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496U -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원활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 - Google Patents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원활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496U
KR19990024496U KR2019970036968U KR19970036968U KR19990024496U KR 19990024496 U KR19990024496 U KR 19990024496U KR 2019970036968 U KR2019970036968 U KR 2019970036968U KR 19970036968 U KR19970036968 U KR 19970036968U KR 19990024496 U KR19990024496 U KR 199900244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monitor
surface portion
fel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36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496U/ko
Publication of KR199900244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496U/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음극선관을 가진 디스플레이모니터의 모니터본체를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하는데 있어 균일한 동작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하여 원활한 동작이 도모되도록 개선한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원활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모니터본체의 보텀부에 고정되는 스탠트톱과 상기 스탠트톱이 틸트 및 스위블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스탠드베이스에 조립되는 스탠드로서, 상기 스탠드톱 하부에 형성되는 만곡면부와 접촉되고 슬립운동되는 스탠드베이스의 슬립면에 균등 간격으로 펠트가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원활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
본 고안은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음극선관을 가진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니터본체를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하는데 있어 균일한 동작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하여 원활한 동작이 도모 되도록 개선된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원활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음극선관을 가진 디스플레이모니터는, 상기 음극선관이 상당한 무게를 가질뿐만 아니라 이것과 더불어서 메인회로부 및 비데오회로부와 기타 여러 가지 부품이 내장됨에 따라 모니터본체 무게는 상당한 하중이 나간다.
이러한 모니터본체를 가진 디스플레이모니터는 무거운 하중이 나가는 모니터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를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는 모니터본체 바닥에 고정되는 스탠드톱(STAND TOP)과, 상기 스탠드톱이 움직일수 있도록 결합되는 스탠드베이스(STAND BASE)로 구성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탠드베이스로부터 스탠드톱이 움직이도록 하는 것은 이미 알려진바와 같이 화면디스플레이 각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스탠드는 모니터본체 하중에 충분히 견딜수 있도록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받칠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모니터화면을 정지시킬 수 있으면서도 화면 회전각도를 일정한 범위내에서 제어되도록 하여야 하는 최소한의 조건에 부합되게 구성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상기 조건을 갖도록 제조된 선행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 일예를 보여준다. 여기에 나타낸 스탠드(2)는 가장 기본적인 구조의 스탠드형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스탠드(2)를 구성하는 스탠드톱(4)이 모니터본체(1)와 분리되게 제조되어 나중에 결합되는 것이 있는 한편 상기 스탠드톱(4)이 모니터본체(1)와 일체로 구성되어 스탠드베이스와 조립되는 스탠드 타입(한국특허공고번호 제 96 - 14143호참조)이 있으며, 아울러서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선행기술은 모니터본체(1)에 스탠드톱(4)이 고정되는 타입의 스탠드(2)를 하나의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즉, 스탠드(2)는 하중이 무거운 모니터본체(1)를 안정적으로 받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탠드베이스(3)가 넓은 보텀부(3a)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보텀부(3a) 상부에는 중심방향으로 하향되도록 경사지는 원형의 경사면부(3b)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원형경사면부(3b)에는 모니터본체(1)의 저면부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스탠드톱(4)의 만곡면부(4a)가 슬립 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고정부(5)의 걸림스냅(5a)이 장공(4b)을 통과하여 보스(3c)의 걸림구멍(3d)에 끼워져 결합되고, 아울러서 스크류(6)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스탠드베이스(2)로부터 스탠드톱(4)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상기 스탠드톱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탠드(2)는 모니터본체(1)의 하중이 스탠드톱(4)을 거처 스탠드베이스(3)에 실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스탠드톱에 실리게 되는 하중은 그것의 만곡면부로부터 이것과 접촉되는 스탠드베이스의 원형경사면부에 집중적인 하중이 실리게 된다.
그러므로 모니터본체의 화면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움직임이 따를때에 모니터본체 하중 집중력을 받게되는 스탠드톱의 만곡면부와 스탠드베이스의 원형경사면부의 마찰력이 매우 크게 작용된다.
특히, 스탠드베이스의 원형경사면부와 스탠드톱의 만곡면부가 접촉되는 면적이 상기 원형경사면부 전체에 걸처 접촉되므로 마찰력은 더욱 클것이며, 그에따라 화면각도 조절에 따른 스탠드톱의 움직임이 있을때 마찰저항력이 커지므로서 잘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종전에는 스탠드톱의 움직임을 좋게 하기 위하여 스탠드톱의 만곡면부와 접촉되는 스탠드베이스의 원형경사면부 표면에 윤활물질(LUBRICANT)을 도포시켜 마찰력 감소에 따른 보다 원활한 동작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윤활물질을 이루는 루베리켄트(lubricant)는 분사식으로 프레온가스를 사용해야 하며 루베리켄트 자체 물질은 분리 수거하기가 대단히 어려우며 시간이 지나도 썩거나 분해되는 물질이 아니므로 흙이나 토양을 심각히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탠드는 플라스틱 사출성형물로 제조되므로 스탠드베이스로부터 스탠드톱의 움직임이 있을 때 그들이 접촉되는 만곡면부와 슬립면부의 마찰면적이 많고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마모에 따른 가루(일명 백화가루라고도 함)가 많이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PC/ABS레진을 썼을 경우 백화가루가 많이 발생되어 소비자가 화면각도 조절을 위한 틸트 및 스위블 동작을 시켰을 경우 백화가루가 스탠드베이스쪽에 떨어져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루베리켄트는 스탠드톱의 2개소에 뿌리도록 설계상 되어 있지만 기계로 뿌려지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직접 분사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도포량에 따라 스탠드베이스로부터 움직이게 되는 스탠드톱이 빡빡하거나 헐겁게 움직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령 루베리켄트의 과다 도포에 의한 헐거움이 발생되는 때는 모니터 자체가 무게중심을 잡지 못해서 음극선관이 고개를 숙이고 있게 되는 상태가 되거나 또는 하늘을 보게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것은, 즉 루베리켄트를 수작업으로 분사하는 그날 작업자의 컨디션에 따라 틸트와 스위블의 품질 문제가 결정되는 매우 비과학적이고 어처구니 없는 결과가 초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형태의 스탠드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예컨데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4-13618 호에 개시된 스탠드의 경우이다.
상기 선출원되어 개시된 스탠드의 경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스탠드와는 결합구조를 비롯하여 화면 각도조절을 위한 구조가 다른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스탠드를 구성하는 스탠드베이스가 넓은 보텀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텀부 상부에는 원형경사면부를 형성하고 있는 한편, 스탠드톱은 상기 원형경사면부에 접촉되어 슬립되는 만곡면부를 형성하여 접촉되고 슬립 운동하는 구조는 동일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스탠드에서도 서로 면접촉되는 부분인 원형경사면부와 만곡면부의 마찰면적과 마찰력이 크고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백화가루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또한, 스탠드는 플라스틱성형물로 제조되므로 이들이 접촉되는 스탠드베이스의 원형경사면부와 스탠드톱의 만곡면부가 사출상태 및 온도변화 등에 의해 상기 접촉면부가 항상 진원 내지는 평활면을 이루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접촉면의 불균일로 인하여 화면디스플레이 각도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동작시에 원만한 슬립동작을 하지 못하고 덜컥거리거나 떨림등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초래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스탠드베이스와 스탠드톱으로 구성되는 스탠드에 있어 상기 스탠드가 모니터본체 하중을 지탱하고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화면디스플레이 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고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제품 신뢰성을 떨어 뜨리는 백화가루가 거의 발생되지 않게 하며 동작시에 균일한 동작력을 유지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스탠드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무거운 모니터본체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면서도 스탠드베이스와 스탠드톱이 상호 접촉되는 부분의 마찰면적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연구되었다.
본 고안에서 스탠드베이스와 스탠드톱의 상호 접촉되어 슬립운동되는 지점은 결과적으로 상기 스탠드베이스의 원형슬립면부와 스탠드톱의 만곡면부이다.
그러므로 이들의 접촉면부를 감소시켜 마찰력을 단순히 감소되도록 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기술상의 문제가 따르지는 않으나, 무거운 모니터본체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면서도 마찰력 감소가 되도록 하는 것은 상당한 연구가 필요로 되는 기술이며, 특히 디스플레이모니터의 규격이 클수록 모니터본체 하중은 더 많이 나가기 때문에 스탠드를 구성하는 스탠드베이스와 스탠드톱의 마찰력을 감소되도록 하고 덜컥거리거나 떨림현상과 같은 제반 문제를 수반하지 않게 하는데에는 새로운 기술이 필요로 된다.
또한,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을 하는데 있어 상,하방향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틸트(TILT)동작과 좌,우방향으로 선회되도록 하는 스위블(SWIVEL)동작에 원활성을 가져야 함과 동시에 조절후에는 모니터본체가 제자리에 머물러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고안에서는 스탠드베이스에서 모니터본체 하중을 균등하게 받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스탠드톱의 만곡부가 접촉되는 스탠드베이스의 부분에는 펠트(felt)가 고정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펠트와 스탠드톱의 만곡부가 접촉운동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고안은 모니터본체의 보텀부에 고정되는 스탠트톱과 상기 스탠트톱이 틸트 및 스위블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스탠드베이스에 조립되는 스탠드로서, 상기 스탠드톱 하부에 형성되는 만곡면부와 접촉되고 슬립운동되는 스탠드베이스의 슬립면에 균등 간격으로 펠트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일실시 형태의 스탠드를 나타낸 디스플레이모니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스탠드의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실시된 일실시 형태의 스탠드를 보인 디스플레이모니터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스탠드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이 실시된 도 4에 보인 스탠드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이 실시된 다른 실시형태의 스탠드를 보인 디스플레이모니터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스탠드의 조립 단면도,
도 8a는 도 6에 나타낸 스탠드를 구성하는 스탠드톱의 저면도,
도 8b는 도 6에 나타낸 스탠드를 구성하는 스탠드베이스의 평면도,
도 9은 도 8b의 A - A'선 확대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을 보인 개략적인
일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0 : 모니터본체 20,200 : 스탠드
23,230 : 스탠드베이스 23b,230b : 원형경사면부
24,240 : 스탠드톱 24b,240b : 만곡면부
30 : 펠트(felt)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를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실시된 일실시형태의 스탠드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보인 스탠드(20)는, 이것을 구성하는 스탠드톱(24)이 모니터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스탠드베이스(23)와 조립되는 타입의 스탠드이다.
상기 일실시형태의 스탠드(20)는 하중이 무거운 모니터본체(10)를 안정적으로 받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탠드베이스(23)가 넓은 보텀부(23a)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보텀부(23a) 상부에는 중심방향으로 하향되도록 경사지는 원형의 경사면부(23b)를 형성한다.
상기 원형경사면부(23b) 위쪽으로는 모니터본체(10)의 저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탠드톱(24)의 만곡면부(24b)가 유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셀렉터(23c)가 스탠드톱(24)의 장공(24e)을 통과하여 반회전됨에 따라 걸림리브(24a)가 이탈방지리브(23d)와 각도제어리브(23e)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조립됨으로써 스탠드베이스(23)로부터 스탠드톱(24)이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스탠드톱(24)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타입의 스탠드(20)이다.
이러한 일실시형태의 스탠드(20)에 있어 상기 스탠드베이스(23)는 프런트방향(F)과 리어방향(R)을 가지고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프런트 및 리어방향은 모니터본체(10)의 화면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방향이 프런트방향이고 그 반대가 리어방향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탠드베이스(20)의 프런트방향(F)쪽 정중앙에 위치하는 원형경사면부(23b) 및 이 부분과 120도 각도가 되는 부분에 펠트(30)가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펠트(30)는 양모 재질과 같은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마찰계수가 플라스틱재보다 높고, 또한 큐션이 있는 재질적인 특성이 있다.
또한, 상기한 펠트(30)는 원형경사면부(23b) 표면보다 약간 높게(약0.6㎜) 고정되도록 설치되게 한다.
따라서, 스탠드톱(24)의 만곡면부(24b)와 펠트(30)는 상호 접촉되면서 슬립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펠트(30)가 자체 텐션력이 있기 때문에 슬립운동 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서 스탠드톱(24)이 상,하,좌,우방향으로의 틸트 및 스위블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펠트(30)에 의해 균일한 동작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펠트(30)는 큐션이 있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것과 접촉되어 슬립운동되는 스탠드톱(24)의 만곡부(24b)의 구형태가 수축 또는 이완되는 상태가 되거나 미세한 변형과 같은 치수변형이 따르더라도 이러한 변형을 펠트(30)의 큐션특성에 의해 보상되므로 영향을 받지 않게 되기 때문에 항상 원활한 동작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있어서, 스탠드톱(24)의 만곡면부(24b)가 접촉되는 스탠드베이스(23)의 슬립부분은 펠트(30)이므로 기존에 비해 매우 작은 면적을 갖게 된다.
그러나 3등분 또는 그 이상의 등분으로 설치되므로 모니터본체(10)의 하중은 스탠드톱(24)과 펠트(30)를 거처 스탠드베이스(23)에 고르게 분산되어 작용된다.
그러므로 도 10과 같이 모니터본체(10)가 상,하방향으로 기울여지도록 각도 조절시키는 틸트동작시 또는 도 11과 같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위블동작시에 스탠드톱의 만곡면부(24b)가 펠트(30)와 무리없이 원활하게 미끄러지는 슬립동작성을 발휘하며, 기존에 비해 접촉면적이 훨씬 감소된 상태이므로 원활한 슬립운동이 된다.
그리고 평상시에는 펠트(30) 자체의 마찰력 및 모니터본체(10)의 하중에 의해 제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발명이 실시되는 다른형태의 스탠드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나타낸 다른형태의 스탠드(200)는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4-13618 호로 선출원된 스탠드로서, 이 스탠드(200)에 대해서는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다른실시형태의 스탠드(200)는 하중이 무거운 모니터본체(100)를 안정적으로 받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탠드베이스(230)가 넓은 보텀부(230a)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보텀부(230a) 상부에는 중심방향으로 하향되도록 경사지는 원형의 경사면부(230b)를 형성한다.
상기 원형경사면부(230b) 위쪽으로는 모니터본체(100)의 저면부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240a)를 가진 스탠드톱(240)의 만곡면부(240b)가 유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스탠드톱(240)의 장공(240e)을 셀렉터(230c)가 통과하고 곧이어서 그들을 90도 각도로 회전시켜 교각을 이루도록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면, 스탠드톱(240)의 가이드리브(240c)가 이탈방지리브(230d)를 누르고 통과하여 각도제어리브(230e)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되고, 스탠드톱(240)이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스탠드톱(240)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타입의 스탠드(20)이다.
이러한 스탠드(200)에 있어서도 앞서 언급한 일실시예의 스탠드(20)와 마찬가지로 본고안이 동일하게 실시된다.
즉, 스탠드베이스(230)의 원형경사면부(230b)에 3등분 각도상으로 펠트(30)가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펠트(30)의 고정수단은 양면테이프 또는 다른 접착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펠트(30)에는 스탠드톱(240)의 만곡면부(240b)가 접촉되어 틸트동작 및 스위블동작시에 슬립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틸트 및 스위블동작에 따른 구체적인 작용 및 역할은 앞서설명된 일실시형태의 스탠드(20)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며, 결과적으로는 스탠드톱(240)이 틸트 및 스위블동작이 되는 스탠드베이스(230)의 슬립면이 적은 면적을 이루면서도 균일한 동작력을 유지 가능하게 하고 모니터본체(100) 하중을 분산시켜 안정적인 지지상태의 스탠드(200)를 이룰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해 틸트 및 스위블동작에 있어 균일한 동작력을 유지하게 하므로 원활한 동작성을 얻게 하기 때문에 보다 수월한 화면디스플레이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틸트 및 스위블동작을 위한 스탠드톱과 스탠드베이스간의 슬립면적이 감소되어 원활한 동작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기존과 같이 원활한 동작성을 위해 환경오염물질인 윤활물질을 도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마모에 따른 가루가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틸트동작시 덜컥거림과 떨림현상을 제거할 수 있게 하고 동작성이 좋아지므로서 기능 향상에 따른 제품신뢰성 향상이 도모된다.
물론, 본 고안은 스탠드를 구성하는 스탠드톱이 모니터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조립되는 것에는 관계없이 다만 화면각 조절을 위해 움직이게 되는 스탠드톱과 그것을 받치는 스탠드베이스간에 슬립부를 형성하는 모든 스탠드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한 폭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Claims (3)

  1. 모니터본체의 보텀부에 고정되는 스탠트톱과 상기 스탠트톱이 틸트 및 스위블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스탠드베이스에 조립되는 스탠드로서,
    상기 스탠드톱 하부에 형성되는 만곡면부와 접촉되고 슬립운동되는 스탠드베이스의 슬립면에 균등 간격으로 펠트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원활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펠트는 스탠드베이스의 슬립면에서 약간 돌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원활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펠트는 탄성력이 있는 양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원활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
KR2019970036968U 1997-12-12 1997-12-12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원활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 KR199900244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968U KR19990024496U (ko) 1997-12-12 1997-12-12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원활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968U KR19990024496U (ko) 1997-12-12 1997-12-12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원활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496U true KR19990024496U (ko) 1999-07-05

Family

ID=6969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968U KR19990024496U (ko) 1997-12-12 1997-12-12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원활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49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672B1 (ko) * 2000-11-29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스탠드
WO2007046563A1 (en) * 2005-10-19 2007-04-26 Se A Mechanics Co., Ltd. Angle regulat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672B1 (ko) * 2000-11-29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스탠드
WO2007046563A1 (en) * 2005-10-19 2007-04-26 Se A Mechanics Co., Ltd. Angle regulat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4302B1 (ko)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원활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
KR100607505B1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KR102565552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0381028C (zh) 显示装置
JPS62502921A (ja) 傾斜及び回転する構造用支持装置
US7478784B2 (en) Mechanism for enabling a single hand adjusting a viewing angle of flat display
US5915658A (en) Base seat structure for liquid crystal type display
KR19990024496U (ko)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원활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
AU5952300A (en) Base assembly for video display appliance
KR10037025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위치조정장치
US5577704A (en) Adjustable support for small enclosure
EP0775362B1 (en) Modular storage and display device
ITPD960018U1 (it) Struttura di supporto perfezionata particolarmente per visori, microscopi, monitor, televisori o simili
JP200002939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ための自在ホルダー
KR940001690Y1 (ko) 영상표시 기기의 수평회전 조절장치
KR20010108910A (ko) 각도 조절과 높이 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엘시디모니터 스탠드 지지구조.
KR100628118B1 (ko) 평판형 모니터
KR19990054445A (ko)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KR20050066256A (ko)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
KR200346422Y1 (ko) 액정모니터장치의스탠드
JPH0320863Y2 (ko)
KR200182196Y1 (ko) 액정모니터용스탠드
KR200160895Y1 (ko) 투영기의 기울기 조절장치
KR940000727Y1 (ko)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힌지
KR0134756Y1 (ko)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받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