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727Y1 -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힌지 - Google Patents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727Y1
KR940000727Y1 KR2019910009303U KR910009303U KR940000727Y1 KR 940000727 Y1 KR940000727 Y1 KR 940000727Y1 KR 2019910009303 U KR2019910009303 U KR 2019910009303U KR 910009303 U KR910009303 U KR 910009303U KR 940000727 Y1 KR940000727 Y1 KR 940000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hinge
friction
display unit
smal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9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316U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9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727Y1/ko
Publication of KR9300013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3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7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힌지
제1도 본 고안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힌지 설치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2도 본 고안의 각도 조절힌지에 대한 분해사시도.
제3도 본 고안의 각도조절 힌지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컴퓨터 본체 2 : 화상 표시부
3 : 힌지부 4 : 각도조절힌지
5 : 덮개 6 : 스크류
11 : 설치부 12 : 사각홈
41 : 힌지축 41a : 경사면
42 : 대경부 43 : 소경부
44 : 삽입대 45 : 나사부
46 : 마찰링 47 : 고정턱
48 : 축공 49 : 고정브라켓트
50 : 결합공 52,55 : 마찰와셔
54 : 압축코일스프링
본 고안은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시청각도 조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화면조정이 화상표시부의 여닫음 동작과 동시에 이루어지며 그 동작이 스므스하게 수행됨은 물론, 여닫음 동작멈춤시 그 위치에서 화상표시부가 정지해 있도록 하기에 적당한 구성으로 된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 조절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퓨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은 버튼키가 구비된 몸체와 화상표시부 사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 힌지에 의해 화상표시부가 적당한 시청각 범위에 조정되도록 하였는데, 이는 힌지축 외경에 관와셔가 끼워지고 관와셔 외부에 코일스프링과 화상표시부 고정용 브라켓트가 함께 조립된 구성을 갖추고 있으므로 코일스프링의 조임력이 관와셔를 조이고 있는 스프링력과 화상표시부의 회전시 축과 관와셔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화상표시부의 시청각도가 조정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각도 조절힌지는 축에 관와셔를 끼우고 그 외경에 코일스프링을 억지끼워 맞춤을 하여야 하는 작업조건이므로 작업조건이 매우 난이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난이한 조립작업성은 생산단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으로 제품 구입시 소비자는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게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컴퓨터 몸체와 화상표시부를 연결하며, 화상표시부의 회전지점이 되는 힌지축에 경사진 마찰부와 축수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이에 마찰링과 와셔 및 압출스프링이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압축고정되는 화상표시부 각도조절 힌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고안에 의한 각도 조절 힌지에 의해 화상표시부와 컴퓨터 몸체의 연결이 용이하면서도 설정각도 유지상태가 효율적이고, 특히 화상표시부의 백레쉬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몸체(1)의 상면에 대하여 지점회전 이동하는 화상표시부(2)의 힌지부(3)에 각도조절힌지(4)를 설치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각도조절힌지(4)의 힌지축(41)에 대경부(42)와 소경부(43)를 형성하고, 대경부(42)의 끝단을 절삭해내어 봉상에 사각면을 갖는 삽입대(44)를 형성하고, 소경부(43)의 선단에는 통상의 나사부(45)를 형성하면서 양측면 일부를 깎아내어 사각측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대경부(42)와 소경부(43)가 구분되는 곳을 경사지게 깎아 경사면(41a)을 형성한다.
상기의 힌지축(41)의 소경부(43)에 끼워질 수 있는 통공(48)이 마찰링(46) 중앙에 뚫리며, 통공(48)의 일측에 힌지축의 경사면(41a)에 맞닿는 경사공(48a)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경사공(48a)과 통공(48)을 형성하는 마찰링(46)의 타측 외주연 양측을 수직방향으로 깎아내어 고정턱(47)을 형성한다.
상기의 고정턱(47)에 끼워져 고정턱(47)에 결합되는 결합공(50)을 고정브라켓트(49)에 뚫어 형성하고, 고정브라켓트(49)의 상단은 일부만을 연장돌출시켜 이곳에 나사통공(51)을 뚫어 형성하며, 연장된 부분이 영상표시부(2)의 힌지부(3)에 닿도록 구부려 형성한다.
상기 힌지축(41)의 소경부(43)에 끼워질 수 있는 축공(53)이 뚫린 마찰와셔(52)를 구비하고 압축코일스프링(54)을 구비하며, 또 하나의 다른 마찰와셔(55)를 구비하되 중앙에 나사부(45)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공(56)을 형성하며, 나사부 끝에 너트(52)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힌지축(41)이 소경부(43)에 마찰링(46)을 삽입하고, 마찰링(46)의 고정턱(47)에 고정브라켓트(49) 결합공(50)을 삽입하면 이들의 결합부위 형상에 의해 고정브라켓트(49)와 마찰링(46)이 일체로 움직이게 된다.
이후에 소경부(43)에 마찰와셔(52)의 축공(53)을 삽입하고 압축코일 스프링(54)과, 또 하나의 마찰와셔(55)를 소경부(43)에 끼우면 힌지축(41)의 나사부(45)에 마찰와셔(55)의 고정공(56)이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조립상태에서 나사부(45)에 너트(57)를 채우면, 각도조절힌지(4)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나사부(45)에 너트(57)가 채워지는 상태에 따라 압축스프링(54)이 눌려지고, 이때 발생되는 탄성 반발력이 마찰링(46)의 경사공(48a)이 힌지축(41)의 경사면(41a)에 밀착되어 회전시 밀착된 부분에서 마찰이 발생될 것이다.
이러한 각도조절힌지(4)의 삽입대(44)를 본체(1)의 양측 설치부(11)에 파여진 사각홈(12)에 삽입한 다음 화상표시부(2)의 힌지부(3)를 각도조절힌지(4)에 맞추고 이후에 덮개(5)를 덮어 일치되는 나사공(2a)으로 스크류(6)를 끼워서 조이면 화상표시부(2)가 본체(1)에 힌지연결이 되며 각도조절힌지(4)를 지점으로 열리고 닫히게 된다.
상기의 설치상태로 화상표시부(2)가 지점회전 이동할 때 각도조절힌지(4)의 힌지축(41)응 대경부(42) 사각형상 삽입대(44)가 컴퓨터 본체(1)의 사각홈(12)에 끼워져 있으므로 회전하지 않고, 화상표시부(2)의 힌지부(3)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49)가 화상표시부(2)와 함께 회전이동한다.
이때, 고정브라켓트(49)에는 마찰링(46)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축(41)과 마찰링(46)이 경사면(41a) 및 경사공(48a)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되는 상태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마찰력을 가지는 화상표시부(2)가 사용자의 원하는 각도로 이동될 때 화상표시부(2)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압축코일스프링(54)의 반발탄성력에 의한 힌지축(41)과 마찰링(46)이 저촉하고 있는 경사면(41a) 및 경사공(48a) 그리고 마찰와셔(52)와 마찰링(46)이 접촉하고 있는 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므로 회전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각도 조절힌지는 나사부(45)에 체결된 너트(57)를 조여주고 풀어주는 상태에 따라서 압축코일스프링(54)의 반발탄성력이 변하게 되고, 이는 화상표시부(2)가 회전이동할 때 이동력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각도조절 힌지가 마찰링과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접촉되는 경사면과 경사공 사이에서 형성되는 마찰력에 의해 시청각도가 조정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조가 억지끼워맞춤 구성을 갖추지 않은 것이어서 제작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조립공정 역시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각도조절과 조정각도 유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생산성의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 본체(1)의 설치부(11)에 연결된 화상표시부(2)가 각도조절힌지(4)에 의해 지점회전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 본체(1)의 설치부(11) 내측면에 사각홈(12)을 형성하고, 상기 사각홈(12)에 끼워지는 삽입대(44)를 힌지축(41)의 대경부(42)에 형성하여 화상표시부(2)의 힌지부(3)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49)는 소경부(43)에 마찰링(46)과 함께 끼우고, 마찰와셔(52)(55) 및 압축코일스프링(54)를 상기 소경부(43)에 순차적으로 끼워 소경부의 나사부(55)에 채우는 너트(57)의 조절로 힌지축(41)의 마찰면(41a)과 마찰링(46)의 경사공(48a) 사이에서 형성되는 마찰력에 의해 화상표시부(2)의 시청각도가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 표시부 각도조절힌지.
KR2019910009303U 1991-06-21 1991-06-21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힌지 KR940000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303U KR940000727Y1 (ko) 1991-06-21 1991-06-21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303U KR940000727Y1 (ko) 1991-06-21 1991-06-21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316U KR930001316U (ko) 1993-01-21
KR940000727Y1 true KR940000727Y1 (ko) 1994-02-14

Family

ID=1931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9303U KR940000727Y1 (ko) 1991-06-21 1991-06-21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7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335B1 (ko) * 1999-04-20 2002-03-18 박기점 휴대용 컴퓨터의 힌지장치
KR100497969B1 (ko) * 2001-09-27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316U (ko)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3356A (en) Assembly for controlling turn of a hinge pivot
US7380760B2 (en) Self-balancing adjustable mounting system with friction adjustment
US5022778A (en) Pivot shaft
US7404236B2 (en) Hinge assembly for flat panel display appliance
KR940000727Y1 (ko)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힌지
JPH0529343Y2 (ko)
JP2650149B2 (ja) 可動体の開閉抑制装置
JP3745010B2 (ja) ヒンジおよびヒンジ機構
JPS5920492B2 (ja) 自動車のドア−用バックミラ−装置
KR970000272B1 (ko)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 장치
JP2000008688A (ja) チルトヒンジ
KR200328910Y1 (ko) 스프링 경첩
KR200392730Y1 (ko) 화상시청기의 좌우 전후 회전식 힌지 및 힌지장치
KR940000728Y1 (ko) 퍼스널 컴퓨터 기기의 화상표시부 백-레쉬 제거구조
KR100492085B1 (ko) 토크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장치
KR940001690Y1 (ko) 영상표시 기기의 수평회전 조절장치
JPH05132070A (ja) 可動体の開閉抑制装置
JPH07103225A (ja) 可動体の開閉抑制装置
KR940006503B1 (ko) 회전부재의 댐퍼장치
EP0395804A1 (en) Hinge
KR100489787B1 (ko)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KR100443869B1 (ko)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JP2574123Y2 (ja) Oa機器用2段階チルトヒンジ
KR20000008421A (ko) 휴대용 컴퓨터의 힌지장치
KR200232599Y1 (ko) 정지각을 갖는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