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327B1 - 프레임의 특정 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임의 특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327B1
KR100975327B1 KR1020080071663A KR20080071663A KR100975327B1 KR 100975327 B1 KR100975327 B1 KR 100975327B1 KR 1020080071663 A KR1020080071663 A KR 1020080071663A KR 20080071663 A KR20080071663 A KR 20080071663A KR 100975327 B1 KR100975327 B1 KR 100975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ecifying
moving image
instruction signal
sc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384A (ko
Inventor
다카시 데라사키
히로유키 고마이
마사시 우루시하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6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5Overlay text, e.g. embedded captions in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pointers to the content, e.g. pointers to the I-frames of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04N21/8405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represented by keyword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적절히 동화상 중의 처리 대상이 되는 프레임을 특정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프레임 특정 장치가, 동화상을 재생하고, 사용자가 상기 동화상 중의 일부의 씬(scene)에 대한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지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신호의 수신을 계기로,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프레임 중,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 또는 그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시간 떨어진 프레임을 상기 처리의 대상으로서 특정한다.
검색 시스템, 사용자 단말, 웹 서버, 랭킹 서버

Description

프레임의 특정 방법{FRAME SPECIFYING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동화상 중의 프레임을 특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방송되는 프로그램(동화상) 중에는, 프로그램 본편의 내용 외에, 상품의 CM(Commercial Message), 프로그램의 예고, 본편의 식도락가 프로그램에서 소개된 점포의 소재지, 요리 프로그램에서 소개된 요리의 레시피 등, 여러가지 정보(광고 정보라고도 함)가 표시되는 씬(scene)이 있다.
이러한 광고 정보가 필요한 경우, 텔레비전에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서둘러 종이에 써 두거나, 또는 비디오 등에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이를 준비해서 써 두거나, 또는 비디오를 기동하여 기록하는 데는 수고가 드는 반면, 광고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시간은 짧기 때문에, 받아 쓰거나 또는 기록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이 때문에, 광고 정보가 표시되어 있을 때에, 사용자가 리모콘 등으로 지시하는 것만으로, 표시 화상을 메모리에 일시 보존하는 소위 화면 메모를 찍을 수 있게 한 텔레비전도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캡처(capture)를 지시하는 경우, 텔레비전에 표시된 광고 정보를 사용자가 보고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나서, 리모콘을 손에 들고, 캡처를 지시한다는 순서가 되므로, 광고 정보가 표시되고 나서 텔레비전에 캡처의 지시가 전달되기까지 타임래그(time-lag)가 존재하여, 확실히 사용자가 소망하는 정보를 캡처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적절히 동화상 중의 처리 대상이 되는 프레임을 특정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했다.
즉, 본 발명의 프레임의 특정 방법은,
동화상을 재생하는 스텝과,
사용자가 상기 동화상 중의 일부의 씬(scene)에 대한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지시 신호의 수신을 계기로,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프레임 중,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 또는 그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시간 떨어진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스텝을 컴퓨터가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 특정 장치는,
동화상을 재생하는 재생부와,
사용자가 상기 동화상 중의 일부의 씬에 대한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지시 수신부와,
상기 지시 신호의 수신을 계기로,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프레임 중,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 또는 그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시간 떨어진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프레임 특정부를 구비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한 것이라도 좋다. 컴퓨터에, 이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시킴으로써, 그 기능을 제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기계적, 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축적하여, 컴퓨터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말한다. 이러한 기록 매체 중 컴퓨터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 CD-R/W, DVD, DAT, 8mm 테이프,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에 고정된 기록 매체로서 하드디스크나 ROM(read only memory)등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적절히 동화상 중의 처리 대상이 되는 프레임을 특정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의 구성은 예시이며, 본 발명은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개요>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또는 DVD 등의 기억 미디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동화상을 재생하고, 사용자가 그 화상 중의 광고 정보가 표시된 씬의 특정을 지시한 경우에 그 지시가 프레임 특정 장치에 전달되기까지의 타임래그를 고려해서 상기 씬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특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특정한 프레임에 대해서는, 문자의 추출이나 인쇄 출력 등의 소정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하의 예에서는, 프레임을 특정하여, 문자(키워드)를 추출하고, 그 키워드 를 이용하여 검색 처리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장치 구성>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예의 검색 시스템(10)은, 텔레비전 방송을 행하는 방송국의 국측(局側) 장치(101)나, 국측 장치(101)로부터 방송된 동화상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1),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버(2), 웹 서버(2)에서 제공되고 있는 정보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서버(서치 엔진)(3), 랭킹 서버(4) 등을 갖고 있다.
사용자 단말(1)은, 본 시스템(10)의 프레임 특정 장치에 상당한다.
사용자 단말(1)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메인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산 처리부(12), 연산 처리를 위한 데이터나 소프트웨어를 기억한 기억부(하드디스크)(13), 입출력 포트(14), 통신 제어부(CCU : Communication Control Unit)(15) 등을 구비한 범용의 컴퓨터이다.
그 입출력 포트(14)에는, 키보드나 마우스, 리모콘(remote controller), CD-R0M 드라이브, TV(Television) 수신부(16) 등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표시 장치나 프린터 등의 출력 디바이스가 적절히 접속된다.
TV 수신부(튜너)(16)는, TV 안테나를 통하여 방송국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고, 전기 신호(화상 정보)로 변환해서 입출력 포트(14)에 입력한다.
CCU(15)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터와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다.
기억부(13)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이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프레임 특정 프로그램, 키워드 추출 프로그램, 검색 프로그램)가 인스톨되어 있다.
연산 처리부(12)는, 상기 OS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부(13)로부터 적절히 판독하여 실행하고, 입출력 포트(14)나 CCU(15)로부터 입력된 정보, 및 기억부(13)로부터 판독한 정보를 연산 처리함으로써, 화상 취득부(프레임 특정부), 해석부, 추출부, 재생부, 지시 수신부로서도 기능한다.
이 화상 취득부로서는, 화상 정보(프레임)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상기 TV 수신부(16)에서 수신한 화상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기억부(13)에 기억(녹화)된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취득한다. 또한, 화상 취득부는, 지시 수신부로부터의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취득한 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가 지시한 씬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특정한다.
재생부로서는, 화상 취득부에서 취득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동화상을 재생한다. 즉, 표시부에 동화상을 표시시키고, 그 동화상의 소리를 스피커로부터 출력시킨다. 또한, 재생부는, 재생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 등에 따라 TV 수신부(16)에 수신하거나 또는 변환하는 채널을 통지한다.
지시 수신부로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검색 지시(지시 신호)를 수신한다.
해석부로서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화상 정보 중, 검색란을 모방한 소정 패턴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사(擬似) 검색란 영역으로서 특정한다.
추출부로서는, 상기 의사 검색 영역의 문자 인식을 행하여, 검색 키워드를 추출한다.
검색 처리부로서는, 상기 검색 키워드를 사용하여, 검색 처리 또는 검색의 사전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CCU(15)를 통해서 검색 서버(3)에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 요구를 송신하고, 그 검색 서버로부터 회신된 검색 결과를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또한, 검색 처리부는, 이 표시된 콘텐츠의 요약이나 하이퍼 링크 등의 검색 결과에 의거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고, 그 콘텐츠의 표시를 행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또한, 검색 처리부는,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도 좋다.
한편, 검색 서버(3)는, 사용자 단말(1)의 검색 처리부(웹 브라우저)로부터의 검색 요구를 수신하는 수단이나, 웹 서버(2)의 정보를 기억한 기억 수단, 수신한 검색 요구의 키워드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웹 서버(2)의 정보를 기억 수단으로부터 색출하는 수단, 검색 결과를 요구원의 사용자 단말(1)에 송신하는 수단 등을 가진 일반적인 컴퓨터, 소위 검색 엔진이다.
또한, 웹 서버(2)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이나 검색 서버(3) 등의 다른 컴퓨터와 접속하고 있다. 웹 서버(2)는, 다른 컴퓨터로부터의 액세스 요구(URL 등)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파일)를 요구원의 컴퓨터에 제공(송신)한다. 또한, 그 웹 서버(2)는, 주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랭킹 서버(키워드 제공 서버)(4)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이나 검색 서버 등의 다른 컴퓨터와 접속하고 있다. 랭킹 서버(4)는,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에 이용된 키워드를 검색 회수가 많은 순으로 소트한 랭킹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하고 있고, 다른 컴퓨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그 키워드(랭킹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랭킹 서버(4)는, 검색 서버(3)와 겸용해도 좋다. 또한, CM으로 이용되고 있는 키워드를 오퍼레이터가 기억부에 기억시켜 두어도 좋다. 그 랭킹 서버(4)는, 일반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검색 방법>
다음에, 이들 구성의 사용자 단말(1)이 검색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실행하는 검색 방법(검색 키워드의 추출 방법도 포함)에 대해서,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TV의 시청(재생)이 지시되면, 재생부가 기억부(13)로부터 또는 TV 수신부에서 수신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동화상을 재생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1)의 화상 취득부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일련의 프레임 중, 후술의 소정 조건을 만족시킨 프레임을 해석 대상의 프레임(화상 정보)으로서 특정(취득)한다(스텝 1, 이하 S 1과 같이 약기함).
다음에, 해석부는 상기 특정한 프레임을 해석하여, 검색 엔진의 검색란을 모방한 소정 패턴에 해당하는 의사 검색란 영역을 특정한다(S 2).
또한, 추출부는, 의사 검색란 영역에 대해서 문자 인식을 행하여, 키워드를 추출한다(S 3).
그리고, 검색부는, 웹 브라우저를 기동하여,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키워드를 검색 서버에 송신하여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표시한다(S 4).
각 스텝의 구체적인 처리에 대해서는, 이하의 구체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구체예 1>
도 3은, 동화상으로부터 CM의 소정 부분(말미)을 자동적으로 특정해서 검색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우선, 화상 취득부는, 동화상 중의 프로그램 본편 이외의 CM 부분을 검출한다(S 11).
이 CM 검출 수단으로서는, 이하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CM으로 특정한다.
1. 전후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프레임 전체 영역이 다른(일치 정도가 소정값 미만), 즉 비디오 클립(video clip)이 전환된 경우에서, 소정 이상의 무음 시간이 있다.
2. 프로그램 본편이 모노럴로 방송되고, CM시에 스테레오 방송으로 전환되므로, 모노럴이 스테레오로 전환되고 나서 모노럴로 복귀하기까지의 기간.
3. 소정 시간(예를 들면, 15초의 배수)에서 비디오 클립이 전환되는 경우
4. 소정 시간(예를 들면, 정시에서 5분전 등)
5. EPG(Electric Program Guide)에서 취득한 프로그램 정보에 의거하여, 프로그램의 전환 시각의 전후 5분 및 그 프로그램의 전환 시각으로부터 프로그램을 등분(2분할이나 4분할)한 시각
또한, CM의 검출 수법으로서는, 이 외에 공지의 수법을 이용해도 좋고, 이들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다음에, 화상 취득부는, CM 길이의 기준이 되는 시간(L)을 설정한다. 본 예에서는, L=15(초)로 했다(S 12).
또한, 키워드 등을 고지(告知)하는 타이밍은, CM의 말미 부분인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기 조건에 의거하여 검출한 CM의 선두로부터 소정 시간(L/2, L/3, L-5 (초)후부터 L까지의 프레임을 취득한다. 본 예에서는, L-5부터 L까지로 되어 있다(S 13).
그리고, 해석부가 상기 화상 취득부에서 취득한 프레임(화상 정보)을 해석하고, 검색란을 모방한 소정 패턴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사 검색란 영역으로서 특정하 여, 추출부가 그 의사 검색란 영역으로부터 문자를 추출한다(S 14).
이 때, 해석부는 도 9와 같이 화상 중의 검색란을 모방한 영역을 특정하기 위해서, 그 화상을 수평 방향(주주사 방향) 및 수직 방향(부주사 방향)으로 주사하고, 화소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소정 거리 이상 연속해서 직선으로 되어 있는 개소를 추출한다. 그리고, 그 직선이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는 영역을 의사 검색란 영역으로 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직사각형(61)에 대해서, 폭(수평 방향)이 짧은 직사각형(62)이 인접하고, 짧은 직사각형 중에 「검색」의 문자가 있는, 즉 검색 버튼에 상당하는 화상이 있는 소정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직사각형(61)의 부분을 의사 검색란 영역으로 특정한다.
이 때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던 경우에는, 그 키워드를 검색부에 통지하고, 추출할 수 없던 경우에는, 이 추출 불가의 취지를 화상 취득부에 통지한다(S 15).
그 추출 불가의 통지를 받은 화상 취득부는, 이 추출 대상이 된 프레임이 CM의 선두로부터 L초 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 16), L초 후의 프레임이 아니면 다음 프레임을 취득한다(S 17).
또한, 스텝 16에서 L초 후의 프레임이면, L이 60초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 18), 60초 미만이 아니면 종료하고, 60초 이상이면 L에 15초 추가하고(S 19), CM의 최대값(예를 들면, 60초)을 초과하지 않았으면 스텝 13으로 돌아가서 프레임의 취득을 행한다(S 20).
또한, 스텝 13에서 프레임을 취득할 때, L-5에서 L초까지의 모든 프레임을 취득해도 좋지만, MPEG 방식의 동화상의 경우, I 픽쳐(Intra picture)만을 취득해도 좋다. 이와 같이 I 픽쳐만을 취득하는 구성으로 하면, 처리량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예 2>
도 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프레임을 특정해서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의 설명도, 도 5는, 본 예의 해석 순서의 설명도이다.
우선, 입출력 포트(14)를 통해서 접속한 키보드나 리모콘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서 키워드 취득의 지시가 입력되면(S 21), 화상 취득부는, 입력을 받은 시점에서 재생되고 있는 프레임을 취득한다(S 22).
그리고, 해석부가, 상기 화상 취득부에서 취득한 프레임(화상 정보)을 해석하고, 검색란을 모방한 소정 패턴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사 검색란 영역으로서 특정하고, 추출부가 그 의사 검색란 영역으로부터 문자를 추출한다(S 23).
이 때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던 경우에는, 그 키워드를 검색부에 통지하고, 추출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이 추출 불가의 취지를 화상 취득부에 통지한다(S 24).
그 추출 불가의 통지를 받은 화상 취득부는, 이 추출 대상이 된 프레임이 입력을 받기 이전의 프레임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 25), 이전의 프레임이면 다시, 입력을 받은 시점으로부터 N초 이전의 프레임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 26).
스텝 26에서 N초 이전의 프레임이 아니면, 1개전의 프레임을 취득하고(S 27), N초 이전의 프레임이면, 입력을 받은 시점의 다음 프레임을 취득한다(S 28).
한편, 스텝 25에서 입력을 받은 후의 프레임이라고 판단한 경우, 입력을 받 은 시점으로부터 M초 이후의 프레임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M초 이후의 프레임이 아니면, 화상 취득부에 통지하고(S 29), 화상 취득부가 1개 다음의 프레임을 취득한다(S 30). 또한, 스텝 29에서, M초 후의 프레임이라고 판정한 경우, 추출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레임을 특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동화상 중의 키워드를 발견하고나서 입력 조작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입력을 받은 시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프레임을 특정하고, 키워드가 추출되지 않으면 입력을 받은 시점 이후의 프레임을 해석 대상으로서 특정함으로써, 조속히 해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구체예 3>
도 6은, 라이브 방송 중에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키워드를 버퍼링하는 예의 설명도이다.
우선, 화상 취득부는, 재생하고 있는 동화상이 라이브 방송(TV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 31), 라이브 방송이면 현시점의 프레임을 취득한다(S 32).
해석부는, 취득한 프레임으로부터 의사 검색란 영역을 특정한다(S 33). 여기서 의사 검색란 영역을 특정할 수 있던 경우에는, 그 의사 검색란 영역에 대해서 추출부가 문자 인식을 행하여(S 34-S 35), 키워드를 추출하고, 의사 검색란 영역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스텝 S31로 되돌아간다.
스텝 35에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던 경우, 버퍼가 가득 찼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 36-S 37), 가득 찼으면 버퍼 중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삭제하고(S 38) 버퍼에 추출한 키워드를 추가한다(S 39).
버퍼링된 키워드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지시가 있던 경우에, 추출부가 최근의 키워드를 버퍼로부터 판독하여 검색부에 통지하고, 검색을 행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스텝 35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버퍼에 기억했지만, 스텝 33에서 특정한 의사 검색란 영역을 버퍼에 기억하고, 스텝 34, 35를 생략해도 좋다.
또한, 스텝 32에서 라이브 방송 중의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취득하는 경우에, 동화상을 구성하는 모든 프레임을 취득해도 좋지만, MPEG 방식의 동화상이면 I 픽쳐만을 기억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기억 용량 및 해석의 처리량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 4>
도 7은, 특정 후의 프레임을 해석하고, 키워드를 추출해서 검색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우선, 해석부가 해석 대상의 프레임을 해석하고, 의사 검색란 영역을 특정할 수 있던 경우(S 41), 추출부가 그 영역의 문자 인식을 행한다(S 42).
그 의사 검색란 영역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던 경우(S 43), 그 키워드와 랭킹 서버(4)의 데이터 베이스(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키워드를 비교하여, 유사한 키워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 44).
유사한 키워드가 있던 경우, 검색부는, 이 키워드를 웹 브라우저의 검색 키 워드로 설정하여 검색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검색을 행한다(S 45, S 47). 또한, 스텝 44에서 유사한 키워드가 없는 경우, 추출된 키워드를 검색 키워드에 설정하여 검색을 행한다(S 46, S 47).
검색 사이트가 그 키워드에 의한 검색을 행하여, 검색 결과를 회신하면(S 48), 사용자 단말(1)의 검색부가 이 검색 결과의 최상위의 콘텐츠를 표시부에 표시시킨다(S 49).
도 8은, 검색 결과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윈도우의 어드레스란(51)에는 검색된 콘텐츠의 URL, 콘텐츠란(52)에는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이 콘텐츠와 다른 프레임에서, 검색 결과 일람(54) 및 검색 키워드(53)도 표시하고 있다. 그 검색 결과 일람으로부터 다른 링크를 선택하면 상기 이외의 콘텐츠도 열람할 수 있다.
또한, 검색 결과의 표시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최상위의 콘텐츠만, 또는 검색 결과 일람만이라도 좋다.
또한, 키워드에 의한 검색까지 행하지 않고, 검색 사전 처리로서, 웹 브라우저를 기동하고, 검색 서버(2)의 검색용 페이지의 검색란에 추출한 키워드를 삽입한 상태에서 처리를 정지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기다리도록 해도 좋다.
(기타)
본 발명은, 상술한 도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에 부기한 구성으로도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 요소는 가능한 한 조합시킬 수 있다.
(부기 1)
동화상을 재생하는 스텝과,
사용자가 상기 동화상 중의 일부의 씬(scene)에 대한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지시 신호의 수신을 계기로,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프레임 중,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 또는 그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시간 떨어진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스텝을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레임의 특정 방법.
(부기 2)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일련의 프레임 중,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 이전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부기 1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방법.
(부기 3)
동화상을 구성하는 일련의 프레임 중, 소정 간격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의 프레임으로서 특정하는 부기 1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방법.
(부기 4)
동화상 중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CM의 조건을 만족시킨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의 프레임으로서 특정하는 부기 1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방법.
(부기 5)
상기 CM의 조건을 만족시킨 복수의 프레임으로서 시계열적으로 연속된 일군(一群)인 프레임 군 중, 소정 기간 내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방법.
(부기 6)
상기 소정 기간이, 상기 프레임 군 중, 후반 부분, 최초부터 소정 시간 후의 부분, 또는 최후부터 소정 시간 전의 부분인 부기 5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방법.
(부기 7)
상기 처리로서 처리 대상의 프레임으로부터 문자를 추출하는 부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기재의 프레임의 특정 방법.
(부기 8)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시간 전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 하고, 상기 문자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시간 후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 하는 부기 7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방법.
(부기 9)
상기 프레임을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시간 전의 프레임을 상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해석의 대상으로 하는 부기 8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방법.
(부기 10)
상기 동화상은 방송되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인 부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방법.
(부기 11)
동화상을 재생하는 재생부와,
사용자가 상기 동화상 중의 일부의 씬에 대한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지시 수신부와,
상기 지시 신호의 수신을 계기로,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프레임 중,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 또는 그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시간 떨어진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프레임 특정부를 구비한 프레임 특정 장치.
(부기 12)
상기 프레임 특정부가,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일련의 프레임 중,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 이전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프레임 특정 장치.
(부기 13)
상기 프레임 특정부가, 동화상을 구성하는 일련의 프레임 중, 소정 간격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의 프레임으로서 특정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장치.
(부기 14)
상기 프레임 특정부가, 동화상 중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CM의 조건을 만족시 킨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의 프레임으로서 특정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장치.
(부기 15)
상기 프레임 특정부가, 상기 CM의 조건을 만족시킨 복수의 프레임으로서 시계열적으로 연속된 일군인 프레임군 중, 소정 기간 내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 하는 부기 14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장치.
(부기 16)
상기 소정 기간이, 상기 프레임 군 중, 후반 부분, 최초부터 소정 시간 후의 부분, 또는 최후부터 소정 시간 전의 부분인 부기 15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장치.
(부기 17)
상기 처리로서 처리 대상의 프레임으로부터 문자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구비한 부기 1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장치.
(부기 18)
상기 프레임 특정부가,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시간 전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의 대상으로 하고, 상기 문자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보다 소정 시간 후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 하는 부기 17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장치.
(부기 19)
상기 프레임을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보다 소정 시간 전의 프레임을 상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해석 대상으로 하는 부기 18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장치.
(부기 20)
상기 동화상은 방송되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인 부기 1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장치.
(부기 21)
동화상을 재생하는 스텝과,
사용자가 상기 동화상 중의 일부의 씬에 대한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지시 신호의 수신을 계기로,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프레임 중,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 또는 그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시간 떨어진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레임의 특정 프로그램.
(부기 22)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일련의 프레임 중,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 이전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부기 21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프로그램.
(부기 23)
동화상을 구성하는 일련의 프레임 중, 소정 간격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의 프레임으로서 특정하는 부기 21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프로그램.
(부기 24)
동화상 중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CM의 조건을 만족시킨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의 프레임으로서 특정하는 부기 21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프로그램.
(부기 25)
상기 CM의 조건을 만족시킨 복수의 프레임으로서 시계열적으로 연속된 일군인 프레임 군 중, 소정 기간 내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 하는 부기 24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프로그램.
(부기 26)
상기 소정 기간이, 상기 프레임 군 중, 후반 부분, 최초부터 소정 시간 후의 부분, 또는 최후부터 소정 시간 전의 부분인 부기 25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프로그램.
(부기 27)
상기 처리로서 처리 대상의 프레임으로부터 문자를 추출하는 부기 21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프로그램.
(부기 28)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시간 전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 하고, 상기 문자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보다 소정 시간 후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 하는 부기 27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프로그램.
(부기 29)
상기 프레임을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보다 소정 시간 전의 프레임을 상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해석 대상으로 하는 부기 28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프로그램.
(부기 30)
상기 동화상은 방송되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인 부기 2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레임의 특정 장치.
도 1은 검색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검색 방법(검색 키워드의 추출 방법도 포함)의 설명도.
도 3은 CM의 소정 부분(말미)을 자동적으로 특정하여 검색하는 방법의 설명도.
도 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프레임을 특정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의 설명도.
도 5는 해석 순서의 설명도.
도 6은 라이브 방송 중에 추출한 키워드를 버퍼링하는 예의 설명도.
도 7은 특정 후의 프레임을 해석하고, 키워드를 추출하여 검색하는 방법의 설명도.
도 8은 검색 결과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검색란을 모방한 영역을 갖는 화상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검색 시스템
1 : 사용자 단말
2 : 웹 서버
3 : 검색 서버(서치 엔진)
4 : 랭킹 서버
101 : 국측(局側) 장치

Claims (10)

  1. 동화상을 재생하는 스텝과,
    사용자가 상기 동화상 중의 일부의 씬(scene)에 대한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지시 신호의 수신을 계기로, 상기 동화상 중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CM(Commercial Message)의 조건을 만족시킨 프레임을 상기 씬으로서 검출하고,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프레임 중,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 또는 그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씬의 길이에 의거하여 정한 시간 떨어진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스텝을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레임의 특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일련의 프레임 중,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 이전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프레임의 특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동화상을 구성하는 일련의 프레임 중, 상기 씬의 길이에 의거하여 정한 간격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의 프레임으로서 특정하는 프레임의 특정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M의 조건을 만족시킨 복수의 프레임으로서 시계열적으로 연속된 일군(一群)인 프레임 군 중, 상기 씬의 길이에 의거하여 정한 기간 내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 하는 프레임의 특정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로서 처리 대상의 프레임으로부터 문자를 추출하는 프레임의 특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씬의 길이에 의거하여 정한 시간 전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 하고, 상기 문자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씬의 길이에 의거하여 정한 시간 후의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 하는 프레임의 특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씬의 길이에 의거하여 정한 시간 전의 프레임을 상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해석의 대상으로 하는 프레임의 특정 방법.
  9. 동화상을 재생하는 재생부와,
    사용자가 상기 동화상 중의 일부의 씬에 대한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지시 수신부와,
    상기 지시 신호의 수신을 계기로, 상기 동화상 중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CM의 조건을 만족시킨 프레임을 상기 씬으로서 검출하고,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프레임 중,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 또는 그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씬의 길이에 의거하여 정한 시간 떨어진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프레임 특정부를 구비한 프레임 특정 장치.
  10. 동화상을 재생하는 스텝과,
    사용자가 상기 동화상 중의 일부의 씬에 대한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지시 신호의 수신을 계기로, 상기 동화상 중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CM의 조건을 만족시킨 프레임을 상기 씬으로서 검출하고,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프레임 중, 상기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재생 중의 프레임 또는 그 재생 중의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씬의 길이에 의거하여 정한 시간 떨어진 프레임을 상기 처리 대상으로서 특정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레임의 특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80071663A 2007-08-10 2008-07-23 프레임의 특정 방법 KR100975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09945A JP4814849B2 (ja) 2007-08-10 2007-08-10 フレームの特定方法
JPJP-P-2007-00209945 2007-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384A KR20090016384A (ko) 2009-02-13
KR100975327B1 true KR100975327B1 (ko) 2010-08-12

Family

ID=39847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663A KR100975327B1 (ko) 2007-08-10 2008-07-23 프레임의 특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20188B2 (ko)
EP (1) EP2023617A3 (ko)
JP (1) JP4814849B2 (ko)
KR (1) KR100975327B1 (ko)
CN (1) CN101365134B (ko)
TW (1) TWI3769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4228A (zh) * 2010-07-26 2013-03-2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获取关键词用于搜索
JP5143270B1 (ja) * 2011-11-14 2013-02-13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627030B2 (ja) * 2012-02-13 2014-11-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関連情報提供方法、関連情報提供装置および関連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5458163B2 (ja) * 2012-11-16 2014-04-02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11080777B2 (en) * 2014-03-31 2021-08-03 Monticell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ocial media shopping experience
JP7134662B2 (ja) * 2018-03-20 2022-09-12 ヤフー株式会社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方法
US11074457B2 (en) * 2019-04-17 2021-07-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ntifying advertisements embedded in video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074A (ko) * 1999-09-29 2001-04-06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상정보 캡쳐 장치
KR20050037703A (ko) * 2003-10-20 2005-04-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의 정지화상 저장 및 출력장치
KR20070061096A (ko)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디오 장면 저장/구매를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그 방법
KR20070061160A (ko)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의 텍스트 표시 장치 및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9551B2 (en) * 1993-10-15 2010-12-28 Bulman Richard L Object customization and presentation system
JPH07203420A (ja) * 1993-11-26 1995-08-04 Sony Corp 双方向放送方式およびその受信装置とその遠隔制御装置
US8813137B2 (en) * 1998-05-08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digital image and audio signals
TW420946B (en) 1998-07-20 2001-02-01 Intel Corp Display capture system
US6731788B1 (en) 1999-01-28 2004-05-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mbol Classification with shape features applied to neural network
US6608930B1 (en) 1999-08-09 2003-08-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video content using detected text in video frames
US7536705B1 (en) * 1999-02-22 2009-05-19 Tv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distribution of selectable presentations
US7299405B1 (en) 2000-03-08 2007-11-20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management to facilitate the exchange of ideas during a collaborative effort
WO2001053966A1 (en) 2000-01-20 2001-07-26 Interactual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embedded keywords in video
JP2001298709A (ja) 2000-04-13 2001-10-26 Sharp Corp 動画像記録再生装置
JP2002044575A (ja) * 2000-07-25 2002-02-08 Sony Corp 動画像取り込み装置及びその動画像取り込み方法
JP2002108889A (ja) 2000-09-29 2002-04-12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サービス方法
US7680324B2 (en) 2000-11-06 2010-03-16 Evryx Technologies, Inc. Use of image-derived information as search criteria for internet and other search engines
JP2002290947A (ja) 2001-03-22 2002-10-04 Purantekku:Kk デジタル放送に於ける番組・cmコンテンツ情報提供システム
US7143353B2 (en) 2001-03-30 2006-11-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treaming video bookmarks
DE60229632D1 (de) 2001-05-15 2008-12-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Untertitelerkennung in anzeigbaren Bildbereich eines Videosignals
CN100411434C (zh) * 2002-05-09 2008-08-13 汤姆森许可贸易公司 在数字视频记录器中的内容标识方法和装置
EP1573594A2 (en) 2002-12-11 2005-09-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video content to obtain text keywords or phrases for providing content related links to network-based resources
JP2004297618A (ja) * 2003-03-27 2004-10-21 Kyocera Corp 画像抽出方法および画像抽出装置
JP4413633B2 (ja) 2004-01-29 2010-02-10 株式会社ゼータ・ブリッジ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方法、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プログラム、画像認識装置、画像認識方法および画像認識プログラム、ならびに、販売システム
US20060173825A1 (en) 2004-07-16 2006-08-03 Blu Ventures, Llc And Iomedia Partners, Llc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internet search/play media ser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074A (ko) * 1999-09-29 2001-04-06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상정보 캡쳐 장치
KR20050037703A (ko) * 2003-10-20 2005-04-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의 정지화상 저장 및 출력장치
KR20070061096A (ko)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디오 장면 저장/구매를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그 방법
KR20070061160A (ko)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의 텍스트 표시 장치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65134B (zh) 2011-01-26
US20090040383A1 (en) 2009-02-12
JP4814849B2 (ja) 2011-11-16
EP2023617A3 (en) 2011-02-02
KR20090016384A (ko) 2009-02-13
US8020188B2 (en) 2011-09-13
TWI376948B (en) 2012-11-11
EP2023617A2 (en) 2009-02-11
CN101365134A (zh) 2009-02-11
TW200910953A (en) 2009-03-01
JP2009044657A (ja)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444B1 (ko) 키워드 추출 방법
US10271098B2 (en) Methods for identifying video segments and displaying contextually targeted content on a connected television
KR100975327B1 (ko) 프레임의 특정 방법
JP4482829B2 (ja) 嗜好抽出装置、嗜好抽出方法及び嗜好抽出プログラム
JP4388128B1 (ja) 情報提供サーバ、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5135024B2 (ja) コンテンツのシーン出現を通知する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445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users in media reproducing system
JP6202815B2 (ja) 文字認識装置および文字認識方法並びに文字認識プログラム
US8301009B2 (en) Detail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of personal video recorder
JP2008227909A (ja) 映像検索装置
KR20160071372A (ko) 비디오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및 감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6115052A (ja) コンテンツ検索装置とその入力装置、コンテンツ検索システム、コンテンツ検索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60192022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45816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915943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60102639A (ko) 동영상 재생 시스템 및 방법
JP5143270B1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