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809B1 - 스크린 프린팅용 페이스트 컨테이너 및 스크린 프린팅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프린팅용 페이스트 컨테이너 및 스크린 프린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809B1
KR100978809B1 KR1020047020630A KR20047020630A KR100978809B1 KR 100978809 B1 KR100978809 B1 KR 100978809B1 KR 1020047020630 A KR1020047020630 A KR 1020047020630A KR 20047020630 A KR20047020630 A KR 20047020630A KR 100978809 B1 KR100978809 B1 KR 100978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te
cover sheet
recess
containe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982A (ko
Inventor
세이코 아베
세이이치 미야하라
유지 오타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7684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0175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87203A external-priority patent/JP45409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54313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5971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21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4Squeegees or do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33Methods or means for supply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for forcing it through the screen or stenci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04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for patterning or coating
    • H05K2203/0126Dispenser, e.g. for solder paste, for supplying conductive paste for screen printing or for fill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부에 크림 솔더가 저장된 밀폐된 스퀴지를 마스크 플레이트 상에서 슬라이딩시켜 패턴 홀을 통해 보드 상에 크림 솔더를 프린팅하는 스크린 프린팅 장치에 상용되는 크림 솔더 카트릿지는, 가요성 필름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길고 좁은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외주변부로부터 돌출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 부착됨으로써 오목부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필름 형상의 커버 쉬트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페이스트를 저비용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내부에 수용된 페이스트를 외부에서 교반시킴으로써 쉽게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스크린 프린팅, 크림 솔더, 페이스트, 카트릿지

Description

스크린 프린팅용 페이스트 컨테이너 및 스크린 프린팅 장치{Paste container for screen printing and screen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크림 솔더(cream solder) 또는 전도성 페이스트(conductive paste)와 같은 페이스트를 보드 상에 프린트하는 스크린 프린팅에 사용되는 페이스트 컨테이너(paste container)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 장착공정에 있어서, 보드 상에 크림 솔더 또는 전도성 페이스트와 같은 페이스트를 프린팅하는 방법으로서 스크린 프린팅이 사용되며,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프린팅 위치에 패턴 홀이 형성된 마스크 플레이트가 보드 상에 설치된 후, 페이스트가 스퀴징(squeegeeing)에 의해 상기 마스크 플레이트의 패턴 홀을 통해 보드 상에 프린트된다.
스크린 프린팅용 스퀴징 방법들 중 밀폐식 스퀴지 헤드를 사용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페이스트가 마스크 플레이트 상에 직접 공급되는 종래의 스크링 프린팅 방식과는 달리, 내부에 페이스트가 저장되는 스퀴지 헤드가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퀴지 헤드의 바닥면 내에 제공되는 페이스트 접촉면이 마스크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스퀴지 헤드 내의 페이스트가 가압됨으로써, 페이스트가 페이스트 접촉면을 통해 마스크 플레이트의 패턴 홀 내로 압착된다. 상기 마스크 플레이트 상에서 스퀴지 헤드를 슬라이딩시킴으로서 패턴 홀에 페이스트가 순차적으로 채워지게 된다.
그러나, 상술된 종래의 밀폐식 스퀴지 헤드를 사용하는 스크린 프린팅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갖는다. 상기 밀폐식 스퀴지 헤드에서는, 페이스트를 마스크 플레이트 상에 직접 공급하는 프린팅 방식과는 달리, 페이스트가 카트리지와 같은 전용 컨테이너 내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스퀴지 헤드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프린팅 작업 중에 페이스트가 소진되는 경우, 상기 전용 컨테이너를 새것으로 교환함으로써 새로운 페이스트가 공급된다.
그러나, 상술된 종래의 밀폐식 스퀴지 헤드용 전용 컨테이너는 수지를 길고 좁은 박스형상으로 성형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많은 운전비용이 요구된다. 또한, 페이스트가 컨테이너 내에 남아 있게 되어,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게 됨으로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스크린 프린팅 작업의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스크린 프린팅 작업을 실행함에 있어서, 페이스트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페이스트를 저어주는 예비작업을 필요로 하나, 박스 형상의 전용 컨테이너 내에 저장된 페이스트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외부에서 휘저을 수는 없으며, 이는 점도 조절을 쉽게 실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더욱이, 수지 필름으로 형성된 페이스트 컨테이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페이스트 컨테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수지재료는 저렴하고 제조시 쉽게 다룰 수 있으며, 상기 페이스트 컨테이너의 리드부(lid)는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열압축 결합공정에 의해 컨테이너에 결합된 상기 리드부를 개방시키 는 작업을 손쉽게 하기 위해 라미네이트 부재 또는 접착물질로 미리 코팅된 끈끈한 층(sticking layer)이 형성된다. 따라서, 페이스트가 컨테이너의 내부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끈끈한 층이 페이스트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끈끈한 층의 성분은 페이스트의 솔벤트 성분에 의해 용리(eluted)되어 페이스트의 조성을 변경시키거나 또는 프린팅 품질을 저하시키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비용으로 페이스트를 공급할 수 있으며 점성 조절이 용이한 스크린 프린팅용 페이스트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페이스트의 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 스크린 프린팅용 페이스트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페이스트를 내부에 저장하기 위한 페이스트 저장부와, 가압 플레이트로 페이스트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페이스트 저장부로부터 페이스트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페이스트 저장부로부터 이동된 페이스트를 수용하고 바닥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페이스트를 마스크 플레이트의 상면과 접촉시키기 위한 프린팅 공간과, 상기 프린팅 공간의 스퀴지 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벽을 형성하며 상기 마스크 플레이트의 상면상에서 슬라이드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슬라이딩 접촉부를 포함하는 스퀴지 헤드의 페이스트 저장부의 컨테이너 홀딩부 내에 분리 가능하게 유지되는, 교환 가능한 스크린 프린팅용 페이스트 컨테이너로서, 길고 좁은 형상을 가지며 가요성 필름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외주변부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를 덮기 위한 테두리부에 부착되는 필름 형상의 커버 쉬트를 포함하며, 상기 페이스트는 상기 오목부 및 커버 쉬트로 둘러싸인 공간내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는 컨테이너 홀딩부 상에 페이스트 컨테이너가 장착된 상태에서 페이스트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홀딩부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스퀴지 헤드의 가압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2개의 측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면들 및 상기 오목부를 내측으로 구부리기 위한 굽힘 라인을 통해 각각의 제1면에 연결되는 제2면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 쉬트부재는 상기 커버 쉬트를 테두리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커버 쉬트부재의 한 쪽 측면 상에 형성되는 부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프린팅용 페이스트 컨테이너는 상기 페이스트 및 부착층의 사이에 개재되어 페이스트를 부착층과 격리시키기 위한 차단층을 더 포함한다.
또한, 페이스트를 내부에 저장하기 위한 페이스트 저장부와, 상기 페이스트를 가압함으로써 페이스트 저장부로부터 페이스트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수단과, 상기 페이스트 저장부로부터 이동된 페이스트를 수용하며, 바닥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페이스트를 마스크 플레이트의 상면과 접촉시키기 위한 프린팅 공간 및 상기 프린팅 공간의 스퀴지 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벽을 형성하며, 상기 마스크 플레이트의 상면 상에서 슬라이드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프린팅용 스퀴지 헤드를 사용하여, 보드 상에 페이스트를 프린팅하기 위한 스크린 프린팅 장치로서, 상기 스크린 프린팅 장치는, 길고 좁은 형상을 가지며 가요성 필름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외주변부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를 덮기 위한 테두리부에 부착되는 필름 형상의 커버 쉬트 및 상기 오목부와 커버 쉬트로 둘러싸여 형성되며 내부에서 페이스트를 수용하기 위한 페이스트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교환 가능한 페이스트 컨테이너를 페이스트 저장부의 컨테이너 홀딩부 내에 분리 가능하게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은 저비용으로 페이스트 공급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용된 페이스트를 외부에서 교반시킴으로써 점도 조절을 쉽게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은 부착층의 성분이 페이스트 내에 용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페이스트의 조성을 열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린 프린트용 페이스트 컨테이너를 구현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장치의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장치의 스퀴지 헤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도.
도 4a, 4b 및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장치의 스퀴지 헤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장치의 스퀴지 헤드 부분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장치의 페이스트 저장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장치의 페이스트 컨테이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상기 페이스트 컨테이너의 단면도.
도 8a, 8b 및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9a, 9b, 9c 및 9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장치의 페이스트 컨테이너를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장치의 다른 페이스트 저장부의 단면도.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컨테이너용 커버 쉬트 필링지그(cover sheet peeling jig)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컨테이너의 커버 쉬트를 벗겨내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장치의 페이스트 컨테이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b는 상기 페이스트 컨테이너의 단면도.
도 14a, 14b 및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장치의 페이스트 컨테이너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a, 15b 및 1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a, 16b 및 16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장치의 페이스트 컨테이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스크린 프린팅 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 및 2에 있어서, 보드 위치결정부(1)는 보드 홀딩부(2)가 (도시하지 않은) 이동 테이블 상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스크린 프린팅의 대상물로서 상기 보드 홀딩부(2)의 클램프(4)에 의해 지지되는 보드(3)는 상기 이동 테이블을 구동시킴으로써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위치결정된다.
상기 위치결정부(1)의 상부에는 스크린 마스크(10)가 배치된다. 상기 스크린 마스크(10)는 마스크 플레이트(12)가 홀더(11)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패턴홀(12a)은 대상 보드(3)의 프린팅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마스크 플레이트(1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스퀴지 헤드(13)는 스크린 마스크(10)의 상부에서 헤드 승강부(20)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헤드 승강부(20)는 플레이트 부재(21)로부터 직립되게 형성되는 실린더(22)를 구비한다. 상기 스퀴지 헤드(13)는 연결부재(15)를 거쳐 실린더(22) 로드(22a)의 바닥부에 연결된다. 상기 스퀴지 헤드(13)는 상기 실린더(22)의 구동에 의해 마스크 플레이트(12)에 대해 상승 및 하강되며, 상기 헤드 승강부(20)는 상기 스퀴지 헤드(13)를 스크린 마스크(10)에 대해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상승 및 하강수단이다.
상기 헤드 승강부(20)의 플레이트 부재(21)의 바닥부에는 그 양측 단부에 슬라이더(sliders:23)가 각각 고정된다. 각각의 슬라이더(23)는 프레임(25) 상에 배열된 가이드 레일(2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 부재(21)의 바닥면에는 너트(26)가 연결되고, 상기 너트(26)와 나사식으로 결합된 피드 스크류(27)가 모터(28)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플레이트 부재(21)는 모터(28)의 구동에 의해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헤드 승강부(20)에 연결된 스퀴지 헤드(13) 또한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스퀴지 헤드(13)는 하강된 상태에서 모터(28)의 구동에 의해 마스크 플레이트(12) 상에서 수평하게 이동된다. 즉, 상기 모터(28), 피드 스크류(27) 및 너트(26)는 상기 마스크 플레이트(12) 상에서 스퀴지 헤드(13)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스퀴지 헤드(13)는 마스크 플레이트(12)의 전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패턴 홀(12a)에 크림 솔더(5: 즉, 페이스트)를 채우는 프린팅부(14)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린팅부(14)는 상부(14A)와 하부(14B)로 구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14A) 및 하부(14B)는 마스크 플레이트(12)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고 좁은 블록 형상의 부재들인 몸체 상부(30A)와 몸체 하부(30B)를 각각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상부(30A)와 몸체 하부(30B)의 길이는 프린팅 대상물로서의 보드 너비를 커버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몸체 상부(30A)와 몸체 하부(30B)는 힌지(17)를 통해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5참조). 상기 몸체 상부(30A)와 몸체 하부(30B)는 몸체 상부(30A)를 몸체 하부(30B)에 대해 뒤집어 놓음으로써 개방된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3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상부(30A)는 주로 내부에 리세스부(30a)를 갖는 프레임 형상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부(30a)내에는 크림 솔더(5)가 저장되는 카트릿지(31)가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카트릿지(31)는 가요성 필름과 같은 재료를 컨테이너 형상으로 형상화하여 형성되는 교환 가능한 컨테이너이며, 장착된 상태에서 개방되는 바닥부를 갖는다. 상기 카트릿지(31)는 다수의 홀(32a)을 갖는 스톱퍼 플레이트(32)에 의해 몸체 상부(30A)에 부착되며 (도 5 참조), 상기 몸체 상부(30A)와 몸체 상부(30A)의 리세스부(30a)에 장착되는 카트릿지(31)는 스퀴지 헤드(13)의 페이스트 저장부를 구성한다.
페이스트 컨테이너로서의 카트릿지(31)의 구조는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상기 카트릿지(31)는 수지 필름과 같은 가요성 필름과 같은 재료를 형상화함으로써 형성되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상부(30A)의 리세스부(30a) 치수 및 형상과 일치하는 길고 좁은 오목부(31a)로 형성된다. 도 7b는 상기 카트릿지(31)의 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오목부(31a)는 개구부의 너비(B)가 깊이(D)보다 큰 평평한 바닥부를 갖는다.
상기 오목부(31a)의 외주변부에는 상기 오목부(31a)의 깊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즉, 장착된 상태에서의 수평방향)으로 테두리부(31b)가 돌출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31b)는, 상기 카트릿지(31)가 몸체 상부(30A)에 장착될 때, 홀딩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각기 양면에 접착층을 갖는 접착 쉬트(40)가 상기 테두리부(31b)의 후면에 부착된다. 상기 테두리부(31b)는 접착 쉬트(40)에 의해 몸체 상부(30A)에 부착 및 연결된다.
상기 카트릿지(31)가 몸체 상부(30A) 상에 장착될 때 구부러지는 구부러짐 여백부를 제외한 상기 테부리부(31b)의 전체면(즉 상기 리세스부에 대향되는 쪽의 면)에는 얇은 수지 필름으로 형성된 커버 쉬트(41)가 부착된다. 상기 커버 쉬트(41)가 테두리부(31a)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오목부(31a)의 개방부는 밀폐되며, 따라서, 상기 오목부(31a)와 커버 쉬트(41) 사이에는 밀폐된 페이스트 저장 공간(31c)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 쉬트(41)가 부분적으로 벗겨진 상태에서, 상기 페이스트 저장 공간(31c)내에 크림 솔더(5)가 주입된다. 상기 커버 쉬트(41)를 테두리부(31b)에 전체적으로 부착시킴으로써, 주입된 상기 크림 솔더(5)가 밀폐된 상태에서 카트릿지(31) 내에 저장된다. 상기 크림 솔더(5)를 주입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팰릿(pallet) 등을 사용하여 크림 솔더(5)를 상기 페이스트 저장 공간(31c)에 채운후, 상기 커버 쉬트(41)를 테두리부(31b) 전체에 부착시키는 것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퀴지 헤드(13)의 프린팅 공간과 페이스트 저장부의 기능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림 솔더(5)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플레이트(29)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세트부(30a) 내에 설치된 카트릿지(31)의 상부면과 접촉된다. 상기 가압 플레이트(29)는 또한 그 상부에 배치된 실린더(16)의 로드와도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 플레이트(29)는 상기 실린더(16) 의 구동에 의해 상기 카트릿지(31)를 상부로부터 가압하게 된다. 상기 가압 플레이트(29)가 실린더(16)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 가요성 필름과 같은 재료로 형성된 카트릿지(31)는 쉽게 변형됨으로써, 상기 카트릿지(31) 내부의 크림 솔더(5)가 가압되어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32)의 홀(32a)을 통해 아래로 밀려 나오게 된다. 상기 실린더(16)와 가압 플레이트(29)는 크림 솔더(5)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몸체 하부(30B)에는 부착 방지 플레이트(33)가 스톱퍼 플레이트(32)와 접촉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32)의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부착 방지 플레이트(33)를 통해 원형의 홀(33a)들이 형성된다 (도 5 참조). 상기 부착 방지 플레이트(33)는 카트릿지(31)로부터 하방으로 밀려 나온 크림 솔더(5)가 홀(32a)이 아닌 스톱퍼 플레이트(32)의 바닥면 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부착 방지 플레이트(33)와 같이 다수의 홀(34a)을 갖는 제한 플레이트(34)가 상기 몸체 하부(30B)에 부착된다. 상기 크림 솔더(5)가 실린더(16)에 의해 밀려 나올때, 상기 크림 솔더는 3단계의 홀 배열, 즉, 스톱퍼 플레이트(32)의 홀(32a), 상기 부착 방지 플레이트(33)의 홀(33a) 및 제한 플레이트(34)의 홀(34a)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크림 솔더(5)는 밀려 나와, 상기 하부 몸체(30B) 아래에 형성된 공간, 즉 서로 내측으로 경사지게 대향되어 상기 하부 몸체(30B)의 바닥면에 부착된 2개의 슬라이딩 접촉부(36A 및 36B)와, 상기 몸체 하부(30B)의 바닥면과, 상기 몸체 하부(30B)의 2개의 측면부에 부착되는 밀폐 플레이트(36C: 도 5 참조)에 의해 둘러쌓인 프린팅 공간(35)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36A 및 36B)는 상기 프린팅 공간(35)의 (스퀴징 방향으로) 앞쪽벽과 뒷쪽벽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스퀴지 헤드(13)가 하강된 상대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36A 및 36b)의 하단부는 상기 마스크 플레이트(12)의 앞쪽면과 접촉된다. 상기 프리팅 공간(35)은 가압된 솔더(5)를 저장하여, 상기 크림 솔더(5)가 바닥 개구부(즉,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36A 및 36b)들 사이의 개구부)에서 마스크 플레이트(12)의 앞쪽면에 접하도록 한다. 프린팅 작업시,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36A 및 36b)는 상기 스퀴지 헤드(13)의 운동에 따라 마스크 플레이트(12)의 상부면 상에서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프린팅 공간(35) 내의 크림 솔더(5)가 긁혀지게 되어 스퀴징 작업이 실행된다.
상기 카트릿지(31) 내부의 크림 솔더(5)가 가압 플레이트(29)의 가압작용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크림 솔더(5)는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32), 부착 방지 플레이트(33) 및 제한 플레이트(34)를 지나 프린팅 공간(35)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크림 솔더(5)가 통과하는 단면 영역은 상술된 많은 홀들(32a, 33a 및 34a)에 의해 좁아지게 되며, 가압되는 크림 솔더(5)의 점도는 상기 홀들(32a, 33a 및 34a)을 통과하면서 저하되어, 상기 크림 솔더(5)의 성질이 스크린 프린팅 작업에 적합하도록 변하게 된다.
상기 프린팅부(14)의 상부(14A) 및 하부(14B)를 결합, 분리,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작업에 대해서는 도 4a, 4b, 4c 및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스퀴지 헤드(13)는 카트릿지(31)를 포함하는 상부(14A)와 프린팅 공간(35)을 포함하는 하부(14B)로 분할되며, 상기 상부(14A) 및 하부(14B)는 힌 지(17)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서로 분리되거나 개방 및 밀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핀(17b)을 갖는 힌지 플레이트들(17a)은 상부(14A)의 한쪽 측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핀 홈(17d)을 갖는 힌지 플레이트들(17c)은 하부(14B)의 상면에 고정된다. 각각의 힌지 플레이트(17c)는 그 상단에 절취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핀 홈(17d)이 개방부를 갖는다. 상기 상부(14A)를 하부(14B)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핀(17b)이 힌지 플레이트(17c)의 절취부를 통해 핀 홈(17d)내에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상부(14A)는 하부(14B)의 상면 상의 적소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14A)가 뒤집어져 하부(14B)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도 4c의 상태는 상기 상부(14A)를 도 4b의 상태로부터 핀(17b)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부(14A)는 하부(14B)에 의해 피봇식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개방 또는 밀폐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시, 상기 상부(14A)는 몸체 상부(30A) 상에 장착된 스톱퍼 플레이트(32)가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리세스부(30a)내의 카트릿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이러한 상태로 유지된 상부(14A)의 분해도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상부(30A)는 리세스부(30a)를 갖는 프레임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카트릿지(31)는 오목부(31a)가 상기 리세스부(30a)내에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 상부(30A)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유지된다. 상기 몸체 상부(30A)는 페이스트 저장부로서의 카트릿지(31)를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컨테이너 홀딩부이다.
상기 카트릿지(31)를 장착하는데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31b)의 단부는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32)의 양 측단부를 하방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주면부(32b)에 의해 상기 몸체 상부(30A)의 외측면에 대해 가압된다. 이 때, 상기 테두리부(31b)의 단부는 접착 테이프(40)에 의해 몸체 상부(30A)에 부착된다 (도 7 참조). 상기 접착 테이프(40)는 상기 카트릿지(31)를 몸체 상부(30A)에 연결시켜 상기 카트릿지(31)가 몸체 상부(30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이다.
다음으로, 도 8a, 8b, 8c 및 8d를 참조하여, 스크린 프린팅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스크린 프린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릿지(31)와 스톱퍼 플레이트(32)를 장착한 몸체 상부(30A)가 몸체 하부(30B)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퀴지 헤드(13)는 (화살표 a로 표시된) 마스크 플레이트(12)를 향해 하강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36A 및 36B)가 마스크 플레이트(12)와 접촉하게 된다. 그런다음, 상기 몸체 상부(30A)내에서는 상기 카트릿지(31)가 실린더(16)에 의해 가압 플레이트(29)를 거쳐 가압된다. 그 결과, 크림 솔더(5)가 카트릿지(31)로부터 밀려나와 상기 홀들(32a, 33a, 및 34a)을 통해 (화살표 b로 표시된) 프린팅 공간(35) 내로 내려가게 된다(도 3 참조).
그런다음, 상기 프린팅 공간(35)이 크림 솔더(5)로 채워진 상기 스퀴지 헤드(13)가 마스크 플레이트(12) 상에서 (화살표 c로 표시된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그 결과,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들(36A 및 36B) 중의 하나에 의해 상기 크림 솔더(5)가 긁히게 되기 때문에, 상기 프린팅 공간(35) 내에서 상기 크림 솔더(5)의 회전 흐름(rolling flow)이 발생되어, 상기 크림 솔더(5)가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들 (36A 및 36B)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마스크 플레이트(12)의 패턴 홀(12a)내로 들어가게 되며, 상기 스퀴지 헤드(13)가 좀더 이동하게 되면, 상기 패턴 홀들(12a)은 순차적으로 크림 솔더(5)로 채워지게 된다.
상기 프린팅 공간(35) 및 카트릿지(31) 내부의 크림 솔더(5)는 반복되는 스퀴징 작업에 따라 소모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상기 카트릿지(31)의 오목부(31a)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29)의 가압작용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카트릿지(31) 내부의 크림 솔더(5)가 계속해서 밀려 나오게 되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침내는, 상기 오목부(31a)가 거의 찌부러져 (상기 측벽들이 접혀져), 상기 카트릿지(31)는 솔더가 완전히 소모된 상태로 되며, 이러한 상태의 카트릿지(31)는 새것으로 교환된다. 부수적으로, 상기 오목부(31a)에 미리 주름을 잡아줌으로써(도 7에 도시된 카트릿지의 구조를 참조), 상기 크림 솔더(5)는 보다 원활하게 밀려 나오게 된다.
다음으로, 도 9a, 9b, 9c 및 9d를 참조하여, 새로운 카트릿지(31)를 설치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새로운 카트릿지(31)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몸체 상부(30A)가 뒤집어져 몸체 하부(30B)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4 및 5 참조), 다음과 같은 작업이 실행된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뒤집어진 몸체 상부(30A) 상에는 새로운 카트릿지(31)가 장착되며, 이러한 작업은 상기 리세스부(30a)내에 오목부(31a)를 결합한 다음, 테두리부(31b)를 상기 몸체 상부(30A)의 상면부와 접촉시킴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다음,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31b)가 하방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접착 테이프(40)가 몸체 상부(30A)의 외측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카트릿지(31)가 상기 몸체 상부(30A)에 연결되어 지 지된다.
도 10a 및 10b는 상기 카트릿지(31)를 몸체 상부(30A)에 연결시켜 지지되도록하는 다른 버전의 연결수단을 나타낸다. 도 10a의 경우에 있어서, 몸체 상부(30A)는 록킹 핀(43)을 구비하며, 상기 록킹 핀(43)은 카트릿지(31)의 테두리부(31b)의 록킹 홀(44) 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테두리부(31b)가 몸체 상부(30A)에 연결 및 유지된다. 도 10b에 있어서는, 판 스프링과 같은 클램프 스프링(45)이 몸체 상부(30A)의 외측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테두리부(31b)는, 클램프 스프링(45)의 부세력(urging force)에 의해 상기 테두리부(31b)의 단부가 몸체 상부(30A)의 외측면에 대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몸체 상부(30A)에 연결 및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쉬트(41)가 몸체 상부(30A)에 연결되어 유지되는 카트릿지(31)로부터 벗겨짐으로써, 상기 오목부(31a)내에 수용된 크림 솔더(5)가 노출된다. 그런다음,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32)가 카트릿지(31)를 지지하는 몸체 상부(30A)상에 장착된다.
계속해서, 상기 카트릿지(31) 및 스톱퍼 플레이트(32)와 함께 장착되는 몸체 상부(30A)가 상기 하부 몸체(30B) 상으로 뒤집어져 결합된다. 상기 카트릿지(31)는 몸체 상부(30A)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카트릿지(31)를 이동시키거나, 뒤집는 등의 취급시에, 카트릿지(31)가 몸체 상부(30A)로부터 분리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9c에 도시된 커버 쉬트(41)를 벗겨내는 작업에 대해 도 11a, 11b, 12a 및 1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a 및 11b는 상기 몸체 상부(30A)에 의해 유지되는 카트릿지(31)로부터 상기 커버 쉬트(41)를 벗겨내는데 사용되는 커버 쉬트 필링지그(cover sheet peeling jig:46)를 나타낸다.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쉬트 필링지그(46)는 상기 몸체 상부(30A)의 수직단면(직사각 형상)과 일치하는 프레임 형상의 단면(53)을 갖도록 금속 쉬트부재를 가공 즉, 구부려서 형성되어, 상기 커버 쉬트 필링지그(46)가 카트릿지(31)와 함께 장착되는 몸체 상부(30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 형상의 커버 쉬트 필링지그(46)는 슬릿(54)에 의해 서로 분리된 2개의 상부 플레이트(47 및 48)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47 및 48)로부터 연속되는 측면 플레이트(49)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49)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구부러진 바닥 플레이트(50)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49)에 대향되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47)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측면 플레이트(51)와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51)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구부러진 바닥 플레이트(52)로 구성된다.
상기 슬릿(54)의 너비(b)는 벗겨낼 커버 쉬트(41)의 두께보다 다소 크게 되도록 결정되어, 상기 커버 쉬트(41)가 슬릿(54)을 통해 쉽게 빠져나오도록 하며, 또한, 벗겨낸 커버 쉬트(41)와 상기 슬릿(54)의 엣지부 사에는 거의 갭이 형성되지 않도록 된다. 상기 커버 쉬트(41)가 슬릿(54)으로 삽입되는, 상부 플레이트(47)의 일 부분은 테이퍼부(47b)를 형성하도록 절취됨으로써, 상기 커버 쉬트(41)가 슬릿(54)내로 쉽게 도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 쉬트 필링지그(46)를 사용하여 상기 커버 쉬트(41)를 벗겨내는 방 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릿지(31)는 몸체 상부(30A) 상에 장착된다 (컨테이너 장착단계). 다음으로, 상기 카트릿지(31)가 몸체 상부(30A)에 의해 연결 및 유지되도록 상기 테두리부(31b)의 단부를 구부린다 (연결단계).
그런다음, 상기 커버 쉬트(41)를 벗겨낸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릿지(31)가 연결 및 유지되는 몸체 상부(30A)의 한쪽 단부에 상기 커버 쉬트 필링지그(46)가 부착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상기 커버(41)를 약간 벗겨내어 슬릿(54)내로 당긴다. 그 후, 상기 커버 쉬트(41)를 카트릿지(31)의 종방향으로 한쪽 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당김으로써, 상기 커버 쉬트(41)를 테두리부(31b)로부터 벗겨낸다. 이러한 작업시, 상기 커버 쉬트(41)의 내면에 부착된 크림 솔더(5)는 오목부(31a)내로 되돌려진다 (벗겨냄 단계).
즉, 상기 커버 쉬트(41)가 슬릿(54)내에 삽입되어, 화살표 e로 표시된 방향(즉, 상기 몸체 상부(30A)의 종방향)으로 당겨질 때, 상기 커버 쉬트(41)의 외면은 상부 플레이트(48)의 엣지부에 접촉되며, 그 결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48)는 커버 쉬트(41)와 함께 이동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커버 쉬트 필링지그(46) 전체가 쉬트를 벗겨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상기 커버 쉬트(41)는 이러한 방식에 의해 테두리부(31b)로부터 벗겨진다. 상기 커버 쉬트(41)가 벗겨질 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47)의 엣지부(47a)는 커버 쉬트(41)의 내면과 접한 상태로 커버 쉬트(41)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커버 쉬트(41)의 내면에 부착된 크림 솔더(5)가 상기 엣지부(47a)에 의해 모아져 오목부(31a)내로 보내지게 된다.
상술된 커버 쉬트 필링지그(46)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들(47 및 48)과, 측면 플레이트들(49 및 51) 및 하부 플레이트들(50 및 52)은 커버 쉬트를 벗겨내는 작업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몸체 상부(30A)에 부착된 슬라이드부를 구성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47, 48)는 테두리부(31b)와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부 내에 제공된 플레이트 형상의 평평한 부분이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47, 48)는 커버 쉬트(41)의 너비 및 두께에 따라 형성되는 슬릿(54)을 갖는다. 상기 벗겨냄 작업 중에 있어서, 상기 슬릿(54)의 전방 엣지(즉, 엣지(48a))는 커버 쉬트(41)의 외면과 접촉하고, 상기 슬릿(54)의 후방 엣지(즉, 엣지(47a))는 커버 쉬트(41)의 내면과 접촉한다. 상기 커버 쉬트(41)를 벗겨내는 작업시 상술된 형상 및 구조를 갖는 커버 쉬트 필링지그(46)를 사용함으로써, 주의를 기울여 행해야만 하는 커버 쉬트 벗겨냄 작업이 쉬워지게 되며, 매우 끈적거려 상기 커버 쉬트(41)의 내면에 부착된 크림 솔더(5)와 함께 커버 쉬트(41)를 벗겨냄으로써 발생되는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47, 48가 슬릿(54)의 단부에서 힌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부 플레이트(48)가 수평면내에서 상부 플레이트(47)에 대해 개방 및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구조를 갖는 커버 쉬트 필링지그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슬릿(54)을 필요에 따라 매우 넓게 만들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지그의 설치시, 커버 쉬트(41)를 슬릿(54)내에 삽입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 13a 및 13b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컨테이너로서의 카트릿지(131)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카트릿지(131)는 수지 필름과 같은 가요성 필름 등의 재료를 형상화함으로써 형성되며,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30A)의 리세스부(30a)의 치수 및 형상과 일치하는 길고 좁은 오목부(131a) 형상을 갖는다. 도 13b는 카트릿지(131)의 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오목부(131a)는 개구부의 너비(B)가 깊이(D)보다 큰 평평한 바닥부를 갖는다. 상기 오목부(131a)는 사이사이에 굽힘 라인이 형성된 다수의 평면을 연결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테두리부(131b)는 상기 오목부(131a)의 외주변으로부터 상기 오목부(131a)의 깊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즉, 장착된 상태에서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릿지(131)가 상부 몸체(30A) 상에 장착될 때, 상기 테두리부(131b)는 홀딩 면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양면 상에 접착층을 갖는 접착 쉬트(140)는 테두리부(131b)의 후면에 부착된다. 상기 테두리부(131b)는 접착쉬트(140)에 의해 상기 상부 몸체(30A)에 부착 및 연결된다.
상기 커버 쉬트(141)는, 카트릿지(131)가 상부 몸체(30A) 상에 장착될 때 구부러지는 굽힘 여백을 제외한 상기 테두리부(131b)의 전체 앞쪽면(즉 리세스부에 대향하는 면)에 부착된다. 상기ㅣ 오목부(131a)의 개구부는 상기 커버 쉬트(141)를 테두리부(131b)에 부착시킴으로써 밀폐되며, 이에 따라, 밀폐된 페이스트 수용공간(131c)이 상기 오목부(131a)와 커버 쉬트(141) 사이에 형성된다. 크림 솔더(5)는, 상기 커버 쉬트(141)가 부분적으로 벗겨진 상태에서 페이스트 수용공간(131c)내에 크림 솔더(5)를 주입시킨 후, 상기 커버 쉬트(141)를 테두리부(131b)에 전체적으로 부착시키거나, 또는, 개방된 페이스트 수용공간(131c) 내에 크림 솔더 (5)를 주입한 후, 상기 커버 쉬트(141)를 테두리부(131b)에 전체적으로 부착시킴으로써, 밀폐된 상태로 카트릿지(131) 내에 수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카트릿지(131)의 오목부(131a)의 단면 형상과, 크림 솔더(5)가 밀려 나올때, 상기 오목부(131a)가 어떻게 변형되는 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a, 14b 및 14c는 상기 카트릿지(131)가 스퀴지 헤드(13)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상기 카트릿지(131)의 개구부가 아래에 위치됨) 직선에 의한 오목부(131a)의 단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131a)는, 가압 플레이트(29)가 장착된 상태에서 접촉되는 접촉면(131d)과, 상기 접촉면(131d)의 2개의 측단부에 연결되어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면들(131e)(너비:B)과, 상기 제1면(131e)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기울어진 제2면들(131g)(너비:A)을 갖는다. 한쪽의 제1면(131e)과 제2면(131g)는, 상기 오목부(131a)가 내측으로 구부러지도록 수평한 굽힘 라인(131f)이 그 사이에 형성되는 상태로 서로 연결된다. 다른 쪽 제1면(131e)과 제2면(131g)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오목부(131a)의 측면은 사전에 내측으로 주름이 잡혀있다.
도 14b 및 14c는 상기 오목부(131a)가 가압될 때 어떻게 변형되는지를 나타낸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플레이트(29)에 의해 상부로부터 접촉면(131d) 상에 균일한 중량이 가해진다고 가정하면, 상기 오목부(131a)의 측면이 상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미리 주름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접촉면(131d)이 내려 앉게될 때, 상기 제1면들(131e)과 제2면들(131g)은, 상기 굽힘 라인(131f)이 하방으로 변위되는 방식으로 변형된다.
상기 접촉면(131d)이 더욱 아래로 밀리게 되면, 상기 제1면들(131e)과 제2면들(131g)은, 도 14c에 도시된 것과 거의 동일한 평면이 되도록 하는 범위까지 접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태에서는 접힘 라인(131h)이 원래의 굽힘 라인(131f)과 일치하지 않으며, 도 1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비(a 및 b)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시킨다: a + b = A + B. 이러한 방식에서는, 상기 굽힘 라인(131f)을 미리 형성하는 것이 제1면들(131e)과 제2면들(131g)이 접혀지는 공정에서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변형되는 것, 즉, 원하지 않게 불규칙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부수적으로, 상기 컨테이너 단면 형상은, A = a 및 B = b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위치에 상기 굽힘 라인(131f)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접힘 라인(131h)이 굽힘 라인(131f)와 일치하게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a, 15b 및 15c를 참조하여 스크린 프린팅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스크린 프린팅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릿지(131)와 스톱퍼 플레이트(32)를 장착한 상부 몸체(30A)가 몸체 하부(30B)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퀴지 헤드(13)가 (화살표 a로 표시된) 마스크 플레이트(12)를 향해 하강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들(36A 및 36B)이 마스크 플레이트(12)와 접촉하게 된다. 그 후, 상기 몸체 상부(30A)에서는 카트릿지(131)가 가압 플레이트(29)를 통해 실린더(16)에 의해 가압된다. 그 결과, 크림 솔더(5)가 카트릿지(131)로부터 밀려 나와 홀들(32a, 33a 및 34a)을 통해 (화살표 b로 표시된) 프린팅 공간(35) 내로 내려가게 된다(도 3 참조).
그런다음, 상기 프린팅 공간(35)이 크림 솔더(5)로 채워진 스퀴지 헤드(13) 는 마스크 플레이트(12) 상에서 (화살표 c로 표시된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들(36A 및 36B) 중의 하나에 의해 상기 크림 솔더(5)가 긁히게 되기 때문에, 상기 프린팅 공간(35) 내에서 상기 크림 솔더(5)의 회전 흐름(rolling flow)이 발생되어, 상기 크림 솔더(5)가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들(36A 및 36B)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마스크 플레이트(12)의 패턴 홀(12a)내로 들어가게 되며, 상기 스퀴지 헤드(13)가 좀더 이동하게 되면, 상기 패턴 홀들(12a)은 순차적으로 크림 솔더(5)로 채워지게 된다.
상기 프린팅 공간(35) 및 카트릿지(31) 내부의 크림 솔더(5)는 반복되는 스퀴징 작업에 따라 소모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상기 카트릿지(131)의 오목부(131a)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플레이트(29)의 가압작용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카트릿지(131) 내부의 크림 솔더(5)가 계속해서 밀려 나오게 되고,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침내는, 상기 오목부(131a)가 거의 찌부러져 (상기 측벽들이 접혀져), 상기 카트릿지(131)는 솔더가 완전히 소모된 상태로 되며, 이러한 상태의 카트릿지(131)는 새것으로 교환된다.
상기 크림 솔더(5)를 밀어내는 공정에 있어서, 가압시, 상기 오목부(131a)는, 도 14a, 14b 및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주름이 잡혀져 있기 때문에, 상기 카트릿지(131)의 오목부(131a)는 전술된 바와 같이 미리 예견된 형태로 찌부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카트릿지(131)는, 오목부(131a)의 불규칙한 찌부러짐에 의해, 이러한 불규칙한 형상부 속에 잔류하게 됨으로써, 더이상 사용될 수 없는 크림 솔더(5)가 폐기 컨테이너와 함께 버려지게 되는 문제로부터 자유로와 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퀴지 헤드(13)는 종래의 비싼 전용 컨테이너보다 구조가 간편하고 저렴한 컨테이너를 사용함으로써, 운용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잔류 솔더의 양이 크게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는 스크린 프린팅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스크린 프린팅 작업을 실행함에 있어서, 페이스트는 그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교반작업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카트릿지(131)가 매우 가요적인 필름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지는 컨테이너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 내의 크림 솔더(5)를 필요따라 외부에서 쉽게 교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도 조절은 카트릿지(131)를 장착시키기 전에 쉽게 실행될 수 있다.
페이스트 컨테이너로서의 카트릿지(131)의 구조가 도 13a, 13b, 16a, 16b 및 16c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상기 카트릿지(131)는 수지 필름과 같은 가요성 필름 재료를 형상화하여 형성되며,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상부(30A)의 리세스부(30a)의 크기 및 형상과 일치하는 길고 좁은 오목부(131a)를 갖는다. 도 13b는 상기 카트릿지(131)의 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오목부(131a)는 개방부의 너비(B)가 깊이(D)보다 큰 평평한 바닥 형상부를 갖는다. 상기 오목부(131a)는 사이사이에 굽힘 라인이 형성된 다수의 면들을 연결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오목부(131a)의 외주변부에는 상기 오목부(131a)의 깊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즉, 장착된 상태에서의 수평방향)으로 테두리부(131b)가 돌출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131b)는, 상기 카트릿지(131)가 몸체 상부(30A)에 장착 될 때, 홀딩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각기 양면에 접착층을 갖는 접착 쉬트(140)가 상기 테두리부(131b)의 후면에 부착된다. 상기 테두리부(131b)는 접착 쉬트(140)에 의해 몸체 상부(30A)에 부착 및 연결된다.
상기 카트릿지(131)가 몸체 상부(30A) 상에 장착될 때 구부러지는 구부러짐 여백부를 제외한 상기 테부리부(131b)의 전체면(즉 상기 리세스부에 대향되는 쪽의 면)에는 커버 쉬트(141)가 부착된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쉬트(141)는, 테두리부(131b)에 부착을 위한 수지 접착제로 만들어진 부착층(141b)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같은 수지로 형성된 박막 필름인 쉬트(141a)의 한쪽면 상에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테두리부(131b)와 접촉되지 않는 부착층(141b)의 표면부분에는 상기 쉬트(141a)와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차단층(141c)이 부착된다. 상기 오목부(131a)의 개구부는 상기 커버 쉬트(141)를 테두리부(131b)에 부착시킴으로써 밀폐되며, 이에 따라, 상기 오목부(131a) 및 커버 쉬트(141) 사이에는 밀폐된 페이스트 수용공간(131c)가 형성된다.
도 16b는 상기 페이스트 수용공간(131c)내에 크림 솔더(5)가 수용되어 있는 카트릿지(131)에 커버 쉬트(141)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크림 솔더(5)가 밀폐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141c)은 페이스트 수용공간(131c)의 개구부를 덮도록 위치된다. 즉, 상기 차단층(141c)은 크림 솔더(5)와 부착층(141b) 사이에 개재되어, 부착층(141b)으로부터 크림 솔더(5)를 분리시킨다. 이러한 방책에 의해, 크림 솔더(5)가 밀봉된 카트릿지(131)는 크림 솔더가 사용될 때까지 저장하고 있게 되는 한편, 상기 부착층(141b)이 크림 솔더(5)의 솔벤 트 성분에 의해 용리되어 크림 솔더(5)의 조성을 변경시키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크림 솔더(5)가 장기간에 걸쳐 저장되더라도 품질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도 16c는 보관시의 카트릿지(131)를 취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크림 솔더(5)가 밀봉되는 카트릿지(131)는 외부 공기로부터 카트릿지(131)를 보호하기 위한 우수한 공기 밀봉성을 갖는 주머니 형상의 쉬트(142)내에 곧바로 포장된다. 이러한 방법은 크림 솔더(5)의 솔벤트 성분이 커버 쉬트(141) 또는 접착부의 캡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현상을 억제시킴으로써, 보관주에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페이스트 저장부는, 가요성 필름 등의 재료를 바닥 개구부를 갖는 형상으로 형상화하여 형성되는 교환 가능한 페이스트 컨테이너와, 상기 페이스트 컨테이너를 분리 가능하게 유지하는 컨테이너 홀딩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페이스트 저비용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페이스트 저장부의 컨테이너 홀딩부내에 분리 가능하게 유지되는 교환 가능한 페이스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 저장공간은, 가요성 필름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길고 좁은 오목부의 개구부를 필름 형상의 커버 쉬트부재로 밀폐시킴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필름 형상의 커버 쉬트부재 상에는, 부착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페이스트가 페이스트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상태에서 페이스트와 부착층 사이에 차단층이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 해, 저비용으로 페이스트를 공급할 수 있으며, 부착층의 성분이 페이스트 내에 용리되어 페이스트의 조성을 열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린 프린트용 페이스트 컨테이너를 구현시킨다.

Claims (5)

  1. 페이스트를 내부에 저장하기 위한 페이스트 저장부와, 가압 플레이트로 페이스트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페이스트 저장부로부터 페이스트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페이스트 저장부로부터 이동된 페이스트를 수용하고 바닥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페이스트를 마스크 플레이트의 상면과 접촉시키기 위한 프린팅 공간과, 상기 프린팅 공간의 스퀴지 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벽을 형성하며 상기 마스크 플레이트의 상면상에서 슬라이드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슬라이딩 접촉부를 포함하는 스퀴지 헤드의 페이스트 저장부의 컨테이너 홀딩부 내에 분리 가능하게 유지되는, 교환 가능한 스크린 프린팅용 페이스트 컨테이너로서,
    길고 좁은 형상을 가지며 가요성 필름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외주변부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를 덮기 위한 테두리부에 부착되는 필름 형상의 커버 쉬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 및 커버 쉬트로 둘러싸인 공간내에 상기 페이스트가 수용되고, 상기 테두리부와 오목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팅용 페이스트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컨테이너 홀딩부 상에 페이스트 컨테이너가 장착된 상태에서 페이스트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홀딩부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 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팅용 페이스트 컨테이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스퀴지 헤드의 가압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2개의 측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면들과;
    상기 오목부를 내측으로 구부리기 위한 굽힘 라인을 통해 각각의 제1면에 연결되는 제2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팅용 페이스트 컨테이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쉬트를 테두리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커버 쉬트부재의 한 쪽 측면 상에 형성되는 부착층 및;
    상기 페이스트 및 부착층의 사이에 개재되어 페이스트를 부착층과 격리시키기 위한 차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팅용 페이스트 컨테이너.
  5. 페이스트를 내부에 저장하기 위한 페이스트 저장부와; 상기 페이스트를 가압함으로써 페이스트 저장부로부터 페이스트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수단과; 상기 페이스트 저장부로부터 이동된 페이스트를 수용하며, 바닥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페이스트를 마스크 플레이트의 상면과 접촉시키기 위한 프린팅 공간 및; 상기 프린팅 공간의 스퀴지 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벽을 형성하며, 상기 마스크 플레이트의 상면 상에서 슬라이드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프린팅용 스퀴지 헤드를 사용하여, 보드 상에 페이스트를 프린팅하기 위한 스크린 프린팅 장치로서,
    상기 스크린 프린팅 장치는, 길고 좁은 형상을 가지며 가요성 필름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외주변부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를 덮기 위한 테두리부에 부착되는 필름 형상의 커버 쉬트 및 상기 오목부와 커버 쉬트로 둘러싸여 형성되며 내부에서 페이스트를 수용하기 위한 페이스트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교환 가능한 페이스트 컨테이너를 페이스트 저장부의 컨테이너 홀딩부 내에 분리 가능하게 유지시키며, 상기 테두리부와 오목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링팅 장치.
KR1020047020630A 2002-06-18 2003-06-03 스크린 프린팅용 페이스트 컨테이너 및 스크린 프린팅 장치 KR100978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76849 2002-06-18
JP2002176849A JP2004017514A (ja) 2002-06-18 2002-06-18 スクリーン印刷用のペースト容器
JPJP-P-2002-00187203 2002-06-27
JP2002187203A JP4540925B2 (ja) 2002-06-27 2002-06-27 スクリーン印刷用のペースト容器
JP2002254313A JP4195971B2 (ja) 2002-08-30 2002-08-30 スクリーン印刷用のペースト容器
JPJP-P-2002-00254313 2002-08-30
PCT/JP2003/007039 WO2003106176A1 (en) 2002-06-18 2003-06-03 Paste container for screen printing and screen prin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982A KR20050021982A (ko) 2005-03-07
KR100978809B1 true KR100978809B1 (ko) 2010-08-30

Family

ID=29740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630A KR100978809B1 (ko) 2002-06-18 2003-06-03 스크린 프린팅용 페이스트 컨테이너 및 스크린 프린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97107B2 (ko)
KR (1) KR100978809B1 (ko)
CN (1) CN100372678C (ko)
AU (1) AU2003234346A1 (ko)
GB (1) GB2405124B (ko)
WO (1) WO2003106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6172B2 (ja) * 2009-07-13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5691021B2 (ja) * 2011-11-09 2015-04-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EP3521482A4 (en) * 2016-09-29 2020-08-12 Dai Nippon Printing Co., Ltd. VAPOR DEPOSIT MASK PACKAGING AND VAPOR DEPOSIT MASK PACKAGING PROCES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4189A (en) * 1992-03-16 1994-02-08 Printron, Inc. Conductive ink packaging for printed circuit board screen printing operations
US20020053292A1 (en) * 2000-07-11 2002-05-09 Seikoh Abe Screen printing apparatus, screen printing method, and paste storage container for screen prin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3486A (en) * 1974-08-01 1977-05-17 E.T. Barwick Industries Screen printing squeegee apparatus
US4693209A (en) * 1984-12-31 1987-09-15 Motorola,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solder paste
US4622239A (en) * 1986-02-18 1986-11-11 At&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viscous materials
US4720402A (en) * 1987-01-30 1988-01-19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Method for dispensing viscous material
US5309837A (en) * 1991-06-24 1994-05-10 Tani Denkikogyo Co., Ltd. Method for screen printing of paste
US5590596A (en) * 1993-05-12 1997-01-07 Tani Electronics Industry, Co., Ltd. Printer system for printing circuit patterns or like on base board
JPH0839770A (ja) * 1995-08-10 1996-02-13 Sony Corp クリーム半田供給容器
JP2896343B2 (ja) * 1996-05-14 1999-05-31 谷電機工業株式会社 印刷用スキージー装置
FR2754474B1 (fr) 1996-10-15 1999-04-30 Novatec Dispositif pour le depot d'un produit visqueux ou pateux sur un substrat a travers les ouvertures d'un pochoir
US5947022A (en) * 1997-11-07 1999-09-07 Speedline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material in a printer
US6158338A (en) 1998-12-22 2000-12-12 Dek Printing Machines Limited Cassette for holding and dispensing a viscous material for use in an apparatus for depositing the viscous material on a substrate
JP3685053B2 (ja) * 2000-12-05 2005-08-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US6631833B2 (en) * 2001-02-16 2003-10-14 Ccl Container Corporation Oval-shaped tube clos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4189A (en) * 1992-03-16 1994-02-08 Printron, Inc. Conductive ink packaging for printed circuit board screen printing operations
US20020053292A1 (en) * 2000-07-11 2002-05-09 Seikoh Abe Screen printing apparatus, screen printing method, and paste storage container for screen prin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982A (ko) 2005-03-07
WO2003106176A1 (en) 2003-12-24
GB2405124A (en) 2005-02-23
GB0427462D0 (en) 2005-01-19
US20030230203A1 (en) 2003-12-18
GB2405124B (en) 2005-12-28
AU2003234346A1 (en) 2003-12-31
US6997107B2 (en) 2006-02-14
CN1668465A (zh) 2005-09-14
CN100372678C (zh)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0148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用のペースト貯溜容器
US20030188645A1 (en) Screen printing method
US9079390B2 (en) Screen printing device and screen printing method
US20130319266A1 (en) Screen printing device and screen printing method
KR100978809B1 (ko) 스크린 프린팅용 페이스트 컨테이너 및 스크린 프린팅 장치
US9067407B2 (en) Screen printing method and device including a closed squeegee mechanism and a paste deposition mechanism
JP4156227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GB2370014A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screen printing
JP4221378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3951853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006281724A (ja) ペーストの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4480933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3818224B2 (ja) スクリーン印刷用のペースト容器のカバーシート剥離方法およびカバーシート剥離治具
JP4540925B2 (ja) スクリーン印刷用のペースト容器
KR102416881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용 삽입 가압 모듈
KR102416799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JP4539393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006264007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000340451A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1347636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2001347635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4375262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3684987B2 (ja) スクリーン印刷用のスキージヘッド
JP2004090384A (ja) スクリーン印刷用のペースト容器
JP2004017514A (ja) スクリーン印刷用のペース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