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632B1 -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632B1
KR100978632B1 KR1020100030372A KR20100030372A KR100978632B1 KR 100978632 B1 KR100978632 B1 KR 100978632B1 KR 1020100030372 A KR1020100030372 A KR 1020100030372A KR 20100030372 A KR20100030372 A KR 20100030372A KR 100978632 B1 KR100978632 B1 KR 100978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y
foot
raw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250A (ko
Inventor
조정행
Original Assignee
조정행
윤영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행, 윤영병 filed Critical 조정행
Priority to KR1020100030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63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conveyors moving in a horizontal or an inclined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 등에서 수확된 김(해태)의 원초를 건조시켜 건조된 김으로 생산하는 장치 및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장치는, 발장이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발장이동수단; 세절되고 물에 혼합된 원초를 상기 발장 위에 펼쳐 놓는 성형수단; 발장 위에 놓인 원초를 가압하여 성형된 원초에 포함된 다량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수단; 상기 탈수수단을 거친 원초가 이동되는 경로 상에 위치되고 이동되는 각각의 원초 상부나 하부에 건조한 열을 가하여 원초를 건조하는 건식건조수단; 상기 건식건조수단을 거친 원초가 경유하고, 상기 건식건조수단에 의해 원초의 건식 건조가 이루어지는 공간보다 습도가 높은 습식건조공간을 제공하는 습식건조실; 상기 습식건조실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장치는, 건조수단의 규모와 발장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고품질의 건조 김을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다.
이는 곧 고품질의 건조 김을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가 용이하고 시설투자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로 이어진다.

Description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APPARATUS AND MMETHOD FOR PRODUCING DRY LAVER}
본 발명은 양식장 등에서 수확된 김(해태)의 원초를 건조시켜 건조된 김으로 생산하는 장치 및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해태)에는 다양한 영양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섭취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김의 유통 형태는 사각형 형태 등으로 성형되고 건조된 건조 김 형태이며, 이러한 건조 김이 구이 김으로 가공되거나 김밥의 재료 등으로 사용되어져 일반소비자들이 섭취하는 실정이다.
즉, 수확된 김의 원초는 대부분 건조된 건조 김으로 가공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이러한 건조 김의 생산방법은, 양식장 등에서 채취된 원초를 세절하여 물에 혼합한 후 소정의 형태로 발장에 얇게 펼쳐놓는 성형단계를 갖는다.
또, 성형단계 후 발장에 펼쳐진 김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갖는다.
또, 건조단계 후 발장에서 건조된 김을 분리하는 김분리단계를 갖는다.
상기 생산방법에서 사용되는 발장은 다수 개의 얇은 플라스틱 막대를 엮어 놓은 형태이다.
최근 마른 김을 대량 생산하기 위한 건조 김 생산장치가 안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5361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5590호, 한국 공개특허 제2003-0023222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7920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292229호 등이 있다.
종래의 건조 김 생산장치는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에 발장설치몸체(1)가 안치되어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발장이동수단을 갖는다.
또, 세척 및 세절되고 물에 혼합된 원초를 발장(2) 위에 소정의 형상(4각형 형상 등)으로 펼쳐 놓는 성형수단을 갖는다.
또, 발장 위에 놓인 원초를 스펀지 등으로 가압하여 성형된 원초에 포함된 다량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수단을 갖는다.
또, 성형 및 탈수된 원초가 이동 과정에서 열풍에 의해 건조되도록 하는 건조수단을 갖는다.
상기 발장설치몸체(1)에는 통상 10개 정도의 발장(2)이 배열되어 있다.
또, 발장이동수단은 발장이 원초성형단계와 탈수수단(30)을 경유할 때까지는 수평으로 이동되고 건조수단을 경유할 때는 세워진 상태로 이동하여 앞쪽에 위치된 발장설치몸체의 발장과 뒤쪽에 위치된 발장설치몸체의 발장이 1cm 정도로 매우 근접되어 있도록 한다.
이것은 탈수수단(30)을 거친 원초를 열풍으로 건조(송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이 발장과 발장 사이를 경유하게 되면서 건조가 이루어짐)시킴에 있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건조수단 내에서 정체되는 시간이 상당히 요구되고, 대량 생산의 특성 상 건조수단의 규모를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도 건조수단의 규모를 축소하는데 한계가 있어 건조김 생산장치가 여전히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수많은 발장이 요구되기 때문에 건조 김 생산단가의 상승을 유발하고, 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플라스틱 막대를 엮어 만든 발장은 소정의 횟수 이상 사용하면 그 수명을 다하여 폐기해야 하는데 그 비용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므로 건조 김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부담스럽고 건조 김 생산원가를 크게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정기적으로 발장을 교체해주어야 하는 이유는, 발장에서 마른 김 형태로 건조된 원초의 이탈이 용이하도록 발장을 구성하고 있는 플라스틱 막대에는 코팅이 되어 있는데 이러한 코팅은 발장을 수회 사용함에 따라 대부분 제거되고, 코팅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건조된 원초가 발장에서 원활하게 분리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수단의 규모와 발장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신속한 건조가 가능함으로써 고품질의 건조 김을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가 용이하고시설투자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성형단계와 탈수단계를 거친 발장 위의 원초가 건조한 열에 의해 건식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건식건조가 이루어진 원초가 높은 습도와 온도를 갖는 공간에서 습식건조 방식으로 건조가 다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건조수단의 규모와 발장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조김 생산방법은, 세절되고 물에 혼합된 원초를 발장 위에 펼쳐 놓는 성형단계를 갖는다.
또, 상기 성형단계를 거친 발장 위의 원초를 가압하여 다량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를 갖는다.
또, 탈수단계를 거친 원초에 건조한 열을 가하여 원초를 1차 건조하는 건식건조단계를 갖는다.
또, 건식건조단계를 거친 원초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는 온도와 습도를 갖는 공간을 건식건조단계를 거친 원초가 경유하도록 하여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원초가 2차 건조되도록 하는 습식건조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장치는, 발장이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발장이동수단을 갖는다.
또, 세절되고 물에 혼합된 원초를 상기 발장 위에 펼쳐 놓는 성형수단을 갖는다.
또, 발장 위에 놓인 원초를 가압하여 성형된 원초에 포함된 다량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수단을 갖는다.
또, 탈수수단을 거친 원초가 이동되는 경로 상에 위치되고 이동되는 각각의 원초 상부나 하부에 건조한 열을 가하여 각각의 원초가 건조되도록 하는 건식건조수단을 갖는다.
또, 건식건조수단을 거친 원초가 경유하고, 원초의 건식 건조가 이루어지는 공간보다 습도가 높은 습식건조공간을 가지고 있는 습식건조실을 갖는다.
또, 습식건조실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성형단계와 탈수단계를 거친 발장 위의 원초가 건조되도록 하되 건조한 열에 의해 건조되는 건식 건조방법으로 소정의 상태까지 빠르게 건조된 후 높은 습도를 갖는 조건에서 2차 건조(습식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건조수단의 규모와 발장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고품질의 건조 김을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다.
이는 곧 고품질의 건조 김을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가 용이하고 시설투자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로 이어진다.
도 1은 종래 건조 김 생산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복수 개의 발장이 일렬로 설치되어 있는 발장설치몸체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장치의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건식건조수단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공기살균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나의 예시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건조 김 생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종래 성형단계, 탈수단계, 건조단계를 갖던 방식과 같은 건조 김 생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사용하면서도 건조수단의 규모와 발장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도록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건조 김을 빠르게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가 용이하고 시설투자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발장 위에 성형된 원초를 건식 건조방법으로 빠르게 건조하면서 대부분의 수분을 제거한 후 습식건조방식을 통해 원초를 다시 건조하는 방법을 안출하였다.
즉,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방법은, 세절되고 물에 혼합된 원초를 발장 위에 펼쳐 놓는 성형단계를 갖는다.
또, 성형단계를 거친 발장 위의 원초를 가압하여 다량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를 갖는다.
또, 탈수단계를 거친 원초에 건조한 열을 가하여 원초를 1차 건조하는 건식건조단계를 갖는다.
또, 건식건조단계를 거친 원초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는 온도와 습도를 갖는 공간에 건식건조단계를 거친 원초가 위치되도록 하여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원초가 2차 건조되도록 하는 습식건조단계를 갖는다.
본 출원의 발명자가 본원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본 출원의 발명자는 원초를 건식 건조공법만으로 건조할 경우 맛과 색상 등이 불량해져 고품질의 건조 김을 생산할 수 없다는 결과를 얻었다.
즉, 본 발명은 건조 김의 재료인 원초의 특성을 고려하여 건조는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도 맛과 향 등 김 고유의 특성은 살아있는 고품질의 건조 김을 생산하기 위해 건식 건조공법을 통해 원초를 1차 건조한 후 습식 건조공법을 통해 원초를 다시 건조하는 것이다.
건조 김의 맛과 향 및 색상 등 고품질의 건조 김 생산조건을 고려할 때 건식 건조단계에서 원초의 건조되는 정도는 원초의 수분 함량이 20%∼5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물론, 건식 건조단계에서 원초의 수분 함량이 낮은 상태로 건조될수록 건조 김 생산속도는 증가하고 수분 함량이 높은 상태로 건조될 수록 건조 김 생산속도는 느려진다.
상기와 같은 건조 김 제조방법의 구현을 위한 본 발명의 건조 김 제조장치는 발장(2)이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발장이동수단(10)을 갖는다.
또, 세절되고 물에 혼합된 원초를 상기 발장 위에 펼쳐 놓는 성형수단(20)을 갖는다.
또, 발장 위에 놓인 원초를 가압하여 성형된 원초에 포함된 다량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수단(30)을 갖는다.
또, 탈수수단(30)을 거친 원초가 이동되는 경로 상에 위치되고 이동되는 각각의 원초 상부나 하부에 건조한 열을 가하여 원초를 건조하는 건식건조수단(40)을 갖는다.
또, 건식건조수단(40)을 거친 원초가 경유하고, 상기 건식건조수단(40)에 의해 원초의 건식 건조가 이루어지는 공간보다 습도가 높은 습식건조공간(51)을 제공하는 습식건조실(50)을 갖는다.
또, 습식건조실(50)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60)을 갖는다.
상기 발장이동수단(10)과 성형수단(20) 및 탈수수단(30)은 종래기술을 통해 공지된 형태와 같이 구현할 수도 있고 이를 변형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건식건조수단(40)은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통상의 건식 건조수단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그러나 원초의 신속한 건조와 원초의 오염방지 등을 고려할 때 발장(2)의 상부에서 원초의 상부면을 향해 열을 발산하는 상부위치발열체(41)와 발장(2)의 하부에서 발장(2)의 하부면을 향해 열을 발산하는 하부위치발열체(42)를 갖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상부위치발열체(41)는 열과 함께 살균력을 갖는 빛을 발산하는 살균램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위치열발열체(41)를 통해 발산되는 빛이 원초에 조사되어 원초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하부위치발열체(41)도 살균력을 갖는 빛을 발산하는 살균램프로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발장이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구현된 것이어야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그러한 발장은 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부위치발열체(41)를 살균램프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살균램프에는 자외선 발산램프 등 공지의 다양한 살균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건조과정에 있는 많은 원초의 균일한 건조상태 확보 및 각각의 원초 1장에서도 전체적으로 고르게 건조된 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건식건조수단(40)은 각각의 원초 1장에 대응되고 원초의 상부나 하부를 향해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러한 구성은 보다 신속한 건조가 가능한 특징도 있음)
도 3 및 도 4는 발장이동수단(10)에 의해 이동되는 발장(2) 및 이 발장(2) 위의 원초가 수평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발열체(상부위치발열체(41)와 하부위치발열체(42))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된 구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습식건조공간(51)의 습도가 설정된 범위로 유지되도록 하는 습도유지수단(7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습도유지수단(70)은 특정 공간의 습도를 설정된 범위로 유지하도록 하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습식건조공간(51)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71)와 이 습도감지센서(71)에 감지된 습도가 설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 습식건조공간(5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72) 등을 갖는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또, 습식건조공간(51)의 습도가 설정된 수치보다 낮은 경우 작동되는 가습기(도시하지 않음) 등을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습식건조공간(51)의 온도가 설정된 범위로 유지되도록 하는 온도유지수단(8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도유지수단(80)은 특정 공간의 온도를 설정된 범위로 유지하도록 하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습식건조공간(5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81)와 이 온도감지센서(81)에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수치 이하일 경우 습식건조공간(51)에 열을 가하는 히터 등의 가열수단(60)을 갖는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또, 습식건조공간(51)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크게 높을 때 습식건조공간(5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 등을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장이동수단(10)은 원초가 위치된 발장이 습식건조공간(51)을 경유할 때 앞쪽에서 이동되는 발장의 상부면이나 하부면이 뒤쪽에서 이동되는 발장의 하부면이나 상부면과 근접되고 마주하는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도 3참조)
이는 종래기술에서도 제시된 것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근접된 위치에서 마주하는 발장(2)과 발장(2)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되도록 바람을 일으키는 송풍팬(90)을 더 구비하면 습식건조공간(51)에서의 건조 속도가 보다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은 세균이 증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송풍팬(90)을 통해 발장(2)과 발장(2) 사이로 공급될 공기를 살균하는 공기살균수단(10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공기살균수단(100)은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공기청정기와 같은 형태나 공기가 통과하도록 배열된 살균램프(101)를 갖는 공기살균기와 같은 형태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1. 발장설치몸체 2. 발장
10. 발장이동수단 20. 성형수단
30. 탈수수단 40. 건식건조수단
41. 상부위치발열체 42. 하부위치발열체
50. 습식건조실 51. 습식건조공간
60. 가열수수단 70. 습도유지수단
71. 습도감지센서 72. 환풍기
80. 온도유지수단 81. 온도감지센서
90. 송풍팬 100. 공기살균수단
101. 살균램프

Claims (10)

  1. 건조 김 생산장치에 있어서,
    발장이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발장이동수단;
    세절되고 물에 혼합된 원초를 상기 발장 위에 펼쳐 놓는 성형수단;
    발장 위에 놓인 원초를 가압하여 성형된 원초에 포함된 다량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수단;
    상기 탈수수단을 거친 원초가 이동되는 경로 상에 위치되고 이동되는 각각의 원초 상부나 하부에 건조한 열을 가하여 원초를 건조하는 건식건조수단;
    상기 건식건조수단을 거친 원초가 경유하고, 상기 건식건조수단에 의해 원초의 건식 건조가 이루어지는 공간보다 습도가 높은 습식건조공간을 제공하는 습식건조실;
    상기 습식건조실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건조 김 생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건조수단은 각각의 원초 1장에 대응되고 원초의 상부나 하부를 향해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건조공간의 습도가 설정된 범위로 유지되도록 하는 습도유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건조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범위로 유지되도록 하는 온도유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장이동수단은 원초가 위치된 발장이 습식건조공간을 경유할 때 앞쪽에서 이동되는 발장의 상부면이나 하부면이 뒤쪽에서 이동되는 발장의 하부면이나 상부면과 근접되고 마주하는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와 같이 근접된 위치에서 마주하는 발장과 발장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되도록 바람을 일으키는 송풍팬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을 통해 발장과 발장 사이로 공급될 공기를 살균하는 공기살균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건조수단은 발장의 상부에서 원초의 상부면을 향해 열을 발산하는 상부위치발열체와 발장의 하부에서 발장의 하부면을 향해 열을 발산하는 하부위치발열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위치발열체는 열과 함께 살균력을 갖는 빛을 발산하는 살균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
  9. 건조 김 생산방법에 있어서,
    세절되고 물에 혼합된 원초를 발장 위에 펼쳐 놓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단계를 거친 발장 위의 원초를 가압하여 다량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
    탈수단계를 거친 원초에 건조한 열을 가하여 원초를 1차 건조하는 건식건조단계;
    상기 건식건조단계를 거친 원초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는 온도와 습도를 갖는 공간에 건식건조단계를 거친 원초가 위치되도록 하여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원초가 2차 건조되도록 하는 습식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건조 김 생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건조단계에서는 원초의 수분 함량이 20%∼50%가 되도록 원초를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방법.
KR1020100030372A 2010-04-02 2010-04-02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KR100978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372A KR100978632B1 (ko) 2010-04-02 2010-04-02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372A KR100978632B1 (ko) 2010-04-02 2010-04-02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250A KR20100042250A (ko) 2010-04-23
KR100978632B1 true KR100978632B1 (ko) 2010-08-27

Family

ID=4221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372A KR100978632B1 (ko) 2010-04-02 2010-04-02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6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906B1 (ko) * 2010-07-31 2011-12-21 주식회사 퍼펙 위생적인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KR102052593B1 (ko) 2018-06-15 2020-01-22 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해조식품 김 가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777B1 (ko) * 2019-04-10 2021-04-12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김의 건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708B1 (ko) * 1974-01-04 1979-12-14 히가게이찌로오 해태의 연속 자동 제조장치
JPS61257165A (ja) 1985-05-09 1986-11-14 Koga Sangyo Kk 乾海苔製造機における乾燥室の乾燥湿度の制御方法
KR200319054Y1 (ko) 2003-04-01 2003-07-04 강창윤 롤형 김 제조장치
KR20080013133A (ko) * 2006-08-07 2008-02-13 강창윤 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708B1 (ko) * 1974-01-04 1979-12-14 히가게이찌로오 해태의 연속 자동 제조장치
JPS61257165A (ja) 1985-05-09 1986-11-14 Koga Sangyo Kk 乾海苔製造機における乾燥室の乾燥湿度の制御方法
KR200319054Y1 (ko) 2003-04-01 2003-07-04 강창윤 롤형 김 제조장치
KR20080013133A (ko) * 2006-08-07 2008-02-13 강창윤 김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906B1 (ko) * 2010-07-31 2011-12-21 주식회사 퍼펙 위생적인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KR102052593B1 (ko) 2018-06-15 2020-01-22 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해조식품 김 가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250A (ko) 201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19481A (ja) 乾燥キノコ類の製造方法および乾燥キノコ類の製造装置
KR100978632B1 (ko)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CN104489851B (zh) 一种蒸汽杀青热泵微波联合干燥滁菊的方法
CN106819098A (zh) 一种粮食防治霉菌的物理方法
JP6934643B2 (ja) 食品の常温乾燥装置
CN105716375A (zh) 一种热泵干燥桔梗的方法
CN104970121A (zh) 茶叶萎凋机
KR101151193B1 (ko) 양파코팅방법
KR101347078B1 (ko) 농수산물 건조 장치
KR20140051003A (ko) 전열매트를 이용한 고추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CN204128291U (zh) 一种竹笋片的电加热干燥箱
KR101180440B1 (ko) 고추의 건조 및 분쇄방법
CN102008156A (zh) 前段蒸软烘干机
JP3568250B2 (ja) 食品の乾燥方法
KR20030004269A (ko) 곶감의 제습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CN104756637A (zh) 一种适于果菜类蔬菜小样本种子干燥去毒机及方法
CN105287687A (zh) 一种金银花加工方法
CN110425831A (zh) 一种黄花菜降解叶绿素的干燥方法及其设备
CN108662874A (zh) 一种油茶籽烘干装置
RU203714U1 (ru) Конвейерная зерносушилка с функцией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зерна
Meza-Jimenez et al. The design and proposal of a thermodynamic drying system for the dehydration of Rosell (Hibiscus Sabdariffa) and other agro-industrial products
KR200404503Y1 (ko) 포도수확 후 처리장치
KR101503040B1 (ko) 해태 제조장치
CN110089716A (zh) 白胡椒梯度干燥方法
CN207854944U (zh) 一种高水分水稻种子收后临时脱水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