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840Y1 - 낙하방지 리프트 - Google Patents

낙하방지 리프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840Y1
KR200445840Y1 KR2020080017168U KR20080017168U KR200445840Y1 KR 200445840 Y1 KR200445840 Y1 KR 200445840Y1 KR 2020080017168 U KR2020080017168 U KR 2020080017168U KR 20080017168 U KR20080017168 U KR 20080017168U KR 200445840 Y1 KR200445840 Y1 KR 200445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ift
winding drum
platform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현규
Original Assignee
(주)성우에스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우에스람 filed Critical (주)성우에스람
Priority to KR2020080017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8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8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4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actuated by centrifugal for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3Mechanisms with latches or braking devices in general for capstans, hoists or similar devices as well as braking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or by fluid under pressure

Abstract

본 고안은 장치가 고장나거나 와이어가 끊어짐에 따라, 하측에 매달리는 물품이 낙하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낙하방지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리프트는 와이어(10)가 끊어지거나 윈치(B)가 고장나서 승강대(C)가 추락할 경우, 자동을 권취드럼(130)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경보를 출력하므로써, 승강대(C)에 설치된 물품이 파손되거나 사람이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경보를 출력하여 리프트가 고장난 것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낙하방지 리프트{lift}
본 고안은 장치가 고장나거나 와이어가 끊어짐에 따라, 하측에 매달리는 물품이 낙하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낙하방지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어 프로젝터 등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된 리프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면(1)에 설치된 지지프레임(A)과;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어 와이어(10)를 감아올리거나 풀어낼 수 있도록 된 윈치(B)와; 상기 와이어(10)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프로젝터(2)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승강대(C)로 구성되어, 상기 윈치(B)로 와이어(10)를 감아올리거나 풀어내어 승강대(C)에 설치된 프로젝터(2) 등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A)과 승강대(C)의 사이에는, 상호 힌지결합된 다수개의 링크로 이루어진 가이드기구(D)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대(C)가 승강될 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리프트는 전술한 프로젝터(2) 이외에, 상기 승강대(C)에 다수개의 조명등 등을 설치하여, 윈치(B)로 조명등을 승강시키는데 활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리프트는 상기 와이어(10)의 하단에, 매우 무거운 프로젝터(2)나 조명등이 고정되므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윈치(B)가 고장나거나 와이어(10)가 끊어져 프로젝터(2)가 낙하하므로써 프로젝터(2)나 조명등이 파손될 수 있으며, 떨어진 프로젝터(2)나 조명등에 의해 하측에 있는 사람이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윈치(B)의 경우, 내부에 와이어(10)가 풀려나가지 않도록 하는 브레이크기구가 구비되어, 윈치(B)가 정지될 경우 자동으로 브레이크기구가 작동되어 와이어(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브레이크기구에 자주 고장이 발생되어 전술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치가 고장나거나 와이어가 끊어짐에 따라, 하측에 매달리는 물품이 낙하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낙하방지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천정면(1)에 설치된 지지프레임(A)과;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어 와이어(10)를 감아올리거나 풀어낼 수 있도록 된 윈치(B)와; 상기 와이어(10)의 하단에 연결된 승강대(C)를 포함하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C)에 연결된 보조와이어(110)와,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며 둘레면에 상기 보조와이어(110)가 권취되는 권취드럼(130)과, 상기 권취드럼(130)에 연결되어 권취드럼(13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40)과, 상기 권취드럼(13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대(C)가 낙하될 경우 상기 권취드럼(130)을 정지시키는 제동기구(150)가 구비된 낙하방지장치(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리프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동기구(150)는 기단부가 상기 권취드럼(130)에 힌지결합된 웨이트(151)와, 상기 웨이트(151)에 연결되어 웨이트(151)의 선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52)와, 웨이트(151)의 외부에 구비된 정지블록(15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웨이트(151)의 선단부와 정지블록(153)의 내주면에는 상호 맞물리는 걸림돌기(151a,153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리프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동기구(150)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힌지결합된 회동아암(154)과, 상기 회동아암(154)에 연결되어 회동아암(154)의 선단부가 상기 와이어(1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155)와, 상기 지지프레임(A)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회동아암(154)에 연결되어 회동아암(154)의 회동시 작동되어 상기 권취드럼(130)을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장치(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리프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조와이어(110)와 상기 승강대(C)의 사이에는 완충장치(1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리프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낙하방지장치(100)에는 낙하방지장치(100)의 작동시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장치(2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리프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리프트는 와이어(10)가 끊어지거나 윈치(B)가 고장나서 승강대(C)가 추락할 경우, 자동을 권취드럼(130)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경보를 출력하므로써, 승강대(C)에 설치된 물품이 파손되거나 사람이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경보를 출력하여 리프트가 고장난 것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프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리프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리프트의 완충장치와 경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리프트의 낙하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리프트의 낙하방지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리프트를 낙하방지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리프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리프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리프트의 낙하방지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리프트를의 낙하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내지 도 6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리프트는 천정면(1)에 설치된 지지프레임(A)과;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어 와이어(10)를 감아올리거나 풀어낼 수 있도록 된 윈치(B)와; 상기 와이어(10)의 하단에 연결된 승강대(C)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대(C)에 설치된 프로젝터(2) 등의 물품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A)과 승강대(C)의 사이에는, 상호 힌지결합된 다수개의 링크로 구성된 가이드기구(D)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대(C)가 승강될 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리프트는, 상기 윈치(B)가 고장나거나 와이어(10)가 끊어져 상기 승강대(C)가 낙하될 경우 작동되어 승강대(C)의 낙하를 정지시키는 낙하방지장치(100)와, 상기 낙하방지장치(100)의 작동시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장치(2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낙하방지장치(100)는 상기 승강대(C)에 연결된 보조와이어(110)와, 상기 승강대(C)에 구비된 하우징(120)과,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며 둘레면에 상기 보조와이어(110)가 권취되는 권취드럼(130)과, 상기 권취드럼(130)에 연결된 구동수단(140)과, 상기 권취드럼(13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대(C)가 낙하될 경우 자동으로 상기 권취드럼(130)을 정지시켜 승강대(C)의 낙하를 정지시키는 제동기구(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와이어(110)는 승강대(C) 및 승강대(C)에 설치된 물품의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승강대(C)의 낙하시 상기 제동기구(150)에 의해 고정되어 승강대(C)의 낙하를 정지시키는 것으로, 하단이 상기 승강대(C)의 상면에 구비된 완충장치(160)에 연결된다. 상기 완충장치(16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C)의 상면에 설치된 통형상의 브라켓(161)과, 상기 브라켓(161)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에는 직경이 큰 지지부(162a)가 구비된 승강바(162)와, 상단이 상기 브라켓(161)에 지지되도록 상기 승강바(162)의 외부에 끼워진 스프링(163)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바(162)가 상기 보조와이어(11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대(C)가 낙하되는 도중에 상기 제동기구(150)에 의해 보조와이어(110)가 고정될 경우, 상기 스프링(163)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권취드럼(130)은 상기 하우징(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31)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구동수단(14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31)의 둘레면에 감긴 상태에서 일단은 상기 하우징(120)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회전축(131)에 고정된 태엽을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대(C)가 하강되면 상기 보조와이어(110)가 하측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보조와이어(110)가 풀리는 방향으로 권취드럼(130) 및 회전축(131)이 회전되어 상기 태엽이 감기면서 압축되며, 상기 승강대(C)가 상승되면 압축된 태엽이 풀리면서 태엽의 탄성에 의해 회전축(131)과 권취드럼(130)이 회전되어 보조와이어(110)를 감아올린다.
상기 제동기구(1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부가 상기 권취드럼(130)에 힌지결합된 웨이트(151)와, 상기 웨이트(151)에 연결되어 웨이트(151)의 선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52)와, 웨이트(151)의 외부에 구비된 정지블록(1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웨이트(151)는 상기 권취드럼(130)의 회전축(131)에 구비된 브라켓(131a)에 기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31)과 함께 회전되며,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선단부가 회전축(131)의 둘레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웨이트(151)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151a)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정지블록(153)의 걸림돌기(153a)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52)는 양단이 상기 웨이트(151)와 상기 브라켓(161)에 각각 연결된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웨이트(151)의 선단부가 회전축(131)의 둘레면쪽으로 인접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상기 정지블록(153)은 상기 회전축(131)과 웨이트(151)가 내부에 위치되는 통공(153b)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A)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통공(153b)의 내부에는 상기 웨이트(151)의 걸림돌기(151a)와 맞물리는 걸림돌기(153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52)는 상기 회전축(131)이 규정된 속도 이하로 회전될 때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151)의 선단부가 외부로 벌어지지 않고, 회전축(131)이 과도하게 빨리 회전될 경우에만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151)의 선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탄성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51a,153a)는 일방향으로 경사진 래칫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조와이어(110)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만 웨이트(151)가 정지블록(153)에 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보장치(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장치(160)의 브라켓(161)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바(162)의 승강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10)와, 상기 감지센서(210)에 연결된 제어부(220)와, 상기 제어부(220)에 연결된 경보기(230)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210)는 상기 완충장치(160)의 스프링(163)이 압축되어 상기 승강바(162)가 상기 브라켓(16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감지센서(210)에서 출력된 신호를 감시하여, 감지센서(210)에서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경보기(230)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낙하방지 리프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윈치(B)와 와이어(10)에 이상이 없을 경우, 상기 윈치(B)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대(C)를 승강시키므로써, 승강대(C)에 구비되는 프로젝터(2) 등의 물품을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윈치(B)가 고장나거나 와이어(10)가 끊어져 상기 승강대(C)가 빠른 속도로 하강될 경우, 상기 보조와이어(110)가 풀려나가면서 권취드럼(130)의 회전축(131)이 고속회전되며, 이에따라,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151)가 고속회전되면서 이때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웨이트(151)의 선단부가 탄성부재(152)의 탄성을 이기고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돌기(151a,153a)가 서로 맞물려 회전축(13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이와같이, 회전축(131)이 정지됨에 따라, 상기 보조와이어(110)가 더 이상 풀려나가지 않게 되어 상기 승강대(C)의 낙하를 정지시킨다. 이때, 빠른 속도로 하강되던 승강대(C)가 상기 보조와이어(110)에 의해 급정지됨에 따라, 도 3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낙하되던 승강대(C)의 하중에 의해 상기 완충장치(160)의 스프링(163)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승강대(C)에 구비된 물품나 보조와이어(110)를 통해 연결된 낙하방지장치(100) 및 지지프레임(A)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낙하방지장치(100)가 작동되면, 상기 스프링(163)이 압축되어 상기 승강바(162)가 브라켓(16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되므로, 상기 감지센서(210)가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따라 상기 경보기(230)가 작동되어 경보음을 출력하므로써, 관리자에게 상기 승강대(C)가 낙하되어 낙하방지장치(100)가 작동되었음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낙하방지 리프트는 윈치(B)가 고장나거나 와이어(10)가 끊어져 상기 승강대(C)가 낙하될 경우, 상기 낙하방지장치(100)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승강대(C)에 연결된 보조와이어(110)를 정지시키므로써, 승강대(C)의 낙하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승강대(C)가 낙하되어, 승강대(C)에 설치된 물품이 손상되거나, 낙하되는 물품에 의해 사람이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낙하방지장치(100)는 회전축(131)의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웨이트(151)가 상기 정지블록(153)에 결합되어 회전축(131)을 정지시키므로, 구성이 간단하며, 상기 회전축(131)을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 정지블록(153)과 웨이트(151)의 결합을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와이어(110)와 승강대(C)의 사이에 완충장치(160)가 구비되어, 낙하방지장치(100)를 이용하여 승강대(C)의 하강을 정지시킬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므로써, 충격에 의해 승강대(C)에 구비된 물품이나 낙하방지장치(100) 및 지지프레임(A)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낙하방지장치(100)에는 낙하방지장치(100)의 작동시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장치(200)가 구비되므로, 낙하방지장치(100)의 작동시 자동으로 낙하방지 리프트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경보를 울려 상기 윈치(B)나 와이어(10)에 문제점이 발생된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리자가 윈치(B) 또는 와이어(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을 모르고 윈치(B)를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구동수단(140)은 일단은 상기 하우징(120)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회전축(131)에 고정된 태엽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31)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윈치(B)를 이용하여 승강대(C)를 하강시킬 때는 구동수단(140)이 공회전되면서 보조와이어(110)가 풀려나가고, 윈치(B)로 승강대(C)를 상승시킬 때, 구동모터인 구동수단(140)이 자동되어 회전축(131) 및 권취드럼(130)을 회전시켜 보조와이어(110)를 감아돌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경보장치(200)의 감지센서(210)는 상기 완충장치(160)의 브라켓(161)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바(162)의 승강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상기 감지센서(210)를 상기 회전축(131)에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131)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므로써, 회전축(131)이 규정속도 이상으로 회전되거나, 상기 웨이트(151)의 선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질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낙하방지장치(100)의 하우징(120)은 필요에 따라 제거할거나, 상기 회전축(131)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으로 대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장치(160)는 별도의 승강바(162)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승강바(162)를 상기 와이어(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동기구(150)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힌지결합된 회동아암(154)과, 상기 회동아암(154)에 연결된 탄성부재(155)와, 상기 지지프레임(A)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회동아암(154)에 연결되어 회동아암(154)의 회동시 작동되어 상기 권취드럼(130)을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장치(15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10)는 하측에 연결된 승강대(C)의 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아암(154)은 선단부에 상기 와이어(10)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로울러(154a)가 구비되어, 선단부가 상기 와이어(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10)가 승강되더라도 마찰에 의해 회동아암(154)의 선단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55)는 양단이 상기 회동아암(154)과 지지프레임(A)에 각각 연결된 인장코일스프링으로써, 상기 밀착로울러(154a)가 상기 와이어(10)에 밀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상기 브레이크장치(156)는 상기 회전축(131)의 둘레면에 고정결합된 디스크(156a)와, 기단이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된 브라켓(20)에 힌지결합되어 선단부가 상기 디스크(156a)쪽으로 전후진되도록 회동되는 한쌍의 링크부재(156c)와, 상기 링크부재(156c)의 선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재(156c)의 회동시 상기 디스크(156a)와 결합되는 브레이크블록(156d)과, 상기 링크부재(156c)와 상기 회동아암(154)을 연결하는 연결로드(156f)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크(156a)의 둘레면과 브레이크블록(156d)의 상면에는 상호 맞물리는 걸림돌기(156b,156e)가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윈치(B)나 와이어(10)에 이상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와이어(10)가 팽팽하게 당겨지므로, 도 8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아암(154)의 밀착로울러(154a)가 상기 와이어(10)에 의해 후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브레이크블록(156d)은 도 9 및 도 10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56a)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권취드럼(130) 및 회전축(131a)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며, 상기 윈치(B)를 작동시켜 승강대(C)를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윈치(B)가 고장나거나 와이어(10)가 끊어져 승강대(C)가 낙하될 때는 상기 와이어(10)를 하측으로 잡아당기는 하중이 사라지게 되어 와이어(10)가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도 8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55)에 의해 회동아암(154)이 와이어(10)를 밀어내면서 밀착로울러(154a)가 전진되도록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아암(154)이 회동됨에 따라, 도 9 및 도 10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로드(156f)가 당겨져 상기 링크부재(156c)가 회동되며,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블록(156d)이 상기 디스크(156a)쪽으로 전진되어 상기 걸림돌기(156b,156e)가 상호 맞물리면서, 디스크(156a) 및 회전축(131)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므로, 상기 보조와이어(110)가 더 이상 풀려나가지 않게 되면 보조와이어(110)에 의해 상기 승강대(C)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제동기구(150)는 상기 윈치(B)가 고장나거나 와이어(10)가 끊어지면, 상기 회동아암(154)이 회동되면서 자동으로 상기 브레이크장치(156)가 작동되어 디스크(156a) 및 회전축(131)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므로, 회전축(131)의 회전에 의해 웨이트(151)가 벌어져 제동기구(150)가 작동되는 제1 실시예에 비해, 윈치(B)나 와이어(10)의 문제에 의해 승강대(C)가 낙하를 시작할 때부터 브레이크장치(156)가 작동될 때까지의 시간이 매우 짧아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천정면(1)에 설치된 지지프레임(A)과;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어 와이어(10)를 감아올리거나 풀어낼 수 있도록 된 윈치(B)와; 상기 와이어(10)의 하단에 연결된 승강대(C)를 포함하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C)에 연결된 보조와이어(110)와,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며 둘레면에 상기 보조와이어(110)가 권취되는 권취드럼(130)과, 상기 권취드럼(130)에 연결되어 권취드럼(13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40)과, 상기 권취드럼(13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대(C)가 낙하될 경우 상기 권취드럼(130)을 정지시키는 제동기구(150)가 구비된 낙하방지장치(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와이어(110)와 상기 승강대(C)의 사이에는 완충장치(1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기구(150)는 기단부가 상기 권취드럼(130)에 힌지결합된 웨이트(151)와, 상기 웨이트(151)에 연결되어 웨이트(151)의 선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52)와, 웨이트(151)의 외부에 구비된 정지블록(153)을 포함하며, 상기 웨이트(151)의 선단부와 정지블록(153)의 내주면에는 상호 맞물리는 걸림돌기(151a,153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리프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기구(150)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힌지결합된 회동아암(154)과, 상기 회동아암(154)에 연결되어 회동아암(154)의 선단부가 상기 와이어(1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155)와, 상기 지지프레임(A)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회동아암(154)에 연결되어 회동아암(154)의 회동시 작동되어 상기 권취드럼(130)을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장치(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리프트.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장치(100)에는 낙하방지장치(100)의 작동시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장치(2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 리프트.
KR2020080017168U 2008-12-26 2008-12-26 낙하방지 리프트 KR200445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168U KR200445840Y1 (ko) 2008-12-26 2008-12-26 낙하방지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168U KR200445840Y1 (ko) 2008-12-26 2008-12-26 낙하방지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840Y1 true KR200445840Y1 (ko) 2009-09-03

Family

ID=4365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168U KR200445840Y1 (ko) 2008-12-26 2008-12-26 낙하방지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84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761B1 (ko) 2010-11-26 2012-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윈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 본딩 장치
KR101770045B1 (ko) * 2015-12-31 2017-08-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승강기
CN109270776A (zh) * 2018-12-10 2019-01-25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播放历史内容增加趣味的可全面调节教学投影仪
KR102011798B1 (ko) * 2019-02-14 2019-08-23 (주)반도텍 브레이크부를 구비한 에어발란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4799A (ja) * 1990-10-29 1992-06-10 Aisin Seiki Co Ltd 負荷落下防止装置
KR20020063320A (ko) * 2001-01-27 2002-08-03 최진영 인양기의 추락방지장치
KR100403765B1 (ko) * 2001-05-23 2003-10-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하중물의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천정 크레인 권상장치
KR20070070819A (ko) * 2005-12-29 2007-07-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타워크레인의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4799A (ja) * 1990-10-29 1992-06-10 Aisin Seiki Co Ltd 負荷落下防止装置
KR20020063320A (ko) * 2001-01-27 2002-08-03 최진영 인양기의 추락방지장치
KR100403765B1 (ko) * 2001-05-23 2003-10-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하중물의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천정 크레인 권상장치
KR20070070819A (ko) * 2005-12-29 2007-07-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타워크레인의 승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761B1 (ko) 2010-11-26 2012-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윈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 본딩 장치
KR101770045B1 (ko) * 2015-12-31 2017-08-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승강기
CN109270776A (zh) * 2018-12-10 2019-01-25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播放历史内容增加趣味的可全面调节教学投影仪
KR102011798B1 (ko) * 2019-02-14 2019-08-23 (주)반도텍 브레이크부를 구비한 에어발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8835U (ja) タワークレーンの昇降安全装置
US8403302B2 (en) Elevated support system
US4660679A (en) Safety alarm tripod
KR200445840Y1 (ko) 낙하방지 리프트
CA1088580A (en) Fire door and operator therefor
US20090178887A1 (en) Retractable lifeline safety device
US11420849B2 (en) Traction machine and lifting equipment
JP2017197388A (ja) エンドレス・ケーブル・ウインチ
CN114940444A (zh) 海上平台吊机和海上平台
KR101815311B1 (ko) 지능형 승강 장치
KR102079986B1 (ko) 활차의 부하물 추락방지장치
JP2016202048A (ja) 施設ハウス用の高設栽培装置
CN208747524U (zh) 一种晾衣机钢丝绳安全保护结构
KR102414189B1 (ko) 소방호스 배수장치
KR100941326B1 (ko) 무대용 바튼 과속낙하방지장치
KR101517568B1 (ko) 무대설비
KR101578371B1 (ko) 무대장치용 구동부의 비상제동장치
US20150231427A1 (en) Fire or Smoke Barrier
JP6704285B2 (ja) ブラインド
KR101897154B1 (ko) 로프형 승강장치
JP3040310U (ja) 昇降装置用落下防止機構
CN219836050U (zh) 绳盘缓降装置及逃生缓降设备
US6325184B1 (en) Gravity brake
CA2440801A1 (en) Braking mechanism for a raisable platform assembly
KR200345427Y1 (ko) 곤돌라 과부하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