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813B1 -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 Google Patents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813B1
KR100977813B1 KR1020100058156A KR20100058156A KR100977813B1 KR 100977813 B1 KR100977813 B1 KR 100977813B1 KR 1020100058156 A KR1020100058156 A KR 1020100058156A KR 20100058156 A KR20100058156 A KR 20100058156A KR 100977813 B1 KR100977813 B1 KR 100977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alk
switchboard
shaft pin
doo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규
김영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Priority to KR1020100058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워크인 배전반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출입수단의 도어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발판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워크인 배전반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발판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어의 상부와 출입구의 상부를 착탈수단에 의해 상부를 분리한 후 도어의 하부와 출입구의 하부에 구비되는 회전지지수단에 의해 도어를 회전시켜 출입구의 바닥면과 지면으로 걸쳐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The foot hold combination door of walk in type distribution panel room}
본 발명은 워크인 배전반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출입수단의 도어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발판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차단기나 소형 발전기 등 각종 전기장치를 구비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옥내에 설치될 경우에는 소형의 캐비넷 형태로 제작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각종 전기장치들이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옥외에 배전반이 설치될 경우에는 배전반의 상부 측에 지붕을 형성하여 빗물 등이 배전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여 빗물 등에 의한 누전 및 화재 등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옥외에 설치되는 배전반 중 그 규모가 비교적 큰 워크인(Walk-In) 배전반(100)의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인 배전반(100)의 출입구(110)에 출입을 위한 수단으로 도어(120)를 형성하여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직접 배전반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장비와 기기 등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가되지 않은 사람의 출입을 제한하여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워크인 배전반에 구비되는 종래의 도어는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작업자나 관리자 등만이 출입할 수 있는 단순한 출입수단의 일환으로 사용되는 폐단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통상적인 워크인 배전반(100)의 경우 받침프레임(130)에 의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약 20~40㎝ 높이로 설치됨에 따라 작업자나 관리자가 출입할 때에는 별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였으나, 각종 장비와 기기 등을 운반이나 교체시에 도어를 열은 상태에서 워크인 배전반의 바닥면과 지면 사이에 별도의 발판 등을 설치한 후 워크인 배전반으로부터 각종 장비와 기기 등을 인출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현장의 워크인 배전반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장비와 기기 등을 운반이나 교체시에 별도의 발판을 운반하여 가지고 다녀야 하는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아울러, 워크인 배전반으로 몸이 불편한 사람, 특히 휠체어 등을 타고 출입시에는 상기한 별도의 발판을 구비하여 설치하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출입하기에는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워크인 배전반의 출입구에 구비된 도어를 평상시에는 출입수단의 도어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발판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를 회전이 더욱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자 이외에 도어를 발판의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판으로 사용시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워크인 배전반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발판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어의 상부와 출입구의 상부를 착탈수단에 의해 상부를 분리한 후 도어의 하부와 출입구의 하부에 구비되는 회전지지수단에 의해 도어를 회전시켜 출입구의 바닥면과 지면으로 걸쳐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수단은 도어 및 출입구의 상단에 회동 가능한 각각의 경첩부를 형성하되, 상기 경첩부에서 축핀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첩부는 도어 및 출입구에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축핀이 삽입되는 각각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각각의 홀더부가 상호 교호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도어 및 출입구에 구비되는 각각의 볼하우징과, 상기 볼하우징에서 회전 자유롭게 삽입되도록 양단에 각각의 볼이 형성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또는 출입구에 구비되는 볼하우징에는 지지대에 간섭됨이 없도록 장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측의 홀더부에는 삽입된 축핀을 관리자 이외에 분리시키지 못하도록 홀더부와 축핀으로 삽입되어 잠금되는 잠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수단은 홀더부와 축핀에 형성되는 각각의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로 삽입 및 인출되어 잠김 및 해제되는 잠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의 일면에 도어를 발판으로 사용시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절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함입된 함입홈과, 상기 함입홈에서 핀 결합되어 회동 자유롭게 구비되어 인입 및 인출되는 받침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는 지면과 가까운 측이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워크인 배전반의 출입구에 구비된 도어를 평상시에는 출입수단의 도어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발판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발판을 구비할 필요없이 현장에서 각종 장비나 기기의 운반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휠체어 등을 탄 몸이 불편한 출입자 또한 편리하게 출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짐은 물론 도어를 단순한 출입수단의 일환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발판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활용성 높은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또한, 회전지지수단에 의해 도어를 회전시 간섭됨을 최소화하고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어를 발판 용도로 사용하고자 회전할 때 보다 편리하게 발판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도어를 발판을 사용하고자 할 때 관리자 이외에는 도어를 발판 용도로 회전시키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도어 사용에 따른 안전성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짐은 물론 유지 관리 또한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발판으로 사용시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무거운 각종 장비나 기기 등을 운반시에도 도어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워크인 배전반에 설치된 상태의 요부도.
도 2는 본 발명의 착탈수단을 개략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지지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도어의 상부가 분리되는 상태의 요부도.
도 4b는 도어가 회전지지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상태의 요부도.
도 4c는 도어가 발판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의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및 설치 상태의 요부도.
도 8은 일반적인 워크인 배전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워크인 배전반에 설치된 상태의 요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착탈수단을 개략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지지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워크인 배전반(100)의 출입구(110)에 구비되어 출입시 열고 닫히는 도어(120)에 있어서,
본 발명은, 워크인 배전반의 출입구에 구비된 도어를 평상시에는 출입수단의 도어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발판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120)를 발판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어(120)의 상부와 출입구(110)의 상부를 착탈수단(10)에 의해 상부를 분리한 후 도어(120)의 하부와 출입구(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회전지지수단(20)에 의해 도어(120)를 회전시켜 출입구(110)의 바닥면과 지면으로 걸쳐지게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평상시에는 통상의 출입수단인 도어로서, 열고 닫고 할 수 있도록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즉, 각종 기기나 장비를 교체나 인출시 또는 몸이 불편하여 휠체어 등을 사용하여 출입하고자 할 때, 상기 도어와 출입구의 상단을 착탈수단에 의해 분리한 후 하부에 구비되는 회전지지수단에 의해 도어를 출입구로부터 회전시켜 그 도어의 일단은 출입구의 바닥면으로 지지되고 타단은 지면으로 지지되는 발판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워크인 배전반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도어를 단순한 출입수단의 용도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발판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 워크인 배전반으로 각종 기기나 장비를 인출하기 위해 별도의 발판을 구비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함께 몸이 불편한 출입자 또한 편리하게 출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착탈수단(10)은 도어(120) 및 출입구(11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한 각각의 경첩부(12)(12A)를 형성하되, 상기 경첩부(12)(12A)에서 축핀(14)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경첩부(12)(12A)는 도어(120) 및 출입구(110)에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편(12a)과, 상기 고정편(12a)에 축핀(14)이 삽입되는 각각의 삽입홀(12b')이 형성되는 각각의 홀더부(12b)가 상호 교호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경첩부는 통상적인 경첩과 같은 형태로서, 각 홀더부의 삽입홀에서 삽입되는 하나의 축핀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필요시에 즉, 도어를 발판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도 4a에서와 같이 도어(120)와 출입구(110)의 상부를 분리시 축핀(14)을 분리시켜 도어(120)의 경첩부(12)인 홀더부(12b)와 출입구(110)의 경첩부(12A)인 홀더부(12b)가 분리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지지수단(20)은 도어(120) 및 출입구(110)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각각의 볼하우징(22)(22A)과, 상기 볼하우징(22)(22A)에서 회전 자유롭게 삽입되도록 양단에 각각의 볼(24)(24A)이 형성되는 지지대(25)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120) 또는 출입구(110)에 구비되는 볼하우징(22)(22A)에는 도어를 회전시 지지대(25)의 움직임에 대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간섭이 없도록 각각의 장홈(22a)이 형성된다.
즉, 도어와 출입구의 상부를 분리시킨 후 도어를 발판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회전지지부를 사용하여 도어를 눕힐 때 도 4b에서와 같이 지지대(25)의 양단에 형성된 볼(24)(24A)이 각 볼하우징(22)(22A) 내에서 회전되면서 지지대(25)는 장홈(22a) 상에서 간섭됨 없이 회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도어(120)를 용이하게 눕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도어(120)를 도 4c에서와 같이 출입구(110)의 바닥면과 지면으로 맞닿아 경사지도록 발판 형태로 설치할 때, 회전지지수단에 의해 도어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어를 발판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회전지지수단을 이용하여 회전시킬 때 출입구로부터 도어를 더욱더 원활하게 이격시키면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대(25)를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그 연결된 부분을 핀 결합하는 통상적인 하나 이상의 링크부(25a)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도어의 상부를 분리한 후 회전지지수단을 이용하여 도어의 하부를 출입구로부터 링크부를 이용하여 일정 거리 이격시킴에 따라 도어를 보다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측의 홀더부(12b)에는 삽입된 축핀(14)을 관리자 이외에 분리시키지 못하도록 홀더부(12b)와 축핀(14)으로 삽입되어 잠금되는 잠금수단(4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잠금수단(40)은 홀더부(12b)와 축핀(14)에 형성되는 각각의 잠금홀(42)과, 상기 잠금홀로 삽입 및 인출되어 잠김 및 해제되는 잠금부재(4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잠금부재는 각 잠금홀로 삽입되는 통상적인 열쇠로 잠금 및 해제되는 자물쇠나 아니면 버튼 조작 등에 의하여 상기 잠금홀로 축이 삽입 및 인출되는 공지된 잠금방식이면 족할 것이다.
그에 따라 도어를 발판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축핀을 분리시키기 위한 잠금수단을 해지하지 못할 경우, 즉 잠금수단을 해지할 수 있는 관리자 이외에는 축핀을 분리시키지 못하여 발판으로서 사용할 수 없게 함으로써, 안전성도 높은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를 발판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눕힌 상태에서 그 도어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대응력을 가짐은 물론 하중으로 인한 도어의 변형 또한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120)의 일면에, 즉 지면으로 위치한 면에 도어를 발판으로 사용시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3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수단(30)은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함입된 함입홈(32)과, 상기 함입홈에서 핀 결합되어 회동 자유롭게 구비되어 인입 및 인출되는 받침대(3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34)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즉 상기 받침대(34)는 지면과 가까운 측이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120)의 일면에 구비되는 지지수단(30)에 의하여 도어(120)를 발판의 용도로 사용할 때 함입홈(32)으로부터 받침대(34)를 펼친 후, 도어(120)를 출입구(110)의 바닥면과 지면 사이로 설치시 상기 받침대(34)가 지면으로 지지됨에 따라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즉 출입자뿐만 아니라 각종 기기나 장비 등을 운반에 따라 무거운 하중에도 충분한 대응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도어의 변형 등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를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받침대를 펼친 후 받침대가 접혀지지 않도록 통상적이 지지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10 : 착탈수단 12,12A : 경첩부
12a : 고정편 12b : 홀더부
12b' : 삽입홀 14 : 축핀
20 : 회전지지수단 22,22A : 볼하우징
22a : 장홈 24,24A : 볼
25 : 지지대 25a : 링크부
30 : 지지수단 32 : 함입홈
34 : 받침대 40 : 잠금수단
42 : 잠금홀 44 : 잠금부재
100 : 워크인 배전반
110 : 출입구 120 : 도어

Claims (12)

  1. 워크인 배전반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120)를 발판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어(120)의 상부와 출입구(110)의 상부를 착탈수단(10)에 의해 상부를 분리한 후 도어(120)의 하부와 출입구(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회전지지수단(20)에 의해 도어(120)를 회전시켜 출입구(110)의 바닥면과 지면으로 걸쳐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10)은 도어 및 출입구의 상단에 회동 가능한 각각의 경첩부(12)(12A)를 형성하되, 상기 경첩부(12)(12A)에서 축핀(14)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부(12)(12A)는 도어 및 출입구에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편(12a)과, 상기 고정편에 축핀이 삽입되는 각각의 삽입홀(12b')이 형성되는 각각의 홀더부(12b)가 상호 교호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수단(20)은 도어 및 출입구에 구비되는 각각의 볼하우징(22)(22A)과, 상기 볼하우징에서 회전 자유롭게 삽입되도록 양단에 각각의 볼(24)(24A)이 형성되는 지지대(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또는 출입구에 구비되는 볼하우징(22)(22A)에는 지지대(25)에 간섭됨이 없도록 장홈(2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부(25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측의 홀더부(12b)에는 삽입된 축핀(14)을 관리자 이외에 분리시키지 못하도록 홀더부(12b)와 축핀(14)으로 삽입되어 잠금되는 잠금수단(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40)은 홀더부(12b)와 축핀(14)에 형성되는 각각의 잠금홀(42)과, 상기 잠금홀로 삽입 및 인출되어 잠김 및 해제되는 잠금부재(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20)의 일면에 도어를 발판으로 사용시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절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3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30)은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함입된 함입홈(32)과, 상기 함입홈(32)에서 핀 결합되어 회동 자유롭게 구비되어 인입 및 인출되는 받침대(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4)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4)는 지면과 가까운 측이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KR1020100058156A 2010-06-18 2010-06-18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KR100977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156A KR100977813B1 (ko) 2010-06-18 2010-06-18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156A KR100977813B1 (ko) 2010-06-18 2010-06-18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813B1 true KR100977813B1 (ko) 2010-08-25

Family

ID=4275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156A KR100977813B1 (ko) 2010-06-18 2010-06-18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8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8944A (en) 1979-06-04 1981-09-15 Donovan Terrence P Security door
US4715090A (en) 1985-12-18 1987-12-29 The Bloxwich Lock And Stamping Company Limited Demountable hinges
JPH09112114A (ja) * 1995-10-18 1997-04-28 Ohtori Kiko Co Ltd 回転式ドアの支持装置
KR200445546Y1 (ko) 2007-07-19 2009-08-11 고은화 스페이서를 갖는 복층창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8944A (en) 1979-06-04 1981-09-15 Donovan Terrence P Security door
US4715090A (en) 1985-12-18 1987-12-29 The Bloxwich Lock And Stamping Company Limited Demountable hinges
JPH09112114A (ja) * 1995-10-18 1997-04-28 Ohtori Kiko Co Ltd 回転式ドアの支持装置
KR200445546Y1 (ko) 2007-07-19 2009-08-11 고은화 스페이서를 갖는 복층창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20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KR100845297B1 (ko) 발코니 난간 설치식 비상 탈출용 사다리
CN108368702B (zh) 一体型折叠式安全栏杆以及室外避难楼梯
CN110799250B (zh) 建筑物中的火灾或其他灾害疏散设施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962656B1 (ko)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WO2018199495A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100965536B1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KR100977813B1 (ko) 워크인 배전반의 발판 겸용 도어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2085587B1 (ko) 접이식 대피장치
KR102193098B1 (ko) 피난용 사다리장치
KR20090003823U (ko) 비상용 피난 사다리
KR101702044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US9598873B1 (en) Temporary portable abatement, remediation, demolition, and remodeling door
KR200404760Y1 (ko) 베란다 난간겸용 비상사다리
KR102109587B1 (ko) 접이식 피난 기구
KR20180048183A (ko) 접이식 대피 통로가 구비된 주택용 안전 난간
JP2010159153A (ja) エレベータメンテナンス支援システム
TWI435974B (zh) 雙門用鎖固裝置
KR101105685B1 (ko) 화재 피난용 하강기구
KR200447405Y1 (ko) 맨홀 출입용 안전손잡이
JP2009240088A (ja) スイッチギヤ
KR200378175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