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337B1 - 세그먼트 볼 밸브 - Google Patents

세그먼트 볼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337B1
KR100975337B1 KR1020090136241A KR20090136241A KR100975337B1 KR 100975337 B1 KR100975337 B1 KR 100975337B1 KR 1020090136241 A KR1020090136241 A KR 1020090136241A KR 20090136241 A KR20090136241 A KR 20090136241A KR 100975337 B1 KR100975337 B1 KR 10097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egment
main body
auxiliary bod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영
Original Assignee
서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6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05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articular plug arrangements, e.g. particular shape or built-i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63Packings
    • F16K5/0689Packings between housing and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F16K5/14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 F16K5/20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for plugs with spheric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및 제2파이프 사이의 공간에 차례로 체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를 연통시키는 주몸통과 보조몸통과, 상기 주몸통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보조몸통의 유로를 개폐하는 세그먼트, 및 상기 주몸통과 보조몸통을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와 각각 체결하기 위한 체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주몸통의 플랜지에 형성되며 상기 주몸통의 플랜지와 상기 제1파이프의 플랜지가 나사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1나사홀들과, 상기 보조몸통의 플랜지에 형성되며 상기 보조몸통의 플랜지와 상기 제2파이프의 플랜지가 나사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나사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볼 밸브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세그먼트 볼 밸브{SEGMENT BALL VALVE}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설치된 세그먼트의 회전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세그먼트 볼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유체의 통로를 형성하는 파이프 등에 의해 형성되는 배관의 일 부분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정지시키기나 유체의 흐름이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밸브 중 볼 밸브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볼의 회전에 따라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말하며, 세그먼트 볼 밸브는 완전 구형인 볼 대신 볼의 일부분을 이용한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말한다.
세그먼트 볼 밸브는 파이프들 사이에 설치되며,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파이프들과 체결된다. 이러한 세그먼트 볼 밸브와 파이프의 체결 구조로서, 세그먼트 볼 밸브의 플랜지와 파이프의 플랜지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체결 방식 뿐만 아니라, 버터플라이 밸브를 배관에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에 간편하고 편리하게 체결함과 아울러 제조 비용의 절감 또한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세그먼트 볼 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파이프 사이의 공간에 차례로 체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를 연통시키는 주몸통과 보조몸통과, 상기 주몸통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보조몸통의 유로를 개폐하는 세그먼트, 및 상기 주몸통과 보조몸통을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와 각각 체결하기 위한 체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주몸통의 플랜지에 형성되며 상기 주몸통의 플랜지와 상기 제1파이프의 플랜지가 나사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1나사홀들과, 상기 보조몸통의 플랜지에 형성되며 상기 보조몸통의 플랜지와 상기 제2파이프의 플랜지가 나사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나사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볼 밸브를 개시한다.
상기 주몸통의 플랜지와 상기 제1파이프의 플랜지는 제1체결나사들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1체결나사들은 상기 제1파이프의 플랜지에서 상기 주몸통의 플랜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며, 상기 제1파이프의 플랜지에 형성된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나사홀들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몸통의 플랜지와 상기 제2파이프의 플랜지는 제2체결나사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2체결나사들은 상기 제2파이프의 플랜지에서 상기 보조몸통의 플 랜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며, 상기 제2파이프의 플랜지에 형성된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나사홀들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세그먼트는 세그먼트 몸체와, 상기 세그먼트 몸체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주몸통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샤프트에 고정되는 샤프트 고정부와, 상기 세그먼트 몸체의 외곽에 형성되며 상기 보조몸통의 내면에 밀착되는 디스크 시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그먼트와 상기 보조 몸통의 내면에는 이들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 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실링 유닛은 상기 디스크 시트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보조몸통의 내면에 형성된 장착면에 장착되며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는 시트 링, 및 상기 시트 링 및 보조몸통에 지지되며 상기 시트링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면에는 상기 시트 링이 상기 보조몸통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링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면의 단부에 형성된 단턱에는 상기 고정 링을 지지하는 홀더가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보조몸통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몸통과 보조몸통에는 이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시트 링의 눌림량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주몸통과 보조몸통 사이를 체결하는 고정용 나사와, 상기 주몸통에 지지되도록 상기 보조몸통에 체결되며, 조임량에 따라 상기 주몸통과 보조몸통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조절용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주몸통과 보조몸통의 플랜지에 나사홀을 형성시켜 너트 등의 체결 부품이 필요 없으며, 파이프의 플랜지 쪽에서 체결나사의 체결이 이루어지므로, 밸브 바디와 배관들을 보다 편리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의 크기가 매우 큰 경우, 다른 작업자가 반대쪽에서 너트 등의 부품을 잡고 있을 필요 없이 1인의 작업자만 체결나사를 체결하면 되므로, 작업 인원을 축소하고 작업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세그먼트 볼 밸브의 면간 거리를 줄일 수 있으므로, 밸브의 중량 감소를 통한 제조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아울러, 너트 등의 체결부품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필요시 밸브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홀더의 형태와 배치는 최소한의 재료로서 시트 링의 이탈 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바,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세그먼트 볼 밸브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볼 밸브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그먼트 볼 밸브의 단면도로서, 세그먼트 볼 밸브가 파 이프들 사이에 체결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세그먼트 볼 밸브는 주몸통(100), 보조몸통(200), 및 세그먼트(300)를 포함한다.
주몸통(100)은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가진다. 주몸통(100)의 일측에는 제1파이프(510)가 체결된다.
보조몸통(200) 또한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가지며, 주몸통(100)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가진다. 보조몸통(200)의 일단은 주몸통(100)의 타측에 체결되며, 주몸통(100)과 보조몸통(200)이 체결된 조립체는 하우징 또는 밸브 바디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보조몸통(200)의 타단에는 제2파이프(520)가 체결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파이프(510,520)가 주몸통(100) 및 보조몸통(200)의 내부 공간에 의해 연통된다.
세그먼트(300)는 주몸통(100)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주몸통(100)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1 및 제2샤프트(410,42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그먼트(300)는 제1 및 제2샤프트(410,420)에 고정되어 주몸통(100)의 내부 공간을 회전 운동한다. 세그먼트(300)는 회전 운동에 의해 보조몸통(200)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된다.
주몸통(100)의 상측에는 제1샤프트(410)와 연결된 기어박스(540)와, 기어박스(540)에 연결된 조작기구(530) 등이 장착된다. 사용자가 조작기구(530)을 회전시키면, 기어 박스(540)는 조작기구(530)의 회전력을 변환하여 제1샤프트(410)을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세그먼트(300)의 회전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주몸통(100)의 일단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111)가 형성되며, 주몸통(100)의 플랜지(111)는 제1파이프(510)의 플랜지(511)와 맞닿을 수 있게 형성된다. 보조몸통(200)의 타단에도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211)가 형성되며, 보조몸통(200)의 플랜지(211)는 제2파이프(520)의 플랜지(521)가 맞닿을 수 있게 형성된다.
도 3a 및 3b는 도 2에 도시된 A부분과 B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4은 도 1의 세그먼트 볼 밸브를 보조몸통 쪽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세그먼트 볼 밸브는 주몸통(100)과 보조몸통(200)을 제1 및 제2파이프(510,520)와 각각 체결하기 위한 체결 유닛을 포함한다. 체결 유닛은 주몸통(100)의 플랜지(111)에 형성되는 제1나사홀들(130)과, 보조몸통(200)의 플랜지(211)에 형성되는 제2나사홀들(230)을 포함한다.
제1나사홀들(130)은 주몸통(100)의 플랜지(111)와 제1파이프(510)의 플랜지(511)가 제1체결나사들(120)에 의해 나사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나사홀들(230)은 보조몸통(200)의 플랜지(211)와 제2파이프(520)의 플랜지(521)가 제2체결나사(220)에 의해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파이프(510)의 플랜지(511)에는 삽입홀(512)이 형성되며, 제1체결나사들(120)은 제1파이프(510)의 플랜지(511)에서 주몸통(100)의 플랜지(1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체결된다. 제1체결나사들(120)은 삽입홀(512)을 관통하여 제1나사홀들(130)에 체결되며, 제1체결나사들(120)의 헤드(121)는 제1파이프(510)의 플랜지(511)의 외면에 의해 지지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2파이프(520)의 플랜지(521)에는 삽입홀(522)이 형성되며, 제2체결나사들(220)은 제2파이프(520)의 플랜지(521)에서 보조몸통(200)의 플랜지(2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체결된다. 제2체결나사들(220)은 삽입홀(522)을 관통하여 제2나사홀들(230)에 체결되며, 제2체결나사들(220)의 헤드(221)는 제2파이프(520)의 플랜지(521)의 외면에 의해 지지된다.
도 4와 같이, 제2나사홀들(230)은 보조몸통(200)의 플랜지(211)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나사홀들(130)도 주몸통(100)의 플랜지(111) 상에 복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로 형성된 제1 및 제2나사홀들(130,230)은 등간격을 이루며 배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몸통(100)과 보조몸통(200)의 플랜지들(111,211)에 제1 및 제2나사홀들(130,230)을 형성시킴으로써, 너트 등과 같은 체결을 위한 별도의 체결부품이 필요 없다. 또한, 제1 및 제2파이프(510,520)의 플랜지들(511,521) 쪽에서 체결나사들(120,220)을 체결하므로, 주몸통(100)과 보조몸통(200) 제1 및 제2파이프(510,520)를 보다 편리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세그먼트 볼 밸브가 매우 큰 크기를 갖는 경우, 다른 작업자가 너트 등의 부품을 잡고 있을 필요 없이 1인의 작업자만 체결나사들(120,220)을 체결하면 되므로, 작업 인원을 축소하고 작업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플랜지들(111,211)의 일측에 너트의 배치되는 공간을 별도로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는 바, 세그먼트 볼 밸브의 면간 거리(D, 도 2 참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몸통(100) 및 보조몸통(200)의 중량 감소를 통한 제조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너트 등의 체결부품들의 배치 공간이 필요치 않음에 따라, 필요시 주몸통(100) 또는 보조몸통(200)의 두께(t)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요구되는 압력 조건에 따라, 세그먼트 볼 밸브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그 두께(t)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세그먼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세그먼트(300)는 세그먼트 몸체(310), 샤프트 고정부(320), 및 디스크 시트부(330)를 포함한다.
세그먼트 몸체(310)는 구를 대략 90도 각도로 잘라낸 형태를 가지며, 세그먼트(3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심되게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세그먼트 몸체(310)의 일측에는 유체 통로부(311)가 형성된다. 세그먼트 몸체(310)에는 세그먼트 몸체(310)에 가해진 유체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 리브(34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고정부(320)는 세그먼트 몸체(310)의 양단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샤프트(410,420)에 고정된다. 샤프트 고정부(320)와 제1 및 제2샤프트(410,420)는 볼트 등에 의해 결합 가능하다.
디스크 시트부(330)는 세그먼트 몸체(310)의 외곽에 형성되며, 보조몸통(200)의 내면에 밀착 가능한 형태를 가진다. 디스크 시트부(330)의 외면은 보조몸통(200)의 내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디스크 시트부(330)가 보조몸통(20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닫힌 상태에서 세그먼트(300)가 90도 정도 회전하게 되면 세그먼트(300)의 유체 통로부(311)가 제1파이프(510)와 제2파이프(520)를 연통시키기 된다.
주몸통(100)의 상단과 하단에는 샤프트들(410,420)가 장착되기 위한 샤프트 장착부들(150,160)이 형성된다. 샤프트들(410,420)은 샤프트 장착부들(150,1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샤프트(420)가 장착되는 샤프트 장착부(160)에는 제2샤프트(420)를 덮는 커버(170)가 체결된다. 제2샤프트(420)와 샤프트 장착부(160)의 사이에는 베어링들(161)이 설치될 수 있다. 제2샤프트(420)와 커버(170)의 사이에는 샤프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칼라(163)이 설치될 수 있다.
제2샤프트(420)를 샤프트 장착부(160)에 임시 설치한 상태에서 세그먼트(300)를 제2샤프트(420) 위에 위치시킨 후, 제2샤프트(420)를 밀어 제2샤프트(420)에 형성된 돌기를 세그먼트(300)에 형성된 홈에 맞춘 후 제2샤프트(420)와 세그먼트(300)를 볼트 체결한다. 그리고, 제2샤프트(420)의 단부에 칼라(163)을 장착한 후, 커버(170)와 샤프트 장착부(160)를 볼트 체결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제2샤프트(420)는 칼라(163)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1샤프트(410)를 샤프트 장착부(150)에 장착하는 과정 또한 이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1샤프트(410)의 설치시 제1샤프트(410)을 미는 방향은 제2샤프트(420)의 경우와 반대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C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보조몸통의 내측에서 바라본 보조 몸통의 단면도이다.
보조몸통(200)과 세그먼트(300)의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 유닛(600)이 구비된다.
실링 유닛(600)은 디스크 시트부(330)에 형성된 돌출부(610)와, 보조몸통(200)의 내면에 장착되는 시트 링(620), 및 시트 링(620) 및 보조몸통(200)에 지지되는 스프링(630)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610)는 시트 링(620)과 접촉될 수 있도록 디스크 시트부(33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610)는 내부식성의 금속 재질로 형성 가능하며, 디스크 시트부(330)의 외주면에 용접 육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시트 링(620)은 보조몸통(200)의 내면에 형성된 장착면(251) 상에 위치한다. 시트 링(620)은 눌림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형태의 탄성 접촉부(621)을 구비하며, 탄성 접촉부(621)에서 발생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탄성 접촉부(621)와 돌출부(610)가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시트 링(620) 또한 돌출부(610)와 마찬가지로 내부식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나, 고무 재질로도 형성 가능하다. 시트 링(620)과 장착면(251)의 사이에는 그들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오-링(253)이 개재될 수 있다.
스프링(630)은 시트 링(620)에 돌출부(6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며, 이에 따라 돌출부(610)와 시트 링(620) 사이가 말착되어 보조몸통(200)의 내면과 세그먼트(300) 사이가 완벽하게 실링될 수 있다.
보조몸통(200)의 내벽, 즉, 장착면(251)에는 시트 링(620)이 스프링(630)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링(641)이 장착된다. 보조몸통(200)의 내벽에는 고정 링(641)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시트 링(620)은 고정 링(620)에 의해 그 이동이 제한되며, 이에 따라 시트 링(620)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보조몸통(200)의 단부에는 단턱(252)이 형성되며, 단턱(252)에는 고정 링(641)을 지지하는 홀더(640)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홀더(640)는 일단이 절곡된 사각 와셔의 형태를 가지며, 홀더(64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홀더(640)는 볼트(645)에 의해 단턱(252)에 체결된다.
홀더(640)은 단부는 장착면(251)으로부터 보조몸통(200)의 반경 방향을 향해 돌출된 후 절곡되어 고정링(641)을 지지하며, 이에 따라 고정 링(641)이 고정홈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홀더(640)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보조몸통(2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된다. 복수로 배치된 홀더(640)들은 서로 떨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홀더(640)의 형태와 배치는 최소한의 재료로서 시트 링(620)의 이탈 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8은 도 4의 Ⅷ-Ⅷ 라인을 따라 취한 조절 유닛의 단면도이다.
주몸통(100)과 보조몸통(200)의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유닛(700)이 구비된다. 조절 유닛(700)은 주몸통(100)과 보조몸통(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시트 링(620)의 눌림량을 조절한다.
조절 유닛(700)은 고정용 나사(710)와 조절용 나사(720)를 포함한다. 조절 유닛(700)은 보조 몸통(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된다.
고정용 나사(710)는 주몸통(100)과 보조몸통(200)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몸통(200)과 주몸통(100)에는 삽입홀(711)과 나사홀(712)이 각각 형성되며, 고정용 나사(710)는 보조몸통(200)의 삽입홀(711)을 관통하여 주몸통(100)의 나사홀(712)에 체결된다. 고정용 나사(710)는 조절용 나사(720)의 양측에 한 쌍으로 체결될 수 있다.
조절용 나사(720)는 조임량에 따라 주몸통(100)과 보조몸통(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보조몸통(200)에는 나사홀(721)이 형성되며, 조절용 나사(720)는 나사홀(721)에 체결되어 주몸통(100)의 외면에 지지된다.
주몸통(100)과 보조몸통(200)이 특정 간격을 이룬 상태에서 조절용 나사(720)를 풀고 고정용 나사(710)를 조이면, 보조몸통(200)과 주몸통(10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그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고정용 나사(710)를 풀고 조절용 나사(720)를 조이면, 보조몸통(200)과 주몸통(10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용 나사(710)를 조이면 보조몸통(200)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용 나사(710)와 조절용 나사(720)를 이용하여 주몸통과 보조몸통(171)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탄성 접촉부(621)의 눌림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작업자가 밸브의 외부에서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어 밸브를 분해하지 않고도 시트 링(620)의 눌림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세그먼트 볼 밸브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 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볼 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그먼트 볼 밸브의 단면도.
도 3a 및 3b는 도 2의 A 부분과 B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세그먼트 볼 밸브를 보조몸통 쪽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5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세그먼트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C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
도 7은 보조몸통의 내측에서 바라본 보조 몸통의 단면도.
도 8은 도 4의 Ⅷ-Ⅷ 라인을 따라 취한 조절 유닛의 단면도이다.

Claims (10)

  1. 제1 및 제2파이프 사이의 공간에 차례로 체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를 연통시키는 주몸통과 보조몸통;
    상기 주몸통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보조몸통의 유로를 개폐하는 세그먼트;
    상기 세그먼트와 상기 보조 몸통의 내면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 유닛;
    적어도 일부가 상기 주몸통과 보조몸통 사이에 배치되는 조절유닛; 및
    상기 주몸통과 보조몸통을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와 각각 체결하기 위한 체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주몸통의 플랜지에 형성되며, 상기 주몸통의 플랜지와 상기 제1파이프의 플랜지가 나사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1나사홀들; 및
    상기 보조몸통의 플랜지에 형성되며, 상기 보조몸통의 플랜지와 상기 제2파이프의 플랜지가 나사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나사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는,
    세그먼트 몸체; 및
    상기 세그먼트 몸체의 외곽에 형성되며, 상기 보조몸통의 내면에 밀착되는 디스크 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유닛은,
    상기 디스크 시트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보조몸통의 내면에 형성된 장착면에 장착되며,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는 시트 링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주몸통과 보조몸통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시트 링의 눌림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세그먼트 볼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통의 플랜지와 상기 제1파이프의 플랜지는 제1체결나사들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1체결나사들은 상기 제1파이프의 플랜지에서 상기 주몸통의 플랜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며, 상기 제1파이프의 플랜지에 형성된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나사홀들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볼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몸통의 플랜지와 상기 제2파이프의 플랜지는 제2체결나사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2체결나사들은 상기 제2파이프의 플랜지에서 상기 보조몸통의 플랜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며, 상기 제2파이프의 플랜지에 형성된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나사홀들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볼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세그먼트 몸체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주몸통의 상단 및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샤프트에 고정되는 샤프트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볼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통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는 샤프트 장착부;
    상기 샤프트 장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커버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칼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볼 밸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유닛은,
    상기 시트 링 및 보조몸통에 지지되며, 상기 시트링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볼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면에는 상기 시트 링이 상기 보조몸통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볼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면의 단부에 형성된 단턱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 링을 지지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볼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보조몸통의 원주 방향을 복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볼 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주몸통과 보조몸통 사이를 체결하는 고정용 나사; 및
    상기 주몸통에 지지되도록 상기 보조몸통에 체결되며, 조임량에 따라 상기 주몸통과 보조몸통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조절용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볼 밸브.
KR1020090136241A 2009-12-31 2009-12-31 세그먼트 볼 밸브 KR100975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241A KR100975337B1 (ko) 2009-12-31 2009-12-31 세그먼트 볼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241A KR100975337B1 (ko) 2009-12-31 2009-12-31 세그먼트 볼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337B1 true KR100975337B1 (ko) 2010-08-12

Family

ID=4275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241A KR100975337B1 (ko) 2009-12-31 2009-12-31 세그먼트 볼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3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4405A (zh) * 2014-08-29 2014-12-17 苏州福润机械有限公司 一种偏心球形浮动阀门
WO2018128202A1 (ko) * 2017-01-04 2018-07-12 이종천 퀵 분리형 볼밸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082Y1 (ko) * 2001-09-24 2001-12-29 이종대 급수용 차단밸브
KR20020057082A (ko) * 2000-12-30 2002-07-11 구자홍 연료전지 스택의 막전극 접합체 구조
JP2008240809A (ja) * 2007-03-26 2008-10-09 Hisaka Works Ltd ボールバルブ
KR100932400B1 (ko) * 2007-06-25 2009-12-17 서광공업 주식회사 메탈시트를 갖는 볼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082A (ko) * 2000-12-30 2002-07-11 구자홍 연료전지 스택의 막전극 접합체 구조
KR200257082Y1 (ko) * 2001-09-24 2001-12-29 이종대 급수용 차단밸브
JP2008240809A (ja) * 2007-03-26 2008-10-09 Hisaka Works Ltd ボールバルブ
KR100932400B1 (ko) * 2007-06-25 2009-12-17 서광공업 주식회사 메탈시트를 갖는 볼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4405A (zh) * 2014-08-29 2014-12-17 苏州福润机械有限公司 一种偏心球形浮动阀门
WO2018128202A1 (ko) * 2017-01-04 2018-07-12 이종천 퀵 분리형 볼밸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0074A (en) Pressure equalization valve and technique for shaft furnace
JP5571563B2 (ja) 閉鎖部材と弁ステムとを整合させる装置および方法
NO340207B1 (no) Kuleventiltetning med dynamisk c-tetning og statisk c-tetning
NO20121284A1 (no) Pakningsmontasje i kuleventil og kuleventil som omfatter det samme
KR100975337B1 (ko) 세그먼트 볼 밸브
KR100992395B1 (ko) 버터플라이 밸브
KR100963117B1 (ko) 버터플라이 밸브
JPH0313453B2 (ko)
EP3963238B1 (en) Nut locking coupling for actuated valve
KR101590549B1 (ko) 분리 및 신축 기능을 갖는 체크밸브 일체형 버터플라이 밸브
JPS5839275B2 (ja) 回転軸用メカニカルシ−ル組立体
US3961405A (en) Method of fabricating a butterfly valve
US20190316684A1 (en) Valve with active seal and shaft blowout prevention device
JP3342409B2 (ja) 偏心弁
JP2008002512A (ja) バルブ用締結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バタフライバルブ
KR101542489B1 (ko) 반도체 설비용 배기댐퍼
KR101027062B1 (ko) 볼 밸브
JP3154265B2 (ja) バルブの軸封装置
KR102097405B1 (ko) 실링 콘트롤 기능을 갖는 버터플라이 밸브
JP2010196783A (ja) アクチュエータ
CN220956857U (zh) 一种便携式粉体蝶阀
KR102053204B1 (ko) 버터플라이 밸브
JP2022166345A (ja) 漏水防止具、漏水防止方法、漏水防止具の施工方法及び弁
JP2002181202A (ja) 中心型ゴムシートバタフライ弁
RU2803773C1 (ru) Клапан запорный сильфонны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