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267B1 -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267B1
KR100978267B1 KR1020030018904A KR20030018904A KR100978267B1 KR 100978267 B1 KR100978267 B1 KR 100978267B1 KR 1020030018904 A KR1020030018904 A KR 1020030018904A KR 20030018904 A KR20030018904 A KR 20030018904A KR 100978267 B1 KR100978267 B1 KR 100978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calculated
load response
calculating
time const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4085A (ko
Inventor
박강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8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2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8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26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응답지연이 긴 1차 시스템의 자동동조에 적당하도록 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수 있도록 한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1차 시간지연에 적합한 특성계수를 산출하기 위한 PID제어기에 있어서, 단위계단입력을 인가하여 부하 응답이 설정값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부하 응답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단위계단입력을 제거하고 그 부하 응답이 상승후 하강하는 시점에서 상기 단위계단입력을 재인가하여 부하 응답이 재상승개시하는 구간까지를 응답지연시간으로 산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부하 응답을 1차 근사화시켜 얻은 접선이 부하 응답의 초기값과 만나는 시점부터 설정값의 0.63에 도달하는 구간까지를 시정수로 산출하고, 그 산출된 시정수와 단위계단입력을 연산하여 정적 이득을 산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산출된 응답지연시간, 시정수, 정적 이득을 지글러&니콜스 법칙에 대입하여 P, I, D이득을 산출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PID AUTO SYNCHRONIZATION METHOD FOR USING REACTION CURVE}
도 1은 종래 PID 자동동조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종래 반응곡선법의 부하응답곡선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일반적인 지글러&니콜스 법칙을 보인도.
도 4는 본 발명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 PID자동동조의 부하응답곡선을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PLC 2: D/A 컨버터
3: 엑추에이터 4: 부하
5: 센서 6: 스케일링부
7: A/D 컨버터
본 발명은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응답지연이 긴 1차 시스템의 자동동조에 적당하도록 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수 있도록 한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ID의 자동동조(Auto tuning)는 부하모델의 전달함수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의 PID제어기 구성을 위해 사용되는 무모델 조정기법이다.
산업용 프로세스 제어시 주로 사용되는 PID제어기의 최적제어를 위해서는 P, I, D의 이득값을 적절하게 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부하시스템의 개로 또는 폐로 응답으로부터 부하모델의 특성변수를 추출하여 지글러&니콜스 동조식을 이용하여 이득을 결정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며 이를 자동동조라 한다.
이와 같은 자동동조에 관한 종래 기술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PID 자동동조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하의 응답에 따른 최적의 P, I, D의 이득을 출력할 수 있는 동조제어신호를 출력하여 P, I, D의 이득을 연산하는 PLC(1)와; 상기 PLC(1)의 출력 동조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단위계단입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컨버터(2)와; 상기 아날로그 단위계단입력에 의해 움직임을 갖는 엑추에이터(3)와; 상기 엑추에이터(3)에 따른 부하(4) 응답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5)와; 상기 감지된 부하(4) 응답을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링부(6)와; 상기 스케일링부(6)의 출력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기(1)로 출력하는 A/D 컨버터(7)로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PLC(1)는 응답지연시간이 긴 1차 시스템의 자동동조에 최적의 P, I, D의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동조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동조제어신호는 디지털신호로서, D/A 컨버터(2)를 통해 아날로그 단위계단입력으로 변환되어 엑추에이터(3)로 지속적으로 입력됨으로써, 부하(4)를 움직이게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때의 부하(4) 응답특성을 센서(5)를 통해 감지하고, 그 센서(5)의 감지된 결과는 스케일링에 의해 수치적인 값을 갖게 되며 A/D 컨버터(7)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되어 PLC(1)로 피드백되어 소정연산후, 최적의 P, I, D의 이득을 계산한다.
이를 위해, 반응곡선법을 이용하여 일정한 단위계단입력을 지속적으로 인가하고 이에 대한 부하 반응 곡선으로부터 특성 계수(θ, τ, k)를 얻어낸다.
도 2는 종래 반응곡선법의 부하응답곡선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P, I, D의 이득을 얻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PLC(1)를 통해 단위계단입력을 인가한 시점부터 그 입력에 의해 출력이 발생되는 시점까지의 응답 지연시간(θ)를 얻고, 부하응답곡선이 초기값과 설정값(Set Value)의 63%인 지점을 잇는 부하응답곡선의 접선(Tangent Line)을 이용하여 초기값과 그 접선이 만나는 시점부터 부하가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정상상태값(Y0)과 만나는 지점까지를 시정수(τ)로 얻으며, 정상 상태값(Y0)에 단위계단입력(U0)을 나누어 정적 이득(k)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얻어진 응답 지연시간(θ), 시정수(τ)를 도 3의 지글러&니콜스 법칙에 적용하여 P, I, D의 이득을 얻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반응곡선법은 시스템의 응답이 지나치게 민감하여 작은 양의 단위계단입력에 대해 응답이 급변하여 시스템의 위험 상황을 초래할 수 도 있다.
이런 경우 시스템의 특성을 감안한 적절한 단위입력의 크기를 결정하기가 어렵고 경험적 지식에 의존하는 수 밖에 없다.
또한, 종래의 반응 곡선법은 초기상태에서 단위계단입력을 인가한후 시스템의 응답이 변화되는 곡선을 통해서 특성계수를 산출하므로 자동동조가 시작되기 전에 시스템의 현재값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현재값이 하강 혹은 상승중일때 반응곡선법을 적용하면 정확하지 않은 특성계수를 얻게 되고 이는 PID제어기의 제어성능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시스템의 응답이 인가된 단위계단응답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넘지 않도록 하면서 특성계수를 얻어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초기에 단위계단응답을 인가하여 부하응답을 관찰하면서 부하응답이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설정값(Set Value)에 도달하면 단위계단입력을 인가하지 않음으로써, 부하응답의 상한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하였고, 또한, 특성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초기상태에서 응답변화까지의 시간을 이용하지 않고 부하응답의 최대값을 이용하므로 부하응답의 초기상태와 무관하게 정확한 P, I, D 이득을 산출해낼 수 있으므로 PID제어기의 안정된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1차 시간지연에 적합한 특성계수를 산출하기 위한 PID제어기에 있어서, 단위계단입력을 인가하여 부하 응답이 설정값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부하 응답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단위계단입력을 제거하고 그 부하 응답이 상승후 하강하는 시점에서 상기 단위계단입력을 재인가하여 부하 응답이 재상승개시하는 구간까지를 응답지연시간으로 산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부하 응답을 1차 근사화시켜 얻은 접선이 부하 응답의 초기값과 만나는 시점부터 설정값의 0.63에 도달하는 구간까지를 시정수로 산출하고, 그 산출된 시정수와 단위계단입력을 연산하여 정적 이득을 산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산출된 응답지연시간, 시정수, 정적 이득을 지글러&니콜스 법칙에 대입하여 P, I, D이득을 산출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시간지연에 적합한 특성계수를 산출하기 위한 PID제어기에 있어서, 단위계단입력을 인가하여 부하 응답이 설정값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부하 응답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단위계단입력을 제거하고 그 부하 응답이 상승후 하강하는 시점에서 상기 단위계단입력을 재인가하여 부하 응답이 재상승개시하는 구간까지를 응답지연시간으로 산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부하 응답을 1차 근사화시켜 얻은 접선이 부하 응답의 초기값과 만나는 시점부터 설정값의 0.63에 도달하는 구간까지를 시정수로 산출하고, 그 산출된 시정수와 단 위계단입력을 연산하여 정적 이득을 산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산출된 응답지연시간, 시정수, 정적 이득을 지글러&니콜스 법칙에 대입하여 P, I, D이득을 산출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장치는 종래의 H/W적인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부하응답의 민감도 및 초기값의 상태에 무관하게 안정적인 자동동조가 가능한 개선된 반응 곡선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PID자동동조의 부하응답곡선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반응 곡선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초기에 단위계단입력(U0)을 인가하여 부하응답을 피드백받다가 A지점에서 설정값(Set Value)에 도달하면 PLC(1)의 출력 제어신호를 0으로 변화시켜 엑추에이터(3)에 단위계단입력(U0)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부하응답의 최대값이 되는 B지점까지가 이전의 단위계단입력(U0)에 대한 부하응답이 되는데, B지점이후 응답곡선이 하강을 시작하면 PLC(1)는 다시 단위계단입력(U0)을 엑추에이터(3)에 인가한 후 부하응답이 다시 상승하기 시작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이 시간을 부하가 새로운 단위계단입력(U0)에 대해 응답하기 시작하는 시간, 즉 응답 지연시간(θ)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PLC(1)는 응답 지연시간(θ)을 측정한 후 부하 응답의 상승을 막기 위해 다시 PLC(1) 출력을 0으로 변화시켜 엑추에이터(3)에 단위계 단입력(U0)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시정수(τ)는 전기적 정의에 의해서 도 5의 C지점(부하 응답이 Set Value의 63%인 C지점)을 잇는 직선인 접선(Tangent Line)을 근사화하여 이 직선이 초기값과 만나는 시점으로부터 C지점까지를 시정수(τ)로 산출한다.
또한, 정적 이득(k)은 이렇게 산출된 시정수(τ)와 단위계단입력(U0) 및 접선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03010654519-pat00001
여기서, a는 접선의 기울기, U0는 단위계단입력, τ는 시정수를 나타낸다.
그래서, PLC(1)는 상술한 바에 의해 얻어진 특성계수(θ, τ, k)를 도 3의 지글러&니콜스 법칙에 대입하여 산출된 P, I, D 이득을 이용함으로써, 1차 시간지연 시스템에 적합한 반응곡선법의 PID 자동동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반응곡선법을 이용한 PID자동동조 방법은 사용자가 지정한 설정값에 이르면 단위계단입력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부하 응답을 사용자가 원하는 값 부근에서 제한하면서 자동동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설정값에 이른 이후의 단위계단입력의 변화형태를 통해서 응답 지연시간을 산출하므로 초기치의 상태에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기에 단위계단응답을 인가하 여 부하응답을 관찰하면서 부하응답이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설정값(Set Value)에 도달하면 단위계단입력을 인가하지 않음으로써, 부하응답의 상한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하였고, 또한, 특성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초기상태에서 응답변화까지의 시간을 이용하지 않고 부하응답의 최대값을 이용하므로 부하응답의 초기상태와 무관하게 정확한 P, I, D 이득을 산출해낼 수 있으므로 PID제어기의 안정된 성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차 시간지연에 적합한 특성계수를 산출하기 위한 PID제어기에 있어서,
단위계단입력을 인가하여 부하 응답이 설정값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부하 응답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단위계단입력을 제거하고 그 부하 응답이 상승후 하강하는 시점에서 상기 단위계단입력을 재인가하여 부하 응답이 재상승개시하는 구간까지를 응답지연시간으로 산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부하 응답을 1차 근사화시켜 얻은 접선이 부하 응답의 초기값과 만나는 시점부터 설정값의 0.63에 도달하는 구간까지를 시정수로 산출하고, 그 산출된 시정수와 단위계단입력을 연산하여 정적 이득을 산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산출된 응답지연시간, 시정수, 정적 이득을 지글러&니콜스 법칙에 대입하여 P, I, D이득을 산출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적 이득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0018118273-pat00002
여기서, a는 접선의 기울기, U0는 단위계단입력, τ는 시정수를 나타낸다.
KR1020030018904A 2003-03-26 2003-03-26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78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904A KR100978267B1 (ko) 2003-03-26 2003-03-26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904A KR100978267B1 (ko) 2003-03-26 2003-03-26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085A KR20040084085A (ko) 2004-10-06
KR100978267B1 true KR100978267B1 (ko) 2010-08-26

Family

ID=3736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90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8267B1 (ko) 2003-03-26 2003-03-26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2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5702A (ja) * 1992-03-19 1994-04-08 Hitachi Ltd オートチューニングpidコントローラ
KR970005554B1 (ko) * 1994-10-11 1997-04-17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퍼지추론을 이용한 피아이디(pid) 이득의 자기 동조 방법
KR100210657B1 (ko) 1996-08-31 1999-07-15 권욱현 Gpc를 이용한 이산형 2자유도 pid 제어기의 자동동조 방법
JP2001290507A (ja) 2000-04-06 2001-10-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ントシステムおよびそのpid制御係数演算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5702A (ja) * 1992-03-19 1994-04-08 Hitachi Ltd オートチューニングpidコントローラ
KR970005554B1 (ko) * 1994-10-11 1997-04-17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퍼지추론을 이용한 피아이디(pid) 이득의 자기 동조 방법
KR100210657B1 (ko) 1996-08-31 1999-07-15 권욱현 Gpc를 이용한 이산형 2자유도 pid 제어기의 자동동조 방법
JP2001290507A (ja) 2000-04-06 2001-10-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ントシステムおよびそのpid制御係数演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085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279B1 (ko) 디지탈 제어시스템 및 그에 의한 pid 연산수행방법
EP1321836A1 (en) Controller, temperature controller and heat processor using same
CN100433070C (zh) 目标值加工装置、温度调节器、控制过程执行系统和方法
US6711531B1 (en) Temperature control simulation method and apparatus
EP0482900A2 (en) Adaptive controller in a process control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KR100978267B1 (ko) 반응 곡선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
RU2211470C2 (ru) Адаптивная цифрова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нестационарным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ми объектами
US20070185593A1 (en) Control device
CN114859992A (zh) 一种温度控制方法及相关装置
US20160274567A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CN111025896A (zh) 控制装置
KR20060006315A (ko) 곡선 적합법을 이용한 pid 자동동조 방법
JP2634594B2 (ja) 調節計
JPS6148164B2 (ko)
KR100218357B1 (ko) 온도조절장치
JP2001022405A (ja) 制御装置
JP2012160144A (ja) データ収集装置およびデータ収集方法
JPH10220618A (ja) バルブポジショナ
JP3473347B2 (ja) 制御装置
JP3021243B2 (ja) 自動制御装置
JP3791289B2 (ja) 比例動作調節計
KR20070002856A (ko) 2중 계단응답을 이용한 피드백 피드 포워드 제어기의 자동동조 방법
KR0123713B1 (ko) 퍼지 추론을 이용한 비례 미분 적분 제어 장치 및 방법
JPS57176405A (en) Process controlling method
JPS61226803A (ja) プロセス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2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3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