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820B1 -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820B1
KR100977820B1 KR1020057013427A KR20057013427A KR100977820B1 KR 100977820 B1 KR100977820 B1 KR 100977820B1 KR 1020057013427 A KR1020057013427 A KR 1020057013427A KR 20057013427 A KR20057013427 A KR 20057013427A KR 100977820 B1 KR100977820 B1 KR 100977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outermost
flow passage
opening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4453A (ko
Inventor
츠네오 이마타니
마고토 에토
가즈노부 와타나베
호타카 후카보리
이쿠오 고마츠
Original Assignee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4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7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19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4Extrusion nozzles or die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together components, e.g. melts within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35Multiple annular extrusion nozzles in coaxial arrangement, e.g. for making multi-layered tubular articles
    • B29C48/336Multiple annular extrusion nozzles in coaxial arrangement, e.g. for making multi-layered tubular articles the components merging one by one down streams in the die
    • B29C48/3366Multiple annular extrusion nozzles in coaxial arrangement, e.g. for making multi-layered tubular articles the components merging one by one down streams in the die using a die with concentric parts, e.g. rings,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75Plasticisers, homogenisers or feeders comprising two or more stages
    • B29C48/387Plasticisers, homogenisers or feeders comprising two or more stages using a screw extruder and a gear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49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two or more extruders to feed one die or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는 외측 배출구를 갖는 외측 유로와, 외측 유로 중으로 열려있는 내측 배출구를 갖는 내측 유로와, 외측 유로를 통해 외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과, 내측 유로를 통해 내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내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을 구비한다. 내측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 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개폐 수단에 의한 내측 배출구의 개폐에 따라서 외측 유로에 간헐적으로 외측 합성 수지를 공급한다.

Description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COMPOSITE SYNTHETIC RESIN MATERIAL}
본 발명은 외측 합성 수지층과 이 외측 합성 수지층에 감싸인 적어도 1층의 내측 합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를 형성하기 위한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공 성형을 가하여 음료용 용기로 성형되는 전성형체(일반적으로 프리폼이라 불리고 있음) 혹은 용기 덮개를 형성하기 위한 합성 수지 소재로서, 당업자에게는 주지된 바와 같이, 외측 합성 수지층과 이 외측 합성 수지층에 감싸인 적어도 1층의 내측 합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가 사용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통상, 외측 합성 수지로서는 기계적 특성 및 위생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가 선정되고, 내측 합성 수지로서는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가 선정된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95016호 공보에는, 최외측 배출구를 갖는 최외측 유로와, 최외측 유로 중으로 열려있는 외측 배출구를 갖는 외측 유로와, 외측 유로 중으로 열려있는 내측 배출구를 갖는 내측 유로와, 최외측 유로를 통해서 최외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최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과, 외측 유로를 통해서 외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기 위한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과, 내측 유로를 통해서 내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내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내측 배출구에는 이것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 수단이 부설되어 있고, 개폐 수단에 의한 내측 배출구의 개폐에 따라서, 내측 유로에서 외측 유로를 통해 최외측 유로로 내측 합성 수지가 간헐적으로 유입되며, 이러한 내측 합성 수지가 최외측 유로로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최외측 합성 수지 및 외측 유로를 통해 최외측 유로로 유입되는 외측 합성 수지(외측 합성 수지와 최외측 합성 수지는 동일한 합성 수지여도 됨)에 감싸이고, 이리하여 복합 합성 수지 소재가 최외측 배출구로부터 유출된다.
일본 특허 공개 평6-15715호 공보에도, 최외측 배출구를 갖는 최외측 유로와, 최외측 유로 중으로 열려있는 외측 배출구를 갖는 외측 유로와, 외측 유로 중로 열려있는 내측 배출구를 갖는 내측 유로와, 최외측 유로를 통해서 최외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최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과, 외측 유로를 통해서 외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기 위한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과, 내측 유로를 통해서 내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내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최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연속적으로 작동되어 최외측 유로에 직접적으로 최외측 합성 수지를 연속적으로 유입시킨다. 내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간헐적으로 작동되어 외측 유로를 통해 최외측 유로에 내측 합성 수지를 간헐적으로 유입시킨다.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내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의 간헐적 작동에 소요 시간 지연하여 간헐적으로 작동되어 외측 유로에 외측 합성 수지(외측 합성 수지와 최외측 합성 수지와 동일한 합성 수지여도 됨)를 간헐적으로 유입시킨다.
그렇게 하여,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1-19501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해결하여야 할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비교적 고속으로 복합 합성 수지 소재를 최외측 배출구로부터 유출시키는 경우, 최외측 합성 수지 및 외측 합성 수지에 감싸여 있는 내측 합성 수지가 유동 방향으로 비교적 길게 영향이 남으며, 따라서 내측 합성 수지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유동 방향 길이가 현저히 줄어든다. 그 때문에, 최외측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복합 합성 수지를 유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하여 복합 합성 수지를 복합 합성 수지 형성 장치로부터 분리할 때에, 복합 합성 수지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현저히 한정된 영역에 있어서 복합 합성 수지를 절단할 필요가 있다. 절단에 있어서의 약간의 오차에 기인하여, 절단면에 내측 합성 수지가 노출된 불량 복합 합성 수지 소재가 형성될 우려가 적지 않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6-1571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내측 합성 수지의 간헐적 유입에 소정 시간 지연되어 외측 합성 수지를 간헐적으로 유입시켜 내측 합성 수지를 유동 방향 상류측에서 가압시킴으로써, 내측 합성 수지의 유동 방향 길이를 단축하며, 이리하여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1-19501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6-1571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도 아직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특히 복합 합성 수지의 유동을 상당히 고속으로 한 경우, 내측 배출구에 개폐 수단이 부설되어 있지 않는 점 등에 기인하여, 내측 합성 수지의 영향이 남는 현상이 충분히 억제되지 않아, 비교적 가는 수지의 영향이 잔존하는 현상이 생성되는 경향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복합 합성 수지의 배출 속도를 충분히 고속화하더라도, 외측 합성 수지(혹은 외측 합성 수지 및 최외측 합성 수지)에 감싸인 내측 합성 수지의 유동 방향 길이를 충분히 짧게 할 수 있는, 신규이며 또한 개량된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한 결과, 외측 배출구를 갖는 외측 유로를 통해서 외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동시에 외측 유로 중으로 열려있는 내측 배출구를 갖는 내측 유로를 통해서 내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양식에 있어서, 내측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내측 배출구의 개폐에 따라서 외측 유로에 외측 합성 수지를 간헐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주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따르면, 상기 주된 목적을 달성하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방법으로서, 외측 배출구를 갖는 외측 유로를 통해서 외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외측 유로 중으로 열려있는 내측 배출구를 갖는 내측 배출로를 통해서 내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고, 상기 내측 배출구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외측 합성 수지를 상기 외측 유로에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
더욱이, 최외측 배출구를 갖는 최외측 유로를 통해서 최외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배출구는 상기 최외측 유로 중으로 열려있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따르면, 상기 주된 목적을 달성하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로서, 외측 배출구를 갖는 외측 유로와, 상기 외측 유로 중으로 열려있는 내측 배출구를 갖는 내측 유로와, 상기 외측 유로를 통해서 외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과, 상기 내측 유로를 통해서 내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내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상기 개폐 수단에 의한 상기 내측 배출구의 개폐에 따라서 간헐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외측 유로에 간헐적으로 외측 합성 수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상기 개폐 수단이 상기 내측 배출구를 폐쇄하면서 동시에 혹은 그 전에 상기 외측 합성 수지의 공급을 시작하고, 상기 개폐 수단이 상기 내측 배출구를 개방하면서 동시에 혹은 그 전에 상기 외측 합성 수지의 공급을 정지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내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최외측 배출구를 갖는 최외측 유로와, 상기 최외측 유로를 통해서 최외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최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외측 배출구는 상기 최외측 유로 중으로 열려있다. 상기 최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압출기, 및 상기 압출기의 하류에 접속되고 또 간헐적으로 작동되는 기어 펌프로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압출기, 2개의 플런저 수단, 및 상기 플런저 수단의 한 쪽을 상기 압출기에 연통하고 상기 플런저 수단의 다른 쪽을 상기 외측 유로에 연통하는 제1 상태와, 상기 플런저 수단의 상기 한 쪽을 상기 외측 유로에 연통하고 상기 플런저 수단의 상기 다른 쪽을 상기 압출기에 연통하는 제2 상태로 교대로 설정되는 전환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압출기, 및 상기 압출기를 상기 외측 유로에 간헐적으로 연통시키는 간헐적 연통 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형성되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는 예컨대 후에 블로우 성형되어 용기로 성형되는 전성형체(통상 프리폼이라 불리고 있음)로 압축 성형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에 있어서, 최외측 유로 중의 최외측 합성 수지의 압력, 외측 유로 중의 외측 합성 수지의 압력 및 내측 유로 중의 내측 합성 수지의 압력의 변동을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에 있어서, 여러 시점에 있어서의 최외측 유로, 외측 유로 및 내측 유로 내에 있어서의 최외측 합성 수지, 외측 합성 수지 및 내측 합성 수지의 상태를 도시하는 분단면도이다.
도 4(i) 및 4(ii)는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간략도이다.
도 5는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의 더욱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간략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방법 및 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의 주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선단부만을 도시하고 있는 노즐 수단(2)을 구비하고 있다. 적절한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는 복수개의 부재를 조합시켜 구성할 수 있는 노즐 수단(2)에는 최외측 유로(4), 외측 유로(6) 및 내측 유로(8)가 형성되어 있다. 최외측 유로(4)는 횡단면 형상이 링형인 도입부(4a)와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배출부(4b)를 포함하고 있다. 도입부(4a)의 하류부는 하류로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안쪽으로 경사져 뻗어 있고, 도입부(4a)의 하류단은 배출부(4b)의 상류단 주연부에 접속되어 있다. 배출부(4b)의 하류단에는 최외측 배출구(4c)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유로(6)도, 횡단면 형상이 링형인 도입부(6a)와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배출부(6b)를 포함하고 있다. 도입부(6a)의 하류부는 하류로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안쪽으로 경사져 뻗어 있고, 도입부(6a)의 하류단은 배출부(6b)의 상류단 주연부에 접속되어 있다. 배출부(6b)는 비교적 짧고, 그 하류단에는 외측 배출구(6c)가 형성 되어 있으며, 이러한 외측 배출구(6c)는 상기 최외측 유로(4)의 배출부(4b)에 있어서의 상류단 중앙부로 열려있다. 내측 유로(8)도 횡단면 형상이 링형인 도입부(8a)와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배출부(8b)를 포함하고 있다. 도입부(8a)의 하류부는 하류로 향하여 반경 방향 안쪽으로 경사져 뻗어 있고, 도입부(8a)의 하류단은 배출부(8b)에 접속되어 있다. 배출부(8b)는 비교적 짧고, 그 하류단에는 내측 배출구(8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출구(8c)는 상기 외측 유로(6)의 배출부(6b)에 있어서의 상류단으로 열려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최외측 유로(4)의 상류단은 적절한 연통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최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10)에 접속되어 있다. 최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10)은 압출기(12)와 그 하류에 접속된 기어 펌프(14)를 포함하고 있으며, 압출기(12)로부터 압출된 용융 상태의 최외측 합성 수지(A)(도 3)가 기어 펌프(14)를 통해 최외측 유로(4)에 공급된다. 외측 유로(6)의 상류단은 적절한 연통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16)에 접속되어 있다.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16)은 압출기(18)와 그 하류에 접속된 기어 펌프(20)를 포함하고 있고, 압출기(18)로부터 압출된 용융 상태의 외측 합성 수지(B)(도 3)가 기어 펌프(20)를 통해 외측 유로(6)에 공급된다. 최외측 합성 수지(A)와 외측 합성 수지(B)는 동일한 것이라도 좋고,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안성맞춤이다. 내측 유로(8)의 상류단은 내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22)에 접속되어 있다. 내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22)은 압출기(24)와 그 하류에 접속된 기어 펌프(26)를 포함하고 있고, 압출기(24)로부터 압출된 용융 상태의 내측 합 성 수지(C)(도 3)가 기어 펌프(26)를 통해 내측 유로(8)에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 유로(8)의 하류단에 배치되어 있는 내측 배출구(8c)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 수단(28)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폐 수단(28)은 로드(30) 및 작동 수단(32)을 포함하고 있다. 로드(30)는 상기 내측 유로(8)의 배출부(8b)의 내경과 실질상 동일한 외경을 지니고, 그 선단부는 원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캠 기구 혹은 유체압 실린더 기구로 구성할 수 있는 작동 수단(32)은 로드(28)를 실선으로 나타내는 개방 위치와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폐쇄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킨다. 로드(28)가 개방 위치에 위치되면, 내측 유로(8)의 하류단에 배치되어 있는 내측 배출구(8c)가 열리어, 내측 유로(8)가 외측 유로(6)에 연통되게 된다. 로드(28)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면, 내측 유로(8)의 하류단에 배치되어 있는 내측 배출구(8c)가 닫히어, 내측 유로(8)가 외측 유로(6)로부터 차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 최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10)은 적합하게는 연속적으로 작동되어(압출기(10)가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동시에 기어 펌프(14)도 연속적으로 작동됨) 최외측 유로(4)에 최외측 합성 수지(A)를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원한다면, 최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10)을 간헐적으로 작동시키는(압출기(10)는 연속적으로 작동되지만 기어 펌프(14)는 간헐적으로 작동됨) 것도 가능하다. 내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22)도 연속적으로 작동하게 되는(압출기(24)가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동시에 기어 펌프(26)도 연속적으로 작동됨) 것이 안성맞춤인데, 내측 유로(8)에 부설되어 있는 개폐 수단(28)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에 교대 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 중요하다. 개폐 수단(28)이 개방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내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22)으로부터 내측 유로(8)에 공급된 내측 합성 수지(C)는 외측 유로(6)의 배출부(6b)를 통해 최외측 유로(4)의 배출로(4b)로 유입된다. 개폐 수단(28)이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내측 유로(8)의 내측 배출구(8c)가 폐쇄되고, 따라서 내측 합성 수지(C)가 외측 유로(6)의 배출부(6b)로 유입되는 일은 없다. 한편,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16)은 내측 유로(8)에 부설되어 있는 개폐 수단(28)의 개폐에 따라서 간헐적으로 작동하게 되는(압출기(18)는 연속적으로 작동되지만 기어 펌프(26)는 간헐적으로 작동됨)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개폐 수단(28)이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내측 배출구(8c)를 폐쇄하면서 동시에 혹은 그 전에 작동 시작되고, 개폐 수단(28)이 개방 위치에 위치되어 내측 배출구(8c)가 열리면서 동시에 혹은 그 전에 작동 정지된다. 개폐 수단(28)이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내측 배출구(8c)를 닫고 있는 시간 간격은 개폐 수단(28)이 개방 위치에 위치되어 내측 배출구(8c)가 열려 있는 시간 간격의 1 내지 4배 정도인 것이 안성맞춤이다.
최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10) 및/또는 내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22)은 연속적으로 작동되어 합성 수지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경우, 원한다면 기어 펌프(14 및/또는 26)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합성 수지의 유동을 균일하고 또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기어 펌프(14 및/또는 26)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적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외측 유로(4)에 있 어서의 최외측 합성 수지(A)의 압력, 외측 유로(6)에 있어서의 외측 합성 수지(B)의 압력 및 내측 유로(8)에 있어서의 내측 합성 수지(C)의 압력의 변동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i) 내지 (vi)는 여러 시점에 있어서의 최외측 유로(4), 외측 유로(6) 및 내측 유로(8) 내에 있어서의 최외측 합성 수지(A), 외측 합성 수지(B) 및 내측 합성 수지(C)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과 함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있어서의 시점 0.0T에서 개폐 수단(28)이 개방 위치로 되어, 내측 배출구(8c)가 열린다. 이 시점에 있어서,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16)은 작동 정지되고 있다. 개폐 수단(28)이 개방 위치로 되어 내측 배출구(8c)가 열리면, 도 3의 (i) 및 (ii)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합성 수지(C)가 내측 유로(8)로부터 외측 유로(6)의 배출부(8b)를 통해 최외측 유로(4)의 배출부(4b) 내로 유입된다. 최외측 유로(4)의 배출부(4b)의 중앙부에는 외측 유로(6)로부터 유입된 외측 합성 수지(B)가 존재하고 있으며, 최외측 유로(4)의 배출부(4b)의 주연부에는 최외측 합성 수지(A)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내측 합성 수지(C)는 외측 합성 수지(B) 내로 유입된다.
도 2의 시점 0.25T에 있어서는, 도 3(iii)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수단(28)이 폐쇄 위치로 되어 내측 배출구(8c)가 닫힌다. 따라서, 내측 유로(8)로부터 외측 유로(6) 및 최외측 유로(4)로의 내측 합성 수지(C)의 유입이 정지된다. 한편,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16)은 시점 0.25T보다도 약간 전에(혹은 시점 0.25T에) 작동 시작되어, 시점 0.75T에서 작동 정지된다. 따라서,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16)의 작동 시작에서부터 작동 정지까지의 동안에, 외측 유로(6) 내의 외측 합성 수지(B)의 압력은 점차 증대되고, 이어서 점차 감소한다.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16)이 작동되고 있는 동안에는, 도 3(iv), (v) 및 (vi)을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외측 합성 수지(B)가 외측 유로(6)로부터 최외측 유로(4)의 배출부(4b)로 유입하여, 먼저 외측 합성 수지(B) 중에 유입된 내측 합성 수지(C)의 상류측에 작용하여, 내측 합성 수지(C)의 유동 방향 길이를 단축하면서 내측 합성 수지(C)를 점차 하류로 유동시킨다. 이리하여, 최외측 유로(4)의 배출부(4b)에 있어서 내측 합성 수지(C)는 먼저 유입된 외측 합성 수지(B)와 시간 간격을 두고 이어서 유입된 외측 합성 수지(B)와의 사이에 위치되고, 앞서 유입된 내측 합성 수지(C)와 시간 간격을 두고 이어서 유입된 내측 합성 수지(C)와의 사이에는 상당한 길이에 걸쳐 외측 합성 수지(B)가 존재하는 상태가 달성된다.
개폐 수단(28)이 폐쇄 위치로 되어 있는 동안에도 내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22)은 작동되고 있으므로, 개폐 수단(28)이 폐쇄 위치로 되고 나서 다시 개방 위치로 될 때까지의 동안에, 내측 유로(8) 내의 내측 합성 수지(C)의 압력은 점차 증대하게 된다. 그리고, 시점 T에 있어서 개폐 부재(28)가 개방 위치로 되면, 다시 내측 합성 수지(C)가 내측 유로(8)로부터 외측 유로(6)의 배출부(8b)를 통해 최외측 유로(4)의 배출부(4b) 내로 유입되고, 내측 유로(8) 내의 내측 합성 수지(C)의 압력은 점차 저감되게 된다. 최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10)은 연속적으로 작동되고 있으므로, 최외측 유로(4) 내의 최외측 합성 수지(A)의 압력은 실질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최외측 유로(4)의 최외측 배출구(4c)로부터 유출되는, 최외측 합성 수지(A), 외측 합성 수지(B) 및 내측 합성 수지(C)로 이루어지는 복합 합성 수지는, 2개의 내측 합성 수지(C) 사이에서 절단되어 복합 합성 수지 소재(D)(도 3(vi))가 형성된다. 복합 합성 수지의 절단은, 예컨대 최외측 배출구(4c)를 가로질러 이동하게 되는 절단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할 수 있다. 도 3(vi)로부터 명확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형성된 복합 합성 수지 소재(D)에서는, 내측 합성 수지(C)가 외측 합성 수지(B) 및 최외측 합성 수지(A)에 의해서 완전히 감싸이고 있다. 아울러, 내측 합성 수지(C)는 그 상류측이 외측 합성 수지(B)의 작용을 받아 얼마쯤 오목형으로 되는 경향이 있어, 압축 성형하여 전성형체로 성형하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시한 적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측 유로(8) 및 외측 유로(6)에 더하여 최외측 유로(4)도 배치하고 있지만, 원한다면 최외측 유로(4) 및 이것에 관련시켜 배치되어 있는 최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10)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내측 합성 수지(C)가 외측 합성 수지(B)에 확실하게 감싸이도록 하기 위해서, 외측 유로(6)의 배출부를 비교적 작은 직경의 상류부(도 1에 있어서의 외측 유로(6)의 배출부(6b)에 대응)에 더하여 비교적 큰 직경의 하류부(도 1에 있어서의 최외측 유로(4)의 배출부(4b)에 대응)를 갖는 형태로 하는 것이 안성맞춤이다. 또한,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측 합성 수지(C)가 외측 합성 수지(B) 및 최외측 합성 수지(A)(외측 합성 수지(B)와 최외측 합성 수지(A)는 동일하여도 좋음)에 의해서 감싸인 2층 구성의 복합 합성 수지 소재를 형성하고 있지만, 원한다면, 내측 합성 수지(C) 자체가 다른 1층 내지 복수층의 합성 수지를 감싼 3층 이상의 복합 합 성 수지 소재의 형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내측 합성 수지(C)의 유동과 이것에 감싸이는 다른 합성 수지의 유동과의 관계를,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외측 합성 수지(B)(및 최외측 합성 수지(A))의 유동과 내측 합성 수지(C)의 유동과의 관계와 실질상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4(i) 및 (ii)는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116)은 압출기(118), 2개의 플런저 수단(119a 및 119b) 및 전환 수단(121)으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연통로를 갖는 밸브로 구성할 수 있는 전환 수단(121)은 도 4(i)에 도시하는 제1 상태와 도 4(ii)에 도시하는 제2 상태로 교대로 설정된다. 전환 수단(121)이 도 4(i)에 도시하는 제1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플런저(119a)는 압출기(118)에 연통되어, 압출기(118)로부터 압출되는 합성 수지가 플런저(119a) 내에 축적된다. 플런저(119b)는 외측 유로(6)(도 1)에 연통되어 있고, 소요 시점에서 피스톤 작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작동되어 플런저(119b)의 피스톤이 전진(도 4(i)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플런저(119b) 내에 축적되어 있던 합성 수지가 외측 유로(6)(도 1)에 공급된다. 전환 수단(121)이 도 4(ii)에 도시하는 제2 상태로 설정되면, 플런저(119a)는 외측 유로(6)(도 1)에 연통되고, 소요 시점에서 피스톤 작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작동되어 플런저(119a)의 피스톤이 전진(도 4(i)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플런저(119a) 내에 축적되어 있던 합성 수지가 외측 유로(6)(도 1)에 공급된다. 플런저(119b)는 압출기(118)에 연통되어, 압출기(118)로부터 압출되는 합성 수지가 플런저(119b) 내에 축적된다. 원한다면, 압출기(118)와 전환 수단(121) 사이에 기어 펌프를 배치하여, 전환 수단(121)에의 합성 수지의 유동을 균일하고 또 원활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도 5는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의 더욱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216)은 압출기(218)와 그 하류에 배치된 간헐적 연통 수단(219)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헐적 연통 수단(219)은 연통로(221)가 형성되어 있는 정지 부재(223)와 연통로(225)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 부재(227)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 부재(227)는 연속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회전되어, 회전 부재(227)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로(225)가 정지 부재(223)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로(221)와 간헐적으로 연통되면, 압출기(218)로부터 압출되는 합성 수지가 연통로(221 및 225)를 통해서 외측 유로(6)(도 1)에 공급된다. 원한다면, 압출기(218)와 간헐적 연통 수단(219) 사이에 기어 펌프를 배치하여, 간헐적 연통 수단(219)에의 합성 수지의 유동을 균일하고 또 원활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Claims (11)

  1. 외측 배출구를 갖는 외측 유로를 통해서 외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외측 유로 중으로 열려있는 내측 배출구를 갖는 내측 배출로를 통해서 내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방법에 있어서,
    로드를 포함하는 개폐 수단에 의해 상기 내측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단계로서, 로드가 개방 위치에 위치되면 내측 배출구가 개방되고, 로드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면 내측 배출구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및
    상기 내측 배출구의 개폐에 따라 상기 외측 합성 수지를 상기 외측 유로에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로서, 외측 합성 수지의 공급은 내측 배출구의 폐쇄와 동시에 또는 폐쇄 이전에 시작되고, 내측 배출구의 개방과 동시에 또는 개방 이전에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최외측 배출구를 갖는 최외측 유로를 통해서 최외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측 배출구는 상기 최외측 유로 중으로 열려있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방법.
  3. 외측 배출구를 갖는 외측 유로와, 상기 외측 유로 중으로 열려있는 내측 배출구를 갖는 내측 유로와, 상기 외측 유로를 통해서 외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과, 상기 내측 유로를 통해서 내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내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로서,
    상기 내측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로드를 포함하는 개폐 수단을 구비하고, 로드가 개방 위치에 위치되면 내측 배출구가 개방되고, 로드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면 내측 배출구가 폐쇄되고,
    상기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내측 배출구의 폐쇄와 동시에 또는 폐쇄 이전에 외측 합성 수지의 공급을 시작하고, 내측 배출구의 개방과 동시에 또는 개방 이전에 외측 합성 수지의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외측 유로에 간헐적으로 외측 합성 수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최외측 배출구를 갖는 최외측 유로와, 상기 최외측 유로를 통해서 최외측 합성 수지를 유동시키는 최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외측 배출구는 상기 최외측 유로 중으로 열려있는 것인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작동되는 것인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압출기, 및 상기 압출기의 하류에 접속되고 또 간헐적으로 작동되는 기어 펌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압출기, 2개의 플런저 수단, 및 상기 플런저 수단의 한 쪽을 상기 압출기에 연통하고 상기 플런저 수단의 다른 쪽을 상기 외측 유로에 연통하는 제1 상태와, 상기 플런저 수단의 상기 한 쪽을 상기 외측 유로에 연통하고 상기 플런저 수단의 상기 다른 쪽을 상기 압출기에 연통하는 제2 상태로 교대로 설정되는 전환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합성 수지 공급 수단은,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압출기, 및 상기 압출기를 상기 외측 유로에 간헐적으로 연통시키는 간헐적 연통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형성되는 복합 합성 수지 소재는 소요 형상으로 압축 성형되는 것인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장치.
KR1020057013427A 2003-01-23 2004-01-22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방법 및 장치 KR100977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14472 2003-01-23
JP2003014472 2003-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453A KR20050094453A (ko) 2005-09-27
KR100977820B1 true KR100977820B1 (ko) 2010-08-25

Family

ID=3276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427A KR100977820B1 (ko) 2003-01-23 2004-01-22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41684B2 (ko)
EP (1) EP1612029B1 (ko)
JP (1) JP4449904B2 (ko)
KR (1) KR100977820B1 (ko)
CN (1) CN1741891B (ko)
AU (1) AU2004205594B8 (ko)
CA (1) CA2513994A1 (ko)
WO (1) WO20040651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2325B2 (ja) * 2004-05-31 2010-03-31 東洋製罐株式会社 多層構造体の製造方法
WO2006075366A1 (ja) * 2005-01-12 2006-07-20 Toyo Seikan Kaisha, Ltd 複合樹脂の押出供給装置及び複合樹脂塊
US8765038B2 (en) * 2006-04-27 2014-07-01 Toyo Seikan Kaisha, Ltd. Method of feeding composite molten resin and apparatus for feeding the same
CN101400227B (zh) * 2007-09-24 2011-10-19 黄强 一种复合导电密封胶条的点胶方法
US20090230081A1 (en) * 2008-03-12 2009-09-17 Vinperfect Inc. Vented screwcap closure with diffusive membrane liner
DE102011016761A1 (de) * 2011-04-12 2012-10-18 RWR Patentverwaltung GbR(vertreten durch Josef Rothen, 42699 Solingen, Michael Rothen, 40764 Langenfeld, Harald Wallner, 51371 Leverkusen) Vorrichtung, Koextrusionsdüse und Verfahren zum Auftragen und/oder Herstellen eines flächigen Materialverbunds sowie flächiger Materialverbund
JP6175978B2 (ja) * 2013-08-23 2017-08-09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複合合成樹脂押出ヘッ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4305A (en) 1988-01-30 1992-04-14 Toyo Seikan Kaisha, Ltd. Nozzle device for extrusion of multiple synthetic resins
EP0568823A1 (en) 1992-04-06 1993-11-10 Toyo Seikan Kaisha Limited A method and equipment for forming a composite synthetic resin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6344A (en) * 1970-09-01 1977-11-01 Lemelson Jerome H Apparatus for producing composite extrusions
US4149839A (en) * 1975-12-30 1979-04-17 Ishikawajima-Harima Jukogyo Kabushiki Kaisha Blow molding apparatus
US4934915A (en) * 1983-04-13 1990-06-19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multi-layer articles
JPS61158409A (ja) * 1984-12-29 1986-07-1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多層ブロ−成形装置における樹脂の充填方法
GB8616460D0 (en) * 1986-07-05 1986-08-13 Metal Box Plc Manufacture of articles
US4906421A (en) * 1987-07-01 1990-03-06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high performanc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s
US5162121A (en) * 1988-01-30 1992-11-10 Toyo Seikan Kaisha, Ltd. Apparatus for extruding multiple synthetic resins
US5350211A (en) * 1991-09-30 1994-09-27 Tokai Kogyo Kabushiki Kaisha Windshield molding for vehicles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US6655945B1 (en) * 1999-03-18 2003-12-02 Mold Masters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layer injection molding
JP3514674B2 (ja) 1999-09-21 2004-03-31 株式会社プラ技研 樹脂製多重管の押出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4305A (en) 1988-01-30 1992-04-14 Toyo Seikan Kaisha, Ltd. Nozzle device for extrusion of multiple synthetic resins
EP0568823A1 (en) 1992-04-06 1993-11-10 Toyo Seikan Kaisha Limited A method and equipment for forming a composite synthetic resin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12029B1 (en) 2019-01-09
EP1612029A4 (en) 2012-02-08
CN1741891A (zh) 2006-03-01
EP1612029A1 (en) 2006-01-04
US20060051444A1 (en) 2006-03-09
CN1741891B (zh) 2010-06-09
KR20050094453A (ko) 2005-09-27
CA2513994A1 (en) 2004-08-05
JP4449904B2 (ja) 2010-04-14
JPWO2004065101A1 (ja) 2006-05-18
US7341684B2 (en) 2008-03-11
AU2004205594B8 (en) 2008-10-09
AU2004205594A1 (en) 2004-08-05
AU2004205594B2 (en) 2008-09-04
WO2004065101A1 (ja) 200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5838B2 (en) Method of operating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with continuously operating plasticizing unit
US5439633A (en) Plastic extruder having a mixing valve with automatic shut-off
US6419116B1 (en) Molding nozzle gate valve
KR100977820B1 (ko)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방법 및 장치
JPH11115001A (ja) バルブゲートアセンブリ及び射出成形方法
JP2008504146A (ja) 一体型逆止弁を備える射出成形機シューティングポット
US5215762A (en) Nozzl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SK199892A3 (en) Nozzle for injecting and pouring
JP4441567B2 (ja) 射出成形機のスピゴット式シューティングポットピストン
JP2011104807A (ja) 複合合成樹脂生成方法と複合合成樹脂生成装置
JP2500724B2 (ja) 複合合成樹脂素材形成方法及び装置
JP2002513694A (ja) 押出し成形機及び射出成形機のためのフィルタ装置
JP3595384B2 (ja) 射出成形機の二色射出成形用ノズル
JP2832504B2 (ja) 互いに塊状物質またはフォーム物質まで反応する少なくとも2種の流動性反応成分から流動性反応混合物を製造する装置
CA25281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jecting an injection molded part made of plastic
KR200207638Y1 (ko) 플라스틱 사출장치
AU2002250477B2 (en) Molding nozzle gate valve
JP2792590B2 (ja) ブロー成形用ダイス
JPH10180788A (ja) ガス射出成形法およびその成形装置
JPH08187750A (ja) 射出成形用ノズル
JP2005138414A (ja) サンドイッチ成形用ホットランナ金型及びこれを用いたサンドイッチ成形方法
AU616429B2 (en) Injection moulding of moulded articles from synthetic plastics material
JPH0342218A (ja) 多成分合成樹脂成形用金型装置
JPH091591A (ja) 射出成形装置
JP4410602B2 (ja) サンドイッチ成形用ホットランナ金型及びこれを用いたサンドイッチ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