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441B1 -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441B1
KR100977441B1 KR1020087009413A KR20087009413A KR100977441B1 KR 100977441 B1 KR100977441 B1 KR 100977441B1 KR 1020087009413 A KR1020087009413 A KR 1020087009413A KR 20087009413 A KR20087009413 A KR 20087009413A KR 100977441 B1 KR100977441 B1 KR 100977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vel
display device
holder
angle adjust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9119A (ko
Inventor
김경욱
Original Assignee
(주)세아메카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아메카닉스 filed Critical (주)세아메카닉스
Publication of KR20080049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는 베이스; 스위블; 스위블 홀더; 및 상호간에 대응되도록,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만곡된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요철부인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어도 2 자유도를 가지도록, 상기 가이드부는 상호간에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각도 조절 장치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베이스, 샤프트, 각도 조절 장치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ANGLE REGULAT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그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LCD, PDP, CRT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정의 지지대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는 바닥면 또는 벽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소정 높이로 지지시킨다.
한편,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대는 그 자유도가 제한적이었다. 즉,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대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대에 대한 설치 각도에 대한 변경이 곤란하다. 따라서, 그러한 지지대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지대의 단점으로 인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시 범위 내로 이동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은 사용자의 작업 반경의 축소 등의 문제를 유발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도 조절 장치의 자유도가 개선되어, 상기 각도 조절 장치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는 일면이 소정 곡률로 만곡되고, 그 만곡된 면에 소정 길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를 가진 베이스; 적어도 일면이 소정 곡률로 만곡되고, 그 만곡된 면에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소정 길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가이드부를 가진 스위블; 후면이 상기 베이스와 동일 곡률로 만곡되고, 전면이 상기 스위블과 동일 곡률로 만곡되며,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제 1 가이드 대응부와,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제 2 가이드 대응부가 포함되는 스위블 홀더; 상기 스위블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블을 가압하는 압력판; 및 상기 압력판과 상기 베이스가 결합되도록 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블 홀더; 상기 스위블 홀더의 전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블; 및 상기 베이스의 전면 및 상기 스위블 홀더의 배면과, 상기 스위블 홀더의 전면 및 상기 스위블의 배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블 홀더와 상기 스위블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이동 방향이 결정되며, 상기 스위블이 적어도 2 자유도를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의 전면 및 상기 스위블 홀더의 배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는, 상기 스위블 홀더의 전면 및 상기 스위블의 배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는 베이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되는 스위블; 상기 스위블이 안착되어 소정 범위에서 동작될 수 있는 스위블 홀더;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각도 조절 장치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에 의하면, 가이드부인 요철부가 베이스, 스위블 홀더, 스위블 등에 형성되어, 각도 조절 장치의 자유도가 증대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 조절 장치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요구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시 범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각도 조절 장치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에 의하면, 가이드부가 소정 길이로 형성된 오목부 및 볼록부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가 상호간에 맞물리며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 조절 장치가 일정한 방향, 예를 들어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각도 조절 장치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보이는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도 조절 장치에 대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전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에 채용되는 스페이서를 보이는 전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페이서를 보이는 배면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면을 향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하측으로 각도 조절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측으로 각도 조절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면을 향한 상태를 보이는 평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우측으로 각도 조절된 상태를 보이는 평면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측으로 각도 조절된 상태를 보이는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 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가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보이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도 조절 장치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100)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110), 스위블 홀더(120), 스위블(130) 및 압력판(140)을 구비한다. 상기 물품들은 샤프트(170)에 의해 관통되어 상호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물품들이 상기와 같은 순서로 배치되어, 상호간에 소정 각도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각도 조절 장치(1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물품들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물품들을 지지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소정 반경을 가지는 원형 형상의 홀더 안착부(113)와, 상기 홀더 안착부(113)의 하측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지지대(114)를 가진다.
상세히, 상기 홀더 안착부(113)는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소정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이루어, 상기 스위블 홀더(120)가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홀도 안착부(113)이 대략 중앙부에는 소정 길이로 돌출된 샤프트 삽입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삽입부(115)의 내부에는 샤프트 삽입홀(116)이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 삽입홀(116)에 상기 샤프트(170)가 삽입된다. 상기 샤프트(170)는 상기 샤프트 삽입홀(116)에 삽입되어 신뢰성있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14)는 도시된 상기 홀더 안착부(113)의 하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홀더 안착부(113)를 지지한다. 상기 홀더 안착부(113)에는 소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된 스위블(130)을 지지하는 상기 스위블 홀더(120)가 결합되므로, 상기 지지대(114)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14)의 하단부에는 상기 각도 조절 장치(10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플레이트(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위블 홀더(120)는 상기 베이스(1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블(130)을 지지한다. 상기 스위블 홀더(120)는 소정 반경을 가지는 원형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스위블 홀더(120)는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소정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이룬다. 상세히,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배면부는 상기 베이스(110)의 홀더 안착부(113)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만곡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블 홀더(120) 의 전면부도 소정 곡률로 만곡될 수 있다. 그 제조의 편의 등을 위하여,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전면부의 곡률은 그 배면부의 곡률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중앙부에는 상기 샤프트(170)가 관통되는 제 3 샤프트 관통홀(123)이 형성된다.
상기 스위블(130)은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한다. 상기 스위블(130)은 상기 압력판(140)이 안착되는 압력판 안착부(132)와, 상기 압력판 안착부(132)의 외곽에 형성되는 패널 형상의 디스플레이 고정부(131)를 가진다.
상기 압력판 안착부(132)는 소정 반경을 가지는 원형 형상을 이루고, 그 배면부는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소정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이룬다. 상세히, 상기 압력판 안착부(132)의 배면부는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전면부의 곡률과 동일할 곡률로 만곡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판 안착부(132)의 중앙부에는 상기 샤프트(170)가 관통되는 제 2 샤프트 관통홀(133)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131)는 상기 압력판 안착부(132)의 외곽을 따라 소정 넓이를 가지는 패널 형상을 이룬다.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131)에는 디스플레이 고정홀(136)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홀(136)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131)에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홀(136)은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131)의 네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크기에 부합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홀(1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홀(137) 및 제 2 고정홀(13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부합되는 상기 제 1 고정홀(137) 또는 상기 제 2 고정홀(138)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각도 조절 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판(140)은 소정 반격을 가지는 원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압력판 안착부(132)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압력판 안착부(132)와 동일한 곡률로 만곡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판(140)의 중앙부에는 상기 샤프트(170)가 삽입되는 제 1 샤프트 관통홀(1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력판(140)에는 복수 개의 지지 리브(142)가 형성되어, 그 내구력이 향상된다.
상기 샤프트(170)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샤프트 관통홀(143)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 삽입홀(116)에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샤프트(170)는 상기 압력판(140), 상기 스위블(130), 상기 스위블 홀더(120) 및 상기 베이스(110)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물품들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170)의 결합 시에, 평 와셔(160) 및 스프링 와셔(150)가 더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평 와셔(160) 및 상기 스프링 와셔(150)가 이용되면, 상기 샤프트(170)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물품들에 가해지는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110)의 홀더 안착부(113)에는 요철부인 소정 높이로 형성된 베이스 볼록부(111) 및 소정 깊이로 형성된 베이스 오목 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배면부에는 상기 베이스 볼록부(111) 및 상기 베이스 오목부(112)에 각각 대응되는 홀더 배면 오목부(121) 및 홀더 배면 볼록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볼록부(111), 상기 베이스 오목부, 상기 홀더 배면 오목부(121) 및 상기 홀더 배면 볼록부(122)는 각각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볼록부(111)는 상기 홀더 배면 오목부(121)에 끼워지고, 상기 홀더 배면 볼록부(122)는 상기 베이스 오목부(112)에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요철부(111, 112, 121, 122)는 상기 베이스(110)에 대한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상대적인 운동의 방향 및 운동의 정도를 가이드한다. 즉, 상기 요철부(111, 112, 121, 122)가 형성된 방향과 길이에 따라,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운동 방향 및 운동 정도가 구속된다. 상기 홀더 안착부(113)와,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배면부는 동일한 곡률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위블 홀더(120)는 상기 베이스(11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전면부에는 요철부인 소정 높이로 형성된 홀더 전면 볼록부(124) 및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홀더 전면 오목부(1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블(130)의 압력판 안착부(132)의 배면부에는 상기 홀더 전면 볼록부(124) 및 상기 홀더 전면 오목부(125)에 각각 대응되는 스위블 오목부(134) 및 스위블 볼록부(135)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 전면 볼록부(124), 상기 홀더 전면 오목부(125), 상기 스위블 오목부(134) 및 상기 스위블 볼록부(135)는 각각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 전면 볼록부(124)는 상기 스위블 오목부(134)에 끼워지고, 상기 홀더 전면 오목부(125)는 상기 스위블 볼록부(135)에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요철부(124, 125, 134, 135)는 상기 스위블 홀더(120)에 대한 상기 스위블(130)의 상대적인 운동의 방향 및 운동의 정도를 가이드한다. 즉, 상기 요철부(124, 125, 134, 135)가 형성된 방향과 길이에 따라,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운동 방향 및 운동 정도가 구속된다.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전면부와, 상기 압력판 안착부(132)의 배면부는 동일한 곡률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위블(130)은 상기 스위블 홀더(12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볼록부(111), 상기 베이스 오목부(112), 상기 홀더 배면 오목부(121) 및 상기 홀더 배면 볼록부(122) 전체와, 상기 홀더 전면 볼록부(124), 상기 홀더 전면 오목부(125), 상기 스위블 오목부(134) 및 상기 스위블 볼록부(135) 전체는 상호간에 소정 각도를 이룬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볼록부(111), 상기 베이스 오목부(112), 상기 홀더 배면 오목부(121) 및 상기 홀더 배면 볼록부(122) 전체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면, 상기 홀더 전면 볼록부(124), 상기 홀더 전면 오목부(125), 상기 스위블 오목부(134) 및 상기 스위블 볼록부(135) 전체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두 가이드부 상호간에 소정 각도를 이룸으로써, 상기 각도 조절 장치(100)의 자유도가 증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도 조절 장치(100)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의 2 자유도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각도 조절 장치(100)의 자유도가 증대되면, 상기 각도 조절 장치(1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요구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시 범위가 용이하게 조절 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각도 조절 장치(1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 장치(100)에 의하면, 가이드부가 소정 길이로 형성된 오목부 및 볼록부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가 상호간에 맞물리며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 조절 장치가 일정한 방향, 예를 들어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각도 조절 장치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수평, 수직 조절이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요철부(111, 112, 121, 122, 124, 125, 134, 135)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소정 간격으로 교번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의 길이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볼록부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상기 오목부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베이스(110)의 전면에는 스위블 홀더(120)가 안착된다. 상기 베이스(110)의 전면과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배면은 면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의 베이스 볼록부(111) 및 베이스 오목부(112)는 각각 그에 대응되는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홀더 배면 오목부(121) 및 홀더 배면 볼록부(122)에 맞춰진다. 그러면,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스위블 홀더(120)가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스위블 홀더(120) 사 이의 상대적인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전면에는 스위블(130)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블(130)의 압력판 안착부(132)의 전면에는 압력판(140)이 안착된다. 그 후, 상기 베이스(110)에서 돌출된 샤프트 삽입부(115)에 샤프트(170)가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110), 상기 스위블 홀더(120), 상기 스위블(130) 및 상기 압력판(140)의 결합 상태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 삽입부(115)의 말단부 및 상기 압력판(140)의 샤프트 관통홀(143)의 말단부와, 상기 샤프트(170) 사이에 평와셔(160) 및/또는 스프링 와셔(150)가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샤프트 삽입부(115)의 말단부 및 상기 압력판(140)의 샤프트 관통홀(143)의 말단부와, 상기 샤프트(170) 사이의 마찰력이 조절될 수 있어, 상기 샤프트 삽입부(115)의 말단부 및 상기 압력판(140)의 샤프트 관통홀(143)의 말단부와, 상기 샤프트(170) 사이의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베이스(110)의 전면에 스위블 홀더(120), 스위블(130) 및 압력판(140)이 순차적으로 안착된다. 상기 물품들은 샤프트(170)에 의해 관통되어, 상호간의 결합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위블(130)의 압력판 안착부(132)는 소정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이룬다.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전면과 상기 압력판 안착부(132)의 배면은 면접촉된다. 상기 압력판 안착부(132)의 스위블 볼록부(135) 및 스위블 오목부(134)는 각각 그에 대응되는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홀더 전면 오목부(125) 및 홀더 전면 볼록부(124)에 맞춰진다. 그러면, 상기 스위블 홀더(120)와 상기 스위블(130)이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블 홀더(120)와 상기 스위블(130)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에 채용되는 스페이서를 보이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페이서를 보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스페이서(180)에는 원통형의 몸체(181)와, 상기 몸체(181) 내부에 형성되는 조임부(182)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81)는 소정 직경과 길이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물품이다. 이러한 몸체(181) 내부에 상기 조임부(182)가 다수 개로 형성된다. 상기 조임부(182)는 상기 몸체(181)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말단부가 소정 거리로 상호간에 개방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조임부(182)는 탄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다수 개의 조임부(182) 사이로 볼트 등의 결합 부재가 삽입되면, 상기 조임부(182)의 탄성에 의해 상기 결합 부재가 가압된다. 이에 대하여는 도 10을 통해 상술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페이서(180)의 외벽을 이루는 몸체(181) 내부에는 다수 개의 조임부(18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조임부(182) 사이의 공간은 조임홀(183)로 정의된다. 상기 조임홀(183)에는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각도 조절 장치(100)에 설치하기 위한 물품이다.
상기 다수 개의 조임홀(182)에 의해 이루어지는 사이 공간은 상호간에 개방된 원형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이 공간을 원으로 가정할 때, 상기 조임홀(183)의 일측의 직경 D1은 타측의 직경 D2보다 소정 크기만큼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직경 D1은 삽입되는 결합 부재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직경 D2는 상기 결합 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결합 부재가 직경 D1으로 이루어진 상기 조임홀(183)의 일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된 다음, 직경 D2로 이루어진 상기 조임홀(183)의 타측으로 억지 끼움되며 관통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다수 개의 조임부(182)는 상호간에 이격되어, 복원력이 발생된다.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임홀(183) 내부에 삽입된 결합 부재가 가압되어, 상기 스페이서(180)와 상기 결합 부재가 결합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각도 조절 장치(100)의 전면에 스페이서(180)가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180)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90)가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각도 조절 장치(100)의 스위블(13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고정홀(136)에 결합 부재가 관통된다.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스페이서(180)를 관통한 다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90)의 소정 부위에 결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180)는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스페이서(180)와 상기 결합 부재 사이의 결합이 견고해진다.
상기와 같이, 스페이서(180)가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 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각도 조절 장치(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90)의 결합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80)가 채용됨으로써, 상기 각도 조절 장치(100)의 일 부분, 상세히 상기 스위블(130)의 디스플레이 고정부(131) 등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90)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도 조절 장치(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90) 사이의 결합이 요구되는 결합 상태대로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동작을 보이는 도면들이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동작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수행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가이드부인 요철부의 형성 각도 조절 등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동작의 방향은 요구되는 방향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방향의 동작은 스위블링(swivelling)으로, 상하 방향의 동작은 틸팅(tilting)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방향에 대한 각도 조절 동작을 보이는 측면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면을 향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하측으로 각도 조절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측으로 각도 조절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각도 조절 장치(100)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90)가 설치된다. 상기 각도 조절 장치(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90) 사이에는 스페이서(180)가 배치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90)가 각도 조절 장치(100)에 설치된 상태로, 대략 10° 하측(도 13 참조) 또는 상측(도 14 참조)으로 틸팅된 상태이다. 상세히, 압력판(140)과 스위블 홀더(120) 사이에서 소정 압력으로 가압된 스위블(130)이 상기 압력판(140)과 상기 스위블 홀더(120) 사이에서 동작된다. 그러면,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디스플레이 고정부(131)에 고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90)가 틸팅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은 틸팅은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홀더 전면 오목부/볼록부(125)(124)와, 상기 스위블(130)의 스위블 볼록부/오목부(135)(134)에 의해 가이드된다. 따라서, 상기 틸팅이 상하 방향으로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틸팅 과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90)의 평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180)에 의해, 상기 각도 조절 장치(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90) 사이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물품들의 간섭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90)가 원활하게 틸팅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방향에 대한 각도 조절 동작을 보이는 평면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면을 향한 상태를 보이는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우측으로 각도 조절된 상태를 보이는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측으로 각도 조절된 상태를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각도 조절 장치(100)의 전면에 스페이서(180)와, 디스플레이 장치(190)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90)가 각도 조절 장치(100)에 설치된 상태로, 대략 10° 우측(도 16 참조) 또는 좌측(도 17 참조)으로 스위블링된 상태이다. 상세히, 압력판(140)과 스위블 홀더(120) 사이에서 소정 압력으로 가압된 스위블(130)이 상기 압력판(140)과 상기 스위블 홀더(120) 사이에서 동작된다. 그러면,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디스플레이 고정부(131)에 고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90)가 스위블링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은 스위블링은 상기 스위블 홀더(120)의 홀더 배면 오목부/볼록부(121)(122)와, 상기 베이스(110)의 베이스 볼록부/오목부(111)(112)에 의해 가이드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블링이 좌우 방향으로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스위블링 과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90)의 평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180)가 배치되어, 상기 물품들의 간섭이 방지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90)가 원활하게 틸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 치의 각도 조절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Claims (20)

  1. 일면이 소정 곡률로 만곡되고, 그 만곡된 면에 소정 길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를 가진 베이스;
    적어도 일면이 소정 곡률로 만곡되고, 그 만곡된 면에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소정 길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가이드부를 가진 스위블;
    후면이 상기 베이스와 동일 곡률로 만곡되고, 전면이 상기 스위블과 동일 곡률로 만곡되며,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제 1 가이드 대응부와,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제 2 가이드 대응부가 포함되는 스위블 홀더;
    상기 스위블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블을 가압하는 압력판; 및
    상기 압력판과 상기 베이스가 결합되도록 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가이드 대응부와, 상기 제 2 가이드 및 상기 제 2 가이드 대응부는 각각 상호간에 대응되는 요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 대응부는 상호 길이가 다른 함몰부와 돌출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교번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길이는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돌출부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소정 각도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또는 상기 제 1 가이드 대응부와 상기 제 2 가이드 대응부는 수직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홀더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블 홀더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8.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블 홀더;
    상기 스위블 홀더의 전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블; 및
    상기 베이스의 전면 및 상기 스위블 홀더의 배면과, 상기 스위블 홀더의 전면 및 상기 스위블의 배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블 홀더와 상기 스위블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이동 방향이 결정되며,
    상기 스위블이 적어도 2 자유도를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의 전면 및 상기 스위블 홀더의 배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는, 상기 스위블 홀더의 전면 및 상기 스위블의 배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 상기 스위블 및 상기 스위블 홀더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2 자유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호간에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12.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되는 스위블;
    상기 스위블이 안착되어 소정 범위에서 동작될 수 있는 스위블 홀더;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각도 조절 장치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호간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위블 홀더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위블 홀더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켜,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별도의 결합 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조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원통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도 조절 장치.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어도 2 자유도를 가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KR1020087009413A 2005-10-19 2005-10-19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KR100977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5/003493 WO2007046563A1 (en) 2005-10-19 2005-10-19 Angle regulat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119A KR20080049119A (ko) 2008-06-03
KR100977441B1 true KR100977441B1 (ko) 2010-08-24

Family

ID=3796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413A KR100977441B1 (ko) 2005-10-19 2005-10-19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7441B1 (ko)
WO (1) WO2007046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30815B (zh) 2007-06-29 2014-10-22 德雷格医疗系统股份有限公司 用于监视器和其他装置的倾斜和旋转安装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4616B1 (en) * 1999-12-14 2003-11-11 Fujitsu Limited Tilt swivel stand
US20040084585A1 (en) 2001-12-13 2004-05-06 Atsushi Watanabe Direction regulator of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0191A (en) * 1984-07-05 1989-11-14 Unisys Corporation Mounting arrangement for display terminal
KR860002282Y1 (ko) * 1984-09-25 1986-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의 스위블(swivel) 및 틸트(tilt)고정장치
JP2654750B2 (ja) * 1993-10-28 1997-09-17 日本コントロール工業株式会社 揺動機台
KR19990024496U (ko) * 1997-12-12 1999-07-05 윤종용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원활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
US6189842B1 (en) * 1999-06-21 2001-02-20 Palo Alto Design Group Tilt and swivel adjustment of flat panel display having detents for landscape and portrait positions and kickout for preventing contact between flat panel display and base
US6510049B2 (en) * 2000-01-06 2003-01-21 Rosen Products Llc Adjustable display monitor unit
JP2004102152A (ja) * 2002-09-12 2004-04-02 Sharp Corp スタン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4616B1 (en) * 1999-12-14 2003-11-11 Fujitsu Limited Tilt swivel stand
US20040084585A1 (en) 2001-12-13 2004-05-06 Atsushi Watanabe Direction regulator of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119A (ko) 2008-06-03
WO2007046563A1 (en) 200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647B2 (en) Monitor mounting apparatus
US7232098B2 (en) Stand for supporting a display in multiple orientations and a display used in combination with said stand
US6047939A (en) Adjustable support structure for video appliance
US7249739B2 (en) Display stand
US7621500B2 (en) Display holding device
EP1811223B1 (en) Display support mechanism
KR100710078B1 (ko) 모니터장치
US8508933B2 (en) Docking station and portable computer having the same and a method of connecting the docking station and portable computer
KR20070030714A (ko) 디스플레이장치
US7665185B2 (en) Incremental locking hinge assembly
KR1009774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US20100230557A1 (en) As accessory for use with a portable device
JP2007094285A (ja) ディスプレイ取付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の取付構造
JP3110700U (ja) 薄型テレビの壁掛け装置
KR101009572B1 (ko) 노트북 거치대
KR101480548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1566027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 장치
KR20100074745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JP4915674B2 (ja) 間仕切りパネルの連結装置
KR100833628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 조절 장치
KR20130066853A (ko)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JP2005211245A (ja) 椅子の肘掛け装置
KR101400551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0147159B1 (ko) 모니터용 스탠드조립체
KR101655755B1 (ko) 거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