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650B1 - 다이 본딩 구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이 본딩 구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650B1
KR100976650B1 KR1020070126957A KR20070126957A KR100976650B1 KR 100976650 B1 KR100976650 B1 KR 100976650B1 KR 1020070126957 A KR1020070126957 A KR 1020070126957A KR 20070126957 A KR20070126957 A KR 20070126957A KR 100976650 B1 KR100976650 B1 KR 100976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die bonding
alloy
germanium alloy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9879A (ko
Inventor
최갑수
이수경
윤현우
박명호
김중환
윤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to KR1020070126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65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 본딩 구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이 본딩 재료 및 공정 원가를 대폭 축소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전기적 특성 및 접착력을 구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반도체 다이와 리드프레임을 상호간 본딩하는 다이 본딩 구조에 있어서, 반도체 다이와 리드프레임은 알루미늄게르마늄(AlGe) 합금에 의해 상호 본딩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이 본딩 구조 및 그 방법{DIE BONDING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이 본딩 구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 본딩이라 함은 리드프레임 또는 회로기판 위에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반도체 다이(능동 소자 또는 수동 소자)를 접착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 부재는 크게 절연성 접착 부재와 도전성 접착 부재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도전성 접착 부재를 이용한 다이 본딩 구조만을 살펴 보기로 한다.
리드프레임 위에 반도체 다이를 본딩하기 위해서 통상 반도체 다이의 저면에는 아래와 같은 층 구조가 먼저 형성된다. 즉, 바나듐(V)/니켈(Ni)/골드게르마늄안티몬(AuGeSb) 합금/골드 또는 은(Au 또는 Ag), 바나듐(V)/니켈(Ni)/골드 또는 골드아세나이드(AuAs) 합금/골드 또는 은, 바나듐/니켈/골드 또는 은/솔더 플럭스의 3가지 종류중 어느 1가지 종류의 층이 반도체 다이의 저면에 형성된다. 이후, 상기 반도체 다이가 고온으로 가열된 리드프레임 위에 안착되면 중간층의 골드게르마늄안티몬(AuGeSb) 합금 또는 골드아세나이드(AuAs) 합금 또는 니켈, 또는 솔더 플럭스가 용융되면서 반도체 다이와 리드프레임 상호간이 전기적 및 기구적으로 연결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다이 본딩 구조는 각층의 원가 및 본딩 공정이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비용중 대략 20% 이상을 차지함으로써,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다이 본딩 구조는 골드게르마늄안티몬 합금, 골드 또는 골드아세나이드 합금이 반도체 다이의 표면에 잘 접착되지 않기 때문에, 미리 반도체 다이의 저면에 바나듐/니켈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성이 떨어지고 그만큼 불량률도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다이 본딩 구조중 솔더 플러스를 이용한 경우에는 반도체 다이와 리드프레임 사이의 저항이 높아지고, 솔더(납 포함)의 사용으로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 본딩 재료 및 공정 원가를 대폭 축소할 수 있는 다이 본딩 구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층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반도체 다이와 리드프레임을 용이하게 본딩할 수 있는 다이 본딩 구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도체 다이와 리드프레임을 상호간 본딩하는 다이 본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다이와 리드프레임은 알루미늄게르마늄(AlGe) 합금에 의해 상호 본딩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과 상기 리드프레임 사이에는 금(Au) 또는 은(Ag)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다이와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 사이에는 바나듐(V) 및 니켈(Ni), 또는 니켈바나듐 합금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은 반도체 다이의 사이즈(chip size)에 따라서 0.5~5㎛두께로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금 또는 은은 0.01~1㎛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나듐은 0.01~1㎛두께로, 상기 니켈은 0.01~1㎛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니켈바나듐 합금은 0.01~1㎛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은 알루미늄이 35~55wt.%, 게르마늄 45~65wt.%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은 순수한 알루미늄 결정부가 없는 층상부로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다이 본딩 방법은 반도체 다이를 준비하는 반도체 다이 준비 단계와, 상기 반도체 다이의 표면에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을 형성하는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 형성 단계와,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의 표면에 골드 또는 은을 형성하는 골드 또는 은 형성 단계와, 상기 반도체 다이를 리드프레임의 표면에 올려놓고, 온도 400~600℃, 압력 50~500gf/㎠로 다이 본딩하는 다이 본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다이 준비 단계와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 형성 단계 사이에는 상기 반도체 다이의 표면에 바나듐 및 니켈, 또는 니켈바나듐 합금을 형성하는 바나듐 및 니켈 형성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의 형성 단계는 증착(evaporation)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골드 또는 은 형성 단계는 증착(evaporation)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나듐 및 니켈 형성 단계는 증착(evaporation)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 본딩 구조 및 그 방법은 종래의 원가 대비 1/10인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을 이용함으로써, 다이 본딩 재료 및 공정 원가를 대폭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다층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반도체 다이와 리드프레임을 용이하게 본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최적의 조성비와 최적의 온도 범위를 선택함으로써, 알루미늄 석출이 없는 랜덤한 층상 구조의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접착력이 우수한 다이 본딩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 본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 본딩 구조(100)는 반도체 다이(110)와, 상기 반도체 다이(110)에 형성된 알루미늄게르마늄(AlGe) 합금(120)과,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에 형성된 금(Au) 또는 은(Ag)과, 상기 금 또는 은(130)에 본딩된 리드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다이(110)는 통상의 능동 소자, 집적회로 또는 그 등가물이 가 능하며, 여기서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반도체 다이(110)는 심지어 수동 소자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은 상기 반도체 다이(110)의 표면에 대략 0.5~5㎛의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 다이(110)와 리드프레임(140) 상호간을 공용 본딩(eutectic bonding)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은 반도체 다이(110)와 리드프레임(140) 사이의 접합 매개체 역할을 한다.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은 두께가 0.5㎛미만인 경우에는 공정 불량(개방(open), 특성 저하 등)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의 두께가 5㎛를 초과할 경우에는 공정불량(반도체 다이의 위치 변동(chip tilting), 단락(short) 등)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은 알루미늄이 35~55wt.%, 게르마늄 45~65wt.%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의 중량비가 35wt.% 미만이거나 55wt.%를 초과할 경우에는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의 용융점이 대략 600℃를 초과하게 되어 공정 조건이 나빠지고, 또한 다이 본딩 공정에서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이 고상, 고상+액상 및 액상 상태를 모두 통과하게 되어 냉각시 알루미늄또는 게르마늄만의 결정(즉, 알루미늄 또는 게르마늄 석출)이 형성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게르마늄의 중량비가 45wt.% 미만이거나 65wt.%를 초과할 경우에는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의 용융점이 대략 600℃를 초과하게 되어 공정 조건이 나빠지고, 또한 다이 본딩 공정에서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이 고상, 고상+액상 및 액상 상태를 모두 통과하게 되어 냉각시 알루미늄 또는 게르마늄 만의 결정(즉, 알루미늄 또는 게르마늄 석출)이 형성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금 또는 은(130)은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의 표면에 대략 0.01~1㎛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의 산화를 방지하고, 리드프레임(140)에 더욱 강하게 접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금 또는 은(130)의 두께가 0.01㎛미만인 경우에는 공정 불량(산화, 개방(open) 등)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금 또는 은(130)의 두께가 1㎛를 초과할 경우에는 공정불량(반도체 다이의 위치 변동(chip tilting), 단락(short), 본딩(bonding) 불량 등)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드프레임(140)은 통상의 구리, 구리 합금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리드프레임(140)은 통상의 구리 배선 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을 포함한 개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 본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 본딩 구조(200)는 도 1에 도시된 다이 본딩 구조(100)와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그 차이점만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다이(110)의 표면에는 실리콘 표면에 단단하게 접착되는 바나듐(V)(210)이 대략 0.01~1㎛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나듐(210)은 접착 금속(glue metal)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바나듐(210)은 두께가 0.01㎛ 미만인 경우에는 금속 들뜸(metal lift)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바나 듐(210)의 두께가 1㎛를 초과할 경우에는 특성 불량(저항 증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나듐(210)의 표면에는 니켈(Ni)(220)이 대략 0.01~1㎛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바나듐(210)과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니켈(220)은 두께가 0.01㎛ 미만인 경우에는 금속 들뜸(metal lift)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니켈(220)의 두께가 1㎛를 초과할 경우에는 특성 불량(저항 증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바나듐(210) 및 니켈(220) 대신, 상기 반도체 다이(110)와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 사이에 니켈바나듐 합금이 개재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니켈바나듐 합금을 형성할 경우 그 두께는 0.01~1㎛두께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니켈바나듐 합금은 두께가 0.01㎛미만인 경우에는 금속 들뜸(metal lift)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니켈바나듐 합금의 두께가 1㎛ 를 초과할 경우에는 특성 불량(저항 증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니켈바나듐 합금은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 본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다이 본딩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 본딩 방법은 반도체 다이 준 비 단계(S11)와,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 형성 단계(S12)와, 골드 또는 은 형성 단계(S13)와, 소잉 단계(S14)와, 본딩 단계(S15)를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다이(110) 준비 단계(S11)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능동 소자, 집적회로 또는 그 등가물중 어느 하나를 준비하나, 여기서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반도체 다이(110)는 수동 소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실제로 상기 반도체 다이(110)는 반도체 웨이퍼 형태가 적합하다. 즉, 다수의 반도체 다이(110)가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의해 하나의 반도체 다이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 형성 단계(S12)에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 다이(110)의 표면에 대략 0.5~5㎛의 두께로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을 증착(evaporation)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한다. 여기서,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은 알루미늄이 35~55wt.%, 게르마늄이 45~65wt.%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이러한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을 형성하기 위한 타겟(target) 및 작업 조건(process condition)을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타겟 및 작업 조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겟: Al55wt.%Ge45wt.%(Al55Ge)
기본 압력: 5.0E-6Torr
예비 스퍼터링: 5분
파워(DC,RF): 120W
아르곤 유량: 15sccm
작업 압력: 3.0E-3Torr
두께: 15,000Å
이러한 타겟 및 작업 조건에 의해 면저항 4.5~5.5Ω/㎠인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면저항 값은 종래의 골드게르마늄안티몬(AuGeSb) 합금, 골드 또는 골드아세나이드(AuAs) 합금이 갖는 면저항 값이 범위 이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은 종래의 재료와 동일한 전기적 특성을 가져, 종래의 고가 재료를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종래의 가격 대비 1/10로 다이 본딩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은 종래의 재료 특성 평가에 이용되는 스크래치(scratch) 및 테이핑(taping) 테스트를 모두 통과하였다. 즉,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은 다이 본딩 재료로서 충분한 접착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은 종래의 고가 재료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은 조성 구조 및 분포에 있어서도 보이드(void)가 전혀 없으며 치밀하고 단단하였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의 스퍼터링 공정에 이용된 챔버 내부 및 사용된 타겟에도 오염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은 종래와 동일한 전기적 특성 및 접착력을 가지면서도, 종래에 비해 1/10의 가격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계속해서, 골드 또는 은 형성 단계(S13)에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의 표면에 대략 0.01~1㎛두께로 골드 또는 은을 증착(evaporation)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한다. 이러한 골드 또는 은은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의 산화 현상을 방지하고 다이 본딩 공정에서 리드프레임(140)에 잘 접착되도록 한다.
소잉 단계(S14)에서는, 웨이퍼에서 낱개의 반도체 다이(110)를 소잉하여 분리한다. 물론, 처음부터 낱개의 반도체 다이(110)에 상기와 같은 작업이 수행되었다면 이러한 소잉 공정은 필요없다.
마지막으로 다이 본딩 단계(S15)에서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다이(110)를 리드프레임(140) 위에 올려 놓고, 온도 400~600℃, 압력 50~500gf/㎠로 다이 본딩한 후 냉각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가 400℃ 미만이면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이 고체 상태로 남아 공융(eutectic) 상태에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가 600℃를 초과하게 되면 과공융 상태에 도달하여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이 반도체 다이(110)의 외부로 흘러 갈 수 있다. 물론, 공정 온도가 너무 높음으로써 다른 소자들이 용융될 위험도 있다. 실제의 실험 결과,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은 대략 423℃에서부터 공융 상태가 시작됨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최적의 전기적 특성 및 접착력 등은 대략 450~550℃ 부근에서 얻을 수 있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 본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도 5에 도시된 다이 본딩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 본딩 방법은 반도체 다이 준비 단계(S21)와, 바나듐 및 니켈 형성 단계(S22)와,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 형성 단계(S23)와, 골드 또는 은 형성 단계(S24)와, 소잉 단계(S25)와, 본딩 단계(S2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나듐 및 니켈 형성 단계(S22)를 제외한 나머지 단계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단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그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다이(110)의 표면에는 증착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바나듐(210)이 대략 0.01~1㎛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나듐(210)은 접착 금속(glue metal)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바나듐(210)의 표면에는 증착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니켈(220)이 대략 0.01~1㎛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니켈(220)은 바나듐(210)과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바나듐(210) 및 니켈(220) 대신, 상기 반도체 다이(110)의 표면에 증착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니켈바나듐 합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니켈바나듐 합금을 형성할 경우 그 두께는 0.01~1㎛ 두께로 형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개시된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의 그래프중 X축은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중 게르마늄의 중량비를 의미 한다. 따라서, X축중 0은 알루미늄 100wt.%, 게르마늄0wt.%를 의미한다. 또한 X축중 55는 알루미늄 45wt.%, 게르마늄 55wt.%를 의미한다. 물론, X축중 100은 알루미늄 0wt.%, 게르마늄 100wt.%를 의미한다. 또한, Y축은 온도를 의미한다. 실험은 온도 300~700℃ 범위에서 수행되었다.
한편, 그래프중 b-a-c가 이루는 상부 영역은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의 액상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d-b-a 및 a-c-e가 이루는 영역은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의 액상+고상 영역을 의미한다. 물론, d-a-e가 이루는 선의 하부 영역은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의 고상 영역을 의미한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게르마늄의 중량비가 대략 55wt.% 미만일 경우에는 온도 증가에 따라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이 고상, 액상+고상 및 액상의 순서로 공융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상, 액상+고상 및 액상의 순서로 공융되면 냉각 과정에서 알루미늄이 석출되면서 알루미늄만의 결정이 형성되기 때문에 다이 본딩 재료로 적합하지 않다. 더욱이, 완전한 액상의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을 얻기 위해서는 423~656℃ 이상의 온도가 필요함으로써, 공정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게르마늄의 중량비가 대략 55wt.%를 초과할 경우에도 온도 증가에 따라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이 고상, 액상+고상 및 액상의 순서로 공융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상, 액상+고상 및 액상의 순서로 공융되면 냉각 과정에서 게르마늄이 석출되면서 게르마늄만의 결정이 형성되기 때문에 다이 본딩 재료로 적합하지 않다. 마찬가지로, 완전한 액상의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을 얻기 위해서는 423~700 ℃ 이상의 온도가 필요함으로써, 공정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그런데, 게르마늄의 중량비가 대략 55wt.%일 경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120)이 고상 및 액상의 순서로 공융됨을 알 수 있다. 즉, 다이 본딩 공정에서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은 액상+고상의 상태없이 바로 고상에서 액상의 순서로 공융되는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이 다이 본딩 공정중 바로 고상에서 액상으로 상태가 변하면 냉각 과정에서 알루미늄이나 게르마늄이 석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최적의 다이 본딩 구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실제로, 다이 본딩 공정은 대략 400℃~600℃ 이상으로 온도를 증가시켰다가 냉각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조성이 균일한 고상의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을 얻을 수 있었다.
도 8a 및 도 8b는 최적 조성비에서 형성된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을 도시한 SEM 사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적 조성비 즉, 알루미늄45wt.% 및 게르마늄55wt.%인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을 이용하여 다이 본딩한 경우 그 구조는 랜덤(random)한 층상부 형태를 한다. 즉, 알루미늄만의 결정부 또는 게르마늄만의 결정부가 관찰되지 않는다. 이러한 층상부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은 면저항이 종래의 금을 함유한 면저항과 같거나 더 우수하고, 또한 접착력도 종래의 금을 함유한 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
도 9a 및 도 9b는 최적 조성비를 벗어난 경우 형성된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 을 도시한 SEM 사진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적의 조성비를 벗어난 경우 즉, 게르마늄의 중량비가 55wt.% 미만이거나 또는 55wt.%를 초과한 경우 알루미늄이나 게그마늄이 석출되면서 층상부 사이에 알루미늄이나 게르마늄 결정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알루미늄이나 게르마늄 결정부는 면저항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접착력도 저하시켜 다이 본딩 구조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을 다이 본딩 재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조성비와 최적의 다이 본딩 온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최적의 조성비는 알루미늄 45wt.%, 게르마늄 55wt.%이고, 또한 다이 본딩 온도는 400~600℃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조성비 및 온도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인식할 것이다. 즉, 공정상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 또는 타겟에는 미량의 불순물(예를 들면, 철, 탄소, 실리콘, 나트륨, 비소, 안티몬, 비스무스 등)이 있게 마련이고, 또한 반도체 다이, 니켈, 금, 은 또는 리드프레임 등의 표면 특성에 따라서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의 실제 최적 조성비 및 실제 다이 본딩 온도는 약간씩 쉬프트(shift)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 본딩 구조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 본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 본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 본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다이 본딩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 본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도 5에 도시된 다이 본딩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개시된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최적 조성비에서 형성된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을 도시한 SEM 사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최적 조성비를 벗어난 경우 형성된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을 도시한 SEM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 본 발명에 따른 다이 본딩 구조
110; 반도체 다이
120;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
130; 금 또는 은
140; 리드프레임
210; 바나듐
220; 니켈

Claims (14)

  1. 반도체 다이와 리드프레임을 상호간 본딩하는 다이 본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다이와 리드프레임은 알루미늄게르마늄(AlGe) 합금에 의해 상호 본딩되고,
    상기 반도체 다이와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 사이에는
    2층 구조로서 바나듐(V) 및 니켈(Ni)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1층 구조로서 니켈바나듐 합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본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과 상기 리드프레임 사이에는 금(Au) 또는 은(Ag)이 더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본딩 구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은 0.5~5㎛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본딩 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 또는 은은 0.01~1㎛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본딩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나듐은 0.01~1㎛, 상기 니켈은 0.01~1㎛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본딩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바나듐 합금은 0.01~1㎛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본딩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은 알루미늄이 35~55wt.%, 게르마늄 45~65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본딩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은 순수한 알루미늄 결정부가 없는 층상부로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본딩 구조.
  10. 반도체 다이를 준비하는 반도체 다이 준비 단계;
    상기 반도체 다이의 표면에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을 형성하는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 형성 단계;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의 표면에 골드 또는 은을 형성하는 골드 또는 은 형성 단계;
    상기 반도체 다이를 리드프레임의 표면에 올려놓고, 온도 400~600℃, 압력 50~500gf/㎠로 다이 본딩하는 다이 본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다이 준비 단계와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 형성 단계 사이에는
    상기 반도체 다이의 표면에 2층 구조로서 바나듐 및 니켈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1층 구조로서 니켈바나듐 합금을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본딩 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게르마늄 합금은 증착(evaporation)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본딩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골드 또는 은 형성 단계는 증착(evaporation)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본딩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나듐 및 니켈 형성 단계는 증착(evaporation)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본딩 방법.
KR1020070126957A 2007-12-07 2007-12-07 다이 본딩 구조 및 그 방법 KR100976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957A KR100976650B1 (ko) 2007-12-07 2007-12-07 다이 본딩 구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957A KR100976650B1 (ko) 2007-12-07 2007-12-07 다이 본딩 구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879A KR20090059879A (ko) 2009-06-11
KR100976650B1 true KR100976650B1 (ko) 2010-08-18

Family

ID=4098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957A KR100976650B1 (ko) 2007-12-07 2007-12-07 다이 본딩 구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6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5091A (en) * 1983-08-17 1987-01-06 U.S. Philips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overload prot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5091A (en) * 1983-08-17 1987-01-06 U.S. Philips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overload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879A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9745B1 (ko) 구리/세라믹스 접합체, 절연 회로 기판, 및, 구리/세라믹스 접합체의 제조 방법, 절연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CN105393348B (zh) 接合体及功率模块用基板
KR101690820B1 (ko) 히트 싱크 부착 파워 모듈용 기판의 제조 방법, 히트 싱크 부착 파워 모듈용 기판 및 파워 모듈
CN105393347B (zh) 接合体及功率模块用基板
KR102154889B1 (ko) 접합체의 제조 방법 및 파워 모듈용 기판의 제조 방법
CN105393349B (zh) 接合体及功率模块用基板
US8084861B2 (en) Connection structure semiconductor chip and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the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connection structure
JP5815880B2 (ja) 少なくとも一種の金属粉末から成る焼結可能な層及びはんだ層を含む層系と支持体シートとから成る層結合体
KR20070110889A (ko) 서브 마운트 및 그 제조 방법
TW201119079A (en) A bonding method for LED chip and bonded LED
JP6432465B2 (ja) 接合体、ヒートシンク付パワーモジュール用基板、ヒートシンク、接合体の製造方法、ヒートシンク付パワーモジュール用基板の製造方法、及び、ヒートシンクの製造方法
JP6184582B2 (ja) In−bi−ag接合層を形成するための等温凝固反応を用いた接合パートナーの接合方法及び対応する複数の接合パートナーの配置構成
KR100793970B1 (ko) Zn을 이용하는 솔더링 구조물 및 솔더링 방법
JP2009147111A (ja) 接合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WO2015163232A1 (ja) 接合体の製造方法、パワーモジュール用基板の製造方法
US7851910B2 (en) Diffusion soldered semiconductor device
JP2006278463A (ja) サブマウント
EP3407380B1 (en) Bonded body, power module substrate, bonded body manufacturing method, and power module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KR100976650B1 (ko) 다이 본딩 구조 및 그 방법
JP4951932B2 (ja) パワーモジュール用基板の製造方法
JP4917375B2 (ja) パワー半導体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667427B1 (ko) 칩 및 칩-기판 복합조립체
WO2011036829A1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951786A (zh) 焊料材料、层结构及其形成方法、芯片封装及其形成方法、芯片布置及其形成方法
WO2017126641A1 (ja) 接合体、パワーモジュール用基板、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パワーモジュール用基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