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949B1 -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949B1
KR100976949B1 KR1020080078133A KR20080078133A KR100976949B1 KR 100976949 B1 KR100976949 B1 KR 100976949B1 KR 1020080078133 A KR1020080078133 A KR 1020080078133A KR 20080078133 A KR20080078133 A KR 20080078133A KR 100976949 B1 KR100976949 B1 KR 100976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value
throttle valve
power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9213A (ko
Inventor
이형석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8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9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1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2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throttle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6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 F16H61/061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F16H2061/062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filling of clutches or brake servos, e.g. fill time, fill level or pressure during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주행 중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시프트 중 팁 인 시 결합측 클러치의 유압 제어 듀티값을 높이고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변화율을 가변하여 변속 말기에서 발생하는 런 업(run-up)을 감소하고 엔진 회전수의 울렁거림을 방지하여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 시프트 중 팁 인(tip-in) 시 변속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중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 시프트 중 팁인 시 결합측 유압을 높여 변속 종료 시점에서 발생하는 런 업을 감소하고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변화율을 가변시켜 피드백 제어의 안정성 확보 및 엔진 회전수의 울렁거림을 방지하여 변속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자동차, 자동 변속기,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시프트, 팁인 변속 제어 유닛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 시프트(power off manual downshift) 중 팁인(Tip in) 시 급격한 엔진 출력 토오크 변화에 대한 결합측 유압 제어가 늦어짐으로 인해 저하되는 변속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적용되는 자동 변속기는 자동차의 주행 속도와 쓰로틀 밸브 개도량 및 쓰로틀 밸브 개도율 및 제반 검출 조건에 따라 변속 제어 장치가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여 유압을 제어함으로써, 목표 변속단의 변속 기어가 동작되어 자동으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즉,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원하는 변속단을 변환하면, 매뉴얼 밸브의 포트 변속이 이루어지면서 오일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솔레노이드 밸브의 듀티 제어에 따라 변속 기어 메커니즘의 여러 작동 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작동 원인에 따라 동작되는 자동 변속기는, 각 해당 목표 변속단 으로의 변속이 실행되는 경우 작동 상태에서 작동 해제되는 마찰 요소와 작동 해제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변환되는 마찰 요소를 보유하게 되는데, 이들 마찰 요소의 작동 해제 및 자동 시작 타이밍에 따라 자동 변속기의 변속 성능이 결정되므로 최근에는 보다 나은 변속성능 향상을 위한 변속 제어 방법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배경을 살펴보면, 자동 변속 장치가 탑재 차량의 경우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 시프트 중 가속을 위해서는 갑자기 가속 패달을 팁 인(Tip in)시키면 구동력을 크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현재 주행 변속단 보다 적어도 한 단계 이하의 변속단으로 변속 실시하게 된다.
즉,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조작하지 않은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 사프트 변속 중 운전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가속 페달을 심하게 조작하는 경우 상기 변속 제어 유닉은 해당 변속단의 듀티 제어를 실행한다.
즉,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 시프트 중 팁인되면 변속 제어 유닛의 입력측 회전수 즉, 터빈 회전수의 변동 상태에 따라 유압 밸브의 듀티율을 보정하여, 클러치 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피드백(feedback) 제어와 엔진 토오크 저감 제어를 통해 터빈 회전수의 오버 런 없이 변속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급격한 엔진 출력 토오크의 변화에 대해 결합측 클러치의 유압 제어 속도가 늦어져 변속 말기의 엔진 회전수의 울렁거림과 피드백 제어의 불안정으로 인해 변속 충격이 발생하여 변속 품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시프트 중 팁인되면, 결합측 클러치의 유압을 높여 변속 말기의 런업을 감소하고,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회전율을 가변시켜 피드백 제어 시 엔진 회전수의 울렁거림을 방지하여 변속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기술적 수단은,
쓰로틀 밸브 위치를 감지하여 쓰로틀 밸브 개도값을 출력하는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와,
운전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 시프트 중 팁 인(tip-in) 판정 시 상기 쓰로틀 밸브 개도값 및 미리 저장된 현재 변속단 대비 각 종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을 기초로 결합측 클러치의 유압 제어 듀티값(DA)을 보정하는 변속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결합측 유압 제어 듀티값(DA)은, 목표 제어 듀티값(DETH)과 보정 계수(α)의 곱한 값과 기준 제어 듀티값(Base Duty)의 합한 값으로 연산되고,
상기 목표 제어 듀티값(DETH)은 현재 변속단이 리턴 변속이면서 메뉴얼 다운 변속 또는 리턴 변속이면서 스포츠 변속(조건 1)인 경우 해당 변속단 대비 쓰로틀 밸브 개도값(TV)과 수신된 쓰로틀 밸브 개도값에 대한 테이블 값을 토대로 출력된 제1 보정 계수(KTH)와 스포츠 변속단에서의 변속 응답 향상을 위해 미리 룩 업 테 이블 형태로 저장된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을 토대로 출력하는 제2 보정 계수(CMAN3)의 곱한 값이고,
또한, 상기 제2 보정 계수(CMAN3)는, 현재 변속단의 스포츠 또는 메뉴얼 다운 시프트이고 쓰로틀 개도값(TV)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조건 2)인 경우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으로 토대로 출력되고,
한편, 상기 제2 보정 계수(CMAN3)는 현재 변속 모드가 스포츠 또는 메뉴얼 다운 시프트이고 쓰로틀 개도값(TV)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보다 작은(조건 2)를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 1로 설정된다.
그에 더하여 현재 변속 모드가 리턴 변속이면서 메뉴얼 다운 변속 또는 리턴 변속이면서 스포츠 변속(조건 1)이 아닌 경우 상기 목표 제어 듀티값(DETH)은 0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해당 변속단 대비 상기 쓰로틀 밸브 개도값에 대한 테이블 값은 이론적으로 해당 변속단 대비 쓰로틀 밸브 개도값(TV)과 비례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변속 제어 유닛은 운전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 시프트 팁 인 시 현재 변속단, 쓰로틀 밸브 개도값,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의 출력 전류량, 및 미리 설정된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을 근거로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변화율을 보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변속 제어 유닛은, 파워 오프에서 파워 온으로 변속이 변경 또는 변속 패턴 중 변속 시작(SS :shift start) 시점에서의 쓰로틀 밸브 개도값이 해당 변속 단 대비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으로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조건 11) 경우 및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의 출력 전류량이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값으로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조건 12) 경우 상기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변화율(CPWC)을 해방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을 토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파워 오프에서 파워 온으로 변속이 변경된 경우 또는 변속 패턴 중 변속 시작(SS :shift start) 시점에서의 쓰로틀 밸브 개도값이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으로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및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의 출력 전류량이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값으로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를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변화율(CPWC)를 1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기술적 수단은
a) 운전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시프트 중 팁인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판단 결과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 시프트 중 팁인된 경우 결합측 클러치의 유압 제어 듀티값을 증가하는 단계; 및
c) 이어 실제 변속 시작 시점에서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변화율을 쓰로틀 밸브 개도값 및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의 출력 전류량에 따라 가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의 결합측 클러치의 유압 제어 듀티값은,
목표 제어 듀티값(DETH)과 보정 계수(α)의 곱한 값과 기준 제어 듀티값(Base Duty)의 합한 값으로 연산되고,
여기서, 상기 목표 제어 듀티값(DETH)은 현재 변속단이 메뉴얼 다운 변속 또는 스포츠 변속단 중 하나이고 리턴 변속(조건 1)인 경우 해당 변속단 대비 쓰로틀 밸브 개도값(TV)과 수신된 쓰로틀 밸브 개도값에 대한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을 토대로 출력된 제1 보정 계수(KTH)와 스포츠 변속단에서의 변속 응답 향상을 위해 미리 룩 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을 토대로 출력하는 제2 보정 계수(CMAN3)의 곱한 값이고,
상기 제2 보정 계수(CMAN3)는, 현재 변속단의 스포츠 또는 메뉴얼 다운 시프트이고 쓰로틀 개도값(TV)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조건 2)인 경우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으로 토대로 출력되고,
한편, 상기 제2 보정 계수(CMAN3)는 현재 변속단의 스포츠 또는 메뉴얼 다운 시프트이고 쓰로틀 개도값(TV)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조건 2)를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 1로 설정되며,
그에 더하여 현재 변속단이 리턴 변속이고 메뉴얼 다운 변속 또는 리턴 변속이고 스포츠 변속(상기 조건 1)이 아닌 경우 상기 목표 제어 듀티값(DETH)은 0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파워 오프에서 파워 온으로 변속이 변경된 경우 또는 변속 패턴 중 변속 시작(SS :shift start) 시점에서의 쓰로틀 밸브 개도값이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으로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조건 11) 및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의 출력 전류량이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값으로 설정된 임계값 보다 큰 경우(조건 12) 상기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변화율(CPWC)을 해방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을 토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파워 오프에서 파워 온으로 변속이 변경된 경우 또는 변속 패턴 중 변속 시작(SS :shift start) 시점에서의 쓰로틀 밸브 개도값이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으로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및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의 출력 전류량이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값으로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조건 11 및 조건 12)를 모두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변화율(CPWC)를 1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시프트 중 팁인되면, 결합측 클러치의 유압을 높여 변속 말기의 런업을 감소하고,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회전율을 가변시켜 피드백 제어 시 엔진 회전수의 울렁거림을 방지하여 변속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량용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는, 변속 제어에 필요한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10)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들은 변속 제어 유닛(30)으로 보내어 변속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때 변속 제어 유닛(30)에서는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10)로부터 공급되는 정보와 변속 제어 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미리 입력되어진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변속 구동부(60)를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변속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10)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들은 쓰로틀 밸브 개도량 및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의 출력 전류량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의 변속 제어 유닛(30)에는 결합측 클러치의 유압 제어 듀티값을 증가하기 위한 현재 변속단에 대한 쓰로틀 밸브 개도량 및 쓰로틀 밸브 개도량에 대한 보정 계수값 및 스포츠 변속 시 쓰로틀 밸브 개도량에 대한 보정 계수 및 각종 임계값들이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으로 미리 저장되고 있고, 또한, 결합측 및 해방측 클러치의 목표 터빈 변화율을 가변시키기 위한 현재 변속단에 대한 각 종 임계값 및 해당 변속단에 대한 목표 터빈 변화율에 대한 보정 계수들이 테이블 값으로 미리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변속 구동부(60)는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수단에 적용되는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10) 및 변속 제어 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통해 변속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은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 시프트 중 팁인되면 변속 제어 감지부(50)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들과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10)로부터 공급되는 쓰로틀 밸브 개도량 및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의 출력 전류량을 기초로 결합측 클러치의 유압 제어 듀티값을 증가하고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변화율을 가변시킨다.
즉, 결합측 클러치의 유압 제어 듀티값을 증가하고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변화율을 가변시키기 위해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변속 제어 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및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10)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들을 수신하고(단계 101), 수신된 신호들에 근거하여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 시프트 중 팁인되었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103).
상기에서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 시프트 중 팁인된 경우 단계(105)에서, 현재 변속단이 리턴 변속이고 메뉴얼 변속 또는 리턴 변속이고 스포츠 변속인 지를 판단하고(조건 1), 판단 결과 리턴 변속 및 메뉴얼 다운 변속 또는 리턴 변속 및 스포츠 변속인 경우(조건 1을 만족하는 경우) 단계(109)를 통해 상기 변속 제어 유닛(30)에 해당 변속단 대비 쓰로틀 밸브 개도값(TV)과 수신된 쓰로틀 밸브 개도값에 대한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을 토대로 출력된 제1 보정 계수(KTH)를 출력하고, 이어 단계(109)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109)에서는 현재 변속단이 메뉴얼 다운 변속 또는 스포츠 변속단 중 하나이고, 쓰로틀 밸브 개도값(TV)가 미리 정해진 쓰로틀 밸브 개도 임계값보다 작은 (조건 2) 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쓰로틀 밸브 개도값(TV)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조건 2를 만족하는 경우) 단계(111)를 통해 스포츠 변속 시 변속 응답 속 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설정된 제2 보정 계수(CMAN3)를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을 토대로 출력된다. 그러나, 현재 변속단의 스포츠 또는 메뉴얼 다운 시프트이고 쓰로틀 밸브 개도값(TV)이 상기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조건 2를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 단계(112)를 통해 상기 보정 계수(CMAN3)는 1로 설정된다.
이어, 상기 변속 제어 유닛(30)은 단계(113)를 통해 상기 단계(107)를 통해 산출된 쓰로틀 밸브 개도값(TV) 및 제1 보정 계수(KTH)과 상기 단계(111)를 통해 산출된 제2 보정 계수(CMAN3)를 곱하여 결합측 유압 제어 듀티값을 결정하기 위한 목표 제어 듀티값(DETH)을 출력한 후 단계(115)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115)에서, 상기 단계(113)를 통해 목표 제어 듀티값(DETH)과 보정 계수(α)의 곱한 값과 미리 정해진 기준 제어 듀티값(Base Duty)의 합한 값으로 결합측 유압 제어 듀티값(DA)을 산출한다.
한편, 상기 단계(105)에서 조건 1을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 단계(117)를 통해 상기 목표 제어 듀티값(DETH)는 0으로 설정된 후 상기 단계(115)로 진행된다.
이어 상기 변속 제어 유닛(30)은 단계(201)를 통해 변속 제어 감지부(50)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들을 근거로 현재 변속이 파워 오프에서 파워 온으로 전환되었거나 상기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10)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근거로 변속 시작 시점에서의 쓰로틀 밸브 개도값이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값으로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은 지(조건 11)는 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조건 11을 만족하는 경우 단계(203)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203)에서, 상기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10)의 출력 전류가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값으로 설정된 임계값 보다 큰 지가 판단되고(조건 12), 판단 결과 조건 12를 만족하는 경우 단계(205)로 진행하며, 상기 단계(205)에서는,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으로 설정된 임계값으로 결합측 및 해방측 클러치의 목표 터빈 변화율(CPWC)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단계(201) 및 단계(203)의 조건 11 및 조건 12를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결합측 및 해방측 클러치의 목표 터빈 변화율(CPWC)은 단계(207)를 통해 1로 설정된다.
상기 변속 제어 유닛(30)은 상기 단계(115)에서 설정된 결합측 유압 제어 듀티값(DA) 및 상기 단계(205) 또는 상기 단계(207)로부터 설정된 결합측 및 해방측 클러치의 목표 터빈 변화율(CPWC)를 근거로 단계(209)를 통해 제어 듀티 패턴을 설정하고 설정된 제어 듀티 패턴에 따른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변속 구동부(60)로 제공되며, 이어 단계(211)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211)에서, 변속 듀티 패턴에 따른 제어 신호에 따라 변속 실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 의해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로틀 밸브 개도값(TV) 대비 제1 보정 계수(KTH)를 보인 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Claims (14)

  1. 쓰로틀 밸브 위치를 감지하여 쓰로틀 밸브 개도값을 출력하는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와,
    운전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 시프트 중 팁 인(tip-in) 판정 시 상기 쓰로틀 밸브 개도값 및 미리 저장된 현재 변속단 대비 각 종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을 기초로 결합측 클러치의 유압 제어 듀티값(DA)을 보정하는 변속 제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측 유압 제어 듀티값(DA)은, 목표 제어 듀티값(DETH)과 보정 계수(α)의 곱한 값과 기준 제어 듀티값(Base Duty)의 합한 값으로 연산되고,
    상기 목표 제어 듀티값(DETH)은 현재 변속단이 리턴 변속이면서 메뉴얼 다운 변속 또는 리턴 변속이면서 스포츠 변속(조건 1)인 경우 해당 변속단 대비 쓰로틀 밸브 개도값(TV)과 수신된 쓰로틀 밸브 개도값에 대한 테이블 값을 토대로 출력된 제1 보정 계수(KTH)와 스포츠 변속단에서의 변속 응답 향상을 위해 미리 룩 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을 토대로 출력하는 제2 보정 계수(CMAN3)의 곱한 값이고, 또한, 상기 제2 보정 계수(CMAN3)는, 현재 변속단의 스포츠 또는 메뉴얼 다운 시프트이고 쓰로틀 개도값(TV)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조건 2)인 경우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으로 토대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정 계수(CMAN3)는 현재 변속 모드가 스포츠 또는 메뉴얼 다운 시프트이고 쓰로틀 개도값(TV)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보다 작은(조건 2)를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 1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제어 듀티값(DETH)은 현재 변속 모드가 리턴 변속이면서 메뉴얼 다운 변속 또는 리턴 변속이면서 스포츠 변속(조건 1)이 아닌 경우 0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5. 청구항 1항, 청구항 3항 및 청구항 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해당 변속단 대비 상기 쓰로틀 밸브 개도값에 대한 테이블 값은 이론적으로 해당 변속단 대비 쓰로틀 밸브 개도값(TV)과 비례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 유닛은 운전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 시프트 팁 인 시 현재 변속단, 쓰로틀 밸브 개도값,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의 출력 전류량, 및 미리 설정된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을 근거로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변화율을 보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파워 오프에서 파워 온으로 변속이 변경 또는 변속 패턴 중 변속 시작(SS :shift start) 시점에서의 쓰로틀 밸브 개도값이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으로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조건 11) 경우 및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의 출력 전류량이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값으로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조건 12) 경우 상기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변화율(CPWC)을 해방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을 토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7. 삭제
  8.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 유닛은, 파워 오프에서 파워 온으로 변속이 변경된 경우 또는 변속 패턴 중 변속 시작(SS :shift start) 시점에서의 쓰로틀 밸브 개도값이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으로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조건 11) 및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의 출력 전류량이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값으로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조건 12)를 모두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변화율(CPWC)를 1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9. a) 운전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시프트 중 팁인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판단 결과 파워 오프 메뉴얼 다운 시프트 중 팁인된 경우 결합측 클러치의 유압 제어 듀티값을 증가하는 단계; 및
    c) 이어 실제 변속 시작 시점에서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변화율을 쓰로틀 밸브 개도값 및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의 출력 전류량에 따라 가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의 결합측 클러치의 유압 제어 듀티값은,
    목표 제어 듀티값(DETH)과 보정 계수(α)의 곱한 값과 기준 제어 듀티값(Base Duty)의 합한 값으로 연산되고,
    여기서, 상기 목표 제어 듀티값(DETH)은 현재 변속단이 메뉴얼 다운 변속 또는 스포츠 변속단 중 하나이고 리턴 변속(조건 1)인 경우 해당 변속단 대비 쓰로틀 밸브 개도값(TV)과 수신된 쓰로틀 밸브 개도값에 대한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을 토대로 출력된 제1 보정 계수(KTH)와 스포츠 변속단에서의 변속 응답 향상을 위해 미리 룩 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을 토대로 출력하는 제2 보정 계수(CMAN3)의 곱한 값이고, 상기 제2 보정 계수(CMAN3)는, 현재 변속단의 스포츠 또는 메뉴얼 다운 시프트이고 쓰로틀 개도값(TV)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조건 2)인 경우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으로 토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정 계수(CMAN3)는 현재 변속단의 스포츠 또는 메뉴얼 다운 시프트이고 쓰로틀 개도값(TV)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조건 2)를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 1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12. 청구항 9항에 있어서, 현재 변속단이 리턴 변속이고 메뉴얼 다운 변속 또는 리턴 변속이고 스포츠 변속(상기 조건 1)이 아닌 경우 상기 목표 제어 듀티값(DETH)은 0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13.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파워 오프에서 파워 온으로 변속이 변경된 경우 또는 변속 패턴 중 변속 시작(SS :shift start) 시점에서의 쓰로틀 밸브 개도값이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으로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조건 11) 및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의 출력 전류량이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값으로 설정된 임계값 보다 큰 경우(조건 12) 상기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변화율(CPWC)을 해방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interpolation table)을 토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14. 청구항 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오프에서 파워 온으로 변속이 변경된 경우 또는 변속 패턴 중 변속 시작(SS :shift start) 시점에서의 쓰로틀 밸브 개도값이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 값으로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및 쓰로틀 밸브 위치 센서의 출력 전류량이 해당 변속단 대비 테이블값으로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조건 11 및 조건 12)를 모두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결합측 및 해방측 목표 터빈 변화율(CPWC)를 1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KR1020080078133A 2008-08-08 2008-08-08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76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133A KR100976949B1 (ko) 2008-08-08 2008-08-08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133A KR100976949B1 (ko) 2008-08-08 2008-08-08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213A KR20100019213A (ko) 2010-02-18
KR100976949B1 true KR100976949B1 (ko) 2010-08-18

Family

ID=42089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133A KR100976949B1 (ko) 2008-08-08 2008-08-08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9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007B1 (ko) * 2000-12-06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007B1 (ko) * 2000-12-06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213A (ko)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30463A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スリップ制御装置
US8924106B2 (en) Control apparatus of automatic transmission
US6464617B1 (en) Shift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6199450B1 (en) Method and apparatus
KR100976949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US6478717B1 (en) Damper clutch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0372431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킥 다운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2323125A (ja) 自動変速機のライン圧制御装置
WO2020026717A1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スリップ制御装置
JP2001021029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JP3606157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クリープ力制御装置
KR20100091498A (ko) 자동차의 라인압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372440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041317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14459B1 (ko) 자동변속기용 파워 오프 다운 시프트 제어방법
JP2011190893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48258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킥 다운 4 → 3 변속시 변속 제어방법
JP2008303958A (ja)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KR100452211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냉시동 후 변속 쇼크 제어 방법
KR100391473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업 시프트시 초기 필 타임 학습방법
KR10042819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매뉴얼 변속 지연 제어방법
KR100345129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KR100369155B1 (ko) 자동 변속기의 초기 필 타임 학습 제어방법
JP2003049936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学習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380097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