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2639A - 동영상 재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재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2639A
KR20060102639A KR1020050024460A KR20050024460A KR20060102639A KR 20060102639 A KR20060102639 A KR 20060102639A KR 1020050024460 A KR1020050024460 A KR 1020050024460A KR 20050024460 A KR20050024460 A KR 20050024460A KR 20060102639 A KR20060102639 A KR 20060102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frame
playback
keyframe
analysi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우
윤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50024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2639A/ko
Publication of KR20060102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6Extra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from the video content, e.g. video fingerprints, representative shots or key fram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5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frame, i.e. a subunit of a sector containing user data, e.g. a sync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면 별 검색 및 재생을 지원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동영상의 재생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동영상의 재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재생을 수행하는 동안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동영상의 현재 재생되는 프레임과 연관된 분석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 판단 결과 상기 분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동영상에서의 장면 전환을 검출하는 제2 단계, 장면 전환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장면 전환이 발생한 프레임을 시작 프레임으로 결정하는 제3 단계, 상기 동영상을 지속적으로 재생하면서 또 다른 장면 전환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또 다른 장면 전환이 발생한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을 종료 프레임으로 결정하는 제4 단계, 상기 시작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종료 프레임까지의 연속적인 프레임의 집합을 하나의 세그먼트로 결정하는 제5 단계, 상기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키프레임으로 결정하는 제6 단계, 상기 동영상 및 상기 세그먼트와 연관하여 상기 시작 프레임에 대한 시작 프레임 정보, 상기 종료 프레임에 대한 종료 프레임 정보 및 상기 키프레임에 대한 키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단계 내지 제7 단계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상기 동영상에서의 장면 전환에 대응하여, 각 장면에 해당하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세그먼트를 식별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1) 이번 재생 중에 생성된 상기 분석 정보 또는 (2) 이전 재생 과정에서 이미 생성되어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창과 별도의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키프레임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동영상의 각 장면으로의 랜덤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랜덤 액세스, 동영상, 장면전환, 키프레임

Description

동영상 재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MUTIMEDIA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동영상 재생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분석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동영상 화면 및 하나 이상의 키프레임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동영상 재생 시스템 1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 분석 정보 판독부 130 : 동영상 재생부
140 : 장면 전환 검출부 150 : 프레임 결정 제어부
160 : 분석 정보 제어부 170 : 데이터베이스부
본 발명은 동영상의 장면별 접근 및 재생을 지원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영상의 재생 시 장면 전환을 검출하여 장면별로 상기 동영상을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류하고, 상기 세그먼트에 포함된 키프레임을 상기 동영상 재생창과 별도의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프레임 선택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키프레임이 포함된 세그먼트의 시작 프레임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함으로써, 일단 한번 재생이 이루어진 구간의 동영상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장면별로 상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게 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인프라의 확충과 IT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경제의 확산, 인터넷망 대역폭의 증가와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의 급증으로 오디오,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 이용 환경이 개선,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의 영상 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중요성이 최근 들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는 첨단 IT 기술을 사용하여 부호, 문자, 음성, 음향, 영상 등을 디지털 포맷으로 가공, 처리하여 정보통신망, 디지털 방송망, 디지털 저장 매체 등을 통하여 활용하는 정보를 말한다.
최근 몇 년 동안 MP3 플레이어가 휴대용 디바이스로서 대세를 이루는가 싶더니, 요즘은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VR(Personal Video Recorder), DVD 레코더 등의 출현으로 인해, 기존의 음악 등의 오디오 파일 재생 위주의 기능에 국한되었던 휴대용 디바이스가 동영상, 영화 등의 비디오 파일 재생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급선회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와 더불어 일반 가정에까지 널리 보급된 디지털 캠코더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자신 또는 주변의 일상을 촬영하고 이를 가족, 친구와 함께 감상하는 것이 이제는 더 이상 새롭지 않을 정도로 보편화 되고 있다. 주로 대형 화면을 지원하는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가 널리 보급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DVD 플레이어와 같은 다양한 재생 매체를 통해 집에서 영화 감상을 하고, 자신이 촬영한 동영상 시청을 즐기고 있다.
영화와 같은 동영상은 그 재생 시간이 대부분 1시간 이상으로써, 사진과 같은 정지화상에 비해 많은 정보를 포함하는 대용량의 파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 시중에서 구입 또는 대여 가능한 DVD 타이틀의 경우, 하나의 동영상을 특정 장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섹션 별로 나누고, 상기 섹션 별 재생 기능을 지원하고 있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섹션을 선택하여 특정 부분만 재생되도록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특정 업체에 의해 제작된 DVD 타이틀을 제외한 일반 동영상이나 자신이 디지털 캠코더로 촬영한 동영상 같은 경우, 상기와 같은 섹션 별 재생 기능이 지원되지 않아,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장면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동 영상 전체를 재생시키고, 재생 도중 자신이 원하는 장면을 일일이 검색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자신의 PC 내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파일이 50개 이상으로 상당히 많은 경우에, 상기 동영상에 명명된 파일명만으로 동영상의 내용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또, 원하는 동영상을 찾아 실행시킨다 하더라도, 그 동영상이 대용량인 경우, 자신이 원하는 장면을 찾아내기란 쉽지 않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이 촬영한 동영상이나 PC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용 동영상에 섹션 별 검색 또는 재생 기능을 쉽게 부여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동영상의 재생 시, 상기 동영상을 장면 전환에 따른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각각의 세그먼트에 상기 세그먼트를 대표하는 키프레임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한번 재생된 동영상에 대해서는 키프레임 선택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장면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장면을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른 바 랜덤 액세스 기능을 지원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키프레임과 연관한 관련 설명을 입력 받아 저장하고, 상기 관련 설명을 키프레임과 함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설정한 관련 설명 내용에 따라 보다 쉽게 동영상의 장면을 검색하고 재생시킬 수 있는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시스템을 PVR(Personal Video Recorder)에 적용할 경우, 상기 녹화 도중인 동영상의 인코딩된 과거 시점을 시청할 수 있는 PVR의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동영상의 녹화 도중 과거 시점의 동영상을 키프레임 검색을 통해 장면 별로 쉽게 검색하고 재생시킬 수 있는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동영상의 재생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동영상의 재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재생을 수행하는 동안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동영상의 현재 재생되는 프레임과 연관된 분석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 판단 결과 상기 분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동영상에서의 장면 전환을 검출하는 제2 단계, 장면 전환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장면 전환이 발생한 프레임을 시작 프레임으로 결정하는 제3 단계, 상기 동영상을 지속적으로 재생하면서 또 다른 장면 전환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또 다른 장면 전환이 발생한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을 종료 프레임으로 결정하는 제4 단계, 상기 시작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종료 프레임까지의 연속적인 프레임의 집합을 하나의 세그먼트로 결정하는 제5 단계, 상기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키프레임으로 결정하는 제6 단계, 상기 동영상 및 상기 세그먼트와 연관하여 상기 시작 프레임에 대한 시작 프레임 정보, 상기 종료 프레임에 대한 종료 프레임 정보 및 상기 키프레임에 대한 키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단계 내지 제7 단계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동영상 재생 방법은, 판단 결과 상기 동영상의 현재 재생되는 프레임과 연관된 분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분석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된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재생창과 별도의 표시 영역에 상기 동영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키프레임을 나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키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키프레임을 선택하며 재생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분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키프레임과 연관된 세그먼트를 식별하는 단계, 및 이전의 재생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에 포함된 시작 프레임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동영상을 상기 재생창에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판독된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재생창과 별도의 표시 영역에 상기 동영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키프레임을 나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상기 단계는, (1) 상기 판독된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 및 (2) 상기 재생 중 생성된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재생창과 별도의 표시 영역에 상기 동영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키프레임을 나열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이전의 재생 과정은 종료하고,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에 포함된 시작 프레임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동영상을 상기 재생창에 재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에 포함된 시작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의 종료 프레임까지만 순차적으로 상기 동영상을 다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동영상 재생 방법은, 판단 결과 상기 동영상의 현재 재생되는 프레임과 연관된 분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분석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1) 상기 판독된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 및 (2) 상기 재생 중 생성된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재생창과 별도의 표시 영역에 상기 동영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키프레임을 나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키프레임 중에서 하나 이상의 키프레임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각 키프레임에 순서를 지정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분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키프레임과 연관된 세그먼트를 각각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를, 상기 선택된 키프레임에 지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이전의 재생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생성된 재생 목록에 따라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를 각각 순차적으로, 상기 재생창에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널리 언급되는 재생되는 동영상의 장면 전환 검출방법은 공개 특허 제2002-0075956호(발명의 명칭: "장면 전환 검출 방법")에 기재된 장면 전환 검출 방법(이하, "특허 발명"이라고 함)에 따른 장면 전환 검출방법을 준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영상 프레임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여 장면 전환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접 프레임간의 변화 유무를 판단하여 인접 프레임간의 변화가 있는 트랜지션 상태와 인접 프레임간의 변화가 없는 스테이셔너리 상태로 분류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분류된 프레임 중 스테이셔너리 상태로 분류된 경우 전체 프레임들을 하나의 세그먼트로 설정하고, 트랜지션 상태로 분류된 경우 분류된 프레임의 분할된 세그먼트의 독립된 장면으로의 분리 유무를 해당 세그먼트의 키 프레임을 통해 장면전환 여부를 재확인하여 장면 전환을 확정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면 전환 검출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장면 전환 검출방법에 준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널리 언급되는 프레임이란 동영상을 구성하는 하나하나의 스틸 사진을 지칭한다. 또한, 세그먼트는 측정 장면 전환 검출 후, 다음 장면 전환이 검출되기까지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장면을 지칭한다. 상기 세그먼트는 장면 전환 검출 시점의 프레임인 시작 프레임 및 종료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상기 세그먼트를 대표하는 프레임인 키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분석 정보는 하나의 세그먼트와 연관한 시작 프레임에 대한 시작 프레임 정보, 종료 프레임에 대한 종료 프레임 정보 및 키프레임에 대한 키프레임 정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분석 정보 판독부(120), 동영상 재생부(130), 장면 전환 검출부(140), 프레임 결정 제어부(150), 분석 정보 제어부(160), 및 데이터베이스부(17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사용자는 동영상의 재생 명령, 키프레임의 선택 또는 세그먼트와 연관된 관련 설명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이 PC에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는 i)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동영상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재생 명령, 정지 명령, 일시 정지 명령, 되감기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고, ii)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상기 동영상과 연관된 분석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 중에서 특정 키프레임을 선택하는 키프레임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iii) 또는 상기 특정 키프레임이 속한 세그먼트만을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 명령, 또는 상기 특정 키프레임이 속한 세그먼트를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동영상을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고, iv) 특정 세그먼트를 선택하여 그에 대응하는 관련 설명을 입력할 수도 있다.
분석 정보 판독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동영상의 재생 명령에 따라 상기 동영상과 연관된 분석 정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동영상의 전체 또는 일부 구간과 연관된 분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부(170)로부터 상기 분석 정보를 판독하여 추출한다.
상기 동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 구간에 대한 분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분석 정보 판독부(120)는 이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분석 정보를 생성할 지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에게 분석 정보 생성 여부를 문의하지 않고 상기 사용자가 전부 또는 일부 구간에 대한 분석 정보가 없는 동영상의 재생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자동적으로, 분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구간에 대해서 상기 동영상과 연관된 분석 정보가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동영상 재생부(130)는 상기 재생 명령에 따라 상기 동영상을 재생한다. 동영상 재생부(130)는 동영상 재생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또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
장면 전환 검출부(14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그리고 상기 동영상 중에서 분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구간이 재생되고 있는 경우, 상기 동영상에서의 장면 전환을 소정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검출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분석 방법으로서 상기 특허 발명에 따른 장면 전환 검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특허 발명에 따르면, 어떠한 형태의 장면 전환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 속도도 매우 빨라 장면 전환을 인식 과정 을 수행하지 않고 동영상을 플레이 하는 속도 또는 동영상을 플레이 하는 속도보다 빠르게 장면 전환 검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장면별 동영상 분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해당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동시에 재생 구간에 대한 분석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장면 전환을 분석하기 위해, 상기 특허 발명에 따른 장면 전환 검출방법뿐만 아니라,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완전히 복호화하지 않고 움직임 벡터,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계수 등 일부 정보만을 추출하여 장면 전환을 검출하는 접근 방법과, 압축된 비디오를 완전히 복호화한 후 이미지 도메인에서 장면 전환을 검출하는 접근 방법 등 현존하는 모든 장면 전환 검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프레임 결정 제어부(150)는 재생되는 동영상의 장면 전환이 발생한 프레임을 시작 프레임으로 결정하고, 상기 동영상의 또 다른 장면 전환이 발생한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을 종료 프레임으로 결정하며, 상기 시작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종료 프레임까지의 연속적인 프레임의 집합을 하나의 세그먼트로 결정하고, 상기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키프레임으로 결정한다.
프레임 결정 제어부(150)가 세그먼트, 상기 세그먼트의 시작 프레임, 종료 프레임 또는 키프레임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프레임 결정 제어부에 따른 프레임 결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각 정지 화면은 제1 프레임(210), 제2 프레임(220), 제3 프레임(230), 제4 프레임(240), 제5 프레임(250), 및 제6 프레임(260)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 프레임 내지 제6 프레임(210 내지 260)은 각각 시간적으로 연속된 프레임에 해당한다.
동영상의 재생 중, 제1 프레임(210)이 재생되고 난 후 제2 프레임(220)이 재생될 때, 장면 전환 검출부(140)는 제2 프레임(220)에서 장면이 전환되었음을 감지하고, 프레임 결정 제어부(150)에 이를 통지한다. 프레임 결정 제어부(150)는 상기 장면 전환이 검출된 프레임인 제2 프레임(220)을 시작 프레임으로 결정한다.
상기 시작 프레임이 결정된 후 동영상이 지속적으로 재생되고, 제6 프레임(260)이 재생될 때, 장면 전환 검출부(140)는 제6 프레임(260)에서 다시 또 장면 전환이 되었음을 검출한다. 상기 또 다른 장면 전환의 검출에 따라 프레임 결정 제어부(150)는 상기 장면 전환이 검출된 제6 프레임(260)의 직전 프레임인 제5 프레임을 종료 프레임으로 결정한다.
또한, 프레임 결정 제어부(150)는 상기 시작 프레임부터 상기 종료 프레임까지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 즉, 제2 프레임(220), 제3 프레임(230), 제4 프레임(240), 및 제5 프레임(250)을 하나의 세그먼트로 결정한다. 즉,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동영상에서 특정 장면이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재생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한 특정 재생 구간을 의미한다.
또한, 프레임 결정 제어부(150)는 상기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에지 스트렝스(Edge Strength) 레벨이 가장 높은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 기 선택된 프레임을 키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세그먼트에 포함된 제2 프레임(220), 제3 프레임(230), 제4 프레임(240), 및 제5 프레임(250) 중에서, 프레임 결정 제어부(150)는 각각의 프레임에 대하여 에지 스트렝스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값이 가장 높은 에지 스트렝스를 갖는 제4 프레임(240)을 키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에지 스트렝스는 각 프레임의 선명도를 측정하는 하나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프레임들 중에서 에지 스트렝스가 높은 프레임을 키프레임으로 선정하는 경우에는 선명한 화면을 나타내는 프레임을 키프레임으로 선정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에서, 분석 정보 제어부(160)는 상기 동영상과 연관하여 상기 시작 프레임에 대한 시작 프레임 정보, 상기 종료 프레임에 대한 종료 프레임 정보, 상기 키프레임에 대한 키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분석 정보를 세그먼트 별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부(170)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부(170)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에 대한 분석 정보를 각각 저장한다. 도 3은 데이터베이스부(170)에 저장되는 분석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상기 동영상이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제3 프레임, , 및 제N 프레임을 포함하고, 제1 프레임 내지 제7 프레임이 하나의 세그먼트, 이어서 제8 프레임부터 제15 프레임까지가 하나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경우, 또한, 프레임 결정 제어부(150)가 상기 세그먼트에 포함된 프레임 중에서 제10 프레임을 키프레임으로 결정한 경우를 예로 든다.
시간 순서에 따라 제1 프레임 내지 제7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그먼트를 제1 세그먼트, 제8 프레임 내지 제15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그먼트를 제2 세그먼트라고 명명하면, 상기 동영상과 연관된 분석 정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상기 동영상과 연관된 분석 정보가 동영상의 시작 프레임부터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동영상이 재생되는 구간에서의 분석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재생 도중 변경시키거나 동영상 중간부터 재생시키는 경우 등에는 분석 정보가 순차적으로 저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이런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동일한 동영상의 일부 구간에 대한 분석 정보가 존재하나, 나머지 구간에 대한 분석 정보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170)에 복수의 동영상에 대한 분석 정보가 각각 저장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7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세그먼트별 관련 설명이 각 키프레임에 대응하여(또는 각 세그먼트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은이 돌잔치" 라는 제목의 동영상에 대한 분석 정보는 M개의 세그먼트에 대한 각 세그먼트 정보, 상기 M개의 세그먼트에 각각 대응하는 키프레임에 대한 키프레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70)에는 상기 키프레임 정보(또는 상기 세그먼트 정보)각각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관 련 설명이 더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동영상 중, 제1 세그먼트의 키프레임은 제8 프레임이고, 상기 키프레임에 대한 관련 설명은 "엄마, 아빠 인사" 일 수 있다. 또한, 제2 세그먼트의 키프레임은 제19 프레임이고, 관련 설명은 "정은이 골프채 잡다" 일 수 있으며, 제N 세그먼트의 키프레임은 제98 프레임이고, 관련 설명은 "20년 뒤의 정은이에게"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관련 설명을 각각의 키프레임에 대응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관련 설명을 검색하여 상기 동영상 중 자신이 원하는 부분의 영상을 보다 쉽게 찾고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동영상 화면 및 키프레임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현재 재생되고 있는 구간의 동영상과 연관된 분석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부(17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동영상의 상기 구간을 재생하면서 동시에 분석하여 상기 구간에 대한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동영상에 포함되는 세그먼트에 대한 세그먼트 정보, 상기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시작 프레임, 종료 프레임, 키프레임에 대한 정보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동영상 재생 과정에서 재생 구간에 대해 생성한 분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70)에 저장한 후에는, 상기 동영상을 다시 재생하는 경우 상기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간에서의 키 프레 임 정보 등 상기 동영상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이전 재생 과정에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부(170)에 저장해 둔 분석 정보뿐만 아니라, 현재 재생 과정에서 새로 생성한 분석 정보를 실시간으로 이용하여, (1) 데이터베이스부(170)에서 판독한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와, (2) 재생 중 새로 생성한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재생창과 별도의 표시 영역에 상기 동영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키프레임을 나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재생 요청한 동영상의 전 구간에 대한 분석 정보가 이미 데이터베이스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이 동영상의 어떤 구간에 대해서도 별도의 분석 작업을 수행할 필요 없이 데이터베이스부(170)에 저장된 분석 정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현재 재생 과정에서 분석 정보가 새로 생성되면 상기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나열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키프레임을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도중, 상기 동영상에 대해 상기 표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키프레임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면의 왼쪽 부분에는 "프렌즈 502"라는 명칭의 동영상이 재생창(500)에서 재생되고, 재생창(500)과 별도의 표시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키프레임이 정지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하나 이상의 키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마우스 클릭 등으로 선택하여 상기 키프레임과 연관된 세그먼트를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시청 중, "조이 치킨 사오다" 라는 관련 설명을 갖는 키프레임(512)을 선택한 경우, 분석 정보 판독부(120)는 데이터베이스부(170)에 저장된 분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키프레임(512)을 포함하는 세그먼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에 포함된 시작 프레임을 추출한다.
동영상 재생부(130)는 상기 추출된 시작 프레임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한다. 동영상 재생부(13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시작 프레임부터 재생된 동영상을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에 포함된 종료 프레임까지만 재생할 수도 있고, 상기 시작 프레임으로부터 동영상의 종료 시까지 계속 재생할 수도 있다.
소정의 키프레임을 선택하여 상기 키프레임으로부터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하는 상기 과정은,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도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동영상 "프렌즈 502"가 재생창(500)에서 재생되는 도중에 키프레임(512)를 선택하면, 동영상 재생부(130)는 키프레임(512)이 포함되는 세그먼트의 시작 세그먼트로부터 동영상 "프렌즈 502"가 재생되도록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동영상을 선택할 때마다 상기 동영상과 연관된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각 장면들을 대표하는 장면별 키프레임을 함께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동영상 중에서도 원하는 장면을 쉽게 찾아 재생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사용자들에게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재생 목록을 생성하여 재생 목록에 포함된 세그먼트들을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재생 목록을 만들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키프레임(511) 내지 키프레임(532) 중 하나 이상의 키프레임들을 각각 선택하여 순서를 지정한다. 상기 순서는, 상기 사용자가 각 키프레임을 선택한 순서와 동일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부(170)에 저장된 분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각 키프레임을 포함하는 세그먼트들를 각각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들을 해당 키프레임에 지정된 순서와 동일하게 배열하여 재생 목록을 생성한다.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재생 목록에 따른 재생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배열된 세그먼트들을 순차적으로 재생한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가 키프레임(511), 키프레임(512) 및 키프레임(513)을 순차적으로 선택한 후 재생 명령을 입력한 경우,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키프레임(511)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키프레임(512)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키프레임(513)을 포함하는 세그먼트를 각각 순차적/연속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고가의 동영상 편집 도구나 편집 기술을 익히지 않고서도 하나의 동영상 중에서도 원하는 장면들만을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재생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세그먼트에 대한 관련 설명을 입력하기 위해 키프레임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가 키프레임(512)을 선택하여 키프레임(512)를 포함하는 세그먼트에 대한 관련 설명 입력을 요청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은 상기 관련 설명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상기 입력된 관련 설명을 선택된 키프레임(512)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부(170)에 저장한다.
일단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부(170)에 저장된 관련 설명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키프레임과 연관하여 "키프레임 관련 정보"로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키프레임(511)에 대한 키프레임 관련 정보는 "챈들러 모니카 목욕"에 해당한다. 또한, 사용자는 각 장면, 즉 각 세그먼트에 모두 관련 설명을 입력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도 5는 키프레임(513)을 포함하는 세그먼트에 대해서는 관련 설명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관련 설명을 이용한 키워드 검색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소정의 키워드를 입력하면,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부(170)에 저장된 관련 설명 중에서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관련 설명을 검색한다. 또한,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상기 검색된 관련 설명과 연관된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하여 세그먼트를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를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장면의 동영상 구간을, 일일이 바(bar)를 움직이면서 찾아볼 필요 없이, 관련 설명에 대한 키워드 검색으로 간편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TV 등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녹화하여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녹화 도중에도 과거 시점으로 되돌아가 딜레이된 시간으로 상기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PVR과 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녹화 도중 다른 용무로 인해 시청하지 못한 부분을, 이미 방송된 구간에 대해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장면별 키프레임들을 이용하여 쉽게 검색하여 그 부분부터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방송 야구 경기 시청 중, 자장면 배달 등으로 인해 홈런 장면을 시청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야구 경기 시청과 동시에 녹화된 동영상을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홈런이 발생한 장면을 쉽게 검색하고, 상기 홈런 장면부터 상기 동영상을 계속 재생시킴으로써, 약간의 시간 딜레이를 두고 상기 야구 경기를 생방송처럼 즐길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에서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상기 동영상과 연관된 키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각 동영상과 연관된 분석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170)를 유지하고(단계(610)),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동영상에 대한 재생 명령을 입력 받는다(단계(620)).
단계(630)에서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상기 재생 명령에 따라 소정의 재생창에서 상기 동영상의 재생하기 시작한다. 이와 병렬적으로 단계(640)에서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부(170)에 상기 동영상과 연관된 분석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동영상과 연관된 분석 정보"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서 충분하게 설명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검색 결과는, (1) 상기 동영상의 모든 구간에 대한 분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도 6의 (A)), (2) 상기 동영상의 모든 구간에 대한 분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6의 (B)), (3) 상기 동영상의 일부 구간에 대한 분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도 6의 (C))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동영상의 모든 구간에 대한 분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단계(660)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검색된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에 포함된 키프레임을 식별한다.
단계(670)에서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재생창과는 별도의 표시 영역에 상기 식별된 각 키프레임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만약, 상술한 것처럼 각 키프레임과 연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저장된 "관련 설명"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각 키프레임과 연관하여 상기 관련 설명을 키프레임 관련 정보로서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동영상의 모든 구간에 대한 분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한다. 단계(680)에서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상기 동영상의 모든 구간에 대한 분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재생 중인 구간의 동영상에 대한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재생 중 동영상의 "장면별로 구별되는 각 구간"(즉, 본 발명에서는 세그먼트)를 감지하여 i) 상기 세그먼트를 식별하기 위한 세그먼트 정보, ii) 상기 세그먼트에 포함된 프레임 중 시작 프레임을 식별하기 위한 시작 프레임 정보, iii) 상기 세그먼트에 포함된 프레임 중에서 종료 프레임을 식별하기 위한 종 료 프레임 정보, iv) 상기 세그먼트를 대표하는 프레임인 키프레임을 식별하기 위한 키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상술한 바 있다.
단계(690)에서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상기 동영상의 재생에 따라 각 세그먼트에 대한 분석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상기 생성된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되는 키프레임들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마지막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동영상의 일부 구간에 대한 분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711)에서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상기 검색된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의 상기 일부 구간, 즉 시작 프레임, 종료 프레임, 및 키프레임이 모두 결정되어 있는 세그먼트에 포함된, 상기 키프레임을 상기 재생창과는 별도의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상기 동영상을 지속적으로 재생시키다가, 단계(712)에서 분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구간이 재생되기 시작하면, 예를 들면 검색된 분석 정보에 의해 어느 하나의 세그먼트의 종료 프레임으로 지정된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이 시작 프레임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감지한 경우 등에는, 단계(713)에서 상기 구간의 재생과 함께 상기 구간에 대한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714)에서 동영상 재생 시스템(100)은 상기 생성된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되는 키프레임들을, 분석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시스템이 동영상의 장면 전환 을 검출하기 위해, 즉 분석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시스템은 재생되는 동영상의 프레임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동영상의 장면 전환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재생되는 동영상의 인접 프레임간의 변화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인접 프레임간의 변화 상태를 인접 프레임간의 변화가 있는 트랜지션 상태 또는 인접 프레임간의 변화가 없는 스테이셔너리 상태로 분류한다.
상기 스테이셔너리 상태로 분류된 경우에는 전체 프레임들을 하나의 세그먼트로 설정한다. 상기 트랜지션 상태로 분류된 경우에는 프레임들을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 설정하고, 상기 각 상태별 세그먼트의 존재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세그먼트가 존재할 경우, 각 세그먼트가 독립된 장면으로 분리될 필요가 있는 여부를 판단한다.
즉, 현재 세그먼트에서 키프레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프레임을 최근에 검출된 기설정된 키프레임들과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키프레임에 장면 전환에 필요한 독립적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키프레임에 상기 정보가 있을 경우, 상기 키프레임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키프레임 정보를 기준으로 장면 전환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방법의 장면 전환 검출방법으로는 상기에서 기술한 장면 전환 검출방법뿐만 아니라, 현존하는 다양한 장면 전환 검출 방법이 채 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9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920)과 롬(ROM: Read Only Memory)(9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9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9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920) 및 롬(9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9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9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9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9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9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9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동영상의 재생 시, 상기 동영상을 장면 전환에 따른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각각의 세그먼트에 상기 세그먼트를 대표하는 키프레임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한번 재생된 동영상 구간에 대해서는 키프레임 선택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장면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장면을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른 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기능을 지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키프레임과 연관한 관련 설명을 입력 받아 저장하고, 상기 관련 설명을 키프레임과 함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설정한 관련 설명 내용에 따라 보다 쉽게 동영상의 장면을 검색하고 재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른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시스템을 PVR(Personal Video Recorder)에 적용할 경우, 상기 녹화 도중인 동영상의 인코딩된 과거 시점을 시청할 수 있는 PVR의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동영상 의 녹화 도중 과거 시점의 동영상을 키프레임 검색을 통해 장면 별로 쉽게 검색하고 재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장면 별 검색 및 재생을 지원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동영상의 재생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동영상의 재생을 수행하는 단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상기 동영상의 현재 재생되는 "구간"과 연관된 분석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소정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동영상의 상기 구간에서의 장면 전환을 검출하는 제1 단계;
    장면 전환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장면 전환이 발생한 프레임을 시작 프레임으로 결정하는 제2 단계;
    상기 동영상을 지속적으로 재생하면서 또 다른 장면 전환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또 다른 장면 전환이 발생한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을 종료 프레임으로 결정하는 제3 단계;
    상기 시작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종료 프레임까지의 연속적인 프레임의 집합을 하나의 세그먼트로 결정하는 제4 단계;
    상기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키프레임으로 결정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동영상 및 상기 세그먼트와 연관하여 상기 시작 프레임에 대한 시작 프레임 정보, 상기 종료 프레임에 대한 종료 프레임 정보 및 상기 키프레임에 대한 키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고,
    제1 단계 내지 제6 단계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상기 동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 구간과 연관된 분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분석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1) 상기 판독된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 또는 (2) 상기 재생 중 생성된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재생창과 별도의 표시 영역에 상기 동영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키프레임을 나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키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키프레임을 선택하며 재생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키프레임에 대한 키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분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키프레임과 연관된 세그먼트를 식별하는 단계; 및
    이전의 재생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에 포함된 시작 프레임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동영상을 상기 재생창에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1) 상기 판독된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와, (2)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7 단계를 수행하여 생성된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재생창과 별도의 표시 영역에 상기 동영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키프레임을 나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분석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나열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키프레임을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이전의 재생 과정은 종료하고,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에 포함된 시작 프레임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동영상을 상기 재생창에 재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에 포함된 시작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의 종료 프레임까지만 순차적으로 상기 동영상을 다시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판단 결과 상기 동영상의 현재 재생되는 프레임과 연관된 분석 정보가 존재 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분석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1) 상기 판독된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 및 (2) 상기 재생 중 생성된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재생창과 별도의 표시 영역에 상기 동영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키프레임을 나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키프레임 중에서 하나 이상의 키프레임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각 키프레임에 순서를 지정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분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키프레임과 연관된 세그먼트를 각각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를, 상기 선택된 키프레임에 지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이전의 재생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생성된 재생 목록에 따라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를 각각 순차적으로, 상기 재생창에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세그먼트와 연관된 관련 설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재생창과 별도의 표시 영역에 상기 동영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키프레임을 나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키프레임과 연관하여, 상기 키프레임을 포함하는 세그먼트와 연관된 관련 설명을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키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키프레임을 선택하며 관련 설명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 및 상기 키프레임을 포함하는 세그먼트와 연관하여 상기 관련 설명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더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관련 설명 중에서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관련 설명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관련 설명과 연관된 동영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관련 설명과 연관된 동영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검색된 관련 설명과 연관된 세그먼트의 키프레임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방법은,
    인접 프레임 간의 변화 유무를 판단하여 인접 프레임간의 변화가 있는 트랜지션 상태와 인접 프레임간의 변화가 없는 스테이셔너리 상태로 분류하는 단계; 및
    스테이셔너리 상태로 분류된 연속된 프레임들을 하나의 세그먼트로 결정하고, 트랜지션 상태로 분류된 프레임을 세그먼트로 분리할지 여부를 해당 세그먼트의 키프레임을 통해 장면 전환 여부를 재확인하여 장면 전환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키프레임으로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각 프레임의 에지 스트렝스(Edge Strength)에 기초하여, 상기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프레임 중에서 상기 키프레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12.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3. 장면 별 검색 및 재생을 지원하는 동영상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동영상 및 상기 동영상과 연관된 분석 정보 - 상기 분석 정보는 시작 프레임 정보, 종료 프레임 정보, 또는 키프레임 정보를 포함함 - 를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사용자로부터 재생 명령 또는 키프레임 선택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로부터 재생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과 연관된 분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분석 정보를 판독하고 추출하는 분석 정보 판독부;
    상기 재생 명령에 따라 상기 동영상을 소정의 재생창에서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부;
    상기 동영상의 현재 재생되는 구간에 대한 분석 정보가 존재하지 경우, 상기 구간에서의 장면 전환을 소정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검출하는 장면 전환 검출부;
    상기 동영상의 장면 전환이 발생한 프레임을 시작 프레임으로 결정하고, 상기 동영상의 또 다른 장면 전환이 발생한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을 종료 프레임으로 결정하며, 상기 시작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종료 프레임까지의 연속적인 프레임의 집합을 하나의 세그먼트로 결정하고, 상기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키프레임으로 결정하는 프레임 결정 제어부;
    상기 동영상 및 상기 세그먼트와 연관하여 상기 시작 프레임에 대한 시작 프레임 정보, 상기 종료 프레임에 대한 종료 프레임 정보 및 상기 키프레임에 대한 키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분석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분석 정보 제어부; 및
    (1) 상기 추출된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 또는 (2) 상기 생성된 분석 정보에 포함된 키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되는 하나 이상의 키프레임을, 상기 재생창과는 별도의 표시 영역에 각각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키프레임을 선택하여 재생 명령을 입력한 경우, 상기 분석 정보 판독부는 상기 키프레임과 연관된 분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키프레임과 연관된 세그먼트를 식별하고,
    상기 동영상 재생부는 이전의 재생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에 포함된 시작 프레임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동영상을 상기 재생창에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시스템.
KR1020050024460A 2005-03-24 2005-03-24 동영상 재생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02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460A KR20060102639A (ko) 2005-03-24 2005-03-24 동영상 재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460A KR20060102639A (ko) 2005-03-24 2005-03-24 동영상 재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639A true KR20060102639A (ko) 2006-09-28

Family

ID=37622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460A KR20060102639A (ko) 2005-03-24 2005-03-24 동영상 재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263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860B1 (ko) * 2006-11-24 2009-09-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속 프로그램 전환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
KR20180048536A (ko) * 2018-04-30 2018-05-10 오드컨셉 주식회사 영상 검색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1263227A (zh) * 2020-02-10 2020-06-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媒体播放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3923472A (zh) * 2021-09-01 2022-01-11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视频内容分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554285A (zh) * 2022-02-25 2022-05-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视频插帧处理方法、视频插帧处理装置和可读存储介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860B1 (ko) * 2006-11-24 2009-09-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속 프로그램 전환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
KR20180048536A (ko) * 2018-04-30 2018-05-10 오드컨셉 주식회사 영상 검색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1263227A (zh) * 2020-02-10 2020-06-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媒体播放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1263227B (zh) * 2020-02-10 2023-12-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媒体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终端
CN113923472A (zh) * 2021-09-01 2022-01-11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视频内容分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923472B (zh) * 2021-09-01 2023-09-01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视频内容分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554285A (zh) * 2022-02-25 2022-05-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视频插帧处理方法、视频插帧处理装置和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280B1 (ko)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5322550B2 (ja) 番組推奨装置
CN101556819B (zh) 用于处理来自信息存储介质的数据的设备
JP5038607B2 (ja) スマートメディアコンテンツサムネイル抽出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200834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multimedia summary of a video program
KR100865042B1 (ko) 비디오 프로그램의 멀티미디어 설명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3966515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525537A (ja) コンテンツ解析を用いて音楽ビデオを要約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5117659A (ja) 検索情報を記録した保存媒体、その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WO2006126391A1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268984B1 (ko) 메타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정보저장매체, 메타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40168B1 (ko) 개요 및 리포트를 이미 포함하는 시청각 도큐먼트의 새로운 개요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수신기
JP5285052B2 (ja) モード情報を含む動画データ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KR101369747B1 (ko) 정보저장매체, 비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JP2007318200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KR20060102639A (ko) 동영상 재생 시스템 및 방법
US20080159717A1 (en) Digital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of forward/reverse searching digital images
KR100492446B1 (ko) 지능형 pvr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401974B1 (ko) 녹화된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JP2007288300A (ja) 映像音声再生装置
JP4162459B2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再生装置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情報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39322A (ja) 映像再生装置、映像再生方法および映像再生プログラム
JP2008020767A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12034022A (ja) 映像音声記録再生装置、および映像音声記録再生方法
Maslin et al. Project PATRON—Audio and video on demand at the University of Surr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