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551B1 -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551B1
KR101400551B1 KR1020080056245A KR20080056245A KR101400551B1 KR 101400551 B1 KR101400551 B1 KR 101400551B1 KR 1020080056245 A KR1020080056245 A KR 1020080056245A KR 20080056245 A KR20080056245 A KR 20080056245A KR 101400551 B1 KR101400551 B1 KR 101400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topper
base
rotat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0551A (ko
Inventor
김문환
이득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6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551B1/ko
Priority to CNA2008101767180A priority patent/CN101392860A/zh
Publication of KR20090130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의 스탠드는, 넥크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넥크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회전 가이드 유닛; 및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 유닛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지주부가 포함된다.
스탠드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Stand for a display device}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기는 화면을 시청하는 기기로서, 근래들어서는 부피를 크게 차지하는 음극선관 형식에서 탈피하여 엘씨디 방식 또는 PDP 방식으로 동작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이동이 쉽게 되는 장점이 있고, 나아가서, 회전운동이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장점을 이용하여 근래들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기기-특히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거의 모두가 좌우 회전-이를 스위블(swivel) 이라고 한다-이 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에 무관하게 어디에서라도 디스플레이 기기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간단하게 디스플레이 기기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기를 시청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구조의 단순화, 강도의 향상 및 조립성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넥크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넥크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회전 가이드 유닛; 및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 유닛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지주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지지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주부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지주부와 상기 회전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체결되는 베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스토퍼의 상측에서 상기 스토퍼 및 상기 베이스에 체결 부재가 체결되고, 상기 지주부의 상측에서 상기 지주부 및 상기 회전부에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지지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주부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범위 내의 일 지점에서 상기 회전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 부재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회전 가이드 유닛이 상기 넥크부의 상측에 구비되므로, 상기 스탠드의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스토퍼의 상측에서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스토퍼와 상기 넥크부와 고정되고, 상기 지주부의 상측에서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지주부와 상기 회전부와 고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가 상기 지주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넥크부에 대해서 회전하므로, 상기 지주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디스플레이 기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가 상기 넥크부의 상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회전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무게 중심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가가 좌우 회전(스위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2)는,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1)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스탠드(2)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하측에 결합되는 지주부(21)와, 상기 지주부(2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주부(21)를 지지하는 베이스(2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2)와 상기 지주부(21)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와 연결된 상기 지주부(21)가 상기 베이스(22)에 대해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 유닛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회전 가이드 유닛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21)에는, 베이스 커버(221)와, 상기 베이스 커버(221)의 하측에 체결되는 베이스 프레임(228)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커버(221)의 상측에 상기 회전 가이드 유닛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가이드 유닛의 상측에서 상기 지주부(21)가 상기 회전 가이드 유닛에 체결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커버(221)에는 네크부(222)가 포함된다. 상기 네크부(222)는 상기 베이스 커버(22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네크부(222)의 상측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유닛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223)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23)는 상기 네크부(222)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28)은 바닥면에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베이스 커버(221)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하중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28)은 일 례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28)에는, 상기 베이스 커버(221)와 체결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홀(229)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228)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다수의 포밍부(229a)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 유닛에는, 상기 수용부(223)에 안착되는 회전부(23)와, 상기 회전부(23)의 상측에 안착되는 슬라이딩 부재(24)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24)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23)의 회전 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25)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23), 상기 슬라이딩 부재(24) 및 상기 스토퍼(25)는 상기 수용부(223)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회전부(23)는 상기 지주부(21)와 체결되어 상기 지주부(21)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스토퍼(25)는 상기 네크부(222)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23)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정지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24)는 상기 회전부(23)와 상기 스토퍼(25)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회전부(23)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스탠드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커버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커버(221)에는 상기 네크부(222)가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상기 네크부(222)의 상측에는 상기 수용부(223)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23)에는 상기 스토퍼(25)가 안착되는 스토퍼 안착부(224)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는 상기 수용부(223)의 저면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는 상기 회전부(23)를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가 상기 회전부(23)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는 상기 회전부(23)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즉,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는 상기 회전부(23)의 회전축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에는 상기 스토퍼(25)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 돌기(225)가 돌출 형성된다. 도 3은 상기 베이스 커버(221)의 단면 사시도로서 하나의 가이드 돌기(225)가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나, 도 1과 같이 상기 베이스 커버(221) 전체적으로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22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에는 상기 스토퍼(25)와 체결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체결 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홀(22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223)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부(23)의 회전시 상기 수용부(223)의 저면과 상기 회전부(23)의 마찰 면적이 줄어들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홈(227)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홈(227)은 상기 네크부(222)의 상측에서 볼 때 각각 원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부(223)의 저면과 상기 회전부(23)의 마찰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223)의 저면에 다수의 홈(227)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와 달리 상기 수용부(223)의 저면에 원형 형상으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223)의 저면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23)는 상기 수용부(223)의 저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23)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23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23)는 일 례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23)의 두께는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의 상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32)은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3)의 상측에는 상기 지주부(21)와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부(234)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체결부(234)는 상기 회전부(23)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상기 다수의 체결부(234) 중에서, 두 개의 체결부(235, 236)는 상기 회전부(23)의 회전시 상기 스토퍼(25)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회전부(23)가 정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두 개의 체결부(235, 236)는 상기 회전부(23)가 정지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두 개의 체결부(235, 236)를 제 1 가이드(235) 및 제 2 가이드(236)라 이름하기로 한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24)는 상기 회전부(23)의 상측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24)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24)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242)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24)의 상면에는 상기 스토퍼(25)와의 마찰 면적을 줄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24)가 상기 스토퍼(25)에 대해서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244)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리브(244)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측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24)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부(23)와의 마찰 면적을 줄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24)와 상기 회전부(23)의 상대 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24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리브(244)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24)와 상기 회전부(23)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24)와 상기 스토퍼(25)의 마찰 면적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리브(244)의 두께 또는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24)와 상기 회전부(23)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24)와 상기 스토퍼(25)의 마찰 면적을 조절하여 적절한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25)는 상기 회전부(23)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24)를 관통한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에 안착된다.
상기 스토퍼(25)에는 상기 네크부(222)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홀(254)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5)의 체결홀(254)은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의 체결홀(226)과 동일한 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25)에는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돌기(225)가 삽입되기 위한 돌기 삽입홀(25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25)가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에 안착되어, 상기 각 가이드 돌기(225)가 상기 각 돌기 삽입홀(252)에 삽입되면, 상기 스토퍼(25)의 다수의 체결홀(254)과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의 다수의 체결홀(226)이 정렬된다.
상기 스토퍼(25)의 양측부에는, 상기 회전부(23)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이드(235) 또는 제 2 가이드(236)와 접하여 상기 회전부(23)가 정지되도록 하는 제 1 정지 가이드부(255) 및 제 2 정기 가이드부(256)가 형성된다.
상기 각 정지 가이드부(255, 256)는 함몰되어 형성되며, 일 부분은 실질적으로 상기 각 가이드(235, 236)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정지 가이드부(255, 256)는 상기 회전부(23)의 회전시 상기 각 가이드(235, 236)의 회전 궤적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23)가 일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상기 제 1 가이드(235)가 상기 제 1 정지 가이드(255)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회전부(23)의 회전이 정지된다. 반대로, 상기 회전부(23)가 타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제 2 가이드(236)가 상기 제 2 정기 가이드(256)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회전부(23)의 회전이 정지된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스탠드의 결합 과정에서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프레임(228)의 상측에 상기 베이스 커버(221)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네크부(222)의 수용부(223) 내부 저면에 상기 회전부(23)를 안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가 상기 회전부(23)를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23)의 상측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24)를 안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25)를 관통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의 상기 가이드 돌기(225)와 상기 스토퍼(25)의 돌기 삽입홀(252)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25)를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 돌기(225)는 상기 돌기 삽입홀(252)에 삽입되고, 상기 스토퍼 안착부(224)의 다수의 체결홀(226)과 상기 스토퍼(25)의 다수의 체결홀(254)이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각 체결홀(254, 226)에 체결 부재(S1)를 체결한다.
그 다음, 상기 회전부(23)의 체결부(234)와 상기 지주부(21)의 체결홀(211)을 정렬한 상태에서 상기 지주부(21)를 상기 넥크부(222)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체결부(234)의 상측 일부는 상기 지주부(21)의 하측에 삽입된다. 그 다음, 상기 체결홀(211) 및 체결부(234)에 체결 부재를 체결하면, 상기 스탠드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회전 가이드 유닛이 상기 넥크부의 상측에 구비되므로, 상기 스탠드의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스토퍼의 상측에서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스토퍼와 상기 넥크부가 고정되고, 상기 지주부의 상측에서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지주부와 상기 회전부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가 상기 지주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넥크부에 대해서 회전하므로, 상기 지주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주부(또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가 상기 넥크부의 상측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회전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무게 중심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좌우 회전(스위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와 스토퍼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회전부가 기준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b)는 회전부가 일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c)는 회전부가 타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8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기준 위치라 함)에서는, 상기 회전부(23)의 각 가이드(235, 236)가 상기 스토퍼(25)의 각 정지 가이드부(255, 256)와 이격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부가 양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8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도 8의 (b)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가 일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회전부(23)의 제 1 가이드(235)가 상기 스토퍼(25)의 제 1 정지 가이드부(255)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회전부(23)가 정지된다.
반대로, 도 8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도 8의 (c)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타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부(23)의 제 2 가이드(236)가 상기 스토퍼(25)의 제 2 정지 가이드부(256)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회전부(23)가 정지된다.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가 베이스 커버의 넥크부에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회전부가 상기 넥크부에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베이스 커버의 넥크부와 회전부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베이스 커버(321)에는 넥크부(322)가 형성되고, 상기 넥크부(322)의 상측에는 회전부(33)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3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323)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기준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33)와 결합되는 결합 부재(325)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323)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 부재(325)가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후크 부재(324)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부재(325)는 상기 수용부(323)의 내주면과 상기 후크 부재(324)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결합 부재(325)로는 일 례로 판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부재(325)는 중앙부 일부가 상기 수용부(323)의 중앙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돌출된다. 즉, 상기 결합 부재(325)에는 상기 회전부(33)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2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부(33)의 측면 둘레에는 한 쌍의 돌기(332)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돌기(332) 사이에 상기 결합부(326)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부(33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326)는 상기 회전부(33)가 기준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333)에 삽입된다.
상기 회전부(33)의 삽입부(333)에 상기 결합부(326)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33)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돌기(332) 중 하나의 돌기가 상기 결합부(326)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부(326)가 상기 수용부(323)의 내주면 측으로 탄성 변형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326)가 상기 삽입부(333)에서 빠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가 좌우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기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결합부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기준 위치에 쉽고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커버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사시도.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단면 사시도.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와 스토퍼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회전부가 기준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b)는 회전부가 일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c)는 회전부가 타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가 베이스 커버의 넥크부에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상기 회전부가 상기 넥크부에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Claims (14)

  1. 넥크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넥크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회전 가이드 유닛; 및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 유닛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지주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넥크부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 유닛에는,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지주부와 체결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넥크부와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안착되기 위한 스토퍼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안착부는 상기 회전부를 관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회전부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정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정지 가이드부가 포함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회전부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정지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복수의 가이드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 및 상기 가이드에 체결 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와 상기 지주부가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넥크부에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 범위 내의 일 지점에서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는 결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결합 부재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8. 디스플레이 기기가 지지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주부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체결되는 베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스토퍼의 상측에서 상기 스토퍼 및 상기 베이스에 체결 부재가 체결되고,
    상기 지주부의 상측에서 상기 지주부 및 상기 회전부에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스토퍼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가 함몰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안착되기 위한 스토퍼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안착부에는 상기 스토퍼와 체결되는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회전부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정지되도록 하 는 복수의 정지 가이드부가 포함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정지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복수의 가이드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2. 디스플레이 기기가 지지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주부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범위 내의 일 지점에서 상기 회전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 부재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결합 부재가 고정되기 위한 복수의 후크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결합 부재는 탄성 운동 가능하며,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포함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부의 상방에서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20080056245A 2008-06-16 2008-06-16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1400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245A KR101400551B1 (ko) 2008-06-16 2008-06-16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CNA2008101767180A CN101392860A (zh) 2008-06-16 2008-11-13 显示器械的托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245A KR101400551B1 (ko) 2008-06-16 2008-06-16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551A KR20090130551A (ko) 2009-12-24
KR101400551B1 true KR101400551B1 (ko) 2014-05-28

Family

ID=4049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245A KR101400551B1 (ko) 2008-06-16 2008-06-16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0551B1 (ko)
CN (1) CN10139286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248B1 (ko) 2004-02-23 2005-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용 수평 회전 장치
KR20070030714A (ko) * 2005-09-13 2007-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816447B1 (ko) 2006-09-29 2008-03-25 곽수만 평판형 텔레비젼용 스탠드장치
KR100825931B1 (ko) 2007-02-02 2008-04-29 주식회사 우성엔터프라이즈 힌지유닛이 독립 구비된 tv 모니터 스탠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248B1 (ko) 2004-02-23 2005-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용 수평 회전 장치
KR20070030714A (ko) * 2005-09-13 2007-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816447B1 (ko) 2006-09-29 2008-03-25 곽수만 평판형 텔레비젼용 스탠드장치
KR100825931B1 (ko) 2007-02-02 2008-04-29 주식회사 우성엔터프라이즈 힌지유닛이 독립 구비된 tv 모니터 스탠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92860A (zh) 2009-03-25
KR20090130551A (ko)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6925B2 (en) Display support mechanism
US7621500B2 (en) Display holding device
US20030122046A1 (en) Support b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US20070045488A1 (en) Display apparatus
US20020020792A1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screen of monitor
US20120120626A1 (en)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KR201900244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1351011A2 (en) Monitor
JP5668423B2 (ja) ポータブル機器固定装置
KR101400551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20100074745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101566027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 장치
KR101473006B1 (ko) 스탠드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기
KR20100012517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JP4770305B2 (ja) 画像表示装置
KR1025901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243270A (ja) 画像表示装置の取付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床頭台
WO2007037565A1 (en) Angle adjustment apparatus of display device
KR101480548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0833628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 조절 장치
KR20120041607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09774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US8256724B2 (en) Display device
JP3096758U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支持台
KR101464755B1 (ko) 디스플레이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