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272B1 -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272B1
KR970000272B1 KR1019910022131A KR910022131A KR970000272B1 KR 970000272 B1 KR970000272 B1 KR 970000272B1 KR 1019910022131 A KR1019910022131 A KR 1019910022131A KR 910022131 A KR910022131 A KR 910022131A KR 970000272 B1 KR970000272 B1 KR 970000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display unit
hinge shaft
hing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972A (ko
Inventor
김종렬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2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272B1/ko
Publication of KR930013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2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5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cathode-r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에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각도조절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이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정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이 각도조절 장치의 동작상태를 예시한 상태 단면도로서
(a)는 열림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
(b)는 폐쇄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상표시부 200 : 본체
300 : 몸체부 400 : 동작부
본 발명은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시청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의 시청각도 조정이 화상표시부의 여닫음 동작과 동시에 이루어지고, 여닫음동작 멈춤시, 그 위치에서 화상표시부의 시청각도가 결정되도록 한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시청각도 조절은 본체와 화상표시부 사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 힌지에 의해 화상표시부가 적당한 시청각 범위에 조정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힌지축 외경에 관와셔를 끼워 관와셔 외부에는 코일스프링과 화상표시부 고정용 브라켓트를 설치하며, 본체에는 고정용 브라켓트를 설치하여 지지고정 하거나 본체 일측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힌지축을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의 조임력으로 힌지축과 관와셔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화상표시부의 시청각도가 조정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청각도 조절장치는 축에 관와셔를 끼우고, 그 외경에 코일스프링을 억지끼워 맞춤을 하여야 하고, 힌지축을 고정키 위해 별도의 고정용 브라켓트를 다수개 사용하거나 힌지축 고정용 삽입홈을 본체에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작업조건이 난이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난이한 작업조건과 많은 부품의 소요는 생산단가를 상승시키는 한 원인이 되어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주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컴퓨터 본체와 화상표시부를 연결하며, 화상표시부의 회전지점이 되는 힌지축에 고정링과 부싱(Bushing)을 사용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시청각도 조절 또한 용이하도록 한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시청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 본체(200)와 화상표시부(100)가 연결되며, 화상표시부(100)의 회전지점이 되는 힌지축(410)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 본체(200) 상면 일측의 내측 중간부에 나사홈(211a)을 갖는 고정홈(211)이 형성된 고정부(210)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화상표시부(100)의 하단부 일측에는 전면 상단부 나사홈(11)이 형성된 힌지(110)가 형성된 몸체부(200)와; 상기 힌지축(410)의 일측 제2도와 같이 절삭해내어 형성된 평탄면(411)에 나사공(412)들을 형성하며, 봉상의 끝단과 평탄면의 근접한 위치에 고정링(420)용 삽입홈(413)들을 형성한다.
상기 힌지축(410)은 화상표시부(100)의 시청각도를 설정하는 고정구(440)에 형성된 스프링공을 관통하게 되는 것으로 고정구(440)의 양측에 형성된 스프링공(442a)은 힌지축(4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해야 함이 화상표시부(100)의 시청각도를 조정함에 적합하고, 스프링공(442a)을 구비하는 코일스프링(442)은 고정구의 지지봉(441)의 양측하단을 감아서 형성한다.
이때 코일스프링(442)의 감김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기게 함이 화상표시부(100)의 여닫음 동작에 적합한 마찰력을 갖도록 함에 적합하다.
상기한 힌지축(410)을 고정구(440)의 스프링공(442a)과 부싱(450)에 끼워진 상태에서 힌지축(410)의 양단으로 와셔(430)를 각각 끼우고, 고정링(420)을 힌지축(410)의 고정홈(413)으로 끼워 힌지축(410)에서 고정구(440)가 이탈되지 않게 설치된다.
상기의 고정구(440)를 화상표시부(100)의 힌지(110)에 설치하기 위하여 고정구(440)의 지지봉(441)을 가리기에 충분한 크기로 형성하며, 중앙에 스크류공이 뚫린 덮개(460)을 형성하여 통상의 스크류(20)를 덮개(460)의 스크류공으로 삽입시켜 화상표시부(100)의 힌지(110)의 나사홈(111)에 채우면 덮개(460)는 고정구(440)의 지지봉(441)을 스크류체결력으로 힌지(110)에 눌려 고정된다.
이로써 화상표시부(100)와 본체(200)가 연결되고, 화상표시부(100)에 시청각도를 제공하는 동작부(400)가 형성된다.
상기 모체부(200)의 고정부(21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211)에 상기 힌지축(410)의 평탄면(411)을 대고, 이를 스크류(10)로 결합하여 본체(200)에 화상표시부(100)를 연결한다.
이후에는 몸체(200)와 화상표시부(100) 전면에 프론트카버(201)를 씌운다.
이때 덮개(460)는 프론트판넬에 의해 눌려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화상표시부(100)를 본체(200)에서 여닫는 동작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다.
따라서 화상표시부(100)을 열어 사용자가 보기에 편리한 시청각도에 도달하거나, 또는 이미 정지된 위치에서 시청각을 더욱 조절할 때 본 발명의 동작부(400)에 의해서 효율적인 각도설정이 가능하고, 화상표시부(100)가 사용자 임의로 설정한 위치에서 화상표시부(100)의 유동현상이 삭제될 것이다.
이는 힌지축(410)의 직경보다 고정구(440)의 내경인 스프링공(442a)의 내경이 작기 때문에 코일스프링(442)의 리이드가 힌지축의 외면을 비틀림 탄력으로 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양쪽의 리이드 방향이 제3도에서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이므로 몸체(200)에 고정된 힌지축(410)의 외면에서 고정구(440)가 회전할때에 코일스프링(442)에서는 플립력과 조입력이 반드시 동시에 발생하여 스므스한 상태의 회전을 이루게 된다.
회전이 정지하는 수간에 플림력과 조임력이 동시에 제거됨과 아울러 코일스프링(442) 자체의 비틀림 탄성력이 힌지축(410)의 외면을 감싸고 있어서, 화상표시부(100)와 연결된 고정구(440)는 정지된 위치에서 유동 여유없이 정지하게 되고, 고정구(440)는 화상표시부(10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화상표시부(100)도 유동없이 고정된다.
이때 화상표시부(100)는 어떠한 방향이라도 힌지축(410)상에서 유동없이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화상표시부가 유동없이 회전이동을 하게 되면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에서 시청각도를 효율적으로 설정함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성능을 고급화함이 가능하고 이는 또한 부품수를 현저하게 줄어들게 하는 효과가 있어서, 조립과 보중수리시에도 작업하기가 편리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 본체(200)와 화상표시부(100)가 연결되며, 화상표시부(100)의 회전지점이 되는 힌지축(410)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 본체(200)의 상면 일측서 돌출형성된 고정부(210)에 나사홈(211a)이 구비된 고정홈(211)을 형성하며, 상기 화상표시부(100)의 하단부 일측에는 전면에 나사홈(111)이 형성된 힌지(110)를 구비하여서 된 몸체부(200)와; 상기 힌지축(410)의 일측부에 평탄면(411)을 형성하여 나사공(412)을 뚫고, 끝단부 일측과 내측 적당위치에 고정링(420)의 삽입홈(413)들을 형성하여 이에 부싱(450)과 고정구(440)의 코일스프링(442) 및 와셔(430)가 끼워져 고정링(420)으로 고정시킨 힌지축(410)을 상기 힌지부(110)에 설치한 후 덮개판(400)을 힌지(110)의 나사공(111)에 스크류(20)로 고정하여 지지봉(441)을 고정하는 동작부(40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 표시부 각도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구(440)는 양측에 코일스프링(442)을 구비하고, 코일스프링 사이에의 부싱(450)설치용 공간이 코일스프링(442)의 양측을 수평단 디귿자로 절곡시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구(440)의 양측에 형성하는 코일스프링(442)은 감김방향이 반대로 감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 장치.
  4. 제1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코일스프링(442)의 내경(442a)은 힌지축(41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 장치.
KR1019910022131A 1991-12-04 1991-12-04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 장치 KR970000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2131A KR970000272B1 (ko) 1991-12-04 1991-12-04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2131A KR970000272B1 (ko) 1991-12-04 1991-12-04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972A KR930013972A (ko) 1993-07-22
KR970000272B1 true KR970000272B1 (ko) 1997-01-08

Family

ID=1932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2131A KR970000272B1 (ko) 1991-12-04 1991-12-04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1068B2 (ja) * 2004-02-13 2012-01-11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角度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972A (ko) 199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2628B2 (en) Hinge assembly for LCD monitor
KR1006327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KR1006098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US20090057513A1 (en) Grade control apparatus for display set used in tapestry
US7404236B2 (en) Hinge assembly for flat panel display appliance
US7384021B2 (en) Rotation mechanism for televisions
KR20050028518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KR200242148Y1 (ko) 클립형 마찰 힌지장치
KR20090013348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US11788670B2 (en) Supporting device
CN102563320B (zh) 一种有阻尼的旋转壁挂支架
KR101949477B1 (ko) 평면 디스플레이용 벽걸이 장치
KR970000272B1 (ko)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 장치
KR10146194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100434171B1 (ko) 디스플레이 제품의 기둥형 고정장치
US3294906A (en) Hinge structure
KR940000727Y1 (ko)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힌지
KR100308168B1 (ko) 휴대용컴퓨터의힌지장치
KR20040089200A (ko)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와 힌지어셈블리
KR200364211Y1 (ko) 강의용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기구
KR20220119151A (ko) 힌지 모듈, 가전제품, 회전 장치 및 선풍기
US20040078932A1 (en) Torque regulator device for hinge assembly
CN216083556U (zh) 屏幕铰链结构及笔记本电脑
KR200166197Y1 (ko) 회전 모니터 고정장치
JP2000192720A (ja) 扉類の開度自由制限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