조기 또는 압출기가 3개로 구성된 공압출 시트제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의 용융온도는 210 ~ 250 ℃이고, 컴파운딩 조성물의 용융온도는 240 ~ 280 ℃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복합 시트의 총 두께는 용도에 따라 다양히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0.5 ~ 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두께가 0.5mm 미만인 경우에는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3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진공성형성 등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전도성 복합 시트를 이용한 LCD 트레이를 제공한다.
상기 LCD 트레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진공성형법을 사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진공성형을 위해 시트에 열을 가할 때 시트는 일정한 용융장력을 필요로 한다. 즉, 용융장력이 너무 클 경우는 금형의 세세한 부분까지 잘 나타낼 수 없어 치수적인 문제 등을 유발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용융장력이 너무 작을 경우에는 시트의 처짐현상이 심하여 제품의 두께 균일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적재보관 및 운송 시 문제를 야기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복합 시트는 상술한 조성에 의하여 적절한 용용 장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성형품이 금형의 세세한 부분까지 잘 나타낼 수 있고, 열전달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사이클 타임을 단축시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복합 시트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공압출되어 적층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고무의 블렌드물을 포함하는 표면층;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의 전도성 복합 시트로서, 정전기 방지용으로 탁월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이물발생 방지 효과)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표면층에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정전기 분산 효과 및 대전방지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표면층의 기계적 물성 향상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복합 시트의 제조방법은 성형성을 비롯한 후작업성이 개선되어 생산성이 향상된 전도성 시트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어진 LCD 트레이는 우수한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정전기 해소 기능이 매우 탁월할 뿐만 아니라 부수적으로 가공성 및 성형성이 다른 트레이에 비해 훨씬 월등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진공성형공정으로 성형 시 불량률이 거의 없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제품이 손상되는 정도를 최소화하였으며, 보다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생산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복합 시트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복합 시트 사진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복합 시트를 이용한 LCD 트레이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내마모성 분석
내마모성은 플라스틱 재료가 마찰제에 접촉될 때, 어느 정도 마모되어져 감소되는지에 대한 경향을 예측할 수 있는 근거로서 원반형의 시편을 회전기구에서 돌리면서 마모제를 마찰시키면서 감량되는 정도로 내마모성을 정의하는데, 일정한 하중으로 마모용 휠을 시편 위에 눌러주고, 1000회를 회전시키면서 마모를 시킨 다음, 감량된 시편의 무게를 ㎎ 단위로 측정하여 내마모성을 표시하였다. 사용하는 마모용 휠은 표면의 거칠기에 따라 구분되는데, CS-17 휠을 사용하였다. 내마모성은 1000번의 마찰회전에서 마모되어 감량되는 시편의 무게인 '㎎/1000cycle'로서 정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복합 시트를 측정기기; Taber Abaraser Model 5151, Standard Abrasion Test, 측정방법; ASTM D-4060 2001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내충격성 분석
내충격성 시험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복합 시트를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표면저항
표면저항(KS M 3015-1997)은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LCD 트레이를 시험조건; 적용전압 500V, 60초, 20±2℃, 65±2% RH, 시험장비; TOA SME-8311, D1=1.96㎝, D2=2.41㎝에서 측정하였다.
반감기 측정
반감기(KS K0555-2000, A법)는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LCD 트레이를 시험조건; 20±2℃, 40±2% RH에서 측정하였다.
정전기 측정
정전기 측정기는 정전기원(Static Source)의 세기를 측정하며, 피상전하(단위=V)는 발생되는 전자장의 유도에 의한 파괴가능성을 재는 척도이다. 전기장 감쇄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측정 대상 트레이 바깥에 전기장을 발생하는 전기제품을 두고, 전기장측정기(E-Tester, NIT사)를 가지고 트레이 박스 내부 중앙에서의 전기장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 5, 비교예 1, 2]
ABS 수지를 기재층으로 구성하고, 표면층은 PC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함량으로 컴파운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구성하였다. 하기 표 1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딩 수지 조성물을 기재층의 양면에 적층되도록 공압출기에 공급하여 ABS 수지는 210 ~ 250 ℃, 컴파운딩 수지 조성물은 240 ~ 280 ℃에서 용융 압출하고, 기재층과 표면층의 무게비율이 8:2이고, 최종적으로 두께가 1.5mm인 3층 구조의 전도성 복합 시트를 형성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복합 시트의 단면도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제조된 전도성 복합 시트 사진은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0013864276-pat00001
[비교예 3]
상기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복합 시트의 양 표면층에 도전성 고분자 코팅액으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Bayer사, Baytron) 조성물을 코팅하여 5층 구조의 복합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복합 시트의 물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0013864276-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고무, 대전방지제 및 CNT를 표면층에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전도성 복합 시트는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내마모성(이물 발생 방지 효과)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진공성형성에서 싸이클 타임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는 고무, 대전방지제 및 CNT를 동시에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비교예 3에서는 전도성물질층이 코팅되는 경우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본 발명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전도성 복합 시트를 이용한 LCD 트레이 제조
상기 실시예 2에 의하여 제조된 전도성 복합 시트를 진공성형장비로 LCD 트레이를 생산함에 있어서, 진공성형장비에 금형을 설치(setting)한 후 일정한 두께의 전도성 복합 시트를 성형기에 걸고 열을 가하면(heeting) 전도성 복합 시트가 가열되어 누글누글한 상태로 유지된다. 미리 설정된 제원에 따라 전도성 복합 시트는 금형 위로 이송 후 일시 정지하게 되며 제작된 플러그는 히팅(heeting)된 전도성 복합 시트를 누르며 형합하게 되고, 이때 진공을 걸면 금형의 형상과 같은 성형형태가 유지된다. 1차 냉각 후 이형, 이송하게 되고, 2차 잔열, 냉각 후 후 가공 공정에서 절단(cutting)하여 다음 공정인 트리밍(triming)을 거쳐 목적으로 하는 LCD의 트레이를 제조하였다. 이 때 진공성형 온도조건은 250 ~ 350 ℃로서 제도된 LCD 트레이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트레이는 금형의 형태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트레이 제품의 양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정정기 방지에 우수한 LCD 트레이는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트레이 내에 수납된 내용물이 이동 중에 발생하는 마찰전기, 즉 정전기 혹은 전기장이 트레이 외부 방향으로 빠져나감에 의하여 발생된 정전기로부터 제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나 공기 중에 존재하는 먼지류는 정전기가 발생하는 쪽으로 붙으려는 성질에 의해 내용물 표면의 더러움 유발과 하전된 미세먼지가 내용물의 표면에 부착 시 제거 어려움에 의한 피해, 그리고 특히 내용물이 전자부품과 같이 정전기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제품을 취급하는 전기·전자업체에서는 최종 제품의 불량 피해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기장 감쇄 정도 측정 결과 본 발명에 따른 LCD 트레이는 4V/m 이하로 측정되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LCD 트레이는 내부에 존재하는 전기장(정전기)을 소멸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면저항은 104 ~ 106Ω/□이었고, 반감기는 2초 이하으로 제전 성능이 성형 전과 성형 후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1, 3; 폴리카보네이트, 고무, 대전방지제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표면층
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기재층

Claims (5)

  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공압출되어 적층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고무의 블렌드물을 포함하는 표면층;으로 이루어진 전도성 복합 시트로서,
    상기 표면층은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무 1 ~ 20 중량부, 대전방지제 0.01 ~ 10 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0.1 ~ 2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기재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표면층 10 ~ 30 중량부의 무게비를 갖는 액정디스플레이 트레이용 전도성 복합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모노머 고무, 천연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부틸 고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액정디스플레이 트레이용 전도성 복합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제는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알킬술폰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황산염, 알킬인산염을 포함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알킬베타인, 알킬알라닌을 포함하는 양성이온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액정디스플레이 트레이용 전도성 복합 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오노머 0.003 ~ 0.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트레이용 전도성 복합 시트.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전도성 복합 시트를 이용한 액정디스플레이 트레이.
KR1020100019319A 2010-03-04 2010-03-04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정전기 방지용 전도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80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319A KR100980330B1 (ko) 2010-03-04 2010-03-04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정전기 방지용 전도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319A KR100980330B1 (ko) 2010-03-04 2010-03-04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정전기 방지용 전도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330B1 true KR100980330B1 (ko) 2010-09-07

Family

ID=4300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319A KR100980330B1 (ko) 2010-03-04 2010-03-04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정전기 방지용 전도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3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902B1 (ko) * 2013-01-25 2014-11-03 (주)탑나노시스 탄소나노튜브가 코팅된 기능성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8126A (ko) * 2016-10-06 2018-04-16 나노캠텍주식회사 재활용이 가능하며 내마모도가 우수한 기능성 플라스틱 시트 제조
KR20200075354A (ko) * 2018-12-18 2020-06-26 박용필 복합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반도체용 트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15A (ja) * 1993-06-17 1995-01-06 Kubota Corp 包装装置
JP2003301115A (ja) 2002-04-10 2003-10-21 Denki Kagaku Kogyo Kk 樹脂組成物ならびにシート
JP2005007684A (ja) 2003-06-18 2005-01-13 Denki Kagaku Kogyo Kk 基材層にabs樹脂を用いたシート
JP3946000B2 (ja) 2001-04-27 2007-07-18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耐熱性電子部品包装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15A (ja) * 1993-06-17 1995-01-06 Kubota Corp 包装装置
JP3946000B2 (ja) 2001-04-27 2007-07-18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耐熱性電子部品包装容器
JP2003301115A (ja) 2002-04-10 2003-10-21 Denki Kagaku Kogyo Kk 樹脂組成物ならびにシート
JP2005007684A (ja) 2003-06-18 2005-01-13 Denki Kagaku Kogyo Kk 基材層にabs樹脂を用いたシー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902B1 (ko) * 2013-01-25 2014-11-03 (주)탑나노시스 탄소나노튜브가 코팅된 기능성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8126A (ko) * 2016-10-06 2018-04-16 나노캠텍주식회사 재활용이 가능하며 내마모도가 우수한 기능성 플라스틱 시트 제조
KR20200075354A (ko) * 2018-12-18 2020-06-26 박용필 복합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반도체용 트레이
KR102234102B1 (ko) * 2018-12-18 2021-04-01 박용필 복합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반도체용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2110A1 (en) Reinforced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sheet or film
US20230348711A1 (en) Aromatic Polymer Composition for Use in a Camera Module
KR101269422B1 (ko) 내마모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0845B1 (ko) 전기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CN102458830A (zh) 无机粒子复合体及无机粒子复合体的制造方法
KR100695503B1 (ko) 성형가공성이 향상된 캐리어테이프용 고분자 쉬트
KR100980330B1 (ko)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정전기 방지용 전도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05658431B (zh) 热塑性树脂片及成形体
JP2019529154A (ja) スラッギング(弛み)抵抗性が改善した熱成形用多層シート
JP4951484B2 (ja) 帯電防止性シート及び包装用成形品
JPWO2020075755A1 (ja) ポリプロピレン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9094486A (ja) 導電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68479A (ko) 차단성과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수지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2007237497A (ja) 離型用フィルム
JP2008141130A (ja) 半導体搬送容器用部品用導電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搬送容器用部品並びに半導体搬送容器
CN105340069A (zh) 脱模膜
JP7329153B2 (ja) ポリプロピレン多層シート
KR20080035058A (ko)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정전기방지 다층시트와 그제조방법
WO2020235343A1 (ja) 複合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44172B1 (ko)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강화된 생분해성 다층시트의 제조방법
JP2505461B2 (ja) 複合プラスチツクシ−ト
JP2021091220A (ja) 樹脂成形体及び静電気対策部品
KR20080021936A (ko) 마찰전기 방지기능을 가진 폴박스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JP3790742B2 (ja) 導電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101797342B1 (ko)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