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585B1 -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 - Google Patents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585B1
KR100975585B1 KR1020080050741A KR20080050741A KR100975585B1 KR 100975585 B1 KR100975585 B1 KR 100975585B1 KR 1020080050741 A KR1020080050741 A KR 1020080050741A KR 20080050741 A KR20080050741 A KR 20080050741A KR 100975585 B1 KR100975585 B1 KR 100975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engine
cylinders
mix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492A (ko
Inventor
양기영
서현주
양기웅
Original Assignee
양기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웅 filed Critical 양기웅
Priority to KR102008005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58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2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in V, fan, or star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B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OR OF POSITIVE-DISPLACEMENT TYPE, e.g. STEAM ENGINES
    • F01B7/00Machines or engines with two or more pistons reciprocating within same cylinder or within essentially coaxial cylinders
    • F01B7/02Machines or engines with two or more pistons reciprocating within same cylinder or within essentially coaxial cylinders with oppositely reciprocating pistons
    • F01B7/14Machines or engines with two or more pistons reciprocating within same cylinder or within essentially coaxial cylinders with oppositely reciprocating pistons acting on different mai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28Engines with two or more pistons reciprocating within same cylinder or within essentially coaxial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은,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과 축연결되어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크랭크축과, 실린더와 연통되어 실린더 내로 혼합기를 공급하는 흡기밸브와, 실린더에 구비되고, 실린더 내의 혼합기에 불꽃을 제공하는 점화플러그와, 실린더와 연통되어 배출가스를 실린더 밖으로 배출하는 배기밸브를 포함하고, 실린더는 다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엔진을 구비하는 것에 비해 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면서, 구동력의 집중 및 분배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
Figure R1020080050741
엔진, 실린더, 피스톤, 자동차

Description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ENGINE WITH PLURAL CYLINDER}
본 발명은 엔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면서, 구동력의 집중 및 분배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은 엔진의 내부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하는 기관의 총칭이다. 그 용도는 자동차를 비롯하여 철도, 선박, 항공기, 정치식 발전기, 산업용 기기 등 대단히 폭넓게 우리들 생활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자동차용 엔진의 경우 그 종류가 다양하다. 자동차용 엔진을 생각할 때 가솔린엔진이나 디젤엔진을 생각하는 것은 사용연료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이 밖에 액화천연가스(LNG, Liquiefied Natural Gas), 엘피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 등도 연료로 사용한다. 사용연료에 따른 분류방법 이외에도 많은 분류방법이 있다. 일례로, 사이클에 따른 분류방법으로 2스트로크 사이클과 4스트로크 사이클이 있다.
4스트로크 사이클 엔진은 가솔린 실린더 내 분사엔진의 베이스엔진인 디오에이치씨(DOHC) 4밸브 가솔린엔진이 4스트로크 사이클의 왕복동식 엔진이다. 현재로는 이 형의 엔진이 자동차 엔진의 주류이고 각 메이커로부터는 많은 종류나 배기량의 것을 탑재한 차가 시판되고 있다.
4스트로크 사이클엔진은 엔진의 출력축인 크랭크축이 2회전하는 사이에 각각의 실린더에서 1회의 연소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연소를 연속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흡기, 압축, 연소 및 배기의 4가지 행정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흡기행정을 보여준다. 흡기행정에서는 피스톤(20)이 상사점에서 내려가는 사이에 실린더(10) 내의 부압에 의해 가솔린과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a, 지디아이(GDI)형 엔진이나 디젤엔진은 공기만을 흡입한다.)를 흡입한다. 혼합기의 흡입을 제어하는 흡기밸브(40)는 상사점 전부터 열려있고 피스톤(20)이 2/3 정도 내려갔을 때 최대로 열리며 그 후에 닫히기 시작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압축행정을 보여준다. 압축행정에서는 피스톤(20)이 하사점으로부터 올라오는 사이에 흡기행정에서 흡입된 혼합기를 압축한다. 혼합기를 1/8 ~ 1/12(디젤엔진의 경우 1/20 ~ 1/25) 정도까지 압축하게 되므로 이때에는 외부로부터의 일이 필요하다.
흡기밸브(40)는 혼합기를 충분히 흡입하기 위해 압축행정이 시작되어도 열린 상태에 있고 피스톤(20)이 1/3 정도 상승되었을 때 완전히 닫힌다. 그리고 혼합기의 연소에 의해 폭발력이 피스톤(20)에 유효하게 전달되도록 피스톤(20)이 상사점에 달하기 전에 점화를 한다. 이러한 점화는 점화플러그(60)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폭발행정을 보여준다. 폭발행정에서는 피스톤(20)이 상사점으로부터 내려가는 사이에 점화에 의해 연소된 고온·고압의 연소가스에 의하여 피스톤(20)은 하측으로 밀리면서 일을 얻는다. 피스톤(20)이 1/3 정도 내려갔을 때 배출가스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기밸브(50)가 열리기 시작하고, 이 배기밸브(50)가 열리기 시작하면 피스톤(20)으로부터는 그 이상의 일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즉 크랭크축(30)이 2회전하는 사이에 일을 얻을 수 있는 것은 팽창행정의 상사점에서 피스톤(20)이 2/3 정도 내려갈 때까지의 사이가 되는 셈이고, 그 이외의 행정에서 엔진(1)은 항상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는 것이 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배기행정을 보여준다. 배기행정에서는 피스톤(20)이 하사점에서 올라오고 있는 사이에 연소에 의해 발생된 배출가스(b)를 실린더(10) 밖으로 배출한다. 배기밸브(50)는 피스톤(20)이 1/3 정도 상승되었을 때 최대로 열리게 되고 그 뒤 상사점 후에 완전히 닫히게 된다.
흡기밸브(40)가 이미 상사점 전에 열리기 시작하고 있어서 상사점에서는 흡기밸브(40) 및 배기밸브(50)가 공히 약간씩 열려 있으며 이 상태를 밸브의 오버랩(overlap)이라 한다. 이 오버랩에 의해 배출가스와 혼합기의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들 밸브(40, 50)의 움직임은 일반적인 것으로 엔진의 종류에 따라 흡기밸브와 배기밸브의 열림이 시작되는 시기와 닫힘이 끝나는 시기가 다를 수 있다.
종래의 엔진에서는 4개의 행정 가운데 하나의 행정 때에만 피스톤은 일을 하게 되므로 하나의 실린더만으로는 원활하고 조용한 운전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비용 절감을 이루면서, 구동력의 집중 및 분배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은: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피스톤과 축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크랭크축; 상기 실린더와 연통되어 상기 실린더 내로 혼합기를 공급하는 흡기밸브; 상기 실린더에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내의 혼합기에 불꽃을 제공하여 혼합기를 점화 연소시키는 점화플러그; 상기 실린더와 연통되어 배출가스를 상기 실린더 밖으로 배출하는 배기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다수 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에는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언덕부가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덕부는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피스톤의 상사점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실린더로 공급되는 혼합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차단벽이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벽에는 상기 차단벽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스토퍼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기밸브는 다량의 혼합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화플러그는 혼합기의 점화가 용이하게 되도록 다수 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기밸브는 다량의 배출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은 종래 기술과 달리, 하나의 엔진에 다수의 실린더를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엔진을 구비하는 것에 비해 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면서, 구동력의 집중 및 분배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흡기밸브를 구비함으로써 다량의 혼합기를 한꺼번에 실린더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점화플러그를 구비함으로써 점화 불량률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옥탄가가 낮은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점화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차단벽을 구비함으로써 각 실린더 내로 공급되는 혼합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배기밸브를 구비함으로써 다량의 배출가스를 한꺼번에 실린더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100)의 흡입, 압축, 폭발, 배기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100)은 다수의 실린더(110, 111, 112)와, 다수의 피스톤(120, 121, 122)과, 다수의 크랭크축(130, 131, 132)과, 다수의 흡기밸브(140, 141)와, 다수의 점화플러그(150, 151)와, 다수의 배기밸브(160, 161)를 포함한다.
실린더(110, 111, 112)는 피스톤(120, 121, 122)이 왕복운동하는 공간을 이루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실린더(110, 111, 112) 각각이 'ㅜ'자 형상을 이 루도록 배치하였는데,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서로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피스톤(120, 121, 122)은 실린더(110, 111, 112)의 내측에 구비되는데, 혼합기의 점화 폭발에 의해 피스톤(120, 121, 122)은 실린더(110, 111, 112) 내에서 왕복운동을 이루게 된다.
크랭크축(130, 131, 132)은 실린더(110, 111, 112)의 내측에 구비되며, 피스톤(120, 121, 122)과 축연결된다. 이에 의해 크랭크축(130, 131, 132)은 피스톤(120, 121, 122)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게 된다.
흡기밸브(140, 141)는 가솔린과 공기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기가 실린더(110, 111, 112) 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실린더(110, 111, 112)와 연통 형성된다. 이러한 흡기밸브(140, 141)의 조절에 의해 실린더(110, 111, 112) 내로의 혼합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다량의 혼합기를 한꺼번에 실린더(110, 111, 112) 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흡기밸브(140, 141)를 다수 개로 구성한다.
점화플러그(160, 161)는 실린더(110, 111, 112)의 일측에 구비되어, 흡기밸브(140, 141)에 의해 실린더(110, 111, 112) 내에 공급된 혼합기에 불꽃(spark)을 제공하여 혼합기가 실린더(110, 111, 112) 내에서 점화 연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혼합기의 점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점화플러그(160, 161)를 다수 개 구성하였으며, 이에 의해 점화 불량률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옥탄가가 낮은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점화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배기밸브(150, 151)는 혼합기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배출가스를 실린더(110, 111, 112) 밖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실린더(110, 111, 112)와 연통 형성된다. 이러한 배기밸브(150, 151)의 조절에 의해 실린더(110, 111, 112) 밖으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다량의 배출가스를 한꺼번에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밸브(150, 151)를 다수 개로 구성한다.
실린더(110, 111, 112)에는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언덕부(180, 181, 182)가 구비된다. 이러한 언덕부(180, 181, 182)는 흡기밸브(140, 141)를 통해 들어온 혼합기를 각각의 실린더(110, 111, 112)와 연통되어 있는 엔진(100)의 중앙부에 모아두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언덕부(180, 181, 182)의 구성에 의해 혼합기가 중력 등에 의해 어느 일측의 실린더(110, 111, 112)에 더욱 치중되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언덕부(180, 181, 182)는 실린더(110, 111, 11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데, 피스톤(120, 121, 122)의 왕복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피스톤(120, 121, 122)의 상사점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언덕부(180, 181, 182)가 링 형상의 도너츠를 반으로 나눈 형상으로 구성되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엔진(100)의 중앙부에 혼합기를 모아둘 수 있는 형상이라면 반 도너츠 형상이 아니라도 무방하다.
실린더(110, 111, 112)에는 실린더(110, 111, 112) 내로 공급되는 혼합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차단벽(170, 171, 172)이 구비된다. 차단벽(170, 171, 172)은 실린더(110, 111, 112)의 내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혼합기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차단벽(170, 171, 172)이 완전 개방되면, 차단벽(170, 171, 172)이 애초에 구비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실린더(110, 111, 112) 내로 공급되는 혼합기의 양에 있어서 차단벽(170, 171, 172)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지만, 차단벽(170, 171, 172)이 완전 폐쇄되면, 혼합기가 실린더(110, 111, 112) 내로 공급되는 유로가 폐쇄되므로 실린더(110, 111, 112) 내로 혼합기는 공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차단벽(170, 171, 172)을 완전 개방위치와 완전 폐쇄위치 사이에서 적절히 이동시킨다면 각 실린더(110, 111, 112) 내로 공급되는 혼합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단벽(170, 171, 172) 모두를 완전 개방시킴으로써 엔진(100)을 이루는 모든 실린더(110, 111, 112)에서 흡입, 압축, 폭발, 배기행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단벽(170, 171, 172)이 언덕부(180, 181, 182)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예로 든 것으로, 차단벽(170, 171, 172)이 언덕부(180, 181, 182) 사이가 아닌 실린더(110, 111, 112)의 내주면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우라면 실린더(110, 111, 112)의 완전 폐쇄가 가능하도록 차단벽(170, 171, 172)의 길이가 조절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차단벽(170, 171, 172)은 모터(190, 191, 192) 및 제어부(200, 201, 2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200, 201, 202)는 모터(190, 191, 192)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차단벽(170, 171, 172)의 이동을 조절하게 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100)의 흡입, 압축, 폭발, 배기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차단벽(172)의 위치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어느 일측의 차단벽(172)을 완전 폐쇄위치에 놓음으로써 해당 실린더(112)에 혼합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해당 실린더(112)를 제외한 나머지 실린더(110, 111)에서만 흡입, 압축, 폭발, 배기행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차단벽(172)을 완전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해당 실린더(112)에 혼합기가 공급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에 의해 불필요한 실린더(112)의 남용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차단벽(170, 171, 172)에는 실린더(110, 111, 112)가 완전 폐쇄가 된 상태에서 차단벽(170, 171, 172)이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176, 177, 178)가 구비되고, 차단벽(172)이 완전 폐쇄위치에 놓일 때 스토퍼(178)는 실린더(112)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의 작동원리를 살펴보기로 하겠으며, 앞서 기술한 종래 엔진의 작동원리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100)의 흡기행정에서는(도 5 참조), 피스톤(120, 121, 122)이 상사점에 다다른 후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실린더(110, 111, 112) 내의 부압에 의해 혼합기(a)가 흡기밸브(140, 141)를 통해 실린더(110, 111, 112) 내로 공급된다. 이 때 다수의 흡기밸브(140, 141)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다량의 혼합기를 한꺼번에 공급받을 수 있다.
실린더(110, 111, 112)에는 중심을 향해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언덕부(180, 181, 182)가 구비되어 있어 엔진(100)의 중앙부에 혼합기를 모아둘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어느 일측의 실린더(110, 111, 112)에 혼합기가 치중되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단벽(170, 171, 172)에 의해 각 실린더(110, 111, 112)에 공급되는 혼합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차단벽(172)을 완전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특정 실린더(112)에 공급되는 혼합기의 양을 제로로 할 수 있다(도 9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100)의 압축행정에서는(도 6 참조), 피스톤(120, 121, 122)이 하사점에 다다른 후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흡기행정에서 흡입된 혼합기를 압축한다. 이 때 각 실린더(110, 111, 112) 내로 유입된 혼합기는 피스톤(120, 121, 122)의 이동에 의해 엔진(100)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되면서 압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100)의 폭발행정에서는(도 7 참조), 피스톤(120, 121, 122)이 상사점에 다다른 후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점화플러그(160, 161)의 불꽃에 의해 연소된 고온 고압의 연소가스에 의해 피스톤(120, 121, 122)은 반대측으로 밀리면서 일을 얻게 된다. 점화플러그(160, 161)는 다수 개로 이루어지므로 옥탄가가 낮은 연료를 사용하거나 다량의 혼합기를 동시에 점화 시키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100)의 배기행정에서는(도 8 참조), 피스톤(120, 121, 122)이 하사점에 다다른 후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연소에 의해 발생된 배출가스(b)를 배기밸브(150, 151)를 통해 실린더(110, 111, 112) 밖으로 배출한다. 배기밸브(150, 151)는 피스톤(120, 121, 122)이 하사점으로부터 1/3 정도 이동되었을 때 최대로 열리게 되고 그 뒤 상사점 후에 완전히 닫히게 된다. 배기밸브(150, 151)는 다수 개로 이루어지므로 다량의 배출가스를 한꺼번에 실린더(110, 111, 112)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엔진의 흡입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엔진의 압축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엔진의 폭발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엔진의 배기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흡입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압축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폭발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배기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흡입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압축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폭발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배기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엔진 110, 111, 112 : 실린더
120, 121, 122 : 피스톤 130, 131, 132 : 크랭크축
140, 141 : 흡기밸브 150, 151 : 배기밸브
160, 161 : 점화플러그 170, 171, 172 : 차단벽
180, 181, 182 : 언덕부 190, 191, 192 : 모터
200, 201, 202 : 제어부

Claims (8)

  1.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피스톤과 축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크랭크축;
    상기 실린더와 연통되어 상기 실린더 내로 혼합기를 공급하는 흡기밸브;
    상기 실린더에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내의 혼합기에 불꽃을 제공하는 점화플러그;
    상기 실린더와 연통되어 배출가스를 상기 실린더 밖으로 배출하는 배기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다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에는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언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덕부는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피스톤의 상사점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실린더로 공급되는 혼합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차단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에는 상기 차단벽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밸브는 다량의 혼합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플러그는 혼합기의 점화가 용이하게 되도록 다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밸브는 다량의 배출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
KR1020080050741A 2008-05-30 2008-05-30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 KR100975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741A KR100975585B1 (ko) 2008-05-30 2008-05-30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741A KR100975585B1 (ko) 2008-05-30 2008-05-30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492A KR20090124492A (ko) 2009-12-03
KR100975585B1 true KR100975585B1 (ko) 2010-08-13

Family

ID=4168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741A KR100975585B1 (ko) 2008-05-30 2008-05-30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5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0783A (ja) * 1992-11-09 1994-07-19 Kazunori Tsukiki ひとつのシリンダーに複数のピストンが付いたエンジン
JPH10205349A (ja) 1997-01-17 1998-08-04 Satoshi Nakazawa 燃費半分エンジン
KR100391131B1 (ko) * 2000-12-09 200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소실 구조
JP2007327370A (ja) 2006-06-06 2007-12-20 Yuzo Terai 対向ピストン型2サイクルエンジ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0783A (ja) * 1992-11-09 1994-07-19 Kazunori Tsukiki ひとつのシリンダーに複数のピストンが付いたエンジン
JPH10205349A (ja) 1997-01-17 1998-08-04 Satoshi Nakazawa 燃費半分エンジン
KR100391131B1 (ko) * 2000-12-09 200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소실 구조
JP2007327370A (ja) 2006-06-06 2007-12-20 Yuzo Terai 対向ピストン型2サイクル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492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104B1 (ko) 압축공기를 동력 매체로 하는 엔진
US10968814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a motor vehicle
US8613269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direct air injection
KR950701705A (ko) 개선된 내연기관 및 작동방법(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14503740A (ja) フル拡張内燃機関
US201401098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2758212C (en) Two-stroke engine and related methods
GB2470025A (en) Switchable valve actuation system for a selectable 2-stroke/ 4-stroke i.c engine
US4995350A (en) 2-cycle uni-flow spark-ignition engine
CN104487676A (zh) 内燃机
JPH09505122A (ja) エンジン
CN100458117C (zh) 气缸配气式二行程发动机
KR100975585B1 (ko) 다수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
JP2013160078A (ja) 圧縮着火内燃機関
JPH039288B2 (ko)
JP2006348809A (ja) 内燃機関
EP2088283A1 (en) Reciprocating rotary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1808231B2 (en) Negative pressure operating method
JP6950037B2 (ja) 内燃機関
WO2018151689A1 (en) Telescopic piston configura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1208053B1 (ko) 더블 피스톤헤드를 구비한 내연기관
EP1336042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431245B2 (ja) 内燃機関
JPS6226318A (ja) 気化器式デイ−ゼルエンジン
US20160290192A1 (en) Two-strok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