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486B1 - 하수처리장 내부의 기계장치 보수 시 안전사고 예방구조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장 내부의 기계장치 보수 시 안전사고 예방구조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486B1
KR100978486B1 KR1020090132061A KR20090132061A KR100978486B1 KR 100978486 B1 KR100978486 B1 KR 100978486B1 KR 1020090132061 A KR1020090132061 A KR 1020090132061A KR 20090132061 A KR20090132061 A KR 20090132061A KR 100978486 B1 KR100978486 B1 KR 100978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unit
sewage treatment
treatment plant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근호
Original Assignee
스마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텍(주) filed Critical 스마텍(주)
Priority to KR1020090132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2Safety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내부의 기계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하수처리장 내부로 들어가 기계장치를 보수하는 동안 하수처리장 바닥의 미끄러움으로 인해 작업자가 안전 사고를 입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내부에 기계장치가 설치되는 하수처리장에 있어서, 상기 하수처리장의 상면 외부에 설치되며, 로프가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권선되는 로프권선부; 상기 로프권선부에서 로프가 풀리는 경우 이를 다시 감기도록 역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상기 로프가 급격하게 당겨지는 경우 로프권선부의 회전을 정지시켜 작업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긴급제어부; 상기 로프권선부에서 풀리는 로프의 중도부를 지지하는 로프지지대; 상기 로프지지대가 자유롭게 수평 이송 가능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하수처리장 상부에 설치되는 로프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내부로 들어가 유지보수를 하는 작업자가 하수처리장 바닥의 슬러지로 인해 미끄러지는 경우 안전벨트가 더 이상 풀리지 않고 급정지되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하수처리, 슬러지, 하수처리장, 안전사고, 로프

Description

하수처리장 내부의 기계장치 보수 시 안전사고 예방구조 및 그 작동방법{sewage disposal plant of prevention structure of accident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내부의 슬러지수집기, 인양기, 스크린 등 기계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하수처리장 내부로 들어가 기계장치를 보수하는 동안 하수처리장 바닥의 미끄러움으로 인해 작업자가 안전 사고를 입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10)의 내부에는 슬러지수집기, 인양기, 스크린 등의 다양한 기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처리장(10)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슬러지배출구(11) 측으로 이동시키는 슬러지수집기(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슬러지수집기(20)는 하수처리장(10)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21)에서 하수처리장(10)의 바닥측에 설치된 종동기어(23) 사이에 체인(24)이 연결되고, 체인(24)에는 긁음판(25)이 설치되어 바닥의 슬러지를 긁어 슬러지배출구(11)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슬러지수집기(20)의 작동이 장시간 진행되는 동안 체인(24)의 길이가 늘어나기도 하고, 긁음판(25)이 닳거나 탈리되는 등 고장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고장 발생 시 또는 주기적으로 유지보수를 해 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작업자가 약 4~5m 높이의 하수처리장(10) 내부로 직접 들어가 유지보수를 하고 있다.
이때, 작업자는 하수처리장(10) 바닥을 걸으면서 유지보수를 하는데, 하수처리장(10)의 바닥은 각종 음식물의 기름때로 인해 미끄러운 상태가 되어 있어, 자칫 잘못하면 미끄러 넘어지면서 부상을 입기도 한다.
또한, 넘어질 때의 충격으로 인해 의식을 잃은 경우에는 하수처리장 외부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알 수가 없어 상황파악이 늦어지게 되고, 자칫 인명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서, 하수처리장 내부로 들어가 기계장치를 유지보수하는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경우에도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예방하는데 그 해결의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넘어진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작업자를 자동으로 하수처리장 밖으로 끌어올려 안전사고를 방지하는데 다른 해결의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 시 하수처리장 외부의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도 경보정보를 알려주어 위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해결의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내부에 기계장치가 설치되는 하수처리장에 있어서, 상기 하수처리장의 상면 외부에 설치되며, 로프가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권선되는 로프권선부; 상기 로프권선부에서 로프가 풀리는 경우 이를 다시 감기도록 역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상기 로프가 급격하게 당겨지는 경우 로프권선부의 회전을 정지시켜 작업자가 넘어지는 것 을 방지하는 긴급제어부; 상기 로프권선부에서 풀리는 로프의 중도부를 지지하는 로프지지대; 상기 로프지지대가 자유롭게 수평 이송 가능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하수처리장 상부에 설치되는 로프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로프권선부에는 자동역회전모터가 결합되며, 상기 자동역회전모터에는 상기 긴급제어부의 작동시간을 체크하는 시간측정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작동이 설정시간 이상 해제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역회전모터를 작동시켜 로프권선부를 역회전 작동시킴으로써 로프를 되감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역회전모터가 작동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보음과 경보등을 작동시키는 경보부; 상기 경보부의 작동과 동시에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경보를 전송하는 이동전화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로프권선부에 권선된 로프의 끝단을 신체에 결속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의 신체에 결속된 로프가 작업자의 움직임에 따라 하수처리장 외부 상측에 설치된 로프권선부로부터 풀리고 감기는 공정이 반복되는 단계; 및, 상기 로프가 풀리고 감기는 공정이 반복되는 도중 작업자가 미끄러짐으로 인해 상기 작업자의 신체에 결속된 로프가 급격하게 당겨지게 되면 긴급제어부에 의해 로프권선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긴급제어부가 작동하게 되면 동시에 시간측정부가 작동하는 단계; 상기 시간측정부의 측정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면 자동역회전모터가 작동하는 단계;상기 자동역회전모터가 작동하면 경보부가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경보부의 작동과 동시에 이동전화인터페이스부에 의해 관리자의 이동통신으로 긴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내부로 들어가 기계장치를 유지보수 하는 작업자가 하수처리장 바닥의 슬러지로 인해 미끄러지는 경우 안전벨트가 더 이상 풀리지 않고 급정지되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미끄러지면서 의식을 잃어 넘어지거나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작업자를 하수처리장 밖으로 끌어올려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사고 발생 시 이를 하수처리장 외부의 사람에게도 상황을 전달하여 위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구조가 구비된 하수처리장의 일부 절결 단면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100)는 각종 하수가 모인 상태에서 슬러지가 바닥에 침전되는 곳이다. 하수처리장(100)의 내부에는 다양한 기계장치가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슬러지수집기(20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슬러지수집기(200)는 하수처리장(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수처리장(100)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긁어 하수처리장(100) 일측에 구비된 슬러지저장부(110)로 배출시킨다.
이를 위해 구동모터(210)가 설치되고, 구동모터(210)의 축에는 구동기어(220)가 축설되며, 하수처리장(100)의 내부 바닥에는 종동기어(230)가 설치되고, 구동기어(220)와 종동기어(230) 사이에는 체인(240)이 결합된다.
또한, 체인(240)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긁음판(250)이 결합되어 체인(24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구조의 로프권선부와 연결되는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100)의 외부 상면 일측에는 로프권선부(300)가 견고히 고정설치되고, 로프권선부(300)에는 로프(310)가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권선된다.
그리고, 로프가이드부(320)가 하수처리장(100)의 상부에 대략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로프가이드부(320)에는 로프권선부(300)에서 풀리는 로프(310)의 중도부를 지지하기 위한 로프지지대(330)가 로프가이드부(320)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로프권선부(300)의 일측에는 풀려진 로프(310)를 탄성력에 의해 다시 로프권선부(300)에 감기도록 하는 탄성부(340)가 로프(310)의 끝단에 설치된다.
또한, 로프(310)가 급격하게 당겨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로프권선부(300)의 회전을 정지시켜 더 이상 로프(310)가 풀리지 않도록 하는 긴급제어부(350)가 로프권선부(300)와 연결되어 설치된다.
또한, 로프권선부(300)에는 시간측정부(360)와 자동역회전모터(370) 및 경보부(380)가 결합된다. 경보부(380)에는 이동전화인터페이스부(390)가 연동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하수처리장(100)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긁어내기 위해 슬러지수집기(200)의 구동모터(210)를 구동하게 되면 구동기어(220)의 회전에 의해 종동기어(230)와의 사이에 결합된 체인(240)이 회전하게 된다.
체인(240)에 결합된 긁음판(250)이 체인(240)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하수처리장(100) 바닥의 슬러지를 긁어 슬러지저장부(110)로 모은다.
그러나, 잦은 작동으로 인한 슬러지수집기(200)의 고장은 물론 각종 기계장치를 유지보수 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작업자가 하수처리장(100) 내부로 들어가 작업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구조의 작동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장(100) 내부의 기계장치를 유지보수 하기 위해 로프권선부(300)에 권선된 로프(310)의 끝단을 허리에 체결 하고 하수처리장(10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S100).
로프(310)는 작업자의 움직임에 따라 로프권선부(300)로부터 서서히 풀리면서 작업자가 활동하기에 용이하도록 해 준다. 이때, 로프(310)는 탄성부(340)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로프(310)가 당겨지면 탄성부(340)는 탄성력이 증가된다.
따라서, 로프(310)를 팽팽하게 당기고 있던 작업자(310)가 로프권선부(300) 측으로 후퇴하게 되면, 탄성부(340)의 탄성력에 의해 후퇴한만큼 탄성부(340)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로프(310)가 로프권선부(300)에 감기게 된다.
한편, 로프(310)의 중도부는 로프지지대(330)에 걸린 상태에서 로프가이드부(320)를 미끄러지며 이송되어 로프(310)의 풀림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해 준다.
그리고, 만약 작업자가 하수처리장(100) 내부에서 작업도중 하수처리장(100) 바닥의 슬러지로 인해 미끄러지게 되면 로프(310)가 급격하게 당겨지게 되고, 이를 감지하여 긴급제어부(350)가 작동하고 로프권선부(300)의 회전을 정지시켜 더 이상 회전을 하지 못하도록 제어한다(S130). 그러므로, 로프(310)는 더 이상 풀리지 않고 작업자는 로프(310)에 의지한 상태가 되고 다시 쉽게 일어설 수가 있게 된다.
로프(310)는 다시 느슨해지고 긴급제어부(350)의 작동이 해제되면서 탄성부(340)의 작동에 의해 느슨해진 상태의 로프(310)가 로프권선부(300)에 감겨 원상태로 복귀된다.
삭제
또한, 긴급제어부(350)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동시에 시간측정부(360)가 작동하면서 긴급제어부(350)의 작동시간을 측정하게 된다(S140). 그리고, 만약 작업자가 넘어지면서 충격을 받아 의식을 잃거나 움직일 수가 없는 상태가 되어, 긴급제어부(350)의 작동시간이 길어져 시간측정부(360)의 측정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 되면, 자동역회전모터(370)를 작동시켜 로프(310)를 강제로 당겨 로프권선부(300)에 되감는다(S150).
따라서, 작업자는 로프(310)에 묶인 채로 당겨져 하수처리장(100) 밖으로 올려진다. 또한, 자동역회전모터(370)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동시에 경보부(380)가 작동하여 경보음과 경보등을 작동시켜 하수처리장(100) 외부에서도 긴급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S160).
그리고, 경보부(380)의 작동과 동시에 이동전화인터페이스부(390)가 작동하여 미리 저장된 관리자 등의 이동전화로 긴급 경보를 전송한다(S17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100) 내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하수처리장(100) 바닥의 슬러지로 인해 미끄러지는 경우 로프(310)의 풀림을 제어하여 더 이상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작업자가 미끄러지면서 머리를 부딪치거나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업자를 하수처리장(100) 외부로 이송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슬러지수집기가 설치된 종래 하수처리장의 일부 절결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구조가 구비된 하수처리장의 일부 절결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구조의 로프권선부와 연결되는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구조의 작동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하수처리장 110 : 슬러지저장부
200 : 슬러지수집기 210 : 구동모터
220: 구동기어 230 : 종동기어
240 : 체인 250 : 긁음판
300: 로프권선부 310 : 로프
320: 로프가이드부 330 : 로프지지대
340 : 탄성부 350 : 긴급제어부
360 : 시간측정부 370 : 자동역회전모터
380 : 경보부 390 : 이동전화인터페이스부

Claims (5)

  1.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내부에 기계장치가 설치되는 하수처리장에 있어서,
    상기 하수처리장의 상면 외부에 설치되며, 로프가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권선되는 로프권선부;
    상기 로프가 급격하게 당겨지는 경우 로프권선부의 회전을 정지시켜 작업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프권선부와 연결 설치되는 긴급제어부;
    상기 로프권선부에서 풀리는 로프의 중도부를 지지하는 로프지지대; 및,
    상기 로프지지대가 자유롭게 수평 이송 가능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하수처리장 상부에 설치되는 로프가이드부;
    상기 로프권선부에 결합되는 자동역회전모터;
    상기 자동역회전모터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작동시간을 체크하는 시간측정부;로 이루어져,
    상기 긴급제어부의 작동이 설정시간 이상 해제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역회전모터를 작동시켜 로프권선부를 역회전 작동시킴으로써 로프를 되감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내부의 기계장치 보수 시 안전사고 예방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역회전모터가 작동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보음과 경보등을 작동시키는 경보부; 및,
    상기 경보부의 작동과 동시에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경보를 전송하는 이동전화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내부의 기계장치 보수 시 안전사고 예방구조.
  4. 작업자가 로프권선부에 권선된 로프의 끝단을 신체에 결속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의 신체에 결속된 로프가 작업자의 미끄러짐으로 인해 급격하게 당겨지게 되면 긴급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로프권선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긴급제어부가 작동하게 되면 동시에 시간측정부가 작동하는 단계;
    상기 시간측정부의 측정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면 자동역회전모터가 작동하는 단계;
    상기 자동역회전모터가 작동하면 경보부가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경보부의 작동과 동시에 이동전화인터페이스부에 의해 관리자의 이동통신으로 긴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내부의 기계장치 보수 시 안전사고 예방구조의 작동방법.
  5. 삭제
KR1020090132061A 2009-12-28 2009-12-28 하수처리장 내부의 기계장치 보수 시 안전사고 예방구조 및 그 작동방법 KR100978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061A KR100978486B1 (ko) 2009-12-28 2009-12-28 하수처리장 내부의 기계장치 보수 시 안전사고 예방구조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061A KR100978486B1 (ko) 2009-12-28 2009-12-28 하수처리장 내부의 기계장치 보수 시 안전사고 예방구조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486B1 true KR100978486B1 (ko) 2010-08-30

Family

ID=4276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061A KR100978486B1 (ko) 2009-12-28 2009-12-28 하수처리장 내부의 기계장치 보수 시 안전사고 예방구조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4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600U (ko) * 1996-12-30 1998-10-07 추호석 타워크레인의 안전로프 권취용 릴
KR200294121Y1 (ko) 2002-07-31 2002-11-04 곽상호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600U (ko) * 1996-12-30 1998-10-07 추호석 타워크레인의 안전로프 권취용 릴
KR200294121Y1 (ko) 2002-07-31 2002-11-04 곽상호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0562B2 (ja) 墜落防止アセンブリ
US5927440A (en) Mobile hoist system and method
JP3602849B2 (ja) 落下防止安全装置
KR200442303Y1 (ko) 무대장치의 와이어로프시스템
AU3891901A (en) Device for the evacuation of elevator passengers
KR100701507B1 (ko) 리깅장치
KR100978486B1 (ko) 하수처리장 내부의 기계장치 보수 시 안전사고 예방구조 및 그 작동방법
KR101979236B1 (ko) 수조 승하강용 곤돌라
CN114940444A (zh) 海上平台吊机和海上平台
KR101646497B1 (ko) 인명 구조용 리프팅 장치
JP2012126511A (ja) エレベータの監視装置
JP2005132543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時安全装置
KR200445840Y1 (ko) 낙하방지 리프트
CN206156559U (zh) 一种扶手带保护装置
RU149088U1 (ru) Ручная лебедка
KR102325195B1 (ko) 과부하 즉응 검출회로를 포함하는 긴급차단형 수문권양기 및 그 제어방법
US7029422B2 (en) Ergonomics safety warning device and method to prevent clutch burning
KR102152161B1 (ko)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KR102321581B1 (ko) 발판의 추락 방지를 제공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101766530B1 (ko) 작업자 긴급탈출장치
CN210763773U (zh) 一种用于建筑施工的升降装置
CN210260863U (zh) 一种带有起重量限制器的起重机主钩装置
WO2016038417A1 (pt) Aperfeiçoamentos em dispositivo antiquedas retrátil
CN107512687B (zh) 人员安全检测装置及检测方法
US6907956B2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objects and the like from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