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638Y1 - 플라스틱 사출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사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638Y1
KR200207638Y1 KR2020000016237U KR20000016237U KR200207638Y1 KR 200207638 Y1 KR200207638 Y1 KR 200207638Y1 KR 2020000016237 U KR2020000016237 U KR 2020000016237U KR 20000016237 U KR20000016237 U KR 20000016237U KR 200207638 Y1 KR200207638 Y1 KR 200207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hamber
nozzle
screw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문균
Original Assignee
신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문균 filed Critical 신문균
Priority to KR2020000016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6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6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7Exerting after-pressure on the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6Valves, specific forms thereof
    • B01L2400/0605Valves, specific forms thereof check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와 이송된 수지를 노즐을 통하여 분사시키기 위한 피스톤으로 각각 분리하여 그 구조를 소형화 및 단순화시킴으로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반경이 줄어들며 이에 따라 작업능률을 상승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경사형 제1챔버(401)와 수직형 제2챔버(402)가 하단부에서 서로 연결된 하우징(400)과, 상기 경사형 제1챔버(401) 후단부에 연결된 호퍼(120)로 부터 제1챔버(401) 내부로 공급되는 수지를 용융시켜 하단부로 용융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 이송부(110)와, 상기 경사형 제1챔버(401)로부터 수직형 제2챔버(402)로 공급된 용융 수지를 하단부의 노즐(105)을 통하여 금형으로 가압 배출하기위한 수지 압압부(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바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수지 이송부와 이송된 수지를 금형으로 분사시키기 위한 수지 압압부로 분리 배치하여 그 구조를 단순화 및 소형화시킴에 따라 사출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반경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사출장치{Injection Molding System}
본 고안은 플라스틱 사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와 이송된 수지를 노즐을 통하여 분사시키기 위한 피스톤으로 각각 분리하여 그 구조를 소형화 및 단순화시킴으로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반경이 줄어들며 이에 따라 작업능률을 상승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사출장치는 수지를 용융하여 금형에 사출한 뒤 냉각해서 고화(固化)하는 기계이다. 주로 열가소성 수지에 사용되며, 방식으로는 플런저 방식과 스크류 인라인방식이 있는데 전자는 플런저로, 후자는 스크류로 용융수지를 노즐에서 금형에 사출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플라스틱 사출장치 특히 지퍼용 테이프에 엘리먼트를 사출 결합시키기 위한 사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퍼 제작시스템에 적용되고 있으며, 먼저 지퍼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퍼 제작시스템은 두가닥의 테이프가 최초로 인입될 때 테이프(1)에 부착된 이물이나 또는 테이프의 이음새를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전체 시스템을 정지시킬 수 있는 이물감지부(11)와, 상기 이물감지부(11)를 거쳐 인입되는 상기 두가닥의 테이프(1)가 적치시 텐션을 해제시키기 위한 제1 텐션제어부(15)와, 상기 제1 텐션제어부(15)를 거쳐 진행되는 두가닥의 테이프(1)가 금형(19)속으로 인입되기 바로 전에 테이프의 코드사(3)에 엘리먼트(5)가 정확하게 사출 결합되도록 상기 테이프(1)를 세팅하기 위한 위치설정부(17)가 형성된 테이프 도입셋팅장치(10)를 구비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위치설정부(17)를 거처 센터링된 두가닥의 테이프의 코드사에 다수의 엘리먼트(5)를 사출 결합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사출장치(50)와, 상기 플라스틱 사출장치(50)에서 엘리먼트가 테이프에 동일한 구간별로 연속적으로 사출 결합과정을 이룰 수 있도록 일정 길이만큼 테이프를 피딩시키는 테이프 피딩장치(40)와, 상기 테이프 피딩장치(40)를 거쳐 인입되는 테이프에 사출 결합된 엘리먼트에 연장 형성된 런너(7)를 제거하기 위한 런너 커팅장치(27)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 피딩장치(40)가 배출방향으로 테이프를 피딩시 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테이프를 피딩시켜 일정한 테이프에 텐션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 텐션제어부(31)와, 상기 제2 텐션제어부를 거친 후, 두가닥의 테이프에 각각 사출 결합된 다수의 엘리먼트를 조합시키기 위한 엘리먼트 조합장치(3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지퍼 제작시스템에 적용한 종래의 플라스틱 사출장치(50)는 모터 구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지지프레임(51)에 수직방향으로 나사 결합된 스크류(53)와, 상기 스크류(53)가 삽입되고, 칩형태의 수지(310)가 담겨있는 호퍼(56)로부터 수지주입구(55)를 통하여 수지 칩(310)을 공급받아 히터(59)에 의해 수지를 용융시켜 상기 스크류(53)에 작동에 따라 용융 수지(300)를 금형으로 압입하기 위한 실린더(57)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57)는 하단에 금형(19)으로 수지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57a)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57a) 상방향으로 소정거리에 스토퍼(57b)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호퍼로 부터 공급되어 용융된 수지(300)가 실린더(57)를 통과하여 금형(19)으로 분사되기까지 상기 히터(59)에 의해 실린더(57) 내에서 용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53)는 일주면 상부에 피스톤(53a)을 고정 결합 형성하여 스크류가 실린더(57) 내측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시 수지를 압압시켜 상기 노즐(57a)을 통하여 금형으로 분사하고, 상방향으로 이동시 노즐(57a)에 설치된 체크밸브(57c)를 온(on) 시켜 노즐(57a)을 폐쇄하여 실린더 내/외부의 압력 차에 의해 호퍼(56)에 담겨있는 일정량의 수지를 실린더(57) 내부로 인입시킨다.
이와 같은 사출과정은 도 1과 같은 피딩장치(40)의 피딩과정과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테이프에 일정간격으로 엘리먼트가 사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53) 하부에는 스크류를 따라 이송되는 수지를 노즐(57a)로 안내하기 위한 수지유도홈(5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53)가 하방향으로 이동시 실린더(57)의 스토퍼(57b)에 의해 스크류의 하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체크밸브링(53c)이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플라스틱 사출장치는 수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와 피스톤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전체구성이 대형화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되어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류의 형상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이와 같은 스크류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어 전체적인 사출장치의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 그 목적은 수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와 이송된 수지를 노즐을 통하여 분사시키기 위한 피스톤으로 각각 분리하여 그 구조를 소형화 및 단순화시킴으로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반경이 줄어들며 이에 따라 작업능률을 상승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퍼 제작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지퍼 제작시스템에 적용되는 종래의 플라스틱 사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200: 수지 압압부 101,201: 공간부
103,203: 피스톤 105,205: 노즐
107,207: 제1 체크밸브 108,208: 제2 체크밸브
109,209: 수지유입구멍 110,210: 수지 이송부
111,211: 스크류 113,213: 수지공급구멍
120,220: 호퍼 131,231: 제1 히터
132,232: 제2 히터 300: 용융 수지
310: 수지 칩 400,500: 하우징
401,501: 제1챔버 402,502: 제2챔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경사형 제1챔버와 수직형 제2챔버가 하단부에서 서로 연결된 하우징과, 상기 경사형 제1챔버 후단부에 연결된 호퍼로 부터 제1챔버 내부로 공급되는 수지를 용융시켜 하단부로 용융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 이송부와, 상기 경사형 제1챔버로부터 수직형 제2챔버로 공급된 용융 수지를 하단부의 노즐을 통하여 금형으로 가압 배출하기위한 수지 압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수직형 제1챔버와 경사형 제2챔버가 하단부에서 서로 연결된 하우징과, 상기 수직형 제1챔버 상단부에 연결된 호퍼로부터 제2챔버 내부로 공급되는 수지를 용융시켜 하단부로 용융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 이송부와, 상기 수직형 제1챔버로부터 경사형 제2챔버로 공급된 용융 수지를 하단부의 노즐을 통하여 금형으로 가압 배출하기위한 수지 압압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노즐에 설치되어 금형이 배치된 방향으로 용융 수지의 분사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체크밸브와, 상기 제1챔버 및 제2챔버 사이에는 용융수지를 일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2 체크밸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지 이송부는 스크류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 압압부는 피스톤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그 구조를 각 기능별로 분리시켜 단순화 및 소형화를 구현하여 제작비용의 절감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소형화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반경을 축소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실시예)
첨부된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 및 3b와 같이 본 고안을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경사형 제1챔버(401)와 수직형 제2챔버(402)가 하단부에서 서로 연결된 하우징(400)과, 상기 경사형 제1챔버(401) 후단부에 연결된 호퍼(120)로 부터 제1챔버(401) 내부로 공급되는 수지를 용융시켜 하단부로 용융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 이송부(110)와, 상기 경사형 제1챔버(401)로부터 수직형 제2챔버(402)로 공급된 용융 수지를 하단부의 노즐(105)을 통하여 금형으로 가압 배출하기위한 수지 압압부(1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형 제2챔버(402)는 내측으로 내벽을 따라 상하 왕복 이동하여 수지를 압압하기 위한 피스톤(103)이 결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챔버(402) 하단부는 상기 제2챔버(402) 내부에 충진된 용융 수지(300)를 금형(19)으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10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즐(105)에는 설치되어 금형(19)으로 용융 수지(300)의 분사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체크밸브(107)가 설치되며, 상기 제1챔버(401) 및 수직형 제2챔버(402) 사이에 형성된 수지유입구멍(109)에는 용융수지(300)를 제2챔버(402)로의 일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2 체크밸브(108)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수지 이송부(110)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챔버(401)에서 제2챔버(402)로 수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111)가 배치되며 후단 상부에는 고형의 수지 칩(310)을 담기 위한 호퍼(120)의 하단과 관통된 수지공급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챔버(401) 외주에는 제1챔버(401)를 가열하여 호퍼(120)로 부터 인입되는 고형의 수지 칩(310)을 용융시키기 위한 제1 히터(131)가 설치되며, 상기 제2챔버(402) 외주에는 설정온도에 따라 제2챔버(402)를 가열하여 제1챔버(401)로 부터 제2챔버(402) 내부로 유입되는 수지가 지속적으로 용융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2 히터(13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와 같이 초기상태에서는 제2챔버(402)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103)이 하강된 상태로 설정되며, 이 경우 노즐(105)에 설치된 제1 체크밸브(107)는 오프(off)되어 상기 노즐(105)을 개방시키고, 수지유입구멍(109)에 설치된 제2 체크밸브(108)는 온(on)되어 상기 수지유입구멍(109)을 통하여 제2챔버(402) 내부로 수지(300)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지유입구멍(109)을 폐쇄한다.
또한 도 3b와 같이 상기 피스톤(103)이 제2챔버(402) 내부로 수지를 충진시키기 위하여 상승 동작을 할 경우, 상기 제1 체크밸브(107)는 온 되어 노즐(105)을 폐쇄시키며, 제2 체크밸브(108)는 오프 되어 수지유입구멍(109)을 개방시킨다.
이와 동시에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는 상기 스크류(111)는 제2 히터(132)에 의해 호퍼(120)로 부터 공급되는 수지 칩(310)을 용융된 상태로 전환시킨 수지(300)를 수지유입구멍(109)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제2챔버(100) 내부는 소정의 진공상태가 이루어지므로 피스톤(103)의 상승 작동에 따라 수지유입구멍(109)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지(300)가 공간부(101)로 충진된다.
이 때 상기 제1챔버(401)에 연통된 호퍼(130)는 사출장치가 전체적으로 소형화됨에 따라 그 위치가 낮게 설정되고, 호퍼(120)로 수지를 공급하는 작업자의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2챔버(402)의 내부에 일정량의 수지(300)가 충진되면, 상기 피스톤(103)은 상승 작동을 멈추게 되고, 이 경우, 제1 체크밸브(107)는 오프 되어 노즐(105)을 개방시키며 아울러 제2 체크밸브(108)는 온 되어 수지유입구멍(109)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크류(111)는 그 구동을 멈추게 되어 상기 제1챔버(402)로부터 제2챔버(402) 내부로 인입되는 수지(300)를 차단시킨다.
이어서 도 3a와 같이 상기 피스톤(103)은 하강 작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챔버(402)에 충진된 수지(300)는 상기 피스톤(103)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노즐(105)을 통하여 금형(19)으로 분사되며 이에 따라 일정량의 수지가 제2챔버(402)의 내부로 부터 가압 배출되면, 다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피스톤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챔버(402) 외주에 설치된 제2 히터(132)는 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제2챔버(402)를 가열하여 제1챔버(401)로 부터 제2챔버(402) 내부로 인입된 수지가 지속적으로 용융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도 4a 및 4b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장치는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장치의 수지 가압부와 수지 이송부의 배치를 상호 변경하였으며, 그 작동방식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 및 4b와 같이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수직형 제1챔버(501)와 경사형 제2챔버(502)가 하단부에서 서로 연결된 하우징(500)과, 상기 수직형 제1챔버(501) 상단부에 연결된 호퍼(220)로 부터 제1챔버(501) 내부로 공급되는 수지를 용융시켜 하단부로 용융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 이송부(210)와, 상기 수직형 제1챔버(501)로부터 경사형 제2챔버(502)로 공급된 용융 수지를 하단부의 노즐(205)을 통하여 금형으로 가압 배출하기위한 수지 압압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형 제2챔버(502)는 내측으로 내벽을 따라 왕복 이동하여 수지를 압압하기 위한 피스톤(203)이 결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챔버(502) 하단부는 상기 제2챔버(502) 내부에 충진된 용융 수지(300)를 금형(19)으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20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즐(205)에는 설치되어 금형(19)으로 용융 수지(300)의 분사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체크밸브(207)가 설치되며, 상기 제1챔버(501) 및 제2챔버(502) 사이에 형성된 수지유입구멍(209)에는 용융수지(300)를 제2챔버(502)로의 일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2 체크밸브(208)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수지 이송부(210)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챔버(501)에서 경사형 제2챔버(502)로 수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211)가 배치되며 상단부에는 고형의 수지 칩(310)을 담기 위한 호퍼(220)의 하단과 관통된 수지공급구멍(2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형 제1챔버(501) 외주에는 상기 제1챔버(501)를 가열하여 호퍼(220)로 부터 인입되는 고형의 수지 칩(310)을 용융시키기 위한 제1 히터(231)가 설치되며, 상기 제2챔버(502) 외주에는 설정온도에 따라 제2챔버(502)를 가열하여 제1챔버(501)로 부터 제2챔버(502) 내부로 유입되는 수지가 지속적으로 용융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2 히터(23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와 같이 초기상태에서는 경사형 제2챔버(502)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203)이 하강된 상태로 설정되며, 이 경우 노즐(205)에 설치된 제1 체크밸브(207)는 오프(off)되어 상기 노즐(205)을 개방시키고, 수지유입구멍(209)에 설치된 제2 체크밸브(208)는 온(on)되어 상기 수지유입구멍(209)을 통하여 제2챔버(502) 내부로 수지(300)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지유입구멍(209)을 폐쇄한다.
또한 도 4b와 같이 상기 피스톤(203)이 경사형 제2챔버(502) 내부로 수지를 충진시키기 위하여 상승 동작을 할 경우, 상기 제1 체크밸브(207)는 온 되어 노즐(205)을 폐쇄시키며, 제2 체크밸브(208)는 오프 되어 수지유입구멍(209)을 개방시킨다.
이와 동시에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는 상기 스크류(211)는 제2 히터(232)에 의해 호퍼(220)로 부터 공급되는 수지 칩(310)을 용융된 상태로 전환시킨 수지(300)를 수지유입구멍(209)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제2챔버(502) 내부는 소정의 진공상태가 이루어지므로 피스톤(203)의 상승 작동에 따라 수지유입구멍(209)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지(300)가 경사형 제2챔버(502) 내부로 충진된다.
이 때 상기 수직형 제1챔버(501)에 연통된 호퍼(230)는 사출장치가 전체적으로 소형화됨에 따라 그 위치가 낮게 설정되고, 호퍼(220)로 수지를 공급하는 작업자의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경사형 제2챔버(502)의 내부에 일정량의 수지(300)가 충진되면, 상기 피스톤(203)은 상승 작동을 멈추게 되고, 이 경우, 제1 체크밸브(207)는 오프 되어 노즐(205)을 개방시키며 아울러 제2 체크밸브(208)는 온 되어 수지유입구멍(209)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크류(211)는 그 구동을 멈추게 되어 상기 수직형 제1챔버(501)로 부터 경사형 제2챔버(502) 내부로 인입되는 수지(300)를 차단시킨다.
이어서 도 4a와 같이 상기 피스톤(203)은 하강 작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챔버(502)에 충진된 수지(300)는 상기 피스톤(203)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노즐(205)을 통하여 금형(19)으로 분사되며 이에 따라 일정량의 수지가 제2챔버(502)의 내부로 부터 가압 배출되면, 다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피스톤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챔버(502) 외주에 설치된 제2 히터(232)는 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제2챔버(502)를 가열하여 제1챔버(501)로 부터 제2챔버(502) 내부로 인입된 수지가 지속적으로 용융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종래의 복합적으로 구성된 스크류와 피스톤을 수지 이송부(100,200) 및 수지 가압부(110,210)로 각각 분리시켜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사출장치의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장치의 소형화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반경을 줄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바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수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수지 이송부와 이송된 수지를 노즐을 통하여 금형으로 분사시키기 위한 수지 압압부로 분리 배치하여 그 구조를 단순화시킴에 따라 사출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출장치가 전체적으로 소형화됨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반경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제1챔버(401, 501)와 제1챔버와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설치된 제2챔버(402, 502)가 하단부에서 서로 연결된 하우징(400, 500)과,
    상기 제1챔버(401, 501) 후단부에 연결된 호퍼(120, 220)로 부터 제1챔버(401, 501) 내부로 공급되는 수지를 용융시켜 하단부로 용융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 이송부(110, 210)와,
    상기 제1챔버(401, 501)로부터 제2챔버(402, 502)로 공급된 용융 수지를 하단부의 노즐(105, 205)을 통하여 금형으로 가압 배출하기 위한 수지 압압부(100, 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105,205)에 설치되어 금형이 배치된 방향으로 용융 수지의 분사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체크밸브(107,207)와,
    상기 제1챔버(401,501) 및 제2챔버(402,502) 사이에는 용융수지를 일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2 체크밸브(108,20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이송부(110,210)는 스크류(111,211)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 압압부(100, 200)는 피스톤(103,20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장치.
KR2020000016237U 2000-06-08 2000-06-08 플라스틱 사출장치 KR200207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237U KR200207638Y1 (ko) 2000-06-08 2000-06-08 플라스틱 사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237U KR200207638Y1 (ko) 2000-06-08 2000-06-08 플라스틱 사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638Y1 true KR200207638Y1 (ko) 2000-12-15

Family

ID=1965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237U KR200207638Y1 (ko) 2000-06-08 2000-06-08 플라스틱 사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6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205A (ko) * 2002-07-29 2004-02-05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사출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성형방법
KR101875905B1 (ko) * 2016-04-28 2018-07-09 (주)에스에스이티 원재료 냉각 공급식 고무사출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205A (ko) * 2002-07-29 2004-02-05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사출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성형방법
KR101875905B1 (ko) * 2016-04-28 2018-07-09 (주)에스에스이티 원재료 냉각 공급식 고무사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94792B (zh) 注塑装置和用于迫使熔体流入到注塑装置的模腔中的方法
US4592711A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plastic parts
US4855094A (en) Method for the injection molding of plastic articles using fluid pressure
JPH0825211B2 (ja) プラスティック製品の成型装置及び成型方法
JPH05345334A (ja) バルブゲートを備えたランナーレス射出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285824B1 (ko) 고온 채널 시스템이 일체화된 사출성형기
KR200207638Y1 (ko) 플라스틱 사출장치
KR0184932B1 (ko) 몰딩 프레스 장치
KR101619887B1 (ko) 액상의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사출 성형장치
EP0495126B1 (en) Nozzle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JPH0397518A (ja) スクリュープリプラ式射出成形機
EP4126505B1 (en) Pellet extruder for 3d printing
KR100977820B1 (ko) 복합 합성 수지 소재 형성 방법 및 장치
KR102240758B1 (ko) 사출기의 노즐장치
JPH0416940B2 (ko)
US200700297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jecting an injection molded part made of plastic
US6739862B2 (en) Dual cylinder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6531087B1 (en) Coupled fluid injection with same power source
KR101835048B1 (ko) Pet 더스트 배출 시스템이 구비된 사출 금형
US6491860B1 (en) Coupled fluid injection with flow control
ITMI972471A1 (it) Iniettore in particolare per materiale termoplastico con vite a rotazione continua e mezzi di accumulo del materiale da iniettare
KR19990016445A (ko) 사출 성형 금형의 가스 주입 장치
CN100411563C (zh) 尼龙拉链、其止扣的成型方法及成型设备
KR101907474B1 (ko) 사출성형기용 밸브장치
JP6594284B2 (ja) 可塑化射出装置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